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감(compassion)과 정서적 몰입 및 직무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오아라(Oh, Ahra),박경규(Park, Kyungkyu),용현주(Yong, Hyunju) 한국인사관리학회 2013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팀원들 간에 경험한 공감이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인식하고 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공감이 구성원의 심리적인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공감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정서적 몰입이 구성원의 직무성과(과업성과, 대인관계촉진, 직무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뿐만 아니라 공감이 정서적 몰입을 매개로 직무성과인 과업성과, 대인관계 촉진 및 직무헌신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감이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쳐서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모델을 제안하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기업체의 팀장과 그 팀원을 쌍(dyad)으로 선정하여 222쌍을 수집하였으며 이의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과 정서적 몰입 간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팀 구성원의 공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정서적 몰입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몰입과 직무성과 간에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적 몰입이 팀원의 과업성과, 대인관계 촉진 및 직무헌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셋째, 공감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논문은 공감이 정서적 몰입과 그 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조직차원에서 이에 대한 관리 및 지원적인 문화를 조성하도록 노력하는 한편 공감을 가진 리더 및 관리자를 양성하면서 구성원을 독려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본 연구는 공감이 조직에 대한 구성원의 긍정적인 태도 및 행동을 일으키는데 모티베이션 역할을 한다는 실증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sitive effect of experienced compassion among members on their psychological attitudes and behaviors. Compassion includes understanding feelings about suffering or gaining sympathy from others within a team and getting psychological and material assistance. Thus, we proposed that compassion influence on the process of employees' psychological attitude and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1) compassion has an influence on affective commitment;(2) affective commitment has an influence on the job performance(task performance, interpersonal facilitation, job dedication); and (3) affective commitment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employee’s job performance. 222 employees and their supervisors were participated to the study. Employees responded their perception of compassion and affective commitment, and their supervisors rated employees’ job performanc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hypothese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s. First, compass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affective commitment. In other words, the higher perception of compassion, the higher affective commitment. Second, affective commitment was positively associated to job performance. Specifically, affective commit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employees’ task performance, interpersonal facilitation and job dedication. Third, affective commitment was empiric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clude that the experienced compassion accompanied by specific actions through the emotional responses from others is a significant antecedent of affective commitment.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emphasizes importance of compassion in the organization, efforts to support compassionate culture and need of training compassionate leaders or managers to encourage members.

      • KCI등재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경력성장기회와 코칭리더십의 조절효과

        송미희(MiHee Song),정승철(SungCheol Ju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근로자의 경력몰입, 정서적 조직몰입, 경력성장기회 및 코칭리더십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경력몰입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경력몰입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와 코칭리더십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60대 대기업 집단(민단집단기준)에 재직하고 있는 다양한 직급과 연령의 근로자 33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몰입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력몰입과 정서적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경력몰입과 정서적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에 대한 코칭리더십의 조절된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뢰구간을 90%로 설정했을 때 경력몰입, 경력성장기회 및 코칭리더십의 삼원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 유의성 영역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경력몰입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조절변인으로서 경력성장기회가 근로자의 정서적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은 결론에서 다루었다.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growth opportunities and the moderated moderating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in the impact of career commitment on affective commitment. We gathered data surveying 334 office workers of various job positions in different type of large compan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career commi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growth opportunities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mitment and affective commitment. Third, the moderated moderating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a significance area was found in which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career commitment, career growth opportunities, and coaching leadership appeared at 90% confidence interval. In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career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for workers of large domestic companies. It also showed the possibility that career growth opportunities as a moderating variable can improve affective commitmen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신뢰와 만족이 정서적 몰입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계산적 몰입의 조절효과 -

        권태윤,박성규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0 마케팅논집 Vol.18 No.4

        몰입은 B2C 관계에서 많이 연구되는 변수 중의 하나이며, 연구자들은 고객충성도의 주된 선행변수로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충성도를 구축하는데 있어 은행서비스 상황에서 역할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몰입을 두 가지 구성 개념 즉 정서적 몰입과 계산적 몰입으로 구성한다. 본 논문은 신뢰와 만족은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정서적 몰입과 고객 충성도 간에 긍정적 관계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이전 연구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계산적 몰입을 조절변수로 포함하였다. 254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AMOS를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신뢰와 만족은 정서적 몰입의 중요한 선행변수로 파악되었으며, 정서적 몰입은 고객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적 몰입과 충성도 간의 관계에서 계산적 몰입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mitment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studied variables in relationship marketing and several researchers propose it is the main antecedent of customer loyal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calculative commitment in creating customer loyalty. Commitment is consist of two constructs(affective commitment and calculative commitment). This paper hypothesized that trust and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 affective commitment. Additionally this paper assumed a positive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on customer loyalty. Finally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paper include calculative commitment as moderator in our model. Data from a survey of 254 customers of banking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using AMOS program. Results in this paper indicate that Trust and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antecedents of affective commitment, and affective commitment positively influences customer loyalty. And the moderating role of calculative commitment was also support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offer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종업원-조직 간 사회적 교환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노윤,설현도 한국기업경영학회 2011 기업경영연구 Vol.18 No.2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employee perceptions of favorable job conditions affect affective commitment. The survey data are collected from 454employees in twelve organization, representing bank, distribution, game,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favorableness of job condition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ffective commitment. And intrinsic job condition exerted a significantly stronger influence on affective commitment than the other job conditions. Second, intrinsic, extrinsic and social job conditions were related to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nd social job conditions had a weaker influence on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han the other job conditions. Third,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was found to influence affective commitment. Forth,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favorable job conditions and affective commitment. The effects of both intrinsic and social job conditions on affective commitment were partially mediated, and the effect of social job condition on affective commitment was fully mediated by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he results suggest that favorable job conditions can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strengthening the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and organization, and be important antecedents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his study makes two important contribution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ribute to explain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the mechanisms through that the favorableness of job conditions influences affective commitment. Second, this study helps managers to understand the role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nd formulate the development strategy of affective commitment. Managers should foster favorable job conditions in terms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o develop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ecause the quality of employee-organization relationship determines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employees.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 대해 조사하는것이다. 454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직무환경의 호의성은 사회적 교환관계와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교환관계도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 교환관계는 직무환경의 호의성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교환관계는 내재적 직무환경과 사회적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부분 매개하고, 외재적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였다. 셋째, 세 가지직무환경의 호의성 모두가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내재적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교환관계에 대해서도 세가지 직무환경의 호의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종업원의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과정에서 사회적 교환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종업원-조직 간 사회적 교환관계형성에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가 이론과 실무적인 측면에서 제공하는 함의를 논의한다.

      • KCI등재

        소속 집단의 정서적 조직몰입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다수준 교차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성원(Choi, Sungwon),심희권(Shim, Heekwon)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24 아태경상저널 Vol.16 No.1

        조직과의 동일시 메커니즘 차원에서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UPB: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의 선행 변수로서 조직몰입이 폭넓게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사회적 교환 이론이 예측하는 조직몰입의 UPB 증가는 실증 연구에서 지지되지 않은 경우가 상당수 존재했다. 본 연구는 UPB와 정서적 조직몰입의 관계를 다수준 분석(multilevel analysis)을 통해 고찰함으로서 이러한 이론과 실증 연구 사이의 갭을 메꾸고자 시도하였다. 육군 19개 소대에서 현역 남성 용사 172명이 사전 설문과 사후 설문에 참여하였다. 구조모형 패키지 Mplus의 TWOLEVEL 분석을 활용해 다수준 교차 조절모형(cross-level moderation)을 테스트하였다. 분석 결과, 집단 수준의 정서적 조직몰입은 UPB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개인 수준의 정서적 조직몰입은 직접적으로는 UPB와 유의한 연관이 없었으나, 집단 수준의 정서 몰입에 의한 유의한 다수준 교차 조절효과가 존재하였다. 즉 집단적 정서몰입이 높은 소대에 속한 경우, 개인 수준의 정서 몰입은 UPB를 증가시켰다. 반면 집단적 정서 몰입이 낮은 소대에 속한 경우, 개인 수준의 정서 몰입은 UPB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적 조직몰입이 UPB에 끼치는 영향을 다수준 차원에서 규명함으로써 이론적 바탕에도 불구하고 기존 실증 연구들에서 불분명하였던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이에 조직 관리에 있어 정서적 조직몰입과 UPB의 함의와 실천적 시사에 대해 논의하였다. Under the lens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been extensively examined as an antecedent of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UPB). A substantial amount of literature, however, does not align with the social exchange prediction of increased UPB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aims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oretical expectations and empirical finding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PB and affective commitment through multilevel analysis. A total of 172 active-duty male soldiers from 19 army platoons participated in the pre- and post-survey. Using the TWOLEVEL analysis of the structural modeling package Mplus, a cross-level moderation model was tested to explore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revealed that group-level affective commitment of platoons significantly increased soldiers UPB. Although individual-level affective commitment showed no direct association with soldiers UPB, a significant cross-level moderation effect was found with group-level affective commitment. That is, when soldiers belong to platoons with high group-level affective commitment, their individual commitment increased UPB. Conversely, in platoons with low group-level affective commitment, individual commitment decreased UPB. These findings extend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UPB to multilevel perspectives, providing a clearer comprehen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addressing the gap in the existing research. The implications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of group-leve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UPB in organiz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절차적정당성 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몰입의 매개효과와LMX의 조절효과 및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홍선임,장선구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7 기업경영리뷰 Vol.8 No.3

        종업원의 절차적정당성 인식과 관련된 정서적몰입, LMX, 조직시민행동은 다양한 인과관계와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의 양상을 나타낸다. 그리고 여러 경험적 연구들은 일관성 있는 모델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절차적정당성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정서적몰입과 LMX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검증했다. 구체적으로, 정서적몰입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종업원의 절차적정당성 인식 수준이 정서적몰입을 거쳐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지 검증했다. 또한 절차적정당성 인식과 조직시민행동, 절차적정당성 인식과 정서적몰입의 관계에 대한 LMX의 조절효과를 검증했으며, 추가적으로 정서적몰입의 매개효과를 LMX가 조절하는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국내 일반 사무직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첫째, 절차적정당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서적몰입은 절차적정당성 인식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했다. 셋째, LMX는 절차적정당성 인식과 정서적몰입, 절차적정당성 인식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조절했다. 넷째, 절차적정당성 인식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LMX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 및 실무적 적용점을 논의하고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outcome variable and the mechanism of the process. Specifically, how the level of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effect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and affective commitmen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OCB. Furthermore, Leader-member exchange(LMX) would moderate that could enhance the effect strength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OCB, procedural justice and affective commitment. Especially, this study focus on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LMX in indirect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We surveyed 300 employees by online. Results supported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level of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effect to OCB and affective commitment was mediated procedural justice and OCB, significantly. Additionally, LMX moderated the relationship of procedural justice and OCB as well as procedural justice and affective commitment. Finally, this study supported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LMX in the indirect effect of procedural justice, affective commitment and OCB. We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지원적 조직환경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 연구

        제갈란(Jegal Lan),김학수(Kim Hack Soo)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7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지원적 조직환경인 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정서적 몰입에 대한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의 상호작용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조직구성원 22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첫째, 지원적 조직환경인 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은 정서적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적 몰입은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원적 조직환경인 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체적으로 보면 조직지원인식은 혁신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조직지원인식은 정서적 몰입을 통하여 혁신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사지원인식은 정서적 몰입을 통해서만 혁신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의 상호작용은 정서적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체적으로 보면 정서적 몰입에 대한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의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가 함의하는 경영학적 시사점과 함께,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affective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ive organizational environment, such a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and innovative behavior, and empirically analyze the interactiv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on affective commi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 of 221 employees. As a result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effect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It was found that affective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Also, it was found that affective commitment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and innovative behavior. Specificall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n indirec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he affective commitment. But,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only had an indirec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he affective commitment. Finally, it was found that interactiv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had a synergy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with the business administration implications implied by this analysis result.

      • KCI등재

        집단 이직과 정서적 몰입의 교차 지연 관계 : 협력적 분위기의 조절 역할

        조예슬(Yeseul Jo),김미정(Mijeong Kim),이동섭(Dongseop Lee) 한국인사조직학회 2022 인사조직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교차 지연 패널 설계를 활용하여 조직 수준의 정서적 몰입과 집단 이직, 협력적 조직 분위기의 관계를 고찰한다. 그간 이직에 관한 연구가 상당히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연구의 주된 초점은 떠나는 개인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조직을 떠나는 개인에게서 이직 후 남아있는 구성원 집단으로 관점을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이직 사건 이론에 근거하여 조직 차원에서 정서적 몰입과 집단 이직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고, 협력적 조직 분위기가 집단 이직의 조직 정서적 몰입에 대한 교차 지연 효과에 경계조건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가설 검증을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제공하는 인적자본기업패널의 네 시점에 걸친 기업 수준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몰입의 집단 이직에 대한 교차 지연 효과와 집단 이직의 정서적 몰입에 대한 교차 지연 효과 모두 조직 수준에서 부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자기 회귀 영향을 통제하고도 특정 시점의 집단 이직이 다음 시점의 조직 수준 정서적 몰입과 부적으로 연관되는 결과는, 집단 이직 발생 이후 남아있는 조직 구성원들이 집단으로 겪게 되는 부정적 태도 변화를 나타낸다. 둘째, 협력적 조직 분위기가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 이직과 정서적 몰입 간 교차 지연 효과를 각각 분석하였다. 정서적 몰입의 집단 이직에 대한 교차 지연 효과는 두 집단 모두에서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가설의 예측과 상응하게, 집단 이직의 정서적 몰입에 대한 부의 교차지연 효과는 협력적 조직 분위기가 높은 집단에서만 유의하였고, 효과의 집단 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 연구의 한계점을 논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Although prior research has documented relationships between employee attitudes and employee turnover over long periods, organizational stayers have not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in the turnover literature compared to organizational leavers. To address this oversight, we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affective commitment, collective turnover, and cooperative organizational climat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Building upon turnover event theory, we suggest the negativ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turnover and collective affective commitment. We further propose cooperative organizational climate as the boundary condition of the collective turnover-affective commitment relationship. We test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turnover and collective affective commitment using four waves of data involving 589 firms from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Consistent with our predictions, the results show that (a) the firm-level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turnover and affective commitment is reciprocally negative, and (b) cooperative climate operates as a boundary condition for the cross-lagged effects of collective turnover on collective affective commitment. Specifically, we find that the cross-lagged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turnover and affective commitment is significantly negative only when cooperative organizational climate is high (vs. low).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the critical role of cooperative climate in the subsequent processes of collective turnove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중국투자 한국기업의 상사의 리더십 행위가 자회사 현지종업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이홍희(Li, Hongji),한병섭(Han, Byoungsop),고일상(Ko, Ilsang)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5 디아스포라 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자회사 중국인 종업원을 대상으로 상사의 배려적(consideration) 리더십 행위와 과업중심적(initiating structure) 리더십 행위가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메이어·애런(Meyer & Allen)은 조직몰입을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의 세 가지 차원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학계에서도 조직몰입을 세 가지 차원으로 보고 있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는 중국인 종업원의 조직몰입을 정서적인 차원에서만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몰입을 정서적 몰입(affective commitment), 지속적 몰입(continuance commitment), 규범적 몰입(normative commitment)의 삼차원적 개념으로 보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에 필요한 자료는 설문지 형식으로 수집되었고, 연길, 천진, 북경, 상해, 청도, 위해 등 지역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자회사 중국인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최종 267부를 통계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배려적 리더십 행위는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업중심적 리더십 행위는 규범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제 변수인 연령, 민족, 근무기간이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배려적 리더십 행위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결과를 지지하였고, 또한 과업중심적 리더십 행위가 규범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about the leadership style on the effect of local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orean FDI subsidiaries in China. We desig ned independent variable to compose leadership style such as consideration leadership and initiating structure leadership. We also designed dependent variable to compose three dimens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such as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As a result, first, consideration leadership style has som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to the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bu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o normative commitment. second, initiating structure leadershipstyle has som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to the normative commitment, bu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o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 KCI등재

        국내 대기업 조직의 포용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개인 다양성 가치의 조절효과

        강효주,조인철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3

        With the active entry of female talent into society, the influx of talent from overseas, and the recruitment of employees for experienced positions, the importance of diversity management within organizations is gradually increasing. Along with the growing need for diversity management, there is an increased focus on inclusive leade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diversity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lusive leadership of leaders of large domestic corporations, and the affective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To this end, we analyz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inclusive leadership, affective commitment, and individual diversity value,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nd derived three hypothesis. First, we specifically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the affective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Second, we specifically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diversity value and affective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Third,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diversity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lusive leadership and the affective commitment. To facilitat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employees working for large domestic companies A and S. A and S corporations consider diversity and inclusion as important values and are preparing various measures to encourage these values in the workplace. As such, they were selected as suitable survey companies for this study and employees perceptions of inclusive leadership, affective commitment, and individual diversity value were measured. In addition, when measuring inclusive leadership, the direct top leaders perceived by the members were targeted. SPSS 29.0, AMOS 29.0 and PROCESS macro 4.0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to confirm the fit of the measurement model. In addition, the PROCESS macro control model (model 1) was used to analyze the control effect. Several important results were uncovered. First, inclusive leadership did no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Second, the individual diversity value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lusive leadership and the affective commitment of members has a moderating effect on individual diversity value.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ollow-up research suggestions were discussed. 여성 인재의 활발한 사회진출, 해외인재 및 경력직 채용 등 다양한 인재유입으로 조직 내 다양성 관리의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다양성 관리의 필요성 증가와 함께 포용적 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함께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대기업 조직 리더의 포용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개인 다양성 가치의 조절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포용적 리더십, 정서적 몰입, 개인 다양성 가치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확인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가설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포용적 리더십과 구성원 정서적 몰입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개인 다양성 가치와 구성원 정서적 몰입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포용적 리더십과 구성원 정서적 몰입과의 관계에서 개인 다양성 가치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대기업 A사와 S사에서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제조기업 A사와 S사는 다양성과 포용성을 중요한 가치로 생각하여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기에 본 연구의 적합한 조사대상 기업으로 선정하고 포용적 리더십, 정서적 몰입, 개인 다양성 가치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또한, 포용적 리더십 측정시에는 구성원의 직속 상위 리더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분석은 SPSS 29.0, AMOS 29.0 그리고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고,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조절효과 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 조절모형(model 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포용적 리더십은 정서적 조직몰입에 단독으로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둘째, 개인 다양성 가치는 구성원의 정서적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포용적 리더십과 구성원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개인 다양성 가치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 이론과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후속연구 제언을 함께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