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자녀학대가 보호관찰청소년의 정서적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기환 한국보호관찰학회 2009 보호관찰 Vol.9 No.2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의 부모에 의한 학대가 그들의 정서적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아존중감이 이 영향에 있어 조절효과를 가지는가를 알아보기 위한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관찰대상자의 경우 전체적으로 학대를 경험한 비율이 상당히 높으며 심각한 학대의 경우도 경험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관관계에 있어 독립변수의 하위요인과 종속변수의 하위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신체적 학대의 경우는 우울행동, 미성숙행동, 강박행동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정서적 학대는 우울행동, 미성숙행동, 강박행동과의 관계가 유의미하게 나 타났으며, 방임은 위축행동, 우울행동, 공격행동, 과잉행동, 미성숙행동, 강박행동 등 정서적부적응행동 전반에 걸쳐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부모의 학대가 보호관찰대상자들의 정서적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전체와 하위요인 단위로 살펴본결과, 방임의 경우 정서적부적응행동전체와 공격행동, 과잉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적학대의 경우 우울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신체적 학대는 정서적부적응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시 말해 학대의 하위유형별로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부적응행동의 하위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이 부모의 학대가 보호관찰대상청소년들의 정서적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신체적 학대가 있음에도 우울행동이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즉, 정서적 학대를 통해 우울행동을 보이는 비행청소년에 대해 자아존중감의 향상이 우울행동을 감소시키는 조절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연구

        이순덕(Soon Deok Lee),이미아(Mia Lee)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2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2 No.-

        본 연구는 남부대학교 학생들의 여러 가지 배경변인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전체 82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대학 환경적 적응을 포함한 대학생활적응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높았는데, 특히 군대를 다녀온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매우 높았다. 둘째 저학년 학생보다는 고학년 학생들의 학업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숙사생, 자취생, 하숙생들과 비교하여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고 생활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 특히 개인-정서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기숙사생은 자취생이나 하숙생에 비해 사회적 적응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가정의 월평균 소득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대학생활 적응도, 특히 학업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직전 학기 성적이 높은 학생들의 학업적 적응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자신의 장래 진로를 명확하게 결정하고 대학생활을 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생들의 원만한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대학 차원의 제도나 정책 개발, 학생들에 대한 상담 및 지도와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관련 국내 연구동향 및 지원방법 고찰 : 심리정서적 요인을 중심으로

        유민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6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s in domestic research concern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that affect university students' adjustment,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support strategies by investigating the significance of these factors. To fulfill this aim, we selected and analyzed 401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15 to June 2023. These articles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and university adjustment, and were chosen based on the criteria and content of this study. First, we performed a comprehensive analysis by considering the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ologies, research variables and factors, and suggestions in the research articles as the analytical criteria. We also conducted a specific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to collect foundational data that could be beneficial for future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adjustment. The analysi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research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in university students' college adjustment was most common in 2021,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predominantly used. Regarding variable settings, studies that identified college adjustment as the dependent variable made up 80.2% of the total. Among the related research variables and factors, resilience factors classified as self and personality factors were the most extensively researched, and numerous suggestions emphasized the need to broaden research methods. Second, research focusing on nursing students in the context of resilience and college adjustment was the most frequent, and many suggestions were made about the creation and provision of programs to boost resilience and university adjustment.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we interpreted the overarching significance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related to university adjustment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support for university students' adjustment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관련한 심리정서적 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그 중 심리정서적요인과의 연관성을 통해 관련 연구와 지원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년부터 2023년6월까지 국내 학술등재지에 게재된 대학생활적응 연구 중 심리정서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연구한 총 401편을 본연구의 분석기준과 내용에 따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 논문의 발행연도, 연구방법, 연구변인 및 요인, 제언사항을 연구분석 준거로 설정하여 전반적인 분석을 하였으며, 향후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지원에 도움이되는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심리정서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관련한 심리정서적 요인과 관련한 연구는 2021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연구방법에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변인설정에서는 대학생활적응을 종속변수로 설정한 연구가 전체의80.2%였다. 관련 연구변인 및 요인에서는 자아 및 성격요인으로 분류한 회복탄력성 요인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제언사항으로는 연구방법확대의 필요성 제시가 다수였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을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에 관한 제언사항이많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활적응과 관련한 심리정서적 요인에 대한 거시적인의미를 해석하고, 향후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연구와 지원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기본적 심리욕구와 정서적 적응의 영향 관계 및 합창 교양수업의 조절 효과 검정

        한가영,조성찬,한경훈 한국음악교육학회 2017 음악교육연구 Vol.46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기본적 심리욕구가 대학생활의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 대학의 교양교과목 중 교양합창 수업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대학생의 기본적 심리욕구는 정서적 적응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부정적 관계성(β=-.405), 긍정적 관계성(β=.207), 유능감(β=.193)의 순서대로 정서적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본적 심리욕구가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합창 교양 수업의 만족도는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었다. 합창 교양수업의 조절변수 중 수업내용만족도는 유능감(β=.150), 부정적 관계성(β=.245)과 정서적 적응 영향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유능감은 수업내용만족도의 정(+)의 조절효과에도 불구하고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정(+)의 영향력이 감소하였다. 부정적 관계성은 수업내용만족도의 정(+)의 조절효과에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음(-)의 영향력이 정(+)의 영향력으로 역전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부정적 관계성은 교수 만족도의 정(+)의 조절효과에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음(-)의 영향력이 정(+)의 영향력으로 역전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양 합창수업이 인성함양의 첫 번째인 대학의 교양과목 커리큘럼에 필요조건임을 입증해줌으로써 향후 대학생들의 정서적 적응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분화 및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의 사회 및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태형 ( Taihyong Mo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자기분화 및 긍정심리자본이 예비유아교사의 대학생활의 사회 및 정서적 적응과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347명이며, 연구도구로는 자기분화 척도, 긍정심리자본 및 대학생활적응력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긍정심리자본의 네 하위요인은 사회적 적응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희망을 제외한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들은 정서적 적응과도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자기분화의 자기입장 하위요인은 사회적 적응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자기분화의 정서적 반응, 정서적 단절 및 정서적 융합 하위요인들은 사회적 및 정서적 적응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회귀분석결과,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에는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 및 탄력성이 정적인 영향력을, 그리고 자기분화의 정서반응 하위요인이 부적인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정서적 적응에는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이 정적인 영향을, 그리고 자기분화의 정서적 반응, 정서적 단절, 정서적 융합 하위요인들이 부적인 영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in university life. A total of 34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re were th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b-factors and the self-stance sub-factor of the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in university life. But there were th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emotional response, emotional severance, and emotional fusion sub-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in university life. The influenc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in university life was significant. The resilience sub-factor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al adaptation. The self-efficacy sub-factor of the psychological capital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The emotional response sub-factor of the self-differentiation had negative influence on the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The sub-factors of emotional severance, and emotional fusion of the self-differentiation had negative influence on the emotional adapt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in university life.

      • KCI등재

        개인 및 팀 수준에서 성격과 적응수행 간의 관계: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안여명,유태용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개인 수준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성격(경험에 대한 개방성, 정서적 안정성)과 적응수행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 둘째, 팀 수준에서 성격(경험에 대한 개방성, 정서적 안정성)과 적응수행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셋째, 개인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팀 수준의 적응수행과 개인수준의 적응수행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교차수준 매개효과), 마지막으로 팀 수준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팀 성격과 팀 적응수행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해 49개 팀에 속한 193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개인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적응수행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하였다. 마찬가지로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정서적 안정성과 적응수행 간의 관계에서도 완전 매개역할을 하였다. 팀 수준에서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팀 적응수행과 정적으로 관련되어 있었지만, 팀의 정서적 안정성은 팀 적응수행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개인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팀 수준의 적응수행과 개인수준의 적응수행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였다. 팀 수준에서 변혁적 리더십은 팀의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팀 적응수행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즉,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팀의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팀 적응수행 간의 정적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미래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판 음악 기능 척도의 타당화와 정서적 적응과의 관계

        이정윤,김민희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7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RESPECT-Music, which measures personal, social and cultural function of music, an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RESPECT data and the data measured from other scales for emotion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wo separate groups of undergraduate studen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sample A (N=212)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es with sample B (N=296)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generated 10 factors as influential factors in music use, which was the similar results to the original scale: background, values, focus, dancing, family bonding, cultural identity, political attitudes, venting,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l bonding. I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s 35-item measurement was found to obtain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In addition, the correlations were found with other scales measuring emotional adjustment. Specifically, RESPEC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cales for positive affect, reappraisal, negative mood regulation and repair. Among the generated factors as music function, dancing was highly correlated with emotional adjustment, while political attitude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adjust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music use in our everyday lives is intercorrelated with the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motives and emotional adjustment, while the function of music that influences cultural identity was not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emotional adjustment.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음악을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개인의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음악 기능 척도(RESPECT-Music)를 한국어로 번안 및 타당화하고, 정서적 적응과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대학생 212명으로 구성된 표본 A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대학생 296명으로 구성된 표본 B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및 정서적 적응 변인과의 상관분석을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어로 번안된 음악 기능 척도는 원 척도와 동일하게 배경 음악, 가치 발달, 집중 향상, 춤 유도, 가족과의 유대, 문화적 정체성 반영, 정치적 태도 표현, 스트레스 해소, 정서 전달, 친구와의 유대의 10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0요인 35문항 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하였고, 문항 신뢰도도 양호하였다. 정서적 적응 변인들과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음악 기능 척도는 정적 정서, 재해석 정서조절 방략, 정서개선 신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 대체적으로 정서적 적응과 연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개 하위요인 중 춤 유도 기능이 정서적 적응과 가장 뚜렷한 연관성을 나타냈으며 정치적 태도 표현 기능은 예외적으로 정서적 적응과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를 음악 기능의 세 차원으로 설명하면, 음악을 개인적, 사회적 목적으로 사용할수록 정서적 적응 수준이 높았고, 문화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정서적 적응과의 관련성이 낮았다.

      • KCI등재

        경호관련학과 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 및 적응에 관한 고찰

        김원기(Kim, Won Ki) 한국민간경비학회 2010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6 No.-

        본 연구는 경호관련학과 대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및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각각의 성별, 소속대학과 관련한 대학생활 적응 수준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254명의 4년제, 2년제 경호관련 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별, 소속대학별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의 세 가지 대학생활 적응 요인과 대학생활 만족도요인간의 차이와 관계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요인 및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들보다 비교적 높은 적응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소속대학별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요인 및 만족도는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활 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요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adaptation of students in guard related department to university life followed by each background variable and to make a close inquiry into adaptation level to university life by each sex and membership university.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what adaptive factors which had an effect on satisfaction for university life were. The study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three adaptive factors to university life- academic adaptation by each sex and each membership university, social adaptation and individual-emotional adaptation- and satisfaction factors for university life with 254 university students in guard related departments at two-year colleges and four-year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adaptive factors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fe followed by each sex,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Male students had higher level of adaptation than female students. Second, in adaptive factors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fe followed by each membership univers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for university life and adaptive factors to university life.

      • KCI등재

        임상치과위생사의 정서적 소진, 적응유연성 및 직무착근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지민경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을 증진하고자 정서적 소진, 적응유연성, 직무착근도와 조직몰입과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치과의료전달체계 및 인력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9 년 11월 11일부터 12월 30일까지 대전·충청·전라 지역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편의표본추출 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 문법을 사용하였다. 조직몰입과 적응유연성, 직무착근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정서적 소진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 타냈으며, 정서적 소진과 적응유연성, 직무착근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적응유연성과 직무착근도는 양의 상관관계 를 나타냈다. 조직몰입에 영향 요인은 정서적 소진, 적응유연성, 직무착근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에 임상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을 효율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탐구 시 정서적 소진, 적응유연성, 직무착근도를 포함한 맞춤형 중재전략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s among emotional burnout, resilience, job embedded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vide basic data for an effective dental care delivery system and manpower management, and promot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For data collection, convenience sampling was performed among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aejeon and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from November 11 to December 30, 2019,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and job embeddedness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burnout; emotional burno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and job embeddedness; and resili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embeddedness. The factor most significantly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emotional burnout, followed by resilience and job embeddednes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give another consideration to a customized intervention strategy, which involves emotional burnout, resilience, and job embeddedness, in exploring a program that helps clinical dental hygienists maintain and manage organizational commitment efficiently.

      • KCI등재

        대학생활적응 선별 조사도구 개발을 위한 구성요인 및 측정방법 연구

        이형국(Hyeongkuk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기존 대학생활 현황 전수조사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실제 대학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한국 대학생활적응 선별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측정되어야 할 예측요인과 예측요인별 하위요인 및 세부내용을 도출하고, 측정방법을 결정하여 예비조사척도를 개발하는 기초연구이다. 방법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및 기존 도구 분석 및 요인 재분류를 통한 연역적 구인과정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의 구성개념과 구성요소 및 세부내용을 구인화하하고, 43개 대학의 최근 2년 내 실시된 대학생활 현황조사의 설문문항을 수집하여 내용구분 및 빈도 등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설정된 예측요인과 요인별 하위요인 및 세부내용, 그리고 측정방법 등에 대한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해 전문가 의견을 수용하고, 이를 통해 개발한 예비 조사도구의 내용타당도 등을 확인하기 위해 3차의 전문가 델파이 조사(Delphi Method)를 실시하였다. 결과 그 결과 학생의 개별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선별하기 위한 학업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사회적 적응, 진로적 적응 등 4개 하위척도 80개 문항과 대학환경 적응을 포함한 대학생활 현황 관련 경향정보 파악을 위한 40개의 설문문항으로 구성된 한국 대학생활적응 선별도구(K-CASS) 개발을 위한 예비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예비척도의 효과적인 표준화를 통해 대학생활의 다양한 영역에서 부적응 학생을 선별, 조력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하면서, 추후 효과적인 개발 및 활용을 위해 제언하였다. Objectives It is a basic study to develop a Screening survey scale by extracting sub-factors and details of predictors to be measured and determining measurement methods to develop a K-CASS (College Life Adaptation Screening Scale) that can be used in actual university sites. Methods For this end, the concept, components, and details of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first constru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of existing tools, and factor reclassification, and questionnaires from 43 universitie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content and frequency. Based on the above results, a third Delphi method was conducted to accept expert opinions on the set factor structure, sub-factors, details, and measurement methods, and to confirm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eliminary survey tool developed through this. Results As a result, a preliminary research tool was developed for the development of a tool (K-CASS) to select the degree of adaptation to Korean university life consisting of 80 questions on four sub-scales: academic adaptation, Personal-emotional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and career adaptation, and 40 questions to identify tre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ity life, including adaptation to the university environment. Conclusions It was suggested for effectiv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in the future, expecting that it will be a useful tool for selecting and assisting maladaptive students in various areas of college life through effective standardization of preliminary measure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