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대기업 조직의 포용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개인 다양성 가치의 조절효과

        강효주,조인철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3

        With the active entry of female talent into society, the influx of talent from overseas, and the recruitment of employees for experienced positions, the importance of diversity management within organizations is gradually increasing. Along with the growing need for diversity management, there is an increased focus on inclusive leade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diversity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lusive leadership of leaders of large domestic corporations, and the affective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To this end, we analyz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inclusive leadership, affective commitment, and individual diversity value,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nd derived three hypothesis. First, we specifically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the affective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Second, we specifically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diversity value and affective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Third,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diversity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lusive leadership and the affective commitment. To facilitat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employees working for large domestic companies A and S. A and S corporations consider diversity and inclusion as important values and are preparing various measures to encourage these values in the workplace. As such, they were selected as suitable survey companies for this study and employees perceptions of inclusive leadership, affective commitment, and individual diversity value were measured. In addition, when measuring inclusive leadership, the direct top leaders perceived by the members were targeted. SPSS 29.0, AMOS 29.0 and PROCESS macro 4.0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to confirm the fit of the measurement model. In addition, the PROCESS macro control model (model 1) was used to analyze the control effect. Several important results were uncovered. First, inclusive leadership did no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Second, the individual diversity value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lusive leadership and the affective commitment of members has a moderating effect on individual diversity value.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ollow-up research suggestions were discussed. 여성 인재의 활발한 사회진출, 해외인재 및 경력직 채용 등 다양한 인재유입으로 조직 내 다양성 관리의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다양성 관리의 필요성 증가와 함께 포용적 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함께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대기업 조직 리더의 포용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개인 다양성 가치의 조절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포용적 리더십, 정서적 몰입, 개인 다양성 가치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확인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가설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포용적 리더십과 구성원 정서적 몰입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개인 다양성 가치와 구성원 정서적 몰입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포용적 리더십과 구성원 정서적 몰입과의 관계에서 개인 다양성 가치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대기업 A사와 S사에서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제조기업 A사와 S사는 다양성과 포용성을 중요한 가치로 생각하여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기에 본 연구의 적합한 조사대상 기업으로 선정하고 포용적 리더십, 정서적 몰입, 개인 다양성 가치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또한, 포용적 리더십 측정시에는 구성원의 직속 상위 리더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분석은 SPSS 29.0, AMOS 29.0 그리고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고,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조절효과 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 조절모형(model 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포용적 리더십은 정서적 조직몰입에 단독으로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둘째, 개인 다양성 가치는 구성원의 정서적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포용적 리더십과 구성원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개인 다양성 가치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 이론과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후속연구 제언을 함께 논의하였다.

      • KCI등재

        존 다브넌트의 인간의 자유 선택 이해

        강효주 한국개혁신학회 2020 한국개혁신학 Vol.65 No.-

        One of the hottest debates concerned the doctrine of the freedom of will during the life of John Davenant. Scholars, disputing the identity of John Davenant’s hypothetical universalism during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describe it as either forming a Proto-Amyraldian view or partaking of the tradition of Early Reformed Orthodoxy. The doctrine of free choi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his hypothetical universalism because his theological position, namely, Christ’s satisfaction is such if all believe all would be saved, can be differently interpreted, depending on what he meant by ‘if all believe’. Whether or not he really meant every unregenerated individual is capable to believe using his free choice is a significant issue.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distinctive feature of Davenant’s view on the doctrine of free choice. It begins with an assessment of Davenant’s works, demonstrating what he maintained regarding the nature of the human will. The study then investigates Davenant’s opinion concerning the regenerating work of the Holy Spirit in the will. It finishes by examining his view on the co-operation of the human will with the divine grace. After surveying these issues, we will discuss about the British delegation’s view at the Synod of Dort and the question as to whether Davenant’s view differed from John Cameron’s. These investigations lead us to conclude where he stood with regard to free choice in the context of the early modern Europe. 학자들이 17세기 초에 있었던 존 다브넌트의 소위 말하는 “가설적 보편구원론”의 정체성에 대해서 논하면서 그것을 아미랄두스 주의의 선구자적인 입장이라고 하거나 초기 정통 개혁 신학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고 논의하였다. 전자의 입장을 가진 학자들은 구속의 범위에 대한 다브넌트의 입장이 모이 아미로에 의해 대표되어 지는 아미랄두스 주의와 거의 흡사하다고 주장하였다. 자유 의지 교리에 대한 그의 이해는 다브넌트의 구속의 범위에 대한 입장을 이해하는데 있어서도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그가 주장하였던 “그리스도의 구속이란 모든 사람들이 믿는다면 그들 모두가 구원받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라는 신학적 개념은 “모든 사람들이 믿는다면”이라는 구절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그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만약 다브넌트가 모든 사람이 그들 자신의 자유 의지로 믿을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의 입장은 그 당시 항론파의 주장과 별 다를 바가 없다. 하지만 그의 입장이 하나님의 중생하는 능력으로 역사하지 않으시면 그들 스스로의 힘으로는 그리스도의 구속을 믿을 수 없다는 것이라면 17세기 초의 다른 정통 개혁 신학자들의 입장과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이 논문은 17세기 초의 유럽 교회 역사를 배경으로 다브넌트의 자유 의지에 관한 입장의 특징을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그의 저서들을 분석하면서 인간의 의지의 본성에 관하여 다브넌트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간의 의지에 성령께서 어떻게 중생의 사역을 하시는지 다브넌트의 입장을 조사한 후에,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협력(co-operation)에 관한 견해를 연구하였다. 이런 주제들에 대한 다브넌트의 생각을 살펴본 다음에, 도르트 총회에서 영국 총대들의 입장이 어떠했는지 생각해 보고 다브넌트의 자유의지에 관한 신학적 입장이 존 카메론의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결론은 자유의지에 관한 다브넌트의 생각이 카메론의 ‘가설적 보편구원론’과 다르고, 도르트 신경으로 표현된 17세기 초에 정통 개혁파 입장과 일관된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근대 신학의 정수』에 나타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구원의 확신 교리에 대한 해석

        강효주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19 갱신과 부흥 Vol.24 No.-

        이 논문은 에드워드 피셔의 『근대 신학의 정수』를 18세기 초의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총회에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1646년)에 근거하여 도덕률 폐기론을 주장하는 저서라고 정죄한 판결이 과연 신앙고백서를 올바르게 해석한 결과로 내려진 판단인지를 연구한다. 이 목적을 위해 채택한 접근법은 먼저 신율법주의의 풍조를 피하여 구원의 확신 교리를 성경적인 율법과 복음의 관계에 입각하여 적절하게 표현하려고 노력하였던 토머스 보스턴과 그의 동료들이 신앙고백서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총회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에드워드 피셔의 『근대 신학의 정수』의 내용을 신앙고백서의 관련된 부분과 비교하며 마로우 논쟁에서 대립되었던 구원의 확신 교리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어떤 것이었는지를 제안한다. 또한 피셔와 보스턴이 동의하였던 존 칼빈의 입장, 즉 확신이 믿음의 핵심적인 요소라는 교리가 신앙고백서의 내용과 대치되는 것인지 점검한다. 결론은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총회가 판단하였던 것과는 달리, 피셔와 보스턴은 도덕률 폐기론으로 치우쳐 있었던 것이 아니었고, 그들이 신앙고백서의 내용을 반대하고 종교개혁자들의 의견만 수용한 것이 아니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구원 얻는 믿음에 이르는 객관적인 구원의 확신과 주관적인 구원의 확신이 상호보완적이라고 이해하면서, 동시에 신율법주의와 도덕률 폐기론이라는 두 가지 오류들에 빠지지 않으려고 했다는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The Marrow of Modern Divinity is contrary to the Westminster standard concerning the doctrine of assurance. The Westminster Confession exposes, on the one hand, the Antinomian tendency which inclines to ignore the law of Christ as a rule of life, and on the other hand, the Neonomian defection which confines the freedom of the gospel with such restrictions and conditions as turned into a new law and reduces the comfort and assurance of salvation that believers are warranted to cherish. The author of The Marrow of Modern Divinity does not deny the necessity of the subjective assurance. He believes that the subjective assurance flows from the objective assurance, so the latter needs to be achieved first. Moreover, this article tries to discern whether the teaching of The Marrow differs from Antinomianism, namely, seeking the assurance of marks and signs without embracing Christ in saving faith. Having examined the most controversial doctrine mentioned during the Westminster Assembly and the Marrow controversy, it concludes The Marrow serves a useful purpose as a litmus paper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ntinomianism or Legalism concerning the doctrine of assurance and it is not contrary to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 KCI등재

        심층 신경망의 출력단 활성화 함수 Softmax에 대한 클록 글리치 기반 오류 주입 공격 및 대응책

        강효주,이영주,홍성우,하재철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4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8 No.3

        최근 DNN(Deep Neural Network)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요즘, DNN의 보안 요소를 위협하는 공격 방식들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DNN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활성화 함수는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출력을 생 성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이 함수에 대한 공격은 모델의 학습 및 예측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오분류 또는 오작동을 유발함으로써 모델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보안 위협에서 DNN의 활성화 함 수 중 출력단에서 사용되는 Softmax에 대한 오류 주입 공격이 가능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대응책을 제안하여 실제 대응이 가능한지 MNIST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결과적으로 오 류 주입 공격에 의해 데이터의 약 90%는 정상 동작을 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한 오류 주입 공격 대응책을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모든 데이터에 대한 오분류되는 것을 방어할 수 있었다. Nowadays, as Deep Neural Networks (DNNs) are used in various fields, the number of attack methods that threaten the security elements of DNN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activation function, one of the key elements of DNN, is an important part of processing input signals and generating output. Some attacks on this function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odel learning and prediction, and can also degrade the model performance by causing misclassification or malfunction. In this paper, we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that a fault injection attack on Softmax, one of the activation functions of DNN, is possible. Then, we propose countermeasures to deal with the attack and evaluate whether an actual counteraction is possible using the MNIST datase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pproximately 90% of the data did not operate normally due to the fault injection attack. Based on these results, we experimented that the proposed countermeasure was able to prevent misclassification of all data.

      • KCI등재

        개다래의 고요산혈증 개선 활성

        강효주,김유경,최진규,정성현 대한약학회 2003 약학회지 Vol.47 No.5

        Ethanol extract of Actinidia polygama Max. (AP) was examined for hypouricemic activity in potassium oxonateinduced hyperuricemic animal model. Ethanol extract of AP lowered the plasma uric acid level by 20% when compared to the hyperuricemic control group. AP ether fraction at a dose of 100 mg/kg showed 27% reduction, whose efficacy was comparable to the probenecid-treated group. AP ether fraction-treated group also showed 23% reduction of urate in urine and this result suggests that AP ether fraction has anti-gout activity probably due to xanthine oxidase inhibition.

      • KCI등재

        존 다브넌트(1572-1641)의 언약 신학 : 하나님의 언약과 구속의 범위의 관계를 중심으로

        강효주(Hyo Ju Ka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29 No.-

        존 다브넌트의 구속의 범위에 관한 입장은 일부 현대 신학자들에 의해서 아미랄두스 주의의 가설적 보편구원론(hypothetical universalism)의 선구자적 입장(proto-Amyraldianism)을 취하고 있다고 주장되어 왔다. 이 소논문은 아미랄두스 주의의 시조라고 할 수 있는 존 카메론과 다브넌트의 언약 신학을 비교하면서 다브넌트의 입장이 역사적인 문맥으로 볼 때 17세기 정통 개혁파 언약 신학의 발전과정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 그리고 과연 17세기 초반 당시의 “가설적 보편구원론자”의 입장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연구한다. 다브넌트는 이분론자(dichotomist)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고, 카메론은 삼분론자(trichotomist)의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다브넌트는 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의 연속성을 강조하였다. 다브넌트에게 옛 언약(old covenant)은 은혜 언약에 속해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카메론은 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의 불연속성을 강조하였다. 다브넌트와는 달리, 카메론은 자연 언약과 옛 언약(율법 언약)과 은혜 언약을 구별하였는데, 카메론의 율법 언약은 시내산 언약이 가지고 있는 은혜의 본질인 그리스도를 충분히 부각시키지 못했다. 반면에, 다브넌트는 하나님의 드러내신 뜻이 복음적인 언약에 따라 믿음이라는 조건을 가진 복음이 선포되는 것을 통해 나타나며, 동시에 그분의 비밀스러운 뜻은 하나님의 절대적인 언약에 근거하여 아무런 실패없이 택하신 자들을 구원하신다고 하면서 예정과 언약의 조화를 설명했다. 언약에 관한 카메론의 신학이 17세기 당시에 이단적인 생각은 아니었지만, 다브넌트의 언약 신학이 도르트 신조의 입장에 더 가깝다. This paper examines John Davenant’s view on the covenant of God in relation to the extent of the atonement. Some modern scholars have stated that John Davenant’s position on the extent of the atoning sacrifice of Christ was in line with Amyraldianism. In this paper, Davenant’s view on covenant is compared with John Cameron’s position which greatly influenced Amyraldianism. Davenant, like Cameron, maintained that there was an absolute covenant made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There is another covenant, which is conditional, made between God and humanity. For Davenant, there is a twofold covenant in the conditional covenant. One is the covenant of grace and the other is the covenant of nature. Davenant’s notion of the covenant of nature was equivalent to what was later known as the covenant of works. However, Cameron’s view on the conditional covenant was clearly distinct from Davenant’s. Cameron held to a threefold covenant when expounding the conditional covenant. Alongside the covenant of grace and the covenant of nature, he stressed the old (subservient) covenant. Davenant’s dichotomist view emphasied the continuity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whereas Cameron’s trichotomist stressed the discontinuity between the old and new testaments. For Davenant, the old covenant belongs to the covenant of grace, whereas Cameron distinguished the old covenant from both the covenant of nature and the covenant of grace. Although Cameron’s view on covenant was not heretical, Davenant’s position more firmly stands within the confessionalism of the Canons of Dort.

      • KCI등재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원열의의 관계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

        강효주(Kang, Hyo Joo),이효섭(Lee, Hyo Seop)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3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뉴노멀 시대에 직원열의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코로나로 인한 급격한 비대면 업무방식의 확대로 구성원들이 과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자기효능감을 발휘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직원열의를 강화할 수 있는 선행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잡크래프팅이 직원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팀장의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원열의의 관계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 직원열의, 잡크래프팅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확인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가설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원열의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잡크래프팅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셋째, 잡크래프팅과 직원열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원열의의 관계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제조업 A사의 260명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온라인)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은 직원열의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은 잡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잡크래프팅은 직원열의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원열의의 관계를 잡크래프팅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 이론과 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후속연구 제언을 함께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can increase employee engagement in the post-coronavirus new normal era. Due to the rapid expansion of non-contact working environments due to the Coronavirus,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the preceding factors that can reinforce employee engagement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for memb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asks or demonstrate self-efficacy.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ption of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and job crafting on employee engagement. Furthermore, it aimed to verify through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To this end,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nd hypotheses were derived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erception of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employee engagement and job crafting. The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of 260 employees of a domestic manufacturing company named 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irst found that the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crafting. Third, it was found that the job crafting had a positive (+)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Finally, it was found that job craft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ir significance, a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 초음파 내시경 영상의 특징 분석에 의한 점막하 종양의 진단 예측

        강효주(Hyo-Joo Kang),김미정(Mi-Jeong Kim),김광하(Gwang-Ha Kim),김광백(Kwang-Beak Kim)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9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9 No.2

        본 논문에서는 소화기내과 전문의가 객관적으로 질병을 분석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종양의 특징을 분석하여 결과를 수치화 하고 결과 수치를 기반으로 하여 질병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내시경 초음파 검사 시 획득한 영상에서 초음파 영역만을 추출한다. 소화기내과 전문의가 경험적으로 환자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기 때문에 각각의 영상은 촬영 환경에 따라 명암도 값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점을 동일한 조건으로 영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환경에 따라 변화가 적은 내시경 렌즈 영역을 추출하여 명암도를 표준화한다. 표준화된 초음파 영역에서 소화기내과 전문의가 분석에 필요한 종양 영역을 임의로 선택한다. 선택한 종양 영역의 명암도를 수치 및 시각적인 자료로 변환하여 소화기내과 전문의에게 제공하고, 퍼지 AR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질병을 분류한다. 실제 적용되고 있는 내시경 초음파 영상을 대상으로 종양 영역의 특징을 분석하고 질병을 분류한 결과, 제안한 방법이 소화기내과 전문의가 종양의 특징을 분석하고 객관적으로 질병을 분류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The Order of Divine Decrees in the Theology of John Davenant

        강효주(Hyo Ju Ka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1 갱신과 부흥 Vol.27 No.-

        이 소논문은 17세기 초에 도르트 총회에 영국 총대로 참석했던 존 다브넌트(John Davenant)의 하나님의 논리적인 작정의 순서에 대한 입장에 관한 연구이다. 이 신학적 주제에 대한 다브넌트의 입장은 그의 생애동안 한 번도 바뀌지 않았다. 특히 그가 참석했던 도르트 총회 전과 총회 기간동안, 그리고 총회 이후에도 그의 입장은 한결 같았다. 어떤 학자들은 다브넌트가 작정의 논리적인 순서에 대해서 아미랄두스 주의의 입장을 취했다고 주장한다. 이 소논문에서는 그 교리에 관한 다브넌트의 입장이 아미랄두스 주의(Amyraldianism)와 다르다는 것을 입증하려고 시도한다. 그것을 위해서 먼저 모이세 아미로(Moïse Amyraut)의 스승이었던 존 카메론(John Cameron)의 하나님의 작정의 논리적 순서에 대한 입장을 다브넌트의 입장과 비교, 대조함으로 구체적으로 무엇이 다른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다브넌트의 신학적 견해가 도르트 신조의 입장과 일치하는지 살펴본다. 작정의 논리적 순서에 관한 존 카메론의 입장이 다브넌트와 다른 점은 그리스도를 세상에 보내기로 한 작정이 택자들을 선택하는 작정보다 논리적으로 앞선다는 것이다. 다브넌트는 하나님의 작정이 단순히 구원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며, 하나님의 작정이 무산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믿었다. 작정의 논리적 순서에 관한 다브넌트의 입장은 성경에 드러난 우주적인 복음 선포에 근거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하나님의 작정의 논리적 순서에 관한 다브넌트의 입장은 아미랄두스 주의와 다르고, 도르트 신조의 내용과 충돌되지 않으며, 17세기 초의 정통 개혁주의 입장 중에서 타락 후 선택설(infralapsarianism)에 가깝다. This paper examines Davenant’s view on the order of the divine decrees. His view had not changed during his life. His view before the Synod of Dort, during the Synod, and after the Synod was consistent. Some modern scholars have stated that Davenant’s view on the order of the decrees was in line with Amyraut’s. In this paper, Davenant’s view is compared with Cameron’s position which influenced Amyraut’s view. Cameron’s view was clearly distinct from Davenant’s. This difference implies that Davenant held a non-Cameronian view on the order of the divine decrees. One critical point is that, unlike Davenant, the decree of sending Christ preceded the decree of choosing the elect in Cameron’s thought. Davenant believed that God’s decrees did not just make salvation possible nor were they frustrated. That is another significant point for making a distinction between Davenant’s and Cameron’s thought. Davenant’s view on the universal aspect of the divine decree was based on the universal proclamation of the Gospel which was revealed in Scripture. As such, though both Davenant and Cameron maintained a twofold predestination, the former differed from the latter. Davenant’s view on the order of the divine decree was closer to the Canons of D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