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신역동과 미술치료

        김종희 한국아동미술학회 2011 아동미술교육 Vol.10 No.-

        본 연구는 정신역동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을 이해하고 정신역동을 미술치료에 접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역동 이론으로 첫째, 정신역동의 개념 및 기본과 둘째, 역동정신의학의 기본 원칙으로 주관적 경험의 독자적 가치 The Unique of Subjective Experience와 무의식(無意識, The Unconscious), 정신결정론(情神 決定論, Psychic Determinism), 서막(序幕)으로서의 과거(Past Is Prologue), 전이(轉移, Transference), 역전이(逆轉移, Countertransference), 저항(抵抗, Resistance)이 있다. 정신역동의 치료이론은 자아심리학(自我 心理學, Ego Psychology)과 대상관계이론(對象關係理論, Object Relations Theory), 자기심리학(自己 心理學, Self Psychology), 포스트모던적 시각(Postmodern Views)이 있다. 치료 방법은 첫째, 초기 면담과 핵심감정의 진단 둘째, 자유연상과 미술에 있어서 자발적인 표현 셋째, 꿈 해석 넷째, 전이와 역전이 다섯째, 치료동맹과 치료 장벽 여섯째, 저항과 방어 일곱째, 통찰과 해석 여덟째, 치료종결과 훈습이 있다. 본 연구는 정신역동적 미술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성정체성의 혼란과 또래관계 문제를 겪는 7세 남아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주1회 50분씩 27회기 동안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성정체성을 찾고 또래관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정신역동적 음악치료에 관한 연구 : 소리의 싸개와 놀이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해를 중심으로

        임종환,안석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9

        프로이트는 아기가 우는 소리에 중요성을 부여하였다. 그러나 생애 초기 아기가 경험하는 목소리와 청취의 문제에 대해서 프로이트 주석가(프로이트의 전집 편찬자) 들은 그다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 후 신체적 활동과 정신건강과의 연 관성을 연구한 정신분석가들에 의해 이 문제가 새롭게 대두되었고, 이는 정신역동적 음악치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신분석은 자유연상과 카우치로부터 진화되 어 놀이치료 뿐만 아니라 음악치료와 같은 다양한 창조적 예술치료의 영역과 기법으 로 나타나고 있다. 정신분석은 언어치료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아동과 비언어적인 내담자를 위한 다양한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 의해 태초 이후 소리는 존재해 왔다. 심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한 인간이 먼저 경험하는 것은 시각적 경험이 아니라, 청각적 경험이다. 신생아의 첫 경험은 엄마의 심장소리와 양육자의 목 소리이며, 정신분석적 음악치료 시각에서 이 부분은 임상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신생아 시기뿐만 아니라 그 후에도 소리는 인간의 삶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논 문에서는 위와 같은 시각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과 소리에 대한 신학적 관점에서 시작하여 소리에 대한 물리적, 심 리적 연구를 기초로, 소리에 대한 프로이트의 시각, 생애 초기 모성적 환경에서의 영 아의 청취와 소리를 통한 치료로서의 세미오포니, 심리적 싸개로서의 소리와 치료적 기제로서의 소리의 거울에 대하여 정신분석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후 심리적 싸 개와 소리의 싸개와 놀이로서의 정신역동적 음악치료를 연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심리치료 분야 특히 정신역동적 음악치료 분야의 이론 및 임상 영역에서 혁신적인 정신역동 이론을 정립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음악치료방법 등으로 확장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Freud put weight on the sound of baby crying. However, the interpreter of Freud’s collected works was not concerned about sound and listening that a baby could experience in the early stage of his life. Later, Some psychoanalyst have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and their researches affect on psychoanalytic music therapy. Psychoanalysis has developed from word association and couch to very various and creative art therapies such as play therapy and music therapy. Although psychotherapy was originally based on language, there are many therapeutic methods for children and clients who cannot use language. Based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searches, it examines psychological aspects on sound, the mirror of the sound as a therapeutic way and the sound as psychic envelopes, and sémiophonie as a sound therapy for a baby, which is used in the maternal environment. Then, it illustrates psycho-dynamic music therapy, which is the psychic envelope and the sound envelope. It will contribute to develop music therapy grounded on an innovative psycho-dynamic theory in the clinical setting.

      • 정신화 기반치료와 정신역동적 심리상담: B 군 성격장애를 중심으로 통합적 관점에서

        조난숙 ( Cho Nhan Sook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4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11 No.0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활발한 정신화 연구 경향을 이해하고, 이를 인간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기독교 상담에 적용하기 위해 정신역동적 심리상담과 정신화 기반 치료(MBT)에 대한 통합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국내외의 문헌 연구를 통하여 정신역동적 심리상담과 의 통합적인 관점에서, MBT를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경계선 성격장애를 중심으로 B 군 성격장애에 대한 심리상담으로의 적용을 모색하였다. MBT는 통합적 접근 방식을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정신분석에서 출발한 애착 이론에서 나온 치료이면서 인지행동치료와 인본주의 치료와도 연결점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기독교 상담적 접근도 통하는데, 가장 근본적인 인간과 하나님을 이해하는 과정이 사실상 정신화 과정이기 때문이다. 정신화와 그 유사 개념, 정신화의 인지행동과 인본주의적 관점 등을 제시하며 B 군 성격장애에 대한 MBT의 임상적 적용을 네 가지 정신화 차원에서 고려하였으며 MBT가 어떻게 심리상담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an integrated review of psychodynamic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mentalization-based therapy(MBT) wa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cent trend of active mentalization research and apply it to in-depth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Christian counseling.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search, psychodynamic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MBT are explained from an integrated point of view, and its application to group B personality disorder psychological counseling is sought focusing o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MBT can be an important tool for an integrated approach. The reason is that it is a treatment derived from attachment theory, which originated from psychoanalysis, and is closely related to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humanistic therapy. In addition, since the most fundamental process to understand human beings and God is actually a process of mentalization, a Christian counseling approach also works. The discussion will be presented in the order of mentalization-like concept, humanistic perspective of cognitive behavior and mentalization, and clinical application of MBT to type B personality disorder.

      • KCI등재

        정신의학자 한동세(韓東世)의 문화정신의학과 여성 및 비규범적 성애・성별 배제의 성격

        김대현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 동방학지 Vol.183 No.-

        In 1950-60s’ South Korea, cultural psychiatry that emphasis on Korea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ity, in addition to dynamic psychiatry based on psychoanalysis prevailed among mental health professionals. Under the academic circumstances, Dr. Hahn Dongse, psychiatrist, prescribed Korean mental characteristics as oriental identity based on the dichotomy of the orient and the occident. Sexual oppression of women and ‘non-existence of sexual discourse’, Hahn referred, could seen as a Korean nature of gender and sexuality. His bigoted view on women could be found plainly on popular media than his academic papers, moreover in his thesis about non-normative sexual and gender practices, he went forward to justify his assertion that “sexual perversions” are less observed than West because of the nature. This argument had derived because he took the social property of stigma as his premise, not for a subject to analyze, in the both aspects of dynamic and social psychiatry. Despite its limitations, research of Hahn often referred as studies of “sexual perversion” in the research history until 1980s. His prescription that certain sociocultural identity as a “nature” led to cognitive and systemic exclusion of women and non-normative sexual and gender practices. 1960~70년대 한국의 정신의학계는 정신분석을 기반으로 한 역동정신의학과 더불어, 정신질환에 있어 한국인의 사회문화적 특수성과 주체성이 강조되는 문화정신의학이 유행하였다. 이러한 학문적 조류 가운데 정신의학자 한동세는 한국인의 정신적 특성을 동서양의 이분법에 입각한 동양적 정체성으로 규정하고, 여성에 대한 성적 억압과 '성을 말하지 않음'을 한국인의 젠더・섹슈얼리티적 특성으로 보았다. 여성에 대한 그의 편견은 학술논문보다 대중매체에 기고한 글에서 보다 적나라하게 드러났고, 비규범적 성애・성별 실천을 다룬 그의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국인의 젠더・섹슈얼리티적 특성 때문에 한국에서는 애초에 “성도착증”이 적게 나타난다는 주장을 다시금 학술적으로 정당화했다. 이는 역동정신의학과 사회정신의학 양자 모두의 측면에서, 낙인과 관련된 사회적 특성을 학술적 분석의 대상이 아니라 전제로 삼은 결과였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1980년대까지 “성도착증” 연구의 연구사로 인용되었다. 이렇듯 특정한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본성”으로 이해하는 것은, 여성 및 비규범적 성애・성별 실천에 대한 인지적이고 체계적인 배제를 불러왔다.

      • KCI등재

        고전-현대 정신분석 패러다임 고찰이 정신분석적 미술치료에 주는 시사점 -핵심 개념, 치료 목표, 치료자의 역할, 미술치료 적용 기법을 중심으로-

        이수진,김민,김진숙 한국미술치료학회 2011 美術治療硏究 Vol.18 No.4

        This paper aims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which psychoanalysis gives to art therapy after looking into the classical-contemporary psychoanalytic paradigm as a preceding task in order to systemize and specialize a theory of art therapy and establish psychoanalytic art therapy. To begin with, this paper shows that the S. Freud's classical psychoanalysis can provide the psychoanalytic art therapy with a framework of wider and deeper understanding on analysts and analysands and more open perspective on the goal of psychoanalysis, and also suggests that an art therapist should be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such major concepts as transference, projection, and repetition and make a continued effort to study. Next, it can be concluded that contemporary psychoanalysis could present various goals and the art therapists' roles about psychoanalytic paradigm(e.g. Ego Psychology, Object Relations Theories, Self Psychology, and Contemporary Freudian Revisionists). Also it could expand the range of analysand, art and analyst through dialectical tripartite processes, sharing some traits with the vector of postmodernism in art therapeutic field. Finally, by analyzing and putting together two findings above mentioned, I can say that this study on classical-contemporary psychoanalytic paradigm proves to be meaningful but remain unsolved yet. An art therapist should fully understand the dynamic focus as well as the art and the therapy, select a theory and a methodology that match his or her own life and values, and keep pace with a variety of many themes that encompass contemporary cultural backgrounds. 본 연구는 미술치료학의 이론적 체계화 및 전문화는 물론 정신분석적 미술치료의 정립을 위한 선행 과제로서 고전-현대 정신분석 패러다임을 고찰한 후, 정신분석적 미술치료에 주는 시사점을 규명한 문헌연구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S. Freud의 고전적 정신분석 고찰을 통해 정신분석적 미술치료에서 피분석자 및 분석가에 대한 폭넓고 심층적인 이해의 틀과 정신분석 목표에 대한 열린 관점 제공, 전이․투사․반복의 중요성 인식, 정신분석 미완의 혁명을 통한 미술치료자의 지속된 연구노력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얻었다. 다음으로, 현대 정신분석 고찰을 통해 자아심리학, 대상관계이론, 자기심리학, 수정주의 각각의 패러다임에 따른 다양한 정신분석적 목표와 함께 피분석자(분석주체)․미술․분석가의 변증법적 역할 변화와 궤를 같이한 포스트모더니즘 벡터를 시사점으로 얻었다. 마지막으로, 앞선 두 연구결과에 대한 분석적․종합적 시각을 통해 역동적 초점의 정신분석적 치료 목표의 이해, 자신의 삶 및 가치와 일치한 정신분석 이론과 방법론 선택, 피분석자의 역할과 미술의 범위 확장에 대한 이해, 정신분석적 미술치료자들의 21세기 시대 문화적 배경을 아우른 연구노력 필요성을 미술치료의 의의와 과제로 얻었다. 본 연구 작업이 정신분석적 미술치료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연찬의 장 마련과 피분석자 및 분석가의 창조적 삶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정신보건전문가를 위한 훈련집단

        이후경,김선재,윤성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5

        연구목적 : 집단정신치료 전문가 수련과정에는 교습적인 과정, 구성원(환자)으로서의 경험, 리더(치료자)로서의 경험이 포함된다. 이에 따라 크게 ① 이론과 실제에 대한 강의, 사례발표회와 초독회 및 세미나, ② 관찰, ③ 훈련집단(워크샵 포함). ④ 지도감독으로 나누는데, 이 중에서 훈련집단과 지도감독이 가장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저자들은 ① 정신과 영역에서 집단정신치료의 활성화, ② 집단정신치료에서 정신과의사들의 주도적인 역할수행, ③ 자격 있는 집단정신치료자의 훈련 및 양성을 목적으로 전공의를 포함하는 정신보건전문가들을 위한 훈련집단 모텔을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보건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훈련집단을 시행한 후 나타나는 방어기제, 자아기능의 변화를 살펴본다. 둘째, 참여자들이 도움 받은 것으로 보고한 치료요인을 알아본다. 셋째, 훈련집단 진행에서 나타나는 내용과 과정을 포함한 전체적인 특징을 분석한다. 넷째, 이를 통해 훈련집단을 정신보건전문가들의 개인적인 성장과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키우는데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정착시키고, 나아가 집단정신치료 전문가 수련과정 및 자격요건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삼는다. 방 법 :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00년까지 5번에 걸쳐 실시되었다. 이 기간 중 참여자는 정신과전공의를 포함하여 정신보건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들로서 총 37명이었고, 이 가운데 도중 탈락한 9명을 제외한 29명(남자 2명, 여자 27명)이 최종 대상군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대상자들이 훈련집단을 참여한 후 성격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사전-사후검사 실험설계를 수행하였다. 연구도구로서 객관적 질문지 형태의 이화방어기제검사와 이고그램검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매번 훈련집단이 끝난 직후 13가지 치료요인척도와 간단한 주관적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종결 시에 자기보고식 총평가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결 과 : 이화방어기제는 사전-사후검사 비교에서 성숙방어는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고, 미성숙방어는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으며, 자기애적방어와 신경증방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고그램은 사전-사후검사 비교에서 양육적부모(NP), 어른(A), 자유로운아이(FC) 자아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상위를 차지한 치료요인은 순서대로 대인관계학습, 실존적 인자, 리더와의 동일시, 정화, 사회화 기술의 발달이었다. 총평가 설문에서 참여자의 100%에서 도움 받은 것으로 보고하였고, 48.3%에서 생활사의 변화를 보고하였으며, 89.7%에서 훈련집단을 다른 사람에게 적극적으로 권유하겠다고 하였고, 58.6%에서 재참여 의사를 밝혔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참여자들은 방어기제와 자아기능의 변화를 보였다. 훈련집단 경험은 참여자들에게 자신을 돌아보고 마음의 갈등을 파악하며 상대방을 이해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정신보건전문가에게 필수적인 집단현상에 대한 안목과 치료요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리더십 및 기법을 터득하게 하여 집단정신치료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며, 정신치료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정신보건분야에서 정신과전공의를 비롯한 정신보건전문가의 정신치료 및 집단정신치료의 교육 도구로서 훈련집단을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 Training group with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cludes didactic process, experience as a member(patient) and a leader(therapist). It is divided into four parts as like 1) lecture, case conference, book reading and seminar about theory and practice, 2) observation, 3) training group(including workshop), and 4) supervision. Among them, the training group and the supervision have been accepted as the most effective methods. Authors have developed and practiced the training group model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cluding psychiatric residents which aim for the activation of group psychotherapy in mental health area, psychiatrists' initiative in group psychotherapy area, and the training and nurturing of qualified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ly, we examine the change of defense mechanism and ego function after performing group psychotherapy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 secondly, we analyze the therapeutic factors reported that participants were helped ; thirdly, we analyze main features which include group content and process manifested in training group ; lastly, we have objectives that the training group is settled down 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to foster the personal growth and qualification as a specialist, and also that this study provides a basic research data to set up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requirements for group psychotherapy. Mo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5 times from 1997 to 2000.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37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cluding psychiatric residents. Among them, 29 participants(male 2, female 27) were chosen as the final subjects 9 participants dropped out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At first, we take an application of pre-treatment/post-treatment experimental design to evaluate the personality change after performing the training group. EDMT(Ewha Defence Mechanism Test) and EC(Egogram Checklist), the objective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evaluation scale. And 13-therapeutic factor scale and simple subjective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just after each session and the self-report total assessment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at the end of this study. Results : To compare mean scores betwe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in EDMT, the mature defens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immature defens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narcissistic defense and neurotic defense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To compare mean scores betwe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in EC, Nurturing parent(NP), Adult(A) and free Child(FC)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erapeutic factors ranked highly were in-terpersonal learning, existential factor, Identification with therapist, catharsis, and socializing technique in order. The total assessment questionnaires reported that the 100% of participants were helped, the 48.3% of participants were changed in their lives, the 89.7% of participants would propose training group to others positively, and the 58.6% of participants had minds to join this kind of program if given again for them. Conclusions : This result showed that the defense mechanism and ego function of parti-cipants were changed. The training group experience makes participants reflect themselves, examine their conflicts and understand others. That also gives them chances of improving insight about group phenomena and understanding about therapeutic factors essential to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having confidence on the group therapy by learning leadership and techniques, and improving understanding about the psychotherapy on the whole. Therefore, it is needed in the future that the training group would be widely adapted as an educational tool of psychotherapy and group psychotherapy for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s well as psychiatric residents in mental health area.

      • 정신 장애에 대한 특수교육학적 이해

        정은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

        정신 장애는 아직 특수교육학 영역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지 못한 소외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입장에서 정신 장애에 대한 기존의 병리적인 이해와는 구별되는 Vygotsky의 정신 기능의 역동적 연결 개념을 중심으로 인간의 정신 기능 발달 과정을 새롭게 조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정신 장애는 단순히 어떤 병적 상태가 아니라“간기능적 연결”이라는 보편적인 정신 기능 발달의 기본 원리에 따르는 정신 현상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신장애인들의 증상(예: 환청, 망상) 완화에 주력하는 기존의 병리적 의료적 관점을 넘어서 이들이 관계적 타인을 새롭게 경험하며 생활할 수 있도록 학문적으로 또 실천적으로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인의 정신역동적 미술치료사례

        김인선 한국예술치료학회 2014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억압된 무의식적 갈등이 역기능적인 가족구조로 인해 자기표현에 어려움을 가진 성인여성에게 정신역동적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기표현에 변화를 가져 오고자 하였다. 2013년 5월 10일부터 주 1회 60분씩 14회기 동안 정신역동적 치료이 론을 바탕으로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기표현 능력 향상 정도를 스크린하 기 위해서 Rakos와 Schoeder(1980)의 자기표현 평정척도(Self-Directed Assertiveness Scale)를 김성희(1980)가 우리나라의 문화적 배경에 맞게 번안하여 수정한 자기표현 척도검사와 다면적인성검사 MMPI, 그림검사KFD⋅PSCD 변화를 사전⋅사후로 검증 하였고, 매 회기별⋅단계별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역동적 미술치료가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인의 자기 표현에 향상을 가져왔다. 둘째, 정신역동적 미술치료가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 인의 다면적인성검사 MMPI에 자기표현 변화를 가져왔다. 즉, 사전검사에서 높게 나 왔던 과도한 예민성과 경계심에 의한 사회적 내향성이 사후검사에서는 감소되었다. 셋째, 정신역동적 미술치료가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인의 그림검사 KFD⋅ PSCD에 자기표현 변화를 가져왔다. 즉, 사전검사에서는 자아강도가 유약하여 소극적 이고 정적인 느낌의 그림이었다면 사후검사에서는 자아 강도가 강화되어 적극적이고 역동적인 소통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넷째, 정신역동적 미술치료가 자기표현에 어려 움이 있는 성인의 매 회기별⋅단계별 과정에 변화를 가져왔다. 초기에는 심리적으로, 신체적으로 불안과 경직이 심해 작은 목소리로 대답만 겨우 하며 매회기 눈물을 보였 다면, 말기에는 자신이 말하고 싶은 내용을 말하고 눈물을 보이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정신역동적 미술치료가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인의 프로그램 사전⋅사 후검사 검증을 통해 자기표현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pply psychodynamic art therapy to adult women who have difficulties in self-expression because of dysfunctional family structure, and make changes in self-expression. Based on psychodynamic art therapy theory,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14 sessions (6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from May 10th, 2013. To find out self-expression ability improvement, self-expression scale into which Kim Sung Hee(1980) adapted and revised Self-Directed Assertiveness Scale by Rakos and Schoeder(1980) for Korean cultural background, MMPI, and PSCD were verified through a pre-test and a post-test, and each session and step process was analysed qualitatively. The conclusion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sychodynamic art therapy improved self-expression ability of adults with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Second, psychodynamic art therapy brought self-expression changes to MMPI of adults with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In other words, social introversion from excessive sensitiveness and wariness was in high level in pre-test, but decreased in post-test. Third, psychodynamic art therapy brought self-expression changes to KFD⋅PSCD of adults with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In other words, the intensity of self was weak, inactive, and static in pre-test, while it became strong, active, and dynamic. Fourth, psychodynamic art therapy brought changes to each session and step process of adults with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In the beginning,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answered questions just in a low voice and even shed tears in each session, while at the end, they expressed what they want to say and did not shed tear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psychodynamic art therapy had an import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ability through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f adults with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 KCI등재

        죄책감과 수치심에 대한 영적 정신역동적 이해 : 창3:1-21과 요4:1-42을 중심으로

        홍구화 ( Hong (yi) Gu Hwa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8 목회와 상담 Vol.31 No.-

        이 논문은 창 3:1-21과 요 4:1-42을 통해 영적 관점과 정신 역동적 관점을 통합하여 죄책감과 수치심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적인 특성과 정신 역동적 측면을 함께 이해할 때 죄책감과 수치심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에디스 제이콥슨(Edith Jacobson), 하인즈 코헛(Heinz Kohut),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 도널드 위니캇(Donald W. Winnicott), 헬렌블록 루이스(Helen Block Lewis) 등의 대표적인 정신역동 이론가들의 죄책감과 수치심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를 지지해 주는 경험론적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제이콥슨은 초자아 통합 과정이 잘 이루어져 성숙한 초자아가 형성되면 건강한 죄책감이 발달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수치심이 발달한다고 보았다. 코헛은 이상화와 공감해 주는 자기 대상의 결핍으로 수치심이 생긴다고 보았다. 클라인과 위니캇은 죄책감을 성숙한 자아의 관계 능력으로 보았다. 루이스는 죄책감을 행동에 대한 장-독립적인 반응으로 수치심을 존재에 대한 장-의존적인 반응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경험론적 연구들은 정신 역동 이론들이 제시한 죄책감과 수치심의 역동들을 확인해 주었다. 건강한 죄책감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의식을 가지게 하고 관계를 회복시켜 주며 정신 건강에 순기능적인 반면에 처벌적이고 강박적인 죄책감은 역기능적이다. 수치심은 주로 관계와 정신 건강에 역기능적이다. 하나님께 불순종하고 타락으로 하나님의 형상으로부터 멀어진 인간은 죄책감과 수치심을 경험할 수밖에 없다. 죄책감과 수치심의 이러한 영적 특성에서도 정신역동 이론들의 역동들은 발견된다. 죄에 대해 수치심으로 반응하는 아담과 하와와 사마리아 여인에게 하나님과 예수님은 먼저 다가가시며 수치심을 받아 주시고 그들에게 죄를 인식하기를 촉구하셨다.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의 은혜로 인간은 건강한 죄책감을 통해 하나님과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고 수치심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건강한 죄책감은 처벌적이거나 강박적인 정죄감과 다르다. 그리스도인 상담자는 죄책감과 수치심으로 어려움을 겪는 내담자들에게 이러한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매개하며 통찰과 좋은 대상경험을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ntegratively integrate the understanding of guilt and shame through spiritual and psychodynamic perspectives from Genesis 3:1-21 and John 4:1-42. Guilt and shame can be more deeply understood when viewed from these two perspectives. To do so, this research explores representative psychodynamic theories regarding guilt and shame such as the theories of Judith Jacobson, Heinz Kohut, Melanie Klein, Donald W. Winnicott, and Helen Block Lewis. Then, this paper examines empirical research that verifies the psychodynamic theories regarding guilt and shame. Jacobson explains that healthy guilt or shame is developed depending on the maturity of the super-ego. Kohut views that shame is developed by from the deficit of the idealized and emphathicempathic self-object. Klein and Winnicott view guilt as a relational ability of the mature ego. Lewis differentiates between guilt as a field-independent response to one’s behavior from and shame as a fielddependent response to one’s self. Empirical research confirms the dynamics of guilt and shame suggested by psychodynamic theories. Healthy guilt is functional in fostering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recovering relationships, whereas punishable and compulsive guilt is dysfunctional, Shame is mainly dysfunctional. Human beings who disobeyed and fell from God’s image cannot but experience guilt and shame. The dynamics suggested by psychodynamic theories can be found in this spiritual nature of guilt and shame., God and Jesus first approached Adam and Eve and Jesus approached a Samaritan woman who responded with shame toward their sins, and accepted their shame., and God and Jesus urged them to confess their sins. The grace of redemption by Jesus Christ helps Christians recover their relationship with God and others through healthy guilt and take off abandon the shame. Helathy Healthy guilt is different from punitive or compulsive condemnation. Christian therapists are able to provide insight and goodobject experiences to people suffering from guilt and shame by mediating God’s love and grace.

      • KCI등재

        정신 장애에 대한 특수교육학적 이해: 정신기능의 역동적 연결에 관한 연구

        정은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학연구 Vol.45 No.3

        Although mental disability has been included in the category of disability, debates on it has not yet become active in the area of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tries to illuminate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function of human with a concept of active connection between psychological functions. The concept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pathological regarding mental disability, claimed by Vygotsky. As a result, it can be asserted that mental disability is not to be simply understood as a pathological condition. Rather it has to be accepted as one of psychological phenomena which follow a fundamental principle of “inter-functional connec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in both academic and practical dimension to try to achieve experience of relational other and not to focus only on alleviation of the mental disease symptoms such as auditory hallucination or delusion. 정신 장애가 장애 범주에 포함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논의는 아직 특수교육학 영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입장에서 정신 장애에 대한 기존의 병리적인 이해와는 구별되는 Vygotsky의 정신 기능의 역동적 연결 개념을 중심으로 인간의 정신 기능 발달 과정을 새롭게 조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정신 장애는 단순히 어떤 병적 상태가 아니라 “간기능적 연결”이라는 보편적인 정신 기능 발달의 기본 원리에 따르는 정신 현상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신장애인들의 증상(예: 환청, 망상) 완화에 주력하는 기존의 병리적 의료적 관점을 넘어서 이들이 관계적 타인을 새롭게 경험하며 생활할 수 있도록 학문적으로 또 실천적으로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