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각대상자에 따른 제3자 효과 지각 변화의 원인

        정일권(Ir-Kwon Jeo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5 No.-

        이 논문의 목적은 제3자 효과 지각에 초점을 맞춰 효과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의 쟁점에 대한 관여도와 수용자와 지각대상자의 관계를 조사하여 이를 통해 제3자 효과 지각의 근본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미국 중서부의 오하오주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2003년에 실시된 전화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졌다(n=524). 대부분의 제3자 효과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연구의 결과는 제3자 효과 가설을 지지했다. 응답자들은 미디어의 흡연자에 대한 부정적 묘사와 천주교 신부의 성추문 뉴스보도의 두 경우 모두에 있어 미디어의 효과가 자신들보다는 타인에게서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 예상했다. 그러나 제시된 5개의 연구 가설 모두가 지지되지는 않았다. 연구가설 검증 결과를 종합해 보면, 특정한 지각대상자와 메시지의 관계가 분명할 경우 수용자의 미디어 효과 예상은 동기적 요소보다는 인지적 요소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사회적 거리는 무시되고 쟁점에 대한 관여도와 같은 지각대상자 고유의 특성이 중요시 되며 수용자의 관여도는 인지적 요소에 의한 제3자 효과 지각의 강화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진다. 이 결과는, 수용자나 지각대상자가 메시지와 잠재적인 연관성을 지닐 경우, 제3자효과 지각은 그러한 연관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현저화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제3자 효과 지각이 프라이밍 효과 또는 틀 짓기 효과와 관련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ssue involvement and relation of perceivers to comparison targets on the magnitude of third person perceptions. The investigation was expected to help us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process of third person effect hypothesis. Data was collected from adult residents in Ohio, United States by telephone survey in 2003(n=524). Like most other third person effect studies, this study supported the hypothesis: Respondents perceived more media effects on others than themselves for both 'Negative media portrayals of smokers' and 'News coverage of Roman Catholic priest's sexual scandals'. Results of five hypothesis tests suggest that when relationship between a perceiver and a particular comparison target is present third person perception is explained more by cognitive components than motivational components. In this case, third person perception varies with comparison target's issue involvement while it is independent of social distance between the perceivers and the comparison target. Also, perceivers' issue involvement positively correlates with the magnitude of third person effect. Based on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when perceives or a comparison target is involved in a message cognitive processes accounting for the relationship can impact the magnitude of third person effect. An important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third person effect is, to some extent, related with framing effect and priming effect.

      • KCI등재

        제삼자 지각 가설의 재구성 - 메시지 강도, 관련 지식 보유 정도, 기존 태도를 중심으로

        정성은,이원지 한국언론학회 2012 한국언론학보 Vol.56 No.5

        <P>&nbsp;&nbsp;미디어 영향력 지각은 미디어라는 사회적 힘의 작용 결과에 대한 사회적 판단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전제를 바탕으로 하여, 메시지 강도, 자신 그리고 제삼자의 관련지식 보유정도, 자신 그리고 제삼자의 기존태도를 주요 설명변인으로 하는 제삼자 지각 모형을 제안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 온라인 실험이 실시되었다(N = 394). 원자력 발전소 이용과 건설을 주장하는 설득메시지(강 vs. 약)를 원자력 발전소에 반대하는 태도를 가진 집단과 찬성하는 집단에게 제시하고 자신에 대한 메시지 영향력과 다양한 제삼자 집단에 대한 메시지 영향력 지각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에 대한 메시지 영향력은 메시지 강도, 자신-메시지 입장일치여부, 자신의 관련지식 보유정도에 영향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삼자에 대한 메시지 영향력은 메시지 강도, 자신-메시지 입장일치여부, 제삼자-메시지 입장일치여부에 대한 지각, 제삼자의 관련지식 보유정도에 대한 지각에 영향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삼자 지각은 자신-메시지 입장일치여부, 제삼자-메시지 입장일치여부, 자신의 관련지식 보유정도, 제삼자의 관련지식 보유정도에 대한 지각에 영향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모형을 지지하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발견들의 이론적 함의가 논의되었다.</P>

      • KCI등재

        제삼자 효과는 과연 존재하는가?

        정성은(Sungeun Chung)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2

        제삼자 효과의 행동 가설은 타인-자신 간 미디어 영향력 지각의 차이가 클수록 관련 메시지 검열에 대한 지지가 증가함을 주장한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양립 불가능한 방법들의 존재, 그리고 서로 불일치하는 연구 결과들은 행동 가설에 대한 이론적 방법론적 재검토를 요구한다. 본 연구는 첫째, 미디어 영향력 지각과 관련한 인지적 편향들을 규명하여 개인적 차원에서 발견된 타인-자신 간에 미디어 영향력 지각 차이가 인지적 편향으로 완전히 간주될 수 없음을 논증하였다. 둘째, 행동 가설에 대한 기존의 이론적 설명들을 검토하여 타인-자신 간 미디어 영향력 지각 차이와 메시지 검열에 대한 지지 간의 인과적 관계가 허위일(spuriousness relationship) 가능성이 있음을 제기하였다. 셋째, 다이아몬드 검증 모형 등 행동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된 세 가지 통계적 방법들이 행동 가설을 검증하기에 적합하지 않음을 수학적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응답자 자신에 대한 미디어 영향력 지각과 제삼자에 대한 미디어 영향력 지각을 독립변인으로 한 모형이 행동 가설을 보다 효과적으로 검증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미디어 영향력 지각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밝혀야 할 과제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behavioral hypothesis of the third-person effect states that as the disparity between perceived media effect on others and perceived media effect on self increases, support for the censorship increases. However, incompatible testing methods and inconsistent findings regarding the behavioral hypothesis require systematic re-examination of the rationale and testing methods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First, the present study examined Davison(1983)’s logic for perceptual bias of the other-self disparity in perceived media effect and argued that the disparity may not be an indicator of biased perception about media effect. Second,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existing rationale for the behavioral hypothesis and concluded that the existing rationale does not exclude spuriousness between the other-self disparity and censorship support. Third,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ree existing testing models including the diamond model and concluded that all three models are not appropriate to test the behavioral hypothesis. Rather a simple model using perceived effect on self and perceived effect on others as independent variables can effectively test the behavioral hypothesis for the third-person effect. Based on the analyses, directions for the study on presumed media effect are suggested.

      • KCI등재

        텔레비전 후보 토론회의 ‘제3자 효과’: 영·호남 지역유권자들의 사회적 거리 인식과 메시지 호의성 지각을 중심으로

        이강형 한국지역언론학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hird-person(or first-person) perception of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Considered in exploring the third-person(or first person) effect were three contingent variables such as voters' perception of message desirability, self-perceived knowledge and election involvement, and social distance and group stereotype. Data came from a series of two panel surveys which were conducted toward voters in two different regions, Daegu and Kwangju, during the 2002 Korean presidential campaign periods from October 29 to December 15, 2002.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confirmed people's third-person tendencies to attribute greater effect of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on the comparison residential group than on themselves regardless of their perception of message desirability. Second, people's self- perceived election involvement explained the third-person effect of the debates when people perceived the candidate they support performed better than the other candidates in the debates. However, people's self-perceived political knowledge explained the third-person effect of the debates when people perceived the candidate they support performed worse than the other candidates in the debates people's self-perceived. Finally, people, who have more positive stereotype of the comparison group, attributed greater effect of the debates on comparison group than on themselves when they perceived the candidate they support performed better in the debates. In contrast, people, who have more positive stereotype of the comparison group, attributed lesser effect of the debates on comparison group than on themselves when they perceived the candidate they support performed worse in the debates. The perception of social distance and negative stereotype of comparison group had no effect of the third-person perception. 본 연구는 대통령 선거 캠페인 기간 동안에 이루어지는 텔레비전 후보 토론회의 영향력을 두고 영·호남 유권자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편향된 인식을 제3자 효과 이론을 통해 검증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 캠페인 기간 동안 대구와 광주에 거주하는 유권자들을 상대로 두 번에 걸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는 텔레비전 후보토론회의 제3자 효과 지각과 관련된 세 가지 조건변인 즉, 메시지 호의성 지각, 수용자의 주관적인 정치지식과 선거 관여도, 비교집단과의 사회적 거리와 고정관념에 관심을 가졌다. 분석결과, 텔레비전 후보 토론회에 대한 호의성 지각 여부와 상관없이 대구와 광주 지역 응답자들은 전반적으로 자신보다는 비교집단이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지각하는 제3자 효과 지각 현상이 나타났다. 주관적 정치지식과 선거 관여도의 경우 호의적인 메시지 지각에서는 선거 관여도가 제3자 효과 지각현상을 강화시켰던 반면, 비호의적인 메시지 지각에서는 주관적인 정치지식이 제3자 효과 지각을 불러일으켰다. 마지막으로, 비교집단과의 사회적 거리와 고정관념의 경우 사회적 거리인식은 메시지 호의성 지각에 상관없이 제3자 효과(또는 제1자 효과) 지각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고정관념의 경우 비교집단에 대해 긍정적 고정관념을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호의적인 메시지에 대해 비교집단이 자신보다 더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인식했고, 비호의적인 메시지에 대해서는 비교집단이 자신보다 더 적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인식했다.

      • KCI등재

        뉴스 수용자의 지각 편향과 뉴스 공정성 평가

        김경모(Kyungmo Kim),이승수(Seungsu Lee) 한국언론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4 No.3

        수용자의 정파성에 기초한 자기범주화의 활성화가 유발하는 지각 편향이 뉴스 공정성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을 다룬 뉴스기사(찬성/보수 vs. 중립/중도 vs. 반대/진보)를 무선배치 피험자 집단(N = 760)에 제시하고, 수용자의 정치이념성향과 메시지 편향성(기사 논조)이 상호작용하면서 공정성 평가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살폈다. 온라인 실험 결과, 정파 수용자는 뉴스를 내집단 범주화할 때 우호적 매체 지각에 따라 공정성을 높게 평가했으나, 외집단 범주화할 때는 적대적 매체 지각에 따라 공정성을 낮게 평가했다. 자기범주화를 활성화하지 않은 중도 수용자의 경우, 국정화에 대한 중립(중도)과 반대(진보) 기사의 공정성은 높게 평가했지만, 찬성(보수) 기사의 공정성은 낮게 평가했다. 하지만 수용자의 정치이념성향에 관계없이 공정성 평가는 중립 기사에서 가장 높았다. 기사 논조 대신 피험자가 메시지에 대해 지각하는 주관적 편향성을 투입한 분석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관찰됐다. 이런 결과는 공정성 평가에 미치는 언론 신뢰도의 정적영향과 제3자 지각의 부적 영향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유의미했다. 결론적으로, 수용자의 지각 편향을 경유하는 인지 경로에선 뉴스 공정성 평가가 왜곡되고 불안정했지만, 지각 편향을 거치지 않는 경로에선 인지 정교화가 높을 때 뉴스 공정성 평가가 객관적이고 합리적이었다. 분석결과가 뉴스 수용자의 지각 편향과 뉴스 공정성 평가의 관계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했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impact of perceptual biases caused by the activation of self-categorization based on audiences’ partisanship on news fairness. We randomly assigned participants (N = 760) into three groups and suggested news articles about the state approved Korean history textbook issue (agree/conservative vs. neutral vs. disagree/liberal). Then we examined the change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political ideology and message biases (news tone). The results of online experiment showed that audiences evaluated high level of fairness on the news via favorable media perception when they judged it as in-group, whereas, they evaluated low level of fairness on the news via hostile media perception when they judged it as out-group. In the case of neutral audiences who did not activate self-categorization, they evaluated the fairness of two articles which is neutral and which disagree with the issue on high, but they evaluated the fairness of article which agree with the issue on low. Regardless of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audiences, however, they judged that neutral article had the highest fairness. Similar patterns were observed when we input subjective biases on the news articles rather than objective biases. These were significant in the circumstances where both the positive impact of media system credibility and the negative effect of the third-person perception were controlled. In conclusion, audiences’ assessment of news fairness was not only distorted but also unstable, when they exploited the cognitive path which activated perceptual biases, whereas the news fairness assessment was objective and rational when their cognitive elaboration was high and they did not pass through self-categorization. Lastly, we discussed some implica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ual biases and news fairness assessment.

      • KCI등재

        정보원과 메시지 내용이 제3자 지각에 미치는 영향

        이승수(Seungsu Lee),김경모(Kyungmo Kim) 한국언론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3 No.3

        이 연구는 제3자 지각에 미치는 정보원과 메시지 내용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자기 범주화 이론과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인지적 연결고리를 검토했다. 사드 배치 이슈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정보원(〈조선일보〉 vs 〈한겨레〉)과 메시지 편향(찬성 vs 반대)을 조작한 네 가지 기사를 피험자 집단에 각각 제시하고 이슈 태도, 정보원, 메시지 편향(논조), 인지 정교화의 관계가 제3자 지각을 유발하는 과정을 분석했다. 서울 소재 네 개 대학의 학부생 342명이 참가한 실험 결과, 정보원과 메시지 편향이 각각 활성화하는 자기 범주화를 경유하면서 제3자 지각이 발생하는 사실을 확인했다. 수용자의 인지 정교화 수준과 자기 범주화의 상호작용을 통해 제3자 지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함께 살펴봤다. 분석에 따르면, 정보원보다 메시지 편향에 의한 자기 범주화 경로에서 높은 수준의 인지 정교화와 결합할 때 제3자 지각의 예측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자기 범주화와 정교화 가능성의 이론적 접목이 제3자 지각 현상을 이해하는데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했다. This research explored the cognitive connection between self-categorization theory and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source and message content on the third-person perception (TPP). For the experiment employed, four news articles manipulated with news source (Chosun Ilbo vs. Hankyoreh) and message bias (agree vs. disagree on the deployment of THADD in South Korea) were exposed to four subject groups of 324 undergraduate participants in Seoul. The analysis was mainly focused on the processes that how the attitude toward issue, new source, and message bias (tone) had jointly influenced on TPP with the interaction of cognitive elabo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ivation of self-categorization by news source and message bias has an effect on TPP, respectively. In addition, TPP as a biased perception has seemingly strengthened when the participants took the central route of self-categorization primed by message bias which was confluent with cognitive elabor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how the theoretical combination of self-categorization with elaboration likelihood is contributed to the deeper understanding of TPP.

      • KCI등재후보

        이슈에 대한 언론의 보도경향 판단과 자신의 찬반, 지각된 여론이 제3자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주, 완주 통합을 중심으로-

        이성원 ( Sung Won Lee ),최윤규 ( Yoon Kyu Choi ),이균형 ( Kyun Hyung Lee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지역과 세계 Vol.36 No.2

        본 연구는 제3자 지각의 크기를 결정하는 3가지 변인인 메시지의 특성 과 수용자 특성, 비교대상 타인 특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지역의 현안인 전주·완주 통합에 대한 지역언론의 보도를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인구와 성별, 연령별 분포를 기준으로 읍·면별로 조사 대상자수를 할당한 뒤 7월 13일부터 15일까지 완주군민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3가지 변인 중 메시지의 특성으로는 ``언론의 보도경향``에 대한 수용자의 지각, 수용자 변인으로는 통합에 대한 ``수용자의 찬반``, 그리고 비 교대상 타인의 변인으로는 통합에 대한 ``지역주민의 여론(전망)``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3가지 변인 모두가 제3자 지각의 크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언론의 보도가 시군통합을 지지하는 경향 이 있다고 생각할수록, 자신이 통합에 찬성할수록, 그리고 주민여론(전 망)이 통합에 찬성한다고 생각할수록 제3자 지각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통합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가 수용자의 찬반의견과 일치할수록 제3자 지각의 크기가 작아졌다. 그러나 주민여론(전망)이 언론의 보도경향과 상반될수록, 자신의 의 견과 여론(전망)이 일치할수록 지각차가 작아질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 됐으며, 오히려 정반대의 결과가 일부 나타났다. 이는 조사 대상자들 이 ``언론의 영향력``을 연구자와 다르게 해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본 연구는 그동안 개별적으로 연구돼온 3가지 변인들을 통합적인 시각에 바라보려는 첫 시도이다. 당초 세웠던 연구가설들이 부분적으로만 검증됐지만, 3가지 변인들을 개별적으로 살펴보기 보다는 상 호간의 관계 속에서 판단할 때 제3자 지각의 발생 과정을 훨씬 상 세하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ree variables in Jeonju-Wanju integration issue from a third-person perception perspective. We selected ``estimate of media coverage patterns``, ``respondents`` pros and cons`, ``perceived public opinion`` as a representative of message variables, respondents` variables and comparative others` respectively. ``Jeonju-Wanju integration`` was our regional pending issue at the time, so we limited media coverage to the regional newspapers and regional TV news coverage. Survey was conducted on 13th~15th July, by trained interviewer in Wanju-Gun where yeas and nays are considered to be similar. Results of survey using quota sample of 250 Wanju respondents show that all three variable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ize of the third-person perception. The more respondents think that local media`s news coverage patterns are friendly to the integration, the smaller was the size of the third-person perception. The more respondents agree with the integration, the smaller was the size of the third-person perception. The more perceived public opinion is favorable to the integration, the smaller was the size of the third-person perception. And the more the estimate of media coverage patterns are similar with the respondents` pros and cons, the smaller was the size of the third-person perception. This study examined three kinds of variables in a integrative perspective for the first time, and we can understan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third-person perception more precisely and systematically.

      • KCI등재

        지진 뉴스에 대한 제3자 효과

        백혜진(Paek, Hye-Jin),이혜규(Lee, Hyegyu) 한국광고홍보학회 2019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1 No.2

        제3자 효과는 대표적인 미디어 효과 이론으로 다양한 맥락에서 많은 실증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이론적으로 정제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본 연구는 제3자 효과의 이론적 논의 가운데 논란이 되고 있는 세 가지 측면을 지진 위험 보도 맥락에서 다루었다. 1) 제3자 지각의 ‘제3자’ 유형에 따른 사회적 거리 대 타깃 결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2) 제3자 지각이라는 지각적 편향을 줄이는 요인으로서 언론 신뢰도와 위험 인식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3) 행동적 요소로서 지진 대비 행동 의도와 제3자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하되, 예측 요인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였다. 2017년 11월 포항 지진 직후 지진 지역 거주자와 비거주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진 위험 뉴스가 자신보다 타자에게 더 영향이 크다는 제3자 지각은 견고하게 나타났지만, 사회적 거리 결과보다 타깃 결과 가설이 더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언론 신뢰도와 위험 인식이 높아질수록 제3자 지각은 작게 나타났다. 3) 지진 위험 대비 의도는 제3자 지각(특히 지진 피해 지역 주민이 타자인 경우)과는 부정적 관계를, 언론 신뢰도 및 위험 인식과는 긍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제3자 효과의 이론적 논의를 더욱 풍부하게 하며, 위험 이슈로서 새롭게 부상한 지진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과 반응을 파악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The third-person effect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media effects theories producing a considerable amount of empirical studies. But it has been criticized due to lack of its theoretical refinement. In the context of earthquake risk news coverage,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that still remain unanswered: It (1) tested social distance corollary versus target corollary, the competing hypotheses related to the type of “3rd person”; (2) investigated roles of media credibility and risk perceptions in reducing the third-person perception (TPP); and (3) examined comprehensiv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PP and intention to prepare for earthquake risks as a behavioral component. This study analyzed online survey data collected among residents and non-residents of the earthquake-striken areas right after Pohang earthquake on November, 2017.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1) The perception that earthquake risk news are more influenced by others than by self (TPP) was robust, but target corollary appears more supported than social distance corollary; (2) The higher media credibility and risk perceptions are, the lower TPP was; and (3) intention to prepare for earthquake risks was negatively related to TPP and positively related to media credibility and risk perceptions. The findings contribute to enriching theoretical discussions on TPE and understanding the public’s perceptions and responses regarding the newly emerging risk topic of earthquake.

      • KCI등재

        공직선거법 제108조 1항의 선거여론조사 매체공표 효과론은 실증적 근거가 있는가?

        김용호,남연주,정경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37

        본 연구는 공직선거법 제108조 1항이 가정하는 선거여론조사의 매체공표 효과의 실증적 근 거를 확인하기 위한 작업이다. 공직선거법 제 108조 제 1항은 ‘누구든지 선거일 전 6일부터 선 거일의 투표마감시각까지 선거에 관하여 정당에 대한 지지도나 당선인을 예상하게 하는 여론조 사 경위와 그 결과를 공표하거나 인용하여 보도할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매체를 통한 여론조사 결과 공표의 효과가 나타나기 위한 전제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편파보도지각과 판세보도지각의 두 가지 구조방정식 모델을 검증하고자 부산지역 유권자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선거여론조사의 매체공표를 편파보도로 인식할수록 제3자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유권자의 자기방어적 투표성향이 커졌고, 제108조 1항에 대한 찬성태도에 영향을 미쳤다(β=.338, p<.01). 반면, 선거여론조사의 매체공표를 판세보도로 인식하는 경우 에는 더욱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 조사대상지역은 선거기간 중 야권의 후보단일화가 이루어져서 판세가 확정세에서 백중세로 바뀌는 중이었다. 여론조사결과의 매체공표를 판세보도로 지각하 는 정도가 판세인식에 미치는 경로계수는 확정세 인식과는 ‘-’를, 백중세 인식과는 ‘+’ 베타값을 보여 당시 선거여론조사 매체공표의 판세보도태도를 짐작하게 하였으나 유의적이지 않았다. 매 체보도지각과 판세인식은 전략투표성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확정세 인식은 전략투표성향을 증가시키는 반면(β=.22, p<.001), 백중세 인식은 감소시켰다 (β=-.15, p<.10). 공직선거법 제108조 1항의 보도규제찬성은 선거판세인식에 무관하게 전략투표성향과 부적 관계를 보였다 (확정세 β=-.113, p<.10; 백중세 β=-.18, p<.05). 이러한 발견의 이론적 함의와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rticle 108 at Korean Election Act prohibits the publication of election poll results through mass media, for a 6 days just before and on. This study tries to find empirical evidence for or against the effects of media publishing of election polls. We assumed two well known concepts in communication literature ‘hostile media perception’ and ‘horse race coverage’ as preconditions of election poll reporting to be effective. Two media perception model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echnique(SEM) were proposed and tested against a southren area of South Korea in 2010, when mayoral election competition took place between incumbent candidate after two consecutive terms as mayor and a unified single opposing candidate with the help of other supportive ex-candidates. Election poll showed a very steep underpinning for the opposing candidate. The election became a typical case for testing the above mentioned media perception models. Respondents perceiving election poll reporting as biased were found to perceive so called ‘the third person effect’ which is defined ‘perceived media effect by others’ minus ‘perceived media effect by respondents themselves’ due to the biased media reporting and/or to show a self-defensive voting behavior against the biased media reporting. After all they tended to support for the restricing election poll reporting(β=.338, p<.01). For the second model of horse race coverage, overall picture was far more complicated than expected. Respondents perceiving media coverage of election as election race(in our perspective, covering election race as much as unbiased), seemed to calculate their strategic vote with or without help of electoral informations possibly from media. If they perceived competition between two candidates in a tie, tendency toward strategic vote become lesser(β=-.15, p<.10) than otherwise(β=.22, p<.001). But nonetheless strategic vote were found to decrease the support for electon poll censorship, contrary to original prediction(in an one sided election β=-.113, p<.10; in a tie election, β=-.18, p<.05).

      • KCI등재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정보 노출과 이슈 관여도가 정보의 영향력 지각, 예방 행동, 정보 공유에 미치는 영향

        박현갑(Hyun-Kap Park),김선호(Sonho Kim),양정애(JungAe Yang) SBS 2016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메르스 사태 당시 사람들이 습득한 정보와 이슈에 대한 관여도가 그들의 인식과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제3자 효과’의 이론적 틀로 살펴보고자 했다. 총 1,053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분석해 도출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 노출 수준이 높을수록, 또 해당 이슈에 대한 관여도가 높을수록 정보가 본인 및 타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크게 지각하고 있었고, 예방을 위한 행동 및 다른 사람들과의 정보 공유 행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3자 지각에 대해서는 정보 노출과 이슈 관여도의 효과가 반비례하는 것을 관찰했다. 셋째, 제3자 지각과 3자 영향력 지각은 자기 지향적 행동인 예방 행동과 타인 지향적 행동인 정보 공유 둘 다와 부적인 관계를 보인 반면, 1자 영향력 지각은 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됐다. 넷째, 두 독립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는 인지적 차원의 3자 영향력 지각과 행동적 차원의 정보 공유에 대해서만 유의미했으며, 메르스 정보 노출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이 고관여도 집단에서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메르스 정보 노출이 정보 영향력 지각이라는 인지적 차원을 거쳐 예방 행동 및 정보 공유라는 행동 차원에 미치는 간접 효과의 분석 결과들을 종합하면, 전반적으로 이슈 관여도가 높은 사람들 사이에서 정보 영향력 지각의 매개 효과가 더 강하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tent to which exposure to information of the outbreak of epidemic MERS affects self- and other-oriented behaviors as well as perceptions of influence on the self and others, employ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3rd-person effect. The major findings from an online survey(N = 1,053) were as follows. First, people tended to overestimate the informational influence on both themselves and others, prevent the disease more actively, and share more information with others, as they were exposed to MERS-related information and involved in the issue to a greater degree. Second, the 3rd-person percep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th self-oriented preventative behaviors and other-oriented information sharing, whereas the perception of 1st-person influence positively contributed to those behaviors. Third,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information exposure and issue involvement were found for the perceived information influence on others and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the effects of information exposure were more pronounced among the strongly involv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3rd-person effect be employed as an effective model explaining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in the social media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