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조직문화, 흡수역량, 혁신능력과의 관계 : 첨단기술 벤처기업에 대한 실증연구

        정상철,오세구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8 산업혁신연구 Vol.34 No.3

        혁신 역량은 많은 기업들에게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필수 도구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경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도구로서 혁신능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대부분의 기업은 혁신 능력을 보유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기업의 흡수역량 및 혁신능력을 강화시키는 문화를 만드는 데는 능숙하지 않다. 본 연구는 기업의 조직 문화가 조직의 흡수역량 및 혁신능력에 영향을 미 치고, 흡수역량은 기업의 혁신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제 안을 테스트하기 위해 본 연구는 대덕 연구 개발특구의 하이테크 벤처 기업을 대상으로 총 131 개의 유효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결과 흡수역량은 조직 문화와 혁신능력 사 이의 매개 변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에 대한 경영적 함의와 간결한 결론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 흡수역량이 혁신능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으로써 흡수 역량이 기업의 혁신능력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흡수역량이 높을 수록 혁신 능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모형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조직 문화가 흡 수역량에 유의한 정(+)의 효과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조직 문화가 기업의 흡수역량을 개발 하고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흡수역량은 외부의 지식을 통합하고 이를 기업의 역량 으로 변환함으로써 조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역량은 학습 지향적인 조직 문화의 결과이며,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를 창출의 기초가 된다. 셋째, 분석결과에 의하면, 흡수역량은 조직문화와 혁신능력 사이의 매개 변수이며 두 변수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한다. 이는 흡수역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기업의 조직 문화가 기업의 혁신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 을 의미한다. 그러나 조직 문화가 기업의 흡수역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이는 기업의 혁신능력 강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발견된 완전히 매개된 모델은 기업의 문화가 흡수역량을 강화시키고, 강화된 흡수역량은 회사의 제품 및 절차 혁신 능력을 개선하는 핵심 전략 요소임을 나타낸다. Innovation capability is considered as the prerequisite tool for many enterprises to enhance their productivity. Recently,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capability as a tool for retaining the competitive advantage keeps growing. While most enterprises are currently seeking well equipped innovation capability, they are not good at creating the culture for facilitating the absorptive capacity and innovation capability. To improve the innovation capability, we propose that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absorptive capacity and innovation capability and, in sequence, the absorptive capacity affects innovation capability in Hi-tech venture enterprises. To test the above proposi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131 hi-tech venture enterprises in Daedeok Innopolis, the largest and oldest R&D cluster in Korea. In general, absorptive capacity was found as the intervening variable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capability. In addition,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absorptive capacity. More managerial implications and brief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our study suggests that absorptive capac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capability, indicating that absorptive capac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a firm’s innovation capability. Thus, the higher absorptive capacity, the higher innovation capability. As predicted in the hypotheses, the research results also reveal that organization cultur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bsorptive capacity. This is an important finding since it varies from prior studies that treat absorptive capacity as an exogenous variable. Our study finds that organizational culture can both develop and increase a firm’s absorptive capacity. Absorptive capacity can benefit an organization by integrating external knowledge and then transforming it into the firm’s competence. This ability is part of learning oriented organization culture and is the basis of the firm creating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absorptive capacity is the mediating variable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capability, acting as a bridge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s means that if absorptive capacity is inadequate, th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 a firm will have less direct effect on the firm’s innovation capability. However, if the organizational culture can increase the firm’s absorptive capacity, it ma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irm’s innovation capacity. The completely mediating model found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absorptive capacity is a key strategic factor in improving a firm’s product and procedure innovation capability.

      • KCI등재후보

        국내 기업 적용을 위한 개인 및 조직차원의 감성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강윤진,송영수 한국산업교육학회 2013 산업교육연구 Vol.26 No.-

        미래 기업의 중요한 핵심역량으로 감성역량이 직무만족, 인간관계 그리고 직무몰입과 같은 개인 수준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처럼 팀과 조직 수준에서도 구성원간의 신뢰, 집단 정체감, 집단효능감을 높이는데 필요한 변인으로 본다. 그러나 국내기업의 감성역량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개인차원에서 이루어져 왔고, 조직차원에서의 논의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기업의 업무현장에서 조직차원의 감성역량 구성요인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개인 차원과 조직 차원의 감성역량이 어떻게 구분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국내 감성 및 역량 관련 기업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문헌연구, 델파이 조사, FGI 등 검증작업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기업 중심의 다수준별(개인, 팀, 집단 간) 조직 감성역량은 6개 역량군, 9개 구성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개인수준의 인식 역량군에는 ‘개인 간 이해하기’ 와 조절 역량군에는 ‘갈등관리’, ‘타인개발’을, 집단수준의 인식 역량군에는 ‘팀 자기평가’와 조절 역량군에는 ‘감성 자원 만들기’, ‘긍정적 영향력’, ‘주도적 문제해결’으로, 집단 간 수준의 인식 역량군에는 ‘조직적 이해’와 조절 역량군에는 ‘조직적 유대수립’로 분류되었다. 감성역량에 대한 개인 및 조직차원의 통합적 접근차원에서 다수준별로 유사한 범주에 속하는 감성역량 구성요인들을 ‘인식(Awareness)'과 ’관리(Management)'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6개 역량군 26개 구성요인으로 관계정리 되었다. 이런 결과는 개인차원과 조직차원의 감성역량간의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지며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 감성역량의 개인차를 조직적 차원에서 실무적으로 활용하는데 큰 함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As emotional competency, a core competency for future corporations, is perceived as an important skill in individual’s growth regarding 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job commitment and more. It is also considered a requisite skill to improve team’s trust, identity and efficiency. However, studies on emotional competency in Korean corporations have been done mostly in individual level, leaving the one about organizations insufficient. Hence,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ors of emotional competency in organization level in the workplaces of Korean corporations. It also investigates how emotional competency i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re differentiated. Thus, this study carried reference research, Delphi survey and FGI to Korean business field experts related to the field of emotions and competencies. The study resulted in drawing organization emotional competency in various levels (individual, team, organization) in Korean corporations into 6 competencies and 9 factors. ‘Understanding between individuals’ was defined as a competency in individual awareness level, ‘Dispute management’, ‘development for others’ in individual control level; ‘team self-evaluation’ in team awareness level, ‘building emotional resource’, ‘positive influence’ and ‘self-initiative problem solving’ in team control level;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in organization awareness level and ‘establishing organizational bond’ in organization control level. In terms of integrated approach on emotional competency i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the factors belonged to similar categories in different levels were assorted into 24 factors in 6 competency domains within two terms, ‘awareness’ and ‘management’. This result has its significance in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competencies of the individual and the organization, which suggests corporations a practical us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al skills in organizational level.

      • 비영리 조직의 기업가지향성이 조직 역량을 통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갑연 한국경영학회 2017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08

        현재 비영리조직은 치열한 경쟁 상황에 있으며, 비영리조직이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업가지향적인 조직문화를 기반으로 한 조직역량을 향상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영리조직이 갖추어야 할 조직문화 및 역량을 살펴보고, 이러한 조직문화가 역량을 통해 비영리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본 연구는 비영리조직의 조직문화를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사회 가치지향성으로 구성된 총체적인 기업가지향성으로 보고, 기업가지향성이 비영리조직의 역량인 적응역량, 리더십역량, 기술역량, 관리역량 등을 통해 조직의 경제적,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병원, 대학교, 자선단체 등 8개의 비영리조직에 종사하는 직원들을 211명에게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비영리조직의 기업가지향성은 조직의 적응역량, 기술역량, 관리역량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리더십역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영리조직의 적응역량과 기술역량은 조직의 경제적, 사회적 성과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리더십역량과 관리역량은 경제적 성과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비영리조직의 기업가지향성과 관련된 연구를 한층 더 발전시켰을 뿐 아니라 비영리조직에서도 역량 구축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비영리조직이 치열한 경쟁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기업가지향적인 조직문화 구축과 조직역량을 개발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마케팅역량이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진광영(Kwang Young Jin),문병준(Byeong-Joon Moon)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1 경영경제연구 Vol.43 No.2

        기업간 경쟁이 치열한 현실에서 마케팅역량을 구축하고 적절한 마케팅전략을 수립, 실행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은 긴요한 문제이다. 마케팅전략이나 역량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왔지만, 조직문화와 연계하여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케팅역량과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조직문화에 따라 이들 간의 관계에 어떤 변동이 나타나는지를 밝히고자 이론적 모형과 가설을 제시하고 실증분석하였다. 기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조직문화의 유형은 가족주의적 조직문화, 혁신적 조직문화, 위계질서형 조직문화, 성과지향형 조직문화로 구분하였다. 마케팅역량은 정보, 지식, 자원 등의 기획, 관리와 관련된 기본적 마케팅역량과 가격관리, 제품개발, 유통관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판매관리 등 마케팅 믹스를 구체적으로 실행하는 분야별 마케팅역량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마케팅역량이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기본적 마케팅역량이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혁신적/성과지향형 조직문화가 가족주의적/위계질서형 조직문화보다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분야별 마케팅역량 중 제품개발 역량은 혁신적 조직문화에서, 판매관리 역량은 성과지향형 조직문화에서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남으로써 조직문화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전국의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마케팅역량이 혁신적 조직문화와 성과지향형 조직문화에서 더 높은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기업성과 제고에 기여한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Currently, most corporations face cutthroat competition.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build marketing capabilities, establish and implement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ies, and consequently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been extensively conducted on the impact of marketing strategies or capabilities on corporate performance, findings so far are insufficient to fully understand the effects of marketing capabilities on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MSIE) in connection with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marketing capabilities and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and presented theoretical models and hypotheses while conducting empirical analyses to find out organizational culture’s moderating effect between marketing capabilities and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The study employed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are categorized into clan organizational cultures, adhocracy organizational cultures, hierarchy organizational cultures, and market organizational cultures. Marketing capability is classified into two capabilities, firstly architectural marketing capabilities planning and the management of information, knowledge, and resources; and secondly specialized marketing capabilities implementing mixes of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pricing, product development, channel management, marketing communication, and selling. The findings from the study show that marketing capabilitie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Especially, in the effects of architectural marketing capabilities on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the adhocracy/market organizational culture has a stronger moderating effect than the clan/hierarchy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effects of specialized marketing capabilities on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when a marketer is capable of product development in an adhocracy organizational culture, the measured effect of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i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when a marketer is capable of selling in a market organizational culture, the size of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is the highest. Namely,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is significant. To sum up,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nationwide and shows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adhocracy organizational cultures and market organizational cultures between marketing capabilities and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is higher than other organizational cultures. Ultimately, it contributes to enhancing corporate performance.

      • KCI등재

        비영리조직의 기업가지향성이 조직역량을 통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갑연(Jeong, Gap Yeon),서민교(Seo, MinKyo)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5

        현재 비영리조직은 치열한 경쟁 상황에 있으며, 비영리조직이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업가 지향적인 조직문화를 기반으로 한 조직역량을 향상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영리조직이 갖추어야 할 조직문화 및 역량을 살펴보고, 이러한 조직문화가 역량을 통해 비영리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본 연구에서는 비영리조직의 조직문화를 사회 가치지향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혁신성, 진취성 등으로 구성된 총체적인 기업가지향성으로 보고, 기업가지향성이 비영리조직의 역량인 적응역량, 리더십 역량, 기술역량, 관리역량 등을 통해 조직의 경제와 사회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영리조직인 대학교, 병원, 사회복지시설, 자선단체 등의 직원 21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비영리조직의 기업가지향성은 조직의 적응역량, 기술역량, 관리역량에는 긍정 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리더십 역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영리조직의 적응역량과 기술역량은 조직의 경제와 사회적 성과 모두 영향을 미쳤지만, 리더십 역량과 관리역량은 경제적 성과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비영리 조직과 관련된 연구들을 발전시켰을 뿐 아니라 비영리조직에서도 역량 구축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또한 비영리조직이 치열한 경쟁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기업가지향적인 조직 문화 구축과 조직역량을 개발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lture and capability essential for nonprofit organization and confirm the effect on nonprofit organization’s performance based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capability. In other words, this study regards organizational culture of nonprofit organization as overal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which is comprised of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risk-taking and market orientation.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organization’s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by using capabilities of nonprofit organization such as adaptive capability, leadership capability, technical capability and managerial capability. For the empirical test, we collected survey data from 211 employe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SPSS 19.0 and AMOS 19.0 have been utilized for delivering the study results. According to empirical analysi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nonprofit organization had positive effect on adaptive capability, technical capability and managerial capability, but no effect on leadership capability. In addition, adaptive and technical capability of nonprofit organization had positive effect on both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however, leadership capability and managerial capability had effect only on economic performance.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capability building in nonprofit organization and further improves the study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 nonprofit organization.

      • 개인의사결정역량과 조직생산성 및 조직창의성간의 관계

        남승규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1 社會科學論文集 Vol.30 No.1

        조직생산성과 조직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하나의 요인으로서 심리적 변수인 개인의사결정역량을 제안하고 그 유용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먼저 의사결정역량의 개념과 의사결정역량의 개인차가 어떻게 발생하는가를살펴보면서, 개인 의사결정역량의 요인구조를 추출하였다. 그 다음에,이런 개인의사결정역량이 조직생산성 및 조직창의성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의사결정역량은 순기능적 의사결정역량과 역기능적 의사결정역량을 구분할 수 있다. 의사결정역량은 조직생산성과 조직창의성에 영향을미칠 수 있는데,조직생산성과 조직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순기능적 의사결정역량을 최대화하는 것도 중요할 수 있지만,무엇보다도 역기능적 의사결정역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더욱 더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끝으로,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내용분석을 이용한 CEO역량, 조직역량 그리고 조직성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표춘미,신성호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환경불확실성 하에서 CEO역량과 조직역량, 그리고 조직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의 경영관련 전문지인 동아비즈니 스리뷰에 2008년부터 2016년까지 발표된 사례연구를 대상으로 질적연구방법론인 내용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CEO역량은 기업가 역량, 관리역량, 기술역량을 사용하였다. 조직역량은 자원조달, 혁신, 기술, 품질관리, 영업/마케팅, 인적자원관리의 역량을 사용하였다. 조직 성과는 ROA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불확실성의 고객항목과 경쟁자항목은 CEO역량의 기업가역량과 정(+)의 관계가 나타났고, 환경불확실성의 경쟁자항목은 CEO역량의 관리역량과 부(-)의 관계가 나타났다. 기업가역량이 높은 CEO는 고객의 트렌드 변화에 주목하고 이러한 환경변화를 사업기회로 활용하여 신규 카테고리를 개발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였다. 경쟁자 측면의 환경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 해 기업들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인재유지 및 확보를 강조했다. 관리역량이 높은 CEO가 있는 기업은 경쟁사에 비해 낮은 이직율을 나타냈다. CEO는 금전적인 보상보다는 직원들의 역량강화 프로그램 등을 통해 소통과 동기부여로 조직구성원의 사기를 높이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둘째, CEO역량 중 기술역량이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역량이 높게 나타나는 CEO는 엔지니어출 신이 많으며, 이들은 제품생산 및 연구개발에 직접 참여하고 있었다. 셋째, CEO역량 중 기술역량과 조직역량 중 인적자원관리역량이 조직성 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와 사례기업의 내용을 기반으로 환경불확실성, CEO역량, 조직역량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설문데이터 기반의 양적연구가 주류인 회계학분야에서 질적 연구인 내용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는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데이터원천으로 국내기업의 독특한 경영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질적 연구의 활성화에 도움을 주리라 기대한다. 또한 급격한 경영환경 변화에 직면하여 조직의 생존과 성장을 달성해야 하는 국내기업 실무자에게 환경불확실성, CEO역량, 조직역량, 그리고 조직 성과 간의 관계 측면에서 의미 있고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려는 탐색적 시도를 했다는데 의의가 있겠다.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uncertainty, CEO competenc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using content analysis with the case studies published from 2008 to 2016 in Dong-a Business Review (DBR). The CEO competency used entrepreneurial capacity, management capacity, and technology competency. Organizational competencies used competencies in resource procurement, innovation, technology, quality management, sales/marketing,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Organizational performance used RO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ompetence of CEO competence and customer factor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competitor factor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was negatively related to competency of CEO competency. CEOs with high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paid attention to customer trends and exploited these environmental changes as business opportunities to develop new categories and pioneer new markets. To respond to environmental uncertainty on the competitive side, companies emphasized efficient management of resources and maintenance and acquisition of human resources. CEOs with high management competencies showed a lower turnover rate than competitors. CEOs were found to increase the morale of their employees by communicating and motivating them through programs such as employee capacity building rather than monetary compensation. Second, it is shown that technological compet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mong CEO competency. CEOs with a high level of technical competence were engineers who are directly involved in produc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Third, it is shown that human resource management capacity among CEO compet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contents of DBR case studies, the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uncertainty, CEO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petencies were suggested. In the field of accounting research, empirical analysis through questionnaires has been the main focu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us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of content analysis. Wes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to explain the unique management situation of domestic companies with various data and documents as sources of data. In addition, we attempt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uncertainty, CEO capacity, organizational capaciti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domestic executives who have to survive and grow in the face of rapid changes in management environment There will be significance.

      • KCI등재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조직역량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정선(Yoo Jeung Sun) 한국상품학회 2017 商品學硏究 Vol.35 No.1

        현재와 같은 예측불허의 경영환경에서 조직역량은 가장 핵심적인 자원중의 하나로 평가 받고 있기에, 미래 지향적인 역량을 추출하고 회사가 추구하는 전략 및 핵심역량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직수준의 역량이 재고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조직역량에 접근하고 조직역량이 객실승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밝힘으로 조직역량의 강화를 통한 조직의 경쟁력 강화와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인적자원의 관리 및 개발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 K 항공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조사방법은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법을 이용하였다. 표본의 수는 총 200부를 배포하여 총 182부(91%)를 최종연구의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수집된 자료의 데이터 코딩 후 SPSS 20.0, AMOS 20.0의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정을 위해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성은 Cronbach s alpha 계수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가설의 검증을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조직역량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조직역량 중 조직방향성은 정서적몰입과 규범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십역량은 정서적몰입과 지속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구성원역량은 정서적, 지속적, 규범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스템역량은 조직몰입의 어떠한 요소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접점의 위치서 고객만족의 근간을 제공하는 객실승무원의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조직차원의 변수를 측정하여 내부 조직의 역량을 더욱 강화시켜 나가야 함을 시사하였다. 조사대상을 국내의 특정 대형항공사 객실승무원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으나 조직역량은 오랜 기간을 거쳐 정립되고 인지된 조직 특유의 역량으로서 조직단위의 구성원들에게 상이하게 인지 될 수 있기에 선정된 표본이 객실승무원의 조직역량으로 정례화 시키는데 무리가 있다. 향후 국내ㆍ외 저비용항공사, 외국 대형항공사로 연구대상을 확장하여 공통되고, 표준화된 조직역량을 추출한다면 보다 객관적인 조직역량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지표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조직역량을 물적자원, R&D 역량, 학습역량, 혁신능력 등의 유형, 무형차원의 조직역량을 포함한다면 항공사의 조직역량에 총체적, 다각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객실승무원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 조직역량에 체계적, 전략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외국 항공사 및 저비용 항공사와의 과열 경쟁으로 내부 인적자원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야 하는 국내 대형항공사에 효율적 인적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light attendants. The self-Communication method was adopted to collect the data during August in 2017. Out of 200 participants, 182 usable questionnaireswere collected and analyzed. SPSS Version 20.0 and AMOS Version statistics have been utilized in order to analyze the useful data. It was foun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Direction of Organizational Vision and Strategy affects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Second, those of Leader Leadership positively affect Affective and Continuance Commitment. Therefore Leadership Competency of Team Leader needs to be enhanced in order to inspire flight attendants affection and loyalty to the organization. Third, Organizationmembers competency positively affects all of Affective, Normative, and Continuance Commitment. However, SystemCompetency doesn t affect any elem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ose results, the contribution, limitation, and some of recommendation for the future research have been suggested. Future study was suggested to figure out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rom a divers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classified Organizational Competency for the Airline Business, afterwards, it was compared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Competency and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light attendants.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역량에 관한 연구

        김문준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management competency of management perceived by members of social enterprise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economic and social) of social enterprise and the control role of communication among them.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made to the social enterprise employees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of IBM SPSS 24.0. By empirically analyzing research hypothesis, subordinate factors of management competency(organizational management competency, marketing competency, relationship formation competency) showed positive influence towards economical and social performance, which is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This is fully matching hypothesis 1 and 2. This shows that the higher the management competency of management is, the better the economic performance of profit organizations and social performance of nonprofit organizations are, contributing to sustainable management of substantial social enterprises. However, hypothesis 3 and 4 were denied as the moderating role of communication between management competency (organizational management competency, marketing competency, relationship formation competency) of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economic performance,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this study could not prov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significance of support and attention of organizations was shown as the diversity of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organizational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executives can be measured by using different variants. On top of this, future studies can find ways to maximiz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considering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by using different variants.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원이 인식 한 경영진의 조직역량이 사회적기업의 조직성과인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이들 간 커뮤니케이션의 조절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회적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IBM SPSS 24.0의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설정된 연구가설을 실증분석 결과 가설 1과 가설 2인 사회적기업 경영진의 조직역량인 조직관리 역량, 마케팅 역량, 관계형성 역량은 사회적기업의 조직성과인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모두 긍정적이며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기업 경영진의 조직역량이 높으면 높을수록 사회적기업의 이윤추구인 영리조직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가치달성인 비영리조직의 사회적 성과를 향상 할 수 있다. 즉, 경영진의 조직역량은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에 기여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가설 3과 가설 4인 사회적기업 경영진의 조직역량인 조직관리 역량, 마케팅 역량, 관계형성 역량과 사회적기업의 조직성과인 경제적 성과, 사회적 성과 간 커뮤니케이션의 조절역할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향후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의 조직 특성이 고려된 조직성과 향상에 단일변수의 커뮤니케이션이 아닌 하위변수 적용하여 조절효과를 확인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편, 경영진의 조직역량과 조직성과 간 조절효과의 다양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연구의 다양성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경찰의 조직효과성 연구: 수사경찰의 조직역량을 중심으로

        김대권 ( Dae Kwon Kim ) 한국경찰학회 2015 한국경찰학회보 Vol.17 No.3

        이 연구는 수사를 담당하는 경찰관을 대상으로 조직역량과 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한 논문이다. 수사경찰관이 인식하는 조직역량의 요소를 중심으로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직역량은 구성원역량, 목표역량, 시스템역량으로 구분하였고, 조직효과성은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수사경찰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성(姓), 연령, 계급, 학력, 근속기간, 입직경로, 근무형태등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와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수사경찰의 조직효과성에 조직역량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는 조직구성원의 역량이 향상되고 조직구성원들이 조직의 목표와 비전을 공유하는 목표역량을 가지며, 수사경찰조직 차원에서 시스템적 역량이 뒷받침된다면 조직효과성은 향상될 것이라는 점이다. 둘째,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역량의 요소들 간에는 그 영향력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조사결과 구성원역량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은 목표역량이고, 시스템역량은 가장 낮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수사경찰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들이 부족한 시점에서 연구의 가치를 찾을 수 있지만, 조직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지표 이외의 문제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about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to the Investigation police that discussions for this Korean Police Office``s development are required. For the purpose of Working this study, the first thing is organizational performance divided by member capacity, target capacity, system capac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ivides by memb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immersion and examined. Also, divided by family name, age, class, attainments in scholarship, continuous service period, enter process, work area and form etc. for people surveyed Investigation police and analyz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uld receive the survey and following result and registration point. First, organizational performance exerted meaning effect to Investigation polic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is, if member``s capacity is improved and member``s organization target and target capacity that share vision bring, and systematic capacity is backed up in police authorities will be improved. Second, there is difference in the influence in factors of organization capacity affecting to Investigation polic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sult of investigation, member capacity exerted the strongest effect and target capacity is then and system capacity exerted the lowest effect. This study can find valuable of study at time that empirical study about the Investigation police are lacking. However, problem can be the variable that use to measur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ecause the variable that can measur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tment and job satisfaction more exactly than these indicator pointers can b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