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스쳐링(gesturing)’을 통한 일본어 동작동사 구현 및 습득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이준서,노웅기 한국일본학회 2014 日本學報 Vol.100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mobile application to search and upload images which use tagging information to create a direct link to the meaning of a word. In this paper, we use the term ‘gesturing’ (as opposed to ‘gesture’) which means ‘movements of the arms and hands and are closely synchronized with the flow of speech’ (McNeil, 1992:11). ‘Gesturing’ differs from ‘gesture’ in the sense that ‘gesturing’ is a process that enables the meaning of a word to be visualized by means of images that are vividly expressed by non-verbal elements such as concrete acts, objects, and tools. The ability to visualize the meaning of a word by way of gesturing can be foreseen to have many educational and learning benefits (especially motional verbs which will be the focus of this research). The images that are being photographed and uploaded by the mobile application develop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combined with the image database which has already been developed by the meta image search engine (-LEE & HAN (2011)-). 본 연구은 태그 정보를 통하여 단어의미와 직결된 이미지를 검색하고 업로드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팔, 손의 움직임, 그리고 발화의 흐름과 연동되어 나타나는 기존의 ‘제스쳐(gesture-McNeil, 1992:11-)와 대비된 ‘제스쳐링(gesturing)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제스쳐링은 구체적인 행위, 대상, 도구 등과 같은 비언어적인(non-verbal) 요소를 사용하여 단어의 의미를 실제 언어활동과 최대한 흡사한 방식으로 시각화·형상화 시킨다는 점에서 기존의 제스쳐와는 차별화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언어습득, 특히 제2외국어의 습득(Second Language Acquisition)에 있어서 무의미한 제스쳐가 아닌 의미와 직결된 제스쳐의 병행이 단어의 의미복원에 유효한 교육적·학습적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되는 제스쳐링 이미지는 기존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2011(이ㆍ한))에 통합 관리·운영된다.

      • KCI등재

        웹캠을 이용한 동적 제스쳐 인식 기반의 감성 메신저 구현 및 성능 분석

        이원주(Won-Joo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5 No.7

        본 논문에서는 웹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 또는 손동작을 인식하고, 그 제스쳐가 나타내는 감성(희노애락)을 플래시 콘으로 표현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감성 메신저를 구현한다. 이 메신저는 안면 인식 모듈과 손동작 인식 모듈, 메신저 모듈로 구성된다. 안면 인식 모듈에서는 눈, 입의 각 영역을 이진 영상으로 변환하여 눈과 입의 모양 변화에 따라 윙크, 입맞춤, 하품 등을 인식한다. 또한 손동작 인식 모듈에서는 인식한 손가락 수에 따라 가위-바위-보로 인식한다. 메신저 모듈은 안면 인식 모듈과 손동작 인식 모듈에서 인식한 윙크, 입맞춤, 하품과 가위-바위-보를 플래시 콘으로 표현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감성 메신저의 CPU 점유율이 최소임을 검증한다. 또한 감성 메신저의 손동작 인식 모듈의 성능이 안면 인식 모듈에 비해 우수함을 보인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motion messenger which recognizes face or hand gestures of a user using a WebCAM, converts recognized emotions (joy, anger, grief, happiness) to flash-cones, and transmits them to the counterpart. This messenger consists of face recognition module, hand gesture recognition module, and messenger module. In the face recognition module, it converts each region of the eye and the mouth to a binary image and recognizes wink, kiss, and yawn according to shape change of the eye and the mouth. In hand gesture recognition module, it recognizes gawi-bawi-bo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ngers it has recognized. In messenger module, it converts wink, kiss, and yawn recognized by the face recognition module and gawi-bawi-bo recognized by the hand gesture recognition module to flash-cones and transmits them to the counterpart. Through simulation, we confirmed that CPU share ratio of the emotion messenger is minimized. Moreover, with respect to recognition ratio, we show that the hand gesture recognition module performs better than the face recognition module.

      • KCI등재

        Gestures Reveal Thinking-For-Speaking Patterns in High and Intermediate Proficiency L2 Learners

        Suyeon Kim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4 영어어문교육 Vol.20 No.2

        This study examined how gestures reveal developmental shifts among English language learners when they express path of motion events across tasks in their native Korean language (L1) and adopted English (L2) language. Languages were categorized as satellite- (English) or verb-framed (Korean). Participants (N = 32) watched the same cartoon and told the story in Korean and in English. Advanced English language learners exhibited L2 speech-gesture coordination or growth points, as evidenced by conflating path-only gestures primarily with grammatical satellites (i.e., adverb, prepositions, or path) as native English speakers do. Intermediate English language learners conflated path-only gestures predominantly with verbs when speaking in Ll and L2, consistent with Korean communication practices. Results suggest that gestures signal the "trailing edge" of language development among non-advanced L2 speakers that marks a prevailing Korean language representation even when speaking in English.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manner in which language serves thinking-for-speaking in its dynamic and multimodal qualities. As a result, it seems to be critical that L2 educators utilize gestures as a tool to evaluate L2 learners' developmental levels by observing learners' TFS patterns by exploring how they think when they speak in L2 and how gesture shows their L2 developmental levels.

      • KCI등재
      • 스마트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모션 제스쳐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

        이기문(Gimun Lee),이신영(Shinyoung Yi),김종현(Jonghyun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2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모션 제스쳐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최근 IT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대표적인 특징 중의 하나가 터치 인터페이스이다. Apple 사의 iPhone은 세계 최초로 터치스크린으로 가능한 사용자 입력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터치 제스처를 정의하고 상용화에 성공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터치 인터페이스를 대체하거나 보완할 새로운 인터페이스로서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모션 제스처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실제 스마트폰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3차원 공간에서 손가락 제스쳐 인터랙션을 이용한 간접제어의 사용성에 관한 실험연구

        함경선(Kyung Sun Ham),이다혜(Dahye Lee),홍희정(Hee Jung Hong),박성재(Sungjae Park),김진우(Jinwo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1

        자연스러운 컴퓨터 인터랙션(Natural computer interaction)을 위 신기술의 출현은 기업에게 제품 혁신이라는 새로운 기회를 안겨다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이 갖는 소통의 방식 중에서 손가락 제스처 인터랙션에 관심을 갖는다. 그간 십 수 년간 걸친 기술 발전에 힘입어 상용화 수준의 기술이 마련됨에 따라 이를 활용한 제품이나 서비스가 곧 대중화 될 것이라는 생각이 현재는 지배적이다. 이 시점에서 저자는 이 제스처 인터랙션이 과연 쓸 만 할까라는 생각을 가지고 손가락 제스처 인터랙션이 사용자들에게 끼치는 인지적인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험연구를 진행한다. 손가락 제스처를 찍기, 집기, 잡기로 정의하고 각각 2차원과 3차원 공간에서 사용할 때 사용자들이 느끼는 사용성을 측정하여 제스처의 효과를 보여주고자 한다. 립모션 기술을 사용하여 2차원, 3차원 실험 도구를 개발하였고 48명의 피실험자를 통해 결과적으로는 2차원에서는 제스처간 사용성의 차이가 없으나 3차원에서는 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모든 제스처가 3차원보다는 2차원에서 사용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3차원에서는 여러 손가락 보다는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나 흥미를 끈다. The emerging technologies for the natural computer interaction can give manufacturers new opportunities of product innovation. This paper is the study on a method of human communication about a finger gestures interaction. As technological advance has been so rapid over the last few decades, the utilizing products or services will be soon popular.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What is the usefulness of gesture interaction? What is the cognitive impact on gesture interaction users. The finger gestures interaction consist of poking, picking and grasping. By measuring each usability in 2D and 3D space, this study shows the effect of finger gestures interaction. The 2D and 3D experimental tool is developed by using LeapMotion technology. As a results, the experiments involved 48 subjects show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usability between the gestures in 2D space but in 3D space, the meaningful difference has been found. In addition, all gestures express good usability in 2D space rather than 3D space. Especially, there are the attractive interest that using uni-finger is better than multi-fingers.

      • KCI등재

        군위안부와 엠마 보바리의 조우 : 서벌턴성의 트랜스내셔널한 의미

        박선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5 여성학논집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ad comparatively and transnationally the overlapped layers of comfort women, with Chang-rae Lee’s novel A Gesture Life and Gustav Flaubert’s Madame Bovary. Comfort women are the typical examples of the ‘unspeakable’ subaltern and this ‘unspeakability’ has been constructed by the regime of nation-state. Their narrative has been produced and consumed mainly as a group narrative rather than an individual one. Change-rae Lee’s A Gesture Life and Gustav Flaubert’s Madame Bovary, comparatively read, illuminate the transnational nature and historicity of this silence; it enables us to read the different nature of this ‘unspeakability’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on within the regime of the nation-state through 19th and 20th century. The comparative reading also suggests how to conceptualize the subaltern’s memory, trauma, death and mourning, and, more importantly, how to approach/represent this ‘unspeakability’ in an ethical and responsible way. 이 논문은 창래 리(Chang-rae Lee)의 소설 『제스쳐 인생』과 플로베르(Flaubert)의 『보바리 부인』을 교차하여 읽으면서 서벌턴으로서의 군위안부의 의미를 짚어보고 이들의 ‘말할 수 없음’이 갖는 역사적이고 현재적인 의미를 되짚어보고자 하는 비교학적이고 트랜스내셔널한 시도이다. 군위안부의 ‘말할 수 없음’은 20세기 초반 일본제국의 전시 성적 착취로 인한 동아시아 식민지 여성의 기억과 언어 상실의 현상일 뿐 아니라, 19세기에서 20세기 후반을 거쳐 21세기까지 길게 이어지는 근대국민국가체제의 구성, 진화, 전지구적 확장이라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보아야 한다. 군위안부의 ‘말할 수 없음’은 또한 서벌턴성과 정체성 정치가 맺는 밀접한 관계 밖에서 사유될 필요가 있다. 군위안부는 ‘민족’ 혹은 ‘여성’ 등 집단정체성을 대표하는 추상적 트라우마가 아니라 지극히 개인적이고 단독적인 기억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보바리 부인』과 『제스쳐 인생』의 교차 속에서, 19세기 프랑스의 부르조아 계급의 부인네와 20세기 초 아시아의 식민지 여성, 20세기 후반 미국의 ‘시민’은, 또 그들의 ‘말할 수 없음’은 역사적, 문학적으로 얽혀있다. 플로베르가 『보바리 부인』에서 사용하는 아이러니, 동일시-타자화의 반복과 진동, “몰개성화” 등의 수사 전략은 이 ‘말할 수 없음’을 재현하고자 하는 예술적 시도이면서 궁극적으로는 그 재현의 실패를 표현하는 윤리적인 태도이기도 하며, 이는 21세기 서벌턴과 ‘말할 수 없음’의 재현작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