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화건축물의 심미적 가치추정에 관한 연구 - 부산 영화의 전당을 대상으로 -

        강병준,김민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9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1 No.5

        Recognition of the economic value provided by buildings has led to the creation of specialized buildings in many cities and countries. However, studies that estimate the value of specialized architectural design or specialized design are rare. In this regard, there are two main points of interest in this study. The first is to estimate the aesthetic value of specialized architecture. More specifically, it is analyzing and verifying how consumers' perceptions of specialized buildings are becoming structured as urban landmarks. Second, whether the estimated value is limited only within the area in which the specialized building is located or whether it exists in other areas. This is a tool for verifying the spatial extent of services provided by specialized buildings and verifying that aesthetic values c an exist beyond space. This study analyzed it using conditional valuation method. As a result, the value of special design for Busan Film Festival was 1,175 won to 2,305 won depending on the area. In addition, it was estimated that 1,708 won was used for the group having experience using facilities, 2,207 won for the group with no experience, 1,558 won for the group having no experience and plann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patial extent of the value of the second issue, the 3 regions with the longest distance are 1.8% higher than those of the 2 regions. In other words, in this study, the disturbance phenomenon of the liquid for payment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re is a limit to limit the sample group to Busan city due to limit of available samples. In the case of expanding the sample group to the metropolitan area around Busan (Ulsan, Daegu, etc.) and to a wider area than the whole country, it is necessary to verify whether payment will appear and why the payment is made in the follow-up study. Estimation of aesthetic values of buildings has rarely been done at home and abro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value of each function and aesthetic value of a building separately. However, the criterion for how to separate the value of architectural and functional values and define clear definition needs to be actively addressed in subsequent research.

      • KCI등재

        조건부가치추정법을 활용한 국립과천과학관 입장료 지불가치 추정

        최정원(Jungwon Choi),남태우(Taewoo Nam)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5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과학관 상설전시관 입장료에 대해 관람객이 지불할 수 있는 수준을 조사하여 입장료의 가치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추정은 국립과학관의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입장 수익을 증대하는 것이 합리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논거를 제시할 수 있다. 국립과천과학관을 방문한 관람객 250명을 대상으로 조건부가치추정법(CVM)을 활용하여 입장료에 대한 지불의사(WTP)를 분석한 결과, 평균 지불의사 금액은 성인 요금 8,447원, 어린이 · 청소년 요금 6,535원으로 현재의 국립과천과학관 상설전시관 입장요금 4,000원과 2,000원보다 각각 2배와 3배 이상 높게 추정되었다. 이러한 추정은 국립과학관 입장료를 체계화하고 국립과학관의 재정자생력을 확보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양질의 공공전시서비스(국공립 과학관, 미술관, 박물관 등)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국민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value of the willingness to pay(WTP) admission fees through surveying the level at which visitors to national science museums in Korea are willing to pay for admission fees. The determination helps objectively identify ways to substantially increase admission-based revenues, thereby enhancing managerial efficiency of national science museums.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we analyzed the WTP for admission fees of 250 visitors to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Th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average amount of WTP was far higher than the current admission fees(4,000 won for adults and 2,000 w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TP of questionnaire respondents was normally distributed at the mean of 8,447 won for adult admission and 6,535 won for non-adult admission to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This result can be used as basic evidence to redetermine admission fees of national science museums and ultimately improve financial vitality.

      • KCI등재

        조건부가치추정법을 이용한 도로의 경제가치 추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수원시 47번 도로건설계획을 중심으로

        박기학 ( Ki Hak Park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2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주택의 자산가치, 즉 부동산 가격에서 ``도로``가 차지하는 금전적 가치를 추정해보고자, 최초 아파트 분양 시 시공사 또는 분양대행사(시행사)가 아파트 인근의 ``신 도로건설계획``을 가장 큰 호재(好材)라고 내세웠으나, 아파트 입주 후 도로건설계획이 전면 무산된 실제사례를 선정하여 ``도로``의 경제적 가치를 조건부가치추정법(CVM)을 활용한 지불의사금액 (WTP)으로써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WTP는 ``신 도로건설계획`` 무산 전 · 후 1년 간(2010년 9월~2011년 9월)으로 국토해양부에서 고시한 해당 아파트의 가격 변동치와 ``부동산 114``에서 발표한 시세(市勢), 그리고 해당 아파트 입주민들이 주장하는 아파트의 자산가치 변화에 따른 체감(體感)을 비교한 실증적 사례이다. 본 연구 분석결과 입주민들의 WTP는 집값의 약 10%정도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같은 기간동안 국토해양부에서 고시한 아파트가격 변동폭(10% 하락)과는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동산 114``에서 발표한 아파트 실물 거래시장에서의 시세하락 폭은 이보다 훨씬 더 큰 것(24%)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아파트 분양 시호재(好材)로 작용 할 것이라던 ``도로건설계획``의 무산에 따른 파급효과는 주민들이 느끼는 것보다 훨씬 더 심각하게 아파트 시세(市勢)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는 WTP와 관련된 주택의 특성과 조사변인들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택 구매 시 ``도로``는 더이상 단순한 입지적 특성뿐만 아니라, 주택의 자산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경제적 가치특성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willingness to pay(WTP) for the new road construction plan(slip road of urban highway which was advertising extensively to reduce the time to the core of metropolitan area) on housing prices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And this study was an empirical study which wa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residents whose apartment was within the Suwon Si`s new plan of 47th road construction zone. In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resident`s WTP for the plan of new road construction which was built on the neighborhood of apartment was within the 10 percent of housing prices that was similar to the standard declared price of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also revealed that the difference of sale prices of real estate company was 24 percent. The statistical assessment results show that both the resident`s characteristic variables such as gender, incomes, size of apartment and the accessability variables such as distance to parks, schools, department stores, living facilities were positive effects on the prices of apartments significantly. Finally, the house has depreciated than that of MLTM and WTO since torpedoed the road construction plan. These results imply that, we have to take capital appreciation of the property into account due to road construction since the accessibility was very significantly positive internal effects on the apartment housing prices.

      • KCI등재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고래자원 보전의 대안으로서 고래관광 가치 추정 연구

        김지수,김남희,오치옥 한국수산경영학회 2022 수산경영론집 Vol.5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s of whale watching.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with 1,599 coastal tourists and the questionnaire included contingent valuation method questions. The results show that coastal tourists obtained the benefits of about KRW 15,970 from whale watching. Further analyses were conducted to check the differences of willingness to pay for whale watching based on the three variables as follows: previous experience of whale watching and participation intention in whale watching tourism, and previous experience of cruise trip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pondents, who already participated or intended to participate in this type of tourism activity, were willing to pay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d or had no intention of participation, respectively. These results imply that whale watching could be a feasible alternative to the direct consumption of whale meat.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provide policy and management-related implications for whale watching programs. 이 연구는 고래관광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혜택을 경제적 가치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해양관광객 1,599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고래관광으로부터 1인당 약 15,970원의 혜택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고래관광 참여경험 및 향후 참여의향, 해양에서의 경관감상 및 크루즈/유람선 여행 경험 여부에 따른 지불의사액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이와 같은 경험 또는 참여의향이 있는 관광객이 그렇지 않은 관광객에 비해 지불의사액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고래관광의 경제적 가치를 바탕으로, 고래관광이 고래 식문화의 경제적 대안으로서 유의미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고래관광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보완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조건부가치측정법을 활용한 농업인행복콜센터의 경제적 가치 추정

        유형석,전봉걸 한국협동조합학회 2018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 of the Happy all enter for Farmers pursued by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we used dichotomous choice model of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and 484survey results. Estimates show that households are willing to pay 21,719 won per year for the services of the Happy Call Center for Farmers. the economic value of Happy all enter for Farmers is at least 193.8 hundred million won. Considering the five-year payment period, the economic value of the project reached at least 889.1 billion won. 본 연구는 농협중앙회에서 추진하고 있는 ‘농업인행복콜센터’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비시장적 가치평가법을 사용하여 농업인들이 가지는 지불의사(WTP)를 추정하였다. 세부적으로 조건부가치평가법(CVM) 중 양분선택모형과 총 484개의 유효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농업인행복콜센터’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도출하였다. 추정결과 가구당 연간 지불의사액은 21,719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조합원수 기준 484.5억원, 조합원 수를 가구수로 보정한 경우 최소 193.8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불의사 기간인 5년을 고려하면 동 사업에 대한 경제적 가치는 최소 889.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농업인행복콜센터’사업의 경제적 가치가 상당히 큰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조건부가치추정법을 이용한 경남지역 수용력 WTP 모델 연구

        박영현 ( Pak Young Hyun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0 지역산업연구 Vol.43 No.4

        국민소득의 증대, 교통망의 확대, 여가시간의 증가 그리고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외국인 관광객들의 유입이 증가되면서 2020년 이전까지 경남지역의 외부 인구 유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다만, 2020년 1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Covid-19) 사태로 인하여 산업계 전반에 타격을 입었으며, 경남지역 관광산업 역시 큰 피해를 입은 상태이다. 그러나 2020년 하반기에 들어서면서 코로나19 사태의 일부 진정과 해외 출국이 어려운 상황에서 내국인의 국내 관광이 늘어나며 다시 경상남도 유입 방문객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또한 2008년 세계경제위기 상황에서도 경제 및 관광객의 저하는 있었으나 21세기 전반에 걸쳐서는 회복 및 상승이 이루어졌으며, 아직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되지 않았다는 측면에서 포스트 코로나를 거론하기는 시기상조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그 간의 관광수요 증가 추세에 기반하여 경남지역의 외부인구 수용력을 조건부가치추정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남지역의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심리적 수용력 측면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도로혼잡, 쓰레기처리, 하수처리의 3대불편 요소를 대상으로, 거주민이 과연 심리적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조건부가치 측정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단, 이러한 불편 요소는 방문객 증대와 지속적인 인구 유입에 따른 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독립인자들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분리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수용력의 요소 중 심리적 수용력의 측면에서 이미 불편함이 인지되고 있으며, 조건부가치측정을 통한 심리적 비용의 도출 결과 연간 약 2,450억 원 수준의 비용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향후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이러한 불편함의 인지를 해소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정책적 검토가 요구되어진다. 이에 따라 관광객의 증대와 거주지의 쾌적함이 동시에 추구될 수 있는 정책적 대안 모색이 요구된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심 재생 사업과 문화 관광명소 개발의 관점에서, 도심 관광은 결국 거주민의 불편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으며 거주민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관광지 개발 정책이 필요하다. 관광지 개발 및 인허가의 과정에서도 주변 거주민의 심리적 수용력을 최대한 반영해야 되며, 관광객의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비용요소의 세금 또는 비용화에 대해서는 관광객의 조세저항에 따른 관광수요 저하 등 다양한 관점에서 의견을 수렴하여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The increase in national income, the expansion of transportation network, the increase in leisure time, and the influx of foreign tourists in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the influx of the outside population of Kyungnam region increased rapidly until 2020. However, the corona 19 (Covid-19) incident that began in January 2020 has hit the entire industry, and the tourism industry in Kyungnam has also been greatly damaged. However, in the second half of 2020, with some calming of the Corona 19 situation and difficult to leave overseas, the number of visitors to Kyungnam is increasing again as Koreans choose Kyungnam as their domestic tourism. This study analyzed the capacity of Kyungnam's external population based on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nd based on this, attempted to suggest policy recommendations for Kyungnam. The size of accommodations such as the density of visitors, toilets, and rest areas were excluded from consideration, and the level of securing the parking lot already exceeded the capacity, and the rate of securing the parking lot was 93.4%. In the case of accommodation, the total number of available rooms is 88,691, even if one guest per room is assumed, which is 32,372,215 per year, which is sufficient in terms of visitor capacity. To analyze the aspects of psychological capacity,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residents are feeling psychological discomfort through three methods of road congestion, garbage disposal, and sewage treatment through Contingent Valuation Method. However,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increase of visitors and the effect of continuous population influx is working in combination, and it has the limitation that the effects of these independent factors cannot be specifically separ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discomfort has already been recognized in terms of psychological capacity among the factors of capacity, and it was estimated that a cost of about 45 billion won per year was incurred as a result of deriving psychological costs through Contingent Valuation Method. In the future, a policy review is needed to resolve or maintain the perception of this discomfort through continuous managemen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increase of visitors leads to the psychological discomfort of the residents, and to seek a policy alternative that can simultaneously increase the number of visitors and the comfort of the residence.

      • KCI등재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한 대구수목원의 경제적 가치평가

        강기래 ( Kee Rae Kang ),이기철 ( Kee Cheol Lee ),이현택 ( Hyun Taek Lee ),유병로 ( Byong Ro Ryu ),김동필 ( Dong Pil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5

        수목원은 자연에서 생육하는 식물의 조사, 수집, 증식 보전을 통해 식물 종을 보전하고 식물 관련연구를 수행하며 식물을 일정한 야외나 실외 공간에 전시하여 국민들에게 식물에 대한 교육과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시설물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수목원의 비시장적인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CVM 기법을 이용하여 대구수목원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가치추정의 방법은 대상재의 설정, 지불수단의 결정, 지불의사 유도 방법 결정, 가상적 상황설정, 설문, 분석, 추정액 도출의 순서로 진행하였으며 대구광역시에서 운영하는 대구수목원의 비시장적인 환경의 가치를 현재의 통화액으로 추정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가치 추정은 DBDC방식으로 진행 하였으며 분석의 방법은 도출된 추정치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알려진 logit분포를 가정한 함수의 분포 형태별로 각각의 추정액을 도출 하였다. 통계적 적합성을 바탕으로 1인당 대구수목원을 방문하여 얻는 연간 휴양의 가치는 WTPmean 12,718원, WTP median 11,033원, WTPtruncated mean 11,468원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대구수목원이 제공하는 연간 환경의 가치는 약 160억 원에서 190억 원으로 추정 할 수 있다. 이러한 대구수목원의 환경에 대한 가치추정법은 그 연구 대상지나 대상 재화만 변경하여서 기타의 환경재 가치 추정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An arboretum is defined as a collection of facilities that conserve plant species by surveying, collecting, and proliferating and preserving the plants in nature, perform diverse researches on plants and display the plants in exhibition spaces or outdoors as well as provide the public with educational programs and refreshment spaces according to the laws concerned. The public, however, recognizes the exhibition and education functions on plants of arboretum more importantly compared with the roles to survey, collect, and proliferate plants as regulated by the laws. In particular, arboretum plays a role to offer a pivotal educational place in urban area where the public can obtain an hands-on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n a wide range of plant species and natural environment. The study aims to estimate the non market environmental values of Daegu Arboretum operated by Daegu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by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CVM), which yields the current monetary estimates for the arboretum. The value estimation was undertaken by using the Double-Bound Dichotomous Choice (DBDC) method, and each estimated value was derived from respective functions based on a logit distribution known to include relatively stable estimat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statistical fitness test results, the author estimated the amounts of the Willingness To Pay (WTP) such as mean WTP of 12,718 KRW, median WTP of 11,033 KRW, and truncated mean WTP of 11,468 KRW, which represented the annual recreational values per a person visiting Daegu Arboretum respectively. The analysis showed that Daegu Arboretum created the annual environmental values which were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6 to 19 billion KRW. The study also has an implication that the valuation method for the environment of Daegu Arboretum may be effectively applied for estimating the values of other types of environmental goods by altering the locations or goods to be analyzed.

      • KCI우수등재

        조건부가치추정법의 가정 및 추정방법이 지불의사금액에 미치는 영향분석: 양분선택형 및 생태계를 중심으로

        홍민준,고길곤 한국정책학회 2022 韓國政策學會報 Vol.31 No.1

        This paper reviews methodological issues related to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and performs meta-analysis analyzing the impacts of the assumptions and estimation methods on the willingness to pay(WTP) estimate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size of WTP is lower than others when applied to national households as the target population, and the amount of maximum bid positively affects the size of WTP. Among the variety of ecological values, the conservation value turns out higher than others. The payment vehicles and the types of dichotomous choice model, however,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WTP size. Therefore, considering that CVM is sensitive to assumptions used for designing data collection and model specifications, we ne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WTP by comparing it with the accumulated research employing similar assumptions. 본 논문은 조건부가치추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과 관련된 목표 모집단의 범위, 지불수단 유형, 양분선택모형의 유형별 차이, 제시금액, 오차항에 대한 가정 등 다양한 이론적 쟁점을 검토하고, 이런 쟁점이 지불의사금액 추정치에 미치는 영향을 메타회귀분석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목표 모집단이 전국인 경우를 나타내는 경우 지불의사금액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최대 제시금액이 증가할수록 지불의사금액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태계 기능 중 보전가치가 다른 기능보다 지불의사금액을 높게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불수단, 양분선택형 모형 유형, 비모수적 추정방법 등은 선행연구에서의 논쟁과 달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CVM은 연구설계, 모형 설정 등에 민감하지만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분석을 통하여 지불의사금액의 타당성을 검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선택모형을 이용한 생태복원의 환경가치추정에 관한 연구

        이영성,박년배,김태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4 國土計劃 Vol.39 No.3

        Traditional CVM has much difficulty to create an imaginary market for economic valuation of ecological or envrionmental restoration, ecause environmental benefits of such a restoration consist of various ttributes. Choice modelling makes it possible create a more vivid inary market using experimental ways, and can show which alternative thods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can maximize citizen's satisfaction. In Korea few studies used choice modelling to estimate economic value of environment. Using choice modelling, this paper estimate monetary value of environmental benefits of the Cheonggyechon Restoration. Seoul citizens' willingness to pay is estimated about 103,309 won per year. The paper discusses methodological issues in choice modelling and implications of the estimation result.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환경의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그동안 학계에서는 가상시장에 대한 피설문자들의 지불용의액으로 환경가치를 추정하는 조건부가치추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이 널리 활용되었다. 그러나 환경속성이 다양하면 가상시장을 만들기가 힘들고 그에 대 한 피설문자들의 이해도 제각각이어서 환경가치를 객관적으로 추정하기가 쉽지않다. 특히 생태계의 복원은 종 다양성 회복, 대기질과 수질 개선, 경관 개선 등 다양한 편익을 가져다 주기 때문에 조건부가치추정법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이에 따라 생태복원에 의한 환경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최근에 선택모형이 주목받고 있다

      • KCI등재

        다항선택형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태화강 수질개선의 경제적 가치 추정

        김재홍(Kim Jae-Hong) 한국지방정부학회 2009 지방정부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응답자의 선호불확실성을 고려한 다항선택형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하여 울산광역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태화강 하류 전역의 안정적 Ib급 수질의 개선 및 유지를 위한 사업의 사회적 편익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효용격차모형을 이용한 지불의사함수를 4개의 로짓모형으로 추정한 결과 소득과 제시금액이 가장 중요한 지불의사의 결정요인으로 나타났고, 태화강 하류수질인식도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태화강 마스터플랜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불의사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개 모형 추정결과 태화강 수질개선/유지의 절단평균 지불의사는 모형에 따라 1,224.7원~2,747.5원으로 추정되었으며, 3%의 할인율을 적용한 사회적 편익의 현재가치는 1,964.2억원~4,408억원 추정되어 모든 모형에서 수질개선/유지를 위한 사업비용 1,330억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울산광역시의 수질개선/유지 사업의 경제적 적절성을 입증한다. This study estimated the social benefits from improvement and maintenance in the water quality in regards to stable IB grade of the River Taehwa in the Ulsan Metropolitan City, using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with multiple choices in consideration of respondent's uncertainty. The estimation results of four logit models show that the probability on river water quality, higher acknowledgement of the River Taehwa Master Plan, higher age, and decreases significantly with higher amount of bidding price. The truncated mean household WTP's are estimated from 1,224.7 KRW to 2,747.5 KRW for the respective four models. The present values of total social benefits in the Ulsan metropolitan City are estimated from 196 billion KRW to 441 billion KRW for the respective four models, when applying the 3% of discount rate. This result shows that the present values of total social benefits are greater than the total costs in the all models, and thus may prove the economic relevancy of the project investments for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management in the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