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지용과 김수영을 통해 읽는 조지훈의 시

        이경수(Lee, Kyung-Moo) 동악어문학회 2021 동악어문학 Vol.83 No.-

        이 논문은 조지훈과 동시대에 활동하며 영향을 주고받았던 두 시인, 정지용과 김수영을 통해 조지훈의 시를 새롭게 읽어 보려는 시도이다. 정지용은 조지훈의 초기시와 이후의 시력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김수영은 4 ․ 19혁명을 전후한 시기에 조지훈과 비슷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기도 했고 대결의식을 보여주기도 했다. 정지용의 추천으로 시단에 나온 조지훈에게 정지용은 큰 영향을 미쳤지만 해방 이후 분단을 거치면서 극복의 대상이 된 시인이기도 했다. 김수영의 시를 추천하기도 했던 조지훈은 해방과 한국전쟁을 겪으며 이념적으로 서로 다른 길을 걸으면서 김수영에게 대결의 대상이 되었다.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극복과 대결의 양상을 보인 이 시인들의 관계는 시작품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여기서는 조지훈의 추천 과정을 통해 정지용이 미친 영향의 흔적과 이후 조지훈이 그것을 극복해 나간 방향을 살펴보았고, 조지훈의 「밤길」과 정지용의 「녹번리」의 상호텍스트성을 분석했다. 또한 김수영의 「김일성만세」를 통해 조지훈에 대해 김수영이 가지고 있었던 대결의식을 살펴보았으며, 조지훈의 「마음의 태양」과 김수영의 「푸른 하늘을」을 상호텍스트적 관계 속에서 읽어 보았다. 이를 통해 조지훈이 정지용, 김수영과 상호 영향을 주고받고 극복하거나 대결하며 나아간 시적 추구의 자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ad Cho Ji-hoon"s poems anew through two poets, Jeong Ji-yong and Kim Soo-young, who were influenced and engaged in contemporary activities with Cho Ji-hoon. Jeong Ji-yong had an absolute influence on Cho Ji-hoon"s early poems and later vision, while Kim Soo-young shared similar problematic consciousness and showed a sense of confrontation around the 4 ․ 19 Revolution. Jeong Ji-yong had a great influence on Cho Ji-hoon, who appeared in the literary circles at Jeong Ji-yong"s recommendation, but he was also a poet who became the object of overcoming the division after liberation. Cho Ji-hoon, who also recommended Kim Soo-young"s poems, became the object of confrontation for Kim Soo-young as he walked ideologically different paths through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ets, who have been influencing each other and showing signs of overcoming and confrontation, is also confirmed through the poems. Here, we looked at the traces of the influence of Jeong Ji-yong through the recommendation process of Cho Ji-ho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he overcame it later, and analyzed the intertextuality of Cho Ji-hoon"s “Bamgil [밤길]” and Jeong Ji-yong"s “Nokburn-ri [녹번리]”. Also, through Kim Soo-young"s “Kim Il-sung Mansae [김일성만세]”, we looked at Kim Soo-young"s sense of confrontation against Cho Ji-hoon. And we looked at Cho Ji-hoon"s “Sun of the Heart [마음의 태양]” and Kim Soo-young"s “For Blue Sky [푸른 하늘을]” in the intertextual relationship.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ition of poetic pursuit in which Cho Ji-hoon exchanged mutual influences with Jeong Ji-yong and Kim Soo-young, overcame or confronted each other.

      • KCI등재

        1964년의 조지훈과 민족문화 프로젝트

        고지혜 ( Ko Ji-hy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0 No.-

        이 논문은 1960년대 조지훈의 학술 활동을 조감하고 당대의 담론 지형 안에서 그 위치를 가늠해 보면서 ‘학인 조지훈’을 역사화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1964년에 조지훈은 단독저서 1권과 공동저서 2권을 출간하고 잡지 및 학술지에 3편의 논고를 발표 했으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소장으로서 학술지 『민족문화연구』를 창간하고, 『한국문화사대계』를 기획 및 출간했다. 이러한 조지훈의 학술 활동은 민족이라는 주체의 삶을 이루는 ‘거의 모든 지식’을 체계화하는 작업, 이른바 ‘학(學)으로서의 민족문화’를 수립하는 것으로 수렴된다. 즉, 조지훈은 ‘민족지 구축’과 ‘민족문화사 다시 쓰기’라는 방법론을 통해 민족문화학을 세우고자 했는데, 이러한 작업의 배면에는 면면히 이어 왔어야 할 단일민족의 전통과 문화가 제대로 계승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이 자리하고 있었다. 1920년대생 조지훈의 학술 활동은 언제나 ‘일본’ 혹은 ‘식민의 경험’을 의식할 수 밖에 없었기에, 결국 조지훈이 몰두했던 것은 식민사학이 그토록 부정했던 ‘단일한 실체로서의 국가/민족’이 상정되고 작용될 수 있는 지식체계를 만드는 일이었으며, 이러한 ‘탈식민을 위한 욕망’이야말로 학인 조지훈을 추동하던 원동력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지훈의 탈식민 민족문화학에 대한 구상은 식민지 조선학운동의 연구 성과에 기반을 둔 것이었다. 특히 최남선의 학술적 작업을 상당 부분 계승하고 있는 조지훈의 작업은 우리 민족문화(사)에 내재해 있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계승하고 발현시키는 학술 활동이야 말로 민족의 독자성과 존재 가치를 확인하는 작업이라는 인식을 전제한다. 이는 1960년대 후반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는 내재적 발전론의 역사인식이기도 했다. 즉, 조지훈은 민족을 주체로 하는 ‘계보의 서사’를 상상하고 창출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했으며 이러한 작업에는 보편에의 충동, 달리 말하면 한국문화사/문학사에도 형이상(사상)이 있음을 증명해내고픈 욕망이 잠재해 있다. 이는 식민과 탈식민이 교차하고, 분단과 냉전체제 안에서 치열한 담론 투쟁이 일어나던 1960년대의 시대정신이기도 하며, ‘한국적인 것’을 탐구하고 찾아내야 했던 (한)국학 연구자로서의 자기정립을 향한 의지이기도 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scholar Cho Ji-hoon in terms of historical context by seeing the entire view of his academic activities in the 1960s and estimating the position within the discourse arena of that time. In 1964, Cho Ji-hoon published one single-authored book, two co-authored books, and three research papers in periodical and academic journal, issued the academic journal Korean Culture Studies as the Research Director of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and planned and published An Outline of the Korean Civilization. His academic activities are converged into establishing the project of systemizing ‘almost all knowledge’ that comprise the life of ethnic group, so-called ‘national culture as academic studies’. In other words, he tried to establish national culture studies by ‘establishing ethnography’ and ‘rewriting national culture studies’. There underlain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tradition and culture of a single race, which should have been passed on continuously, were not properly succeeded. Since the academic activities of Cho Ji-hoon who was born in the 1920s had no other choice but to rely on either ‘Japan’ or ‘colonial experience’, he focused on making a knowledge system that can introduce and apply ‘country and race as a single substance’, which was totally denied by the colonial academia. Such a desire for decolonization was an impetus for him. When it came to study contents and methodology, he substantially succeeded the academic projects of the 1920s colonial era Joseonhak movement, especially Choi Nam-seon. Here underlain the thinking that academic activities succeeding and manifesting mankind’s universal value inherent in the Korean ethnic culture history is the project of identifying race’s identity and existence value. This was the historical awareness of the intrinsic development which began to be discussed from the late 1960s. In other words, Cho Ji-hoon aimed to conduct the work of imagining and creating ‘description of genealogy’ which became the root of nation. Here underlain universality orientation―desire to prove that metaphysics exist in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history. This is the spirit of the 1960s when colonization and decolonization combined and fierce discourse struggle took place in division and the Cold War and the will toward establishing oneself by researchers of Korean Studies who had to explore and discover ‘Korean things’.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조지훈 시에 나타난 "꽃"의 의미

        김경숙 ( Kyung Suk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9 No.-

        조지훈은 한국의 그 어느 시인보다도 `꽃`을 즐겨 노래한 시인이다. 우리는 시인이 관조하는 의식과 세계 도처에서 시인 스스로가 즐겨 `꽃`들과 꿈꾸며 그들과 이야기를 주고받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때로는 인간보다 더욱 친밀한 상대가 되어 `꽃`들은 시인의 의식 속에 자연스럽게 하나로 존재한다. 이와 같이 조지훈의 시세계속에 만개하고 있는 `꽃`은 조지훈 자신이 의식하였든 또는 의식하지 못하였든 일련의 시작품속에 연계적으로 사용되어 시인의 독창적인 시적 언어로 표상되고 있다. 이 논문은 조지훈 시에 나타난 꽃의 의미를 규명하기 위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 사용된 텍스트로는 『趙芝薰詩選』을 택하였다. 조지훈의 상상력이 드러내 보이는 `꽃`의 이미지는 시인의 자아인식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용되어 나타난다. 첫째, `꽃`은 먼저 소도구적 역할을 하면서 효과적인 배경이나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즐겨 사용된다. 둘째, `꽃`은 소도구적 기능에서 벗어나 시인의 의식체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상징되고 있다. `꽃`은 조지훈에게 우주적 참 존재자로서 인식되어 신의 섭리와 무한한 생명의 신비를 상징하고 있으며, 시인의 절대적 구원으로서 표상되기도 하고, 영원한 자유를 상징하기도 한다. 셋째, `꽃`은 사랑을 상징하면서 조지훈은 아름다운 생명체로 귀향하는 인간성 회복의 불가결한 요소로서 파악하고 있다. 넷째, `꽃`은 우주질서를 대변하는 대상이다. `꽃`의 탄생과 죽음의 과정을 통해 조지훈은 생성, 소멸, 재창조의 순환구조를 우주질서의 대원리로 삼고 있다. 생물이 태어났다는 것은 이미 그것이 죽음의 일부에 들어 있다는 것이며, 또한 하나의 생명이 죽는다는 것은 다시 새롭게 태어난다는 것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는 뜻이다. 죽음은 모든 생물체에게 회피할 수 없는 생의 절대적 위협으로서 그리고 숙명적인 것으로서 다가온다. 그러나 우리가 죽음에의 선택이라는 결단을 스스로 내리게 될 때 죽음은 숙명적인 의미와는 전혀 다른 형태로 다가온다. 자유를 느끼게 하는 죽음, 그것은 죽음으로써 자유로움을 상기시키게 하는 죽음인 것이다. 왜냐하면 죽음 그 자체는 언제나 새로운 삶을 연속으로 해서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조지훈 시세계에 있어서 `꽃`은 시인 자신이며, 그의 영혼이기도 하다. 이러한 신성한 이미지의 꽃은 두 가지 요소를 항상 내포하고 있다. 하나는 영원을 추구하는 시적 표상으로서의 언어이고, 다른 하나는 인간과 사물에 대한 끝없는 그의 애정의 소산이다. Cho Ji Hoon is a poet who most used the word "flower" as an object in his poetry. We can very often find that he dreams of flowers in the world of his poetry. Sometimes, the poet and the flowers are naturally as one in the kind of place where he can feel the poetic imagination. Cho Ji Hoon employs the images of the flower as one of the most central symbols of nature manifesting itself implicitly and explicitly in his humanistic and unⅣersal ideas attained from his common transcendental insights. Having observed the flower as an analogy of the spiritual nature of man and the unⅣerse it became a representation of his unique poetic language. This paper studies the meaning of the flower of Cho Ji Hoon`s poetics and analyzes the anthology of Cho Ji Hoon which features 70 poems that were published in 1956. In the anthology of Cho Ji Hoon, the images of the flower are depic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poetic self of the writer. The first form is of the flower used as an ornament for the poetic background or for the poetic atmosphere. The second form is of the flower emerging from the poetic background, tending to provide the reflection of the poetic self. The poet portrays the flower as the symbolic vision of true ens, the providence of Heaven and the mysteries of the infinite life. Through the third form of the flower, its images as the main poetics in his literature, the poet projects the transcendental love of soul. Cho Ji Hoon realized that love is the only essential element to regain the human nature in its highest form. The flower in its fourth form is an object which represents the provision of nature. Cho Ji Hoon constantly pursued the poetics of death. But this death reminds us of the perfect freedom available for the flower. Through a flower`s life, from its birth to its death, Cho Ji Hoon`s poetry shows the recreation of the unⅣerse. In conclusion, the `flower` represents Cho Ji Hoon himself, his anima, In addition such a sacred image in his `flower` has two major factors. One is the intermediate beings who have influenced him to pursue eternity, and the other is his lifelong love for human beings and things.

      • KCI등재

        조지훈 시에 나타난 ‘꽃’의 의미

        김경숙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9 No.-

        Cho Ji Hoon is a poet who most used the word "flower" as an object in his poetry. We can very often find that he dreams of flowers in the world of his poetry. Sometimes, the poet and the flowers are naturally as one in the kind of place where he can feel the poetic imagination. Cho Ji Hoon employs the images of the flower as one of the most central symbols of nature manifesting itself implicitly and explicitly in his humanistic and unⅣersal ideas attained from his common transcendental insights. Having observed the flower as an analogy of the spiritual nature of man and the unⅣerse it became a representation of his unique poetic language. This paper studies the meaning of the flower of Cho Ji Hoon's poetics and analyzes the anthology of Cho Ji Hoon which features 70 poems that were published in 1956. In the anthology of Cho Ji Hoon, the images of the flower are depic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poetic self of the writer. The first form is of the flower used as an ornament for the poetic background or for the poetic atmosphere. The second form is of the flower emerging from the poetic background, tending to provide the reflection of the poetic self. The poet portrays the flower as the symbolic vision of true ens, the providence of Heaven and the mysteries of the infinite life. Through the third form of the flower, its images as the main poetics in his literature, the poet projects the transcendental love of soul. Cho Ji Hoon realized that love is the only essential element to regain the human nature in its highest form. The flower in its fourth form is an object which represents the provision of nature. Cho Ji Hoon constantly pursued the poetics of death. But this death reminds us of the perfect freedom available for the flower. Through a flower's life, from its birth to its death, Cho Ji Hoon's poetry shows the recreation of the unⅣerse. In conclusion, the 'flower' represents Cho Ji Hoon himself, his anima, In addition such a sacred image in his 'flower' has two major factors. One is the intermediate beings who have influenced him to pursue eternity, and the other is his lifelong love for human beings and things. 조지훈은 한국의 그 어느 시인보다도 ‘꽃’을 즐겨 노래한 시인이다. 우리는 시인이 관조하는 의식과 세계 도처에서 시인 스스로가 즐겨 ‘꽃’들과 꿈꾸며 그들과 이야기를 주고받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때로는 인간보다 더욱 친밀한 상대가 되어 ‘꽃’들은 시인의 의식 속에 자연스럽게 하나로 존재한다. 이와 같이 조지훈의 시세계속에 만개하고 있는 ‘꽃’은 조지훈 자신이 의식하였든 또는 의식하지 못하였든 일련의 시작품속에 연계적으로 사용되어 시인의 독창적인 시적 언어로 표상되고 있다. 이 논문은 조지훈 시에 나타난 꽃의 의미를 규명하기 위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 사용된 텍스트로는 『趙芝薰詩選』을 택하였다. 조지훈의 상상력이 드러내 보이는 ‘꽃’의 이미지는 시인의 자아인식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용되어 나타난다. 첫째, ‘꽃’은 먼저 소도구적 역할을 하면서 효과적인 배경이나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즐겨 사용된다. 둘째, '꽃'은 소도구적 기능에서 벗어나 시인의 의식체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상징되고 있다. '꽃'은 조지훈에게 우주적 참 존재자로서 인식되어 신의 섭리와 무한한 생명의 신비를 상징하고 있으며, 시인의 절대적 구원으로서 표상되기도 하고, 영원한 자유를 상징하기도 한다. 셋째, ‘꽃’은 사랑을 상징하면서 조지훈은 아름다운 생명체로 귀향하는 인간성 회복의 불가결한 요소로서 파악하고 있다. 넷째, ‘꽃’은 우주질서를 대변하는 대상이다. ‘꽃’의 탄생과 죽음의 과정을 통해 조지훈은 생성, 소멸, 재창조의 순환구조를 우주질서의 대원리로 삼고 있다. 생물이 태어났다는 것은 이미 그것이 죽음의 일부에 들어 있다는 것이며, 또한 하나의 생명이 죽는다는 것은 다시 새롭게 태어난다는 것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는 뜻이다. 죽음은 모든 생물체에게 회피할 수 없는 생의 절대적 위협으로서 그리고 숙명적인 것으로서 다가온다. 그러나 우리가 죽음에의 선택이라는 결단을 스스로 내리게 될 때 죽음은 숙명적인 의미와는 전혀 다른 형태로 다가온다. 자유를 느끼게 하는 죽음, 그것은 죽음으로써 자유로움을 상기시키게 하는 죽음인 것이다. 왜냐하면 죽음 그 자체는 언제나 새로운 삶을 연속으로 해서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조지훈 시세계에 있어서 ‘꽃’은 시인 자신이며, 그의 영혼이기도 하다. 이러한 신성한 이미지의 꽃은 두 가지 요소를 항상 내포하고 있다. 하나는 영원을 추구하는 시적 표상으로서의 언어이고, 다른 하나는 인간과 사물에 대한 끝없는 그의 애정의 소산이다.

      • KCI등재

        조지훈 시의 불교적 상상력과 禪味의 세계

        이경수 우리어문학회 2009 우리어문연구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uddhist imagination that had subtle impacts on the poems of Jo Ji-hun by following his poetic trends. It corresponded to tracing the route of his poetic journey from Buddhist Dance, which is one of his earliest and greatest poems, to The Bell of a Buddhist Temple in the later period.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his Buddhist imagin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that represented his poetic world, which include "classics," "nature," "people" and "life," the investigator examined his Buddhist imagination and its aesthetics in his poetic world. Jo's poetic world is largely divided into things that are national and things that are Zen. More detailed categories include a quest for classical things, the critical perception of the people's history and reality, and a pursuit of life. Lying at the bottom of his poetic world is the consistent influence of his Buddhist imagination. His attitudes of "Zen taste" and "contemplation," which he regarded a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his poetry, were discovered in his early poems. Thus the idea of understanding his poetic world as a sequential growth process should be revisited. The Buddhist imagination observed in his poetry converges in his interest in things that are Korean and classical. Such an attitude of his to look at nature is manifested in his poems where he reveals his perception of the universe or exercises his imagination of "Hwaeom universe." Both the principle of eternal universe and the disappear -ance of life of the moment make up the world of Zen taste being described in his poetry in a persistent manner. When reading his poems through Buddhist imagination that's a little bit loose and comprehensive, I was able to find a connecting ring penetrating things that were national and Zen or classics, nature, people and life. Heading for the realization of Hwaeom universe was one of the inevitable destinations of his poems that valued life and relationships.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조지훈의 시에 미세하게 작동하고 있는 불교적 상상력을 그의 시적 추이를 따라가며 살펴보는 데 있다. 이는 조지훈의 초기 시이자 대표작 중 하나인 「僧舞」로부터 후기 시 「梵鍾」에 이르는 시적 편력의 과정을 추적하는 일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조지훈의 시세계를 대표하는 특징인 ‘고전’, ‘자연’, ‘민족’, ‘생명’ 등과 그의 불교적 상상력이 어떻게 관련을 맺고 있는지에 주목하면서 조지훈의 시세계에 나타난 불교적 상상력과 그 미의식을 살펴보았다. 크게는 민족적인 것과 선적인 것으로 분류되어 왔고, 좀 더 세분하면 고전에 대한 탐구, 민족의 역사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 생명에 대한 추구 등으로 나뉘어 온 조지훈의 시세계의 근저에는 불교적 상상력이라는 일관된 지향이 작용하고 있었다. 조지훈이 자신의 시의 중요한 특징으로 파악하기도 한 ‘禪味’와 ‘관조’의 태도는 그의 초기 시에서부터 발견되던 것이었다. 따라서 그의 시세계를 순차적인 발전 과정으로 보는 이해는 재고될 필요가 있다. 조지훈 시의 불교적 상상력은 우리 것과 고전에 대한 관심으로 수렴되는 특성을 지닌다. 또한 자연을 바라보는 이러한 태도는 우주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거나 ‘화엄 우주’의 상상력을 펼쳐 보이는 시로 계승된다. 영원한 우주의 섭리와 찰나의 생명의 소멸은 조지훈의 시에서 지속적으로 그려져 온 禪味의 세계이다. 불교적 상상력이라는 좀 느슨하고 포괄적인 방법으로 그의 시를 읽을 때 민족적인 것과 선적인 것, 또는 고전, 자연, 민족, 생명을 꿰뚫는 연결 고리를 찾을 수 있었다. 조지훈의 시가 화엄 우주에 대한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것은 생명과 관계를 중시한 그의 시가 이르게 될 하나의 필연이었다.

      • KCI등재

        조선어학회 사건 전후의 조지훈

        방민호(Bang Min-Ho) 우리문학회 2010 우리文學硏究 Vol.0 No.30

        I analyzes Jo Ji-Hun's poems in “CheongNokJip”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by Jo Ji-Hun, Pak Mok-Weol, and Pak Du-Jin. Jo's poems are written throughout the long time from taking his rostrum to emancipation from Japanese domination. And these are reflected Jo's subjective re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the situation of Japanese domination. Especially The poem ‘Nakhwa’ is apparently different from the poems such as ‘Swengmu’, ‘Gopunguisang’ and ‘Bonghwangsu.’ Because He participated in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s a result of choosing Subjective decision and It is beyond the limit of the ethnographical study on Chosun folk and its tradition at that time. 이 논문은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이 해방 후에 낸 동인지 『청록집』에실린 조지훈의 시를 분석한 것이다. 『청록집』에 실린 조지훈의 시들은 등단 전후부터 해방 직전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쓰여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시에는 일제 강점 말기의 상황에 대한 조지훈의 주체적인 인식과 태도가 투영되어 있다. 특히 〈승무〉, 〈고풍의상〉, 〈봉황수〉등의 작품과 〈낙화〉 사이에는 커다란 낙차가 있는데, 이것은 그가 조선 민속과 전통에 대한 민족지 연구의 한계를 넘어 조선어학회에 참여한 데서 나타나는 주체적 선택의 시적 결과였다.

      • 試論中國傳統文化對趙芝薰的影響

        임상 천진사범대학교 한국문화연구중심 2016 중한언어문화연구 Vol.10 No.-

        조지훈에게는 그의 문학 세계가 발선하는 데에 있어 동양전통문화 특히 그 중의 핵심내용이 되는 중국전통문화에서 받은 영향이 많다고 본다. 조지훈은 어릴 적부터 조부의 슬하에 한학공부를 하기 시작하여 튼튼한 동양전통학문의 바탕을 세워 놓았다. 또한 문학 활동을 하면서 중국의 당시, 도교, 불교 경전을 많이 섭렵한 것은 그의 문학작품에서 엿 볼 수 있다. 문학뿐만 아니라 해방 후에 조지훈은 한민족 전통문화의 정리 및 복원에 많은 심혈을 기울이기도 했다. 중국전통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그는 하나로 된 동양문화의 전통 속에서 한국문화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한중 문화의 관련성과 한국문화의 특성을 인식했다. 그리하여 조지훈을 연구하기 위해 그가 중국문화와 어떠한 연계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은 조지훈이 중국전통문화를 접촉하는 데 있어 우선 가정에서 받은 영향을 살펴볼 것이다. 그 다음에는 조지훈의 각종 저서에 나타난 중국전통문화 요소를 분석하여 중국전통문화가 조지훈에게 끼친 영향을 드러내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현대시론에서의 ‘전통’ 연구 - 조지훈의 전통론과 순수시론을 중심으로

        김윤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4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3 No.-

        본고의 목표는 ‘전통’이라는 관점에서 한국 현대시론의 한 경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그 주된 논의 대상은 조지훈의 시론이다. 1930년대 시문학파나 문장파의 시론이 조 지훈에게 계승되어 온 점에 주목하여 그의 전통론과 순수시론을 검토하고자 한다. 1930년대 후반 이병기, 이태준, 정지용으로 대표되는 문장파는 우리 언어로 다양한 예술적 모색을 도모한 점과 동양적 고전정신에 충실하고자 한 점에서 ‘전통적’이라 고 할 수 있다. 그들의 상고 취미나 고전전통에 대한 심취는 일종의 ‘반근대’ 혹은 ‘비 근대’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문장파의 전통지향성은 조지훈에게서 ‘멋’의 미학으로 드러난다. 조지훈은 전통을 역사적․문화적․가치적․집단적․주체적 개념으로 파악하고, 전통 논의의 연장선에서 고전을 중시하는 특유의 정신주의를 드러낸다. 나아가 전통에 대한 그의 관심은 민속학과 역사 연구로 발전하였다. 한편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순수시론을 최초로 제기한 것은 시문학파이다. 특히 박 용철은 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언어의 절차탁마요, 마음의 순정성을 노래하는 것 이 시의 궁극이라고 생각하였다. 시문학파의 현실도피적 관점이나 귀족주의적 풍 모는 유가적 선비의 전통에도 잇닿아 있다. 또한 정지용은 박용철의 시론을 계승했 지만, 신앙이나 고전과 같은 정신적인 것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시론에 서도 조지훈은 문장파를 충실히 계승․심화하였는데, 그것은 ‘순수시론’으로 나타 났다. 그는 문학이 정치에 복무하는 것을 배격하면서 순수한 시정신을 고수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 점에서 그의 순수시론은 좌파 문학에 대한 대결의식의 소산이다. 그 의 시론은 생명문학론과 시 자율성론이라는 두 가지 이론적 토대 위에 서 있다. 한국 현대시에서도 전통적 요소와 외래적 요소가 혼효된 가운데 상호 경쟁하면서 발전해 갔다. 이제 우리에게는 전통성과 근대성에 대한 균형있는 시각이 요청되는 시점이다. 이에 조지훈의 전통론과 순수시론을 재론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look at one trend in the Korean modern poetics in terms of ‘tradition'. This paper discusses mainly the poetics of Cho-jihun’s. I intend to discuss his thoughts about tradition and ‘pure poetics’, by noting that his views succeeded those of ‘Simunhak’ group and/or ‘Munjang’ group in the 1930s. In the late 1930s, ‘Munjang’ group that was represented by Lee-byunggi, Lee-taejun, Chung-jiyong can be called 'traditional' in that they attempted a variety of Korean languages and devoted to the spirit of Oriental classic. Their appeal for classical tradition or their infatuation for worshiping ancient culture means their 'anti-modernity' or 'non-modernity'. The traditional orientation of ‘Munjang’ group represents as the aesthetics of ‘Mut(멋)’ in Cho-jihun. He understanded the tradition as a historical, cultural, valuable, collective and subjective concept, He revealed his unique mental note that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classics by extension of discussing tradition. Further his interest in tradition developed toward the study of Korean folklore and history. Meanwhile, in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Simunhak’ group raised ‘pure poetics’ first. Especially Park-yongchul thought that refining language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poertry, that singing pure sincerity of mind was the ultimate of poetry. Their attitude of an escape from reality or their noble appearances in ‘Simunhak’ group was connected to the tradition of Korean Confucianist scholar. Also the poetics of Chung-jiyong’s succeeded to that of Park-yongchul, but his emphasis on faith or the spiritual such as the classic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m. Poetics of Cho-jihun’s faithfully handed down and deepened that of ‘Munjang’ group; it was reprensented as a ‘pure poetics’. He rejected literature to serve for the political and emphasized on adherence to ‘pure Poesie’. Therefore, his pure poetics was come from the conflict awareness of Socialism literature theory. and his poetics was based on two theoretical foundation; Life literature and Autonomy theory of poetry.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traditional elements and imported elements were developed while competing and mixed together. We now need to have a balance between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It will be worth rediscussing about Cho-jihun’s theory of traditionality and his ‘pure poetics.’

      • KCI등재

        조지훈 시의 미학적 원천 연구 -청각성과 존재성의 미학을 중심으로-

        오형엽 ( Oh Hyung-yup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8 No.-

        이 글은 조지훈의 시 세계를 선행 연구들이 주로 제시한 시각성의 미학을 보완하기 위해 청각성의 미학과 존재성의 미학이라는 두 가지 층위에서 고찰하고, 이 둘이 결합 되면서 상호 조응하는 양상을 통해 조지훈 시의 미학적 원천에 근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지훈 시의 청각성의 미학으로서 ‘소리의 배음(背音)’과 ‘적막의 여운’을 추출하고 존재성의 미학으로서 ‘밤의 아우라’와 ‘승화의 거점’을 추출한 후, 이 두 가지 미학이 결합되면서 상호 조응하는 양상을 통해 조지훈 시의 미학적 원천을 규명하려 한다. 이 글은 조지훈의 시에서 색채·형태·풍경·율동 등의 묘사에 근거하는 시각성의 미학을 표면적 미학으로 인정하면서도, 이것을 생성시키는 동시에 그것과 혼융되는 청각성의 미학을 ‘소리’가 ‘적막’과 결부되는 양상으로 해명하고, ‘밤’의 상징이 보다 심층 적인 영역에서 시각적 이미지 및 청각적 이미지의 묘사뿐만 아니라 ‘세속적 욕망의 승화와 초월’을 가능케 하는 시적 주체의 존재론적 상황이자 미학적 거점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존재성의 미학을 해명한다. 조지훈의 시에서 청각성의 미학은 ‘소리의 배음’과 ‘적막의 여운’을 중심으로 표면적 미학인 시각성의 미학을 생성시키는 동시에 그것과 혼융되면서 전통에 대한 애착 과 애수, 무한의 세계에 대한 염원과 회한 등을 형상화한다. 그리고 존재성의 미학은 ‘승화의 거점’인 ‘밤의 아우라’를 중심으로 무한의 세계를 추구하는 주체의 존재론적 상황을 형상화한다. 이 두 가지 심층적 미학 즉 ‘적막 속 소리’와 ‘밤을 통한 승화’가 결합되어 상호 조응함으로써 조지훈 시의 미학적 원천을 이룬다. 「고풍의상」·「승무」·「낙화」 등의 시는 표면적 미학인 외관과 율동에 대한 시각적 묘사뿐만 아니라 그것을 배후에서 생성시키는 청각성의 미학인 ‘소리의 배음’과 ‘적막의 여운’을 형상화하고, 여기에 시적 주체의 존재론적 상황이자 ‘승화의 거점’인 ‘밤의 아우라’까지 형상화 한다는 점에서, 조지훈 시의 세 가지 미학이 종합된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ld of Cho Ji-hoon’s poems from two levels of the aesthetics of auditory and the aesthetics of existence, and tries to approximate the aesthetic source of Cho Ji-hoon’s poems by combining the two and coordinating with each other. To this end, the two aesthetics after extracting ‘background of sound’ and ‘aftertaste of silence’ as the auditory aesthetics of Cho Ji-hoon’s poems, and ‘aura of the night’ and ‘base of sublimation’ as aesthetics of existence. Through this combination and coordination, the aesthetic source of Cho Ji-hoon’s poems is to be identified. This article creates a superficial aesthetic of depiction of colors, forms, landscapes, and movements through visual imagery in Cho Ji-hoon’s poems, and at the same time clarifies the aesthetics of auditory fusion mixed with ‘sound’ as the aspect in which ‘sound’ is connected with ‘silence’. Confirming the fact that the symbol of ‘night’ is the ontological situation or aesthetic base of the poetic subject that enables not only the depiction of visual and auditory images but also the ‘sublimation and transcendence of secular desires’ in a more in-depth area, and explain the aesthetics of existence based on this. In Cho Ji-hoon’s poems, the aesthetics of auditory creates the superficial aesthetics of visual images, centering on the ‘background of sound’ and ‘aftertaste of silence’, and at the same time blends them with attachment and sorrow for tradition, and aspiration and regret for the infinite world. And the aesthetics of existence is embodied in the ontological situation of the subject pursuing the infinite world centering on the ‘aura of the night’, which is the ‘base of sublimation’. These two in-depth aesthetics, ‘sound in the silence’ and ‘sublimation through the night’, combine to form the aesthetic source of Cho Ji-hoon’s poems. In addition to ‘Old Fashion Costume’, poetry such as ‘Monk Dancing’, ‘Flower Fall’, which most researchers and readers consider as the rep-resentative works of Cho Ji-hoon, have a common point that combines these three aesthetic characteristics.

      • KCI등재

        조지훈 추천 탈락시 「화련기(華戀記)」의 재고찰

        윤재웅 한국시학회 2022 한국시학연구 Vol.- No.70

        이 글은 조지훈의 초기 작품 「화련기(華戀記)」에 대한 텍스트 비평이다. 『문장』지 1939년 4월호에 「고풍의상(古風衣裳)」과 함께 투고했다가 낙선한 작품인데, 조지훈 사후(1968) 『조지훈전집』(1973. 이하 『전집』)이 간행되면서 그 제목과 본문이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전집 편찬위원회에 따르면 이 작품은 육필원고 상태로 보존되다가 『전집』 안에 편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면 한자음을 읽는 과정에서 오류가 생길 수 있고, 이 작품 역시 그 오류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정지용이 심사평에서 「화비기(華悲記)」라고 이미 밝혔고, 조지훈 역시 『사상계』(1965년 8월호)에 「나의 시의 편력」을 수록하면서 「화비기(華悲記)」를 다섯 차례에 걸쳐 언급했으나, 『전집』에 「나의 시의 편력」은 누락되었다. 이는 『조지훈전집』(1973, 1996)의 아쉬운 점이다. 시를 쓴 시인 자신과 심사위원인 정지용의 증언이 진지하게 고려되지 않은 채, 활자화되지 않은 육필 원고의 한자를 읽은 과정에서 ‘비(悲)’자와 ‘련(恋. 戀의 약자임)’자를 착오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이러한 근거는 시 본문 내에 “한밤의 戀劇을 낳는다.”가 문맥상 “한밤의 悲劇을 낳는다.”의 오식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비(悲)’를 ‘련(恋)’으로 읽으면 ‘비극(悲劇)’ 대신 ‘련극(戀劇)’이 되고 ‘화비기(華悲記)’ 대신 ‘화련기(華戀記)’가 되는 것이다. ‘련극(戀劇)’은 이 시의 맥락상 맞지 않는 한자 조합어이고, 조지훈 전체 텍스트에서도 사례를 찾을 수 없는 해괴한 어휘이다. 「화련기(華戀記)」가 정본으로 확정되어 지속하는 한 ‘련극(戀劇)’은 ‘비극(悲劇)’이 될 수 없으며 「화련기(華戀記)」 역시 「화비기(華悲記)」로 돌아올 수 없다. 이는 원전에 대한 오독이며, 이것이 오독임이 의심되지 않은 채 많은 논문들이 양산되는 게 문제이다. 이 텍스트의 내용을 좀 더 면밀하게 분석하고, 텍스트 발표 무렵의 시인의 다른 창작 시편들을 두루 살펴보면서, ‘화비(華悲)’가 아름다움과 슬픔이 공존하는 역설적 상황에 대한 한자 어휘임을 검토했다. 이는 시 전체의 구성 방식과 잘 어울리는 해석이라고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