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남영준 한국문헌정보학회 2007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1 No.4

        To promote information service and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from the group categorized as the alienated class(group of people), this study suggests the basic concepts and strategy for the information services to alienated class who does not have full public library services. The paper classifies three separate groups of alienated groups, handicapped, poor(economically unfortunate group) and elderly group. The service shall consider their needs from their own point of concern and interests. There are three distinctive considerations, infra structure(facility building, space, place), administrative consideration, and equipments. Infra-structure includes the planning of the space to facilitate the equipments and reference materials which will be controlled and moderated by a librarian. Administrative service includes the development for the educational system between the end users and external experts. It also includes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system for each group. Material and equipment consideration should include the each group's specific needs such as the infra-structures which is provided for the handicapped person.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공공 도서관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해야할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정보서비스 확산을 위해 필요한 개념과 기본적인 정보서비스 전략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은 정보취약계층을 크게 장애인과 생활보호대상자, 노인 등으로 구분하여 각 계층의 특성을 고려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들을 위한 정보서비스는 시설적 배려와 제도적 배려, 기기적 배려로 구분할 수 있다. 시설적 배려는 Information Commons 전략에 따라 정보화 기기와 시설이 통합된 공간에서 참고사서에 의해 협업하는 공간의 배치를 고려한다. 제도적 배려는 도서관에서 이용자 교육과 외부 전문가와의 협업교육을 수행하고, 정보취약계층별에 따른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기기적 배려는 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기기수준과 같이 다른 정보취약계층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도서관통계에 나타난 정보취약계층의 지표 분석

        김홍렬 한국문헌정보학회 201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0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hanges in inputs and outputs for information-poor in public libraries to eliminate the digital divide. The survey and analysis was utilized indicators for the information-poor shown in library statistics. And through the analysis of statistical indicators, it examined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elements that each library are inputted to eliminating the digital divide. As a result, it revealed problems such as regression of facilities for the aged and disabled, continuous decrease in the number of special materials for disabled person, and reduction of service users and budget for information-poo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d to achieve the desired performance for eliminating the digital divide. it’s required the budget increase and strong policies for information-poor. 본 연구는 정보격차해소를 위하여 공공도서관에서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투입과 성과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조사와 분석은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투입과 성과의 양적인 상태를 가장 잘 알 수 있는 도서관 통계지표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도서관 통계지표의 분석을 통하여 정보격차해소를 위해 각 도서관이 투입하는 요소들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시설의 퇴보, 장애인용 특수자료 수의 지속적인 감소, 정보취약계층 서비스 이용자수의 감소, 전체 도서관 예산에서 차지하는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예산의 매우 적은 비율과 그 예산마저도 매년 감소하는 현상 등의 문제점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도서관통계에 나타난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지표들과 그 추이는 각종 관련 정책들과 공모사업들의 추진이 지식정보격차해소에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오지 못함을 보여주고 있다. 즉 정보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노력은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추진되고 있는 듯 보이나, 실질적인 예산의 투입이나 관련 정책의 추진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강력한 대책이 요구된다.

      • KCI등재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장영범(Young Bum J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1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기술은 개인의 정보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 하는 플랫폼으로 정착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매스미 디어와는 다른 개념으로서 2005년 이후에 웹 서비스의 핵심개념으로 떠오는 웹2.0이 표방하는 개방, 참여, 공유의 정신을 그대로 이어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정보의 확산과 공유가 활발해짐과 동시에 이러한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하기 힘든 계층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를 정보취약계층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 정보취약계층이 느끼는 정보 접근의 제한성을 디지털격차라고 하며 이 디지털 격차는 모바일 애플리케이 션이 확산되면서 더욱 극심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취약계층이 모바일 애플리케이 션을 좀더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존 논문과 단행본 등을 분석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에 필요한 일반적인 전략을 도출하였고 이 중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디자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및 전략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정보취 약계층이 사용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디자인할 때 인터페이스 디자인 전략,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전략, 정보 구조 전략, 사용자 경험 디자인 전략, 유니버설 디자인 전략 등 5가지의 디자인 전략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아야 하며 특히 최근 제공되고 있는 여러가지 부가 기능들 역시 정보취약계층의 정보접근성을 고려하여 디자인 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결과에 따라 앞으로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디자인할 때 활용하여 좀더 정보취약계층이 이용하기 편리하고 유용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The digital technology is to facilitate access information and was settled platform that provides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sharing of digital technology. The digital technology and existing mass media are different concept. Since 2005, web 2.0 which proposed openness, participation, and sharing is emerging the core concepts of web services. web2.0 was the successor to the digital technology. So the spread of information sharing has become active, but there are people who are hard to use services seamlessly. These people is called information alienated group. The spread of mobile services, the digital divide is getting more and more intense. This study aims to offer mobile applications design strategies for information alienated group. The research methods used analysis method of existing papers and books, and this study proposed mobile application design strategy for information alienated groups from general mobile application design strategy.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bile application design for information alienated group are required interface design strategy, communication design strategy, information architecture strategy, user experience design strategy, universal design strategy. In addition, several additional features should be designed by considering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alienated group.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 future when designing mobile application for information alienated group to take advantage of easy to use and more information alienated group will be able to create a useful application.

      • KCI등재

        정보인지 취약계층을 위한 일반의약품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접근성 사례연구

        김현정,이경미,김민수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9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8 No.1

        Background : Since the legislation has been passed to allow over-the-counter(OTC) medications to be sold in regular supermarkets outside of pharmacies in Korea,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OTC medication usage and consequent increase in the risks and safety issues. To resolve these issues,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persistently introducing ways to present appropriate information – technically or via design-based approaches. Nonetheless, there are very few studies that have assessed OTC medication applications for this vulnerable population. Therefore, our study aims to identify ways to improve OTC medication applications for this vulnerable population, via previous case studies that have assessed. Methods :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ase studies describing the services to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regarding medication in Korea. In addition, applications that were developed and used were further assessed for their user bas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used. Lastly, OTC medication applications for general people–excluding the applications for prescription drugs–were further analyzed for information browsing function and user interface. Result : Case studies from literature, describing the issues with utilization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medication in the vulnerable population, as well as ICT technology used in medications, were examined. Out of 22 domestically developed applications that provide information for medications, only 14 were determined to be usable by the general population. Among them, there were only 6 applications that included ICT technology for the vulnerable population, and merely 2 out of 6 applications that included ICT technology provided information regarding OTC medication – one of these was the KPIC application provided by the Korea Pharmaceutical Information Center and the other was PillScanner application provided by AITRICS. More specially, KPIC application – which includes the Voiceye barcode reading technology for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had an interface that did not consider accessibility of the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 Conclusion : Through a case study of 22 different domestic applications providing information for medication, assessments of user bas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used were made for each application. User interface of traditionally developed and used OTC medication applications for general population requires major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for the vulnerable population, in terms of accessibility and function/technology utilization. 연구배경 : 국내 일반의약품의 약국 외 슈퍼 판매 법안이 통과된 이후, 건강한 일반인 외 노약자, 어린이, 시각장애인 등의 정보 취약계층의 일반의약품 사용빈도와 의약품 안전사용 문제 및 위험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일반의약품 안전사용 문제해결을 위해 기술적, 디자인적 정보표시방안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정보이용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일반의약품 어플리케이션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으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일반의약품 정보이용과 관련한 어플리케이션 사례연구를 통해 정보이용 취약 계층을 위한 일반의약품 정보이용 어플리케이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진행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문헌조사를 통해 국내 의약품 정보서비스 연구사례들을 검토하고, 실제 개발, 사용되고 있는 국내 의약품 정보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 사례들을 조사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사용자, 사용기능, 사용기술 특성들을 분석, 검토한다. 그리고 전문의약품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일반인 사용의 일반의약품 어플리케이션만을 대상으로 정보이용 기능과 기술 특성 인터페이스 상황들을 구체적으로 분석 검토한다. 연구결과 : 문헌연구를 통해 정보인지 취약 계층의 의약품 정보 활용의 문제들과 의약품에 사용되고 있는 ICT 기술 사례들이 검토되었으며, 국내에서 개발한 총 22종의 의약품 어플리케이션 사례연구를 통해 일반인이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10종인 것으로 검토되었다. 그리고 14종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정보취약계층을 배려하여 ICT 기술이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은 불가 6종인 것으로 파악되었고, ICT 기술 포함 어플리케이션 중 일반의약품 관련 정보이용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2종으로 (재)약학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의약품검색’ 어플리케이션과 AITRICS에서 제공하는 PillScanner 어플리케이션인 것으로 검토되었다. 특히 2개의 어플리케이션 중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이스아이 바코드 리딩 기술이 포함되어 있는 KPIC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바코드 인식기술에 있어 시각장애인의 기술이용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은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국내 의약품 관련 어플리케이션 22종의 사례연구를 통해 어플리케이션별 사용자, 사용기능, 사용기술 특성들이 검토되었고,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인 대상의 일반의약품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는 노인이나 시각장애인 등의 (정보인지) 취약 계층에게는 어플리케이션 접근성 및 기능/기술 사용성의 개선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 KCI등재

        문헌정보학 분야 정보격차 연구동향 분석

        강인서,김혜진 한국정보관리학회 2020 정보관리학회지 Vol.37 No.2

        This study aim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digital divide’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this end, we coded research subjects with 11 subcategories, and research objectives with 4 subcategories, and research methods with 4 subcategories, and constructed keyword networks to which a pathfinder algorithm was appl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79.5% of studies are on the disabled,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elderly among information vulnerable groups, and it was found to be concentrated in specific groups. In addition, digital divide related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resolving information vulnerabilities such as people with disabilities. We also found that these studies focused o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by designing and applying treatments such as informatization education, information utilization, and reading programs. Lastly,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method in the digital divide was found to use case studies or questionnaires simultaneously with literature research.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에서 다뤄지는 정보격차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문헌정보학관련 4개 학술지에서 발행한 195편의 논문을 수집하고, 해당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대상(11개 하위 범주), 연구목적(4개 하위 범주), 연구방법(4개 하위 범주)로 코딩하였다. 이것을 저자 키워드와 함께 패스파인더 알고리즘을 적용한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취약계층(연구대상) 중 장애인, 다문화가정, 고령자에 대한 연구가 79.5%로 특정 계층에 집중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격차, 장애인,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다문화, 고령자 등에 대한 정보취약 실태와 해소방안을 목적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정보취약 해소효과, 정보취약의 영향요인을 목적으로 한 연구는 고령자, 독서치료, 정보화교육, 정보활용, 독서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보격차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함께 사례연구 또는 설문조사를 동시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정보취약계층의 정의와 속성에 관한 고찰

        윤정옥,곽동철,심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poor related 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help libraries and the related authorities understand better the information poor and develop strategies customized with the specific needs of various subgroups, by examining the definitions of major terms from laws, regulations and literatures. This study confirms that most of the information poor have more than one disadvantage, and each subgroup has its own uniqueness and diverse subgroups. It also emphasizes that librarie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ir uniqueness and multiple difficulties, and develop more user-centered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in order to resolve the information gap.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도서관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취약계층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도서관법』 및 유관 법령에서의 정보취약계층 관련 개념들의 정의, 이들과 관련된 국내외 관련 문헌 등을 조사하여,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정책 수립과 방향 설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노인, 농산어촌 주민으로 구성된 정보취약계층의 상당수가 중복된 취약성을 가지며, 각 하부집단의 고유성 및 소집단의 다양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도서관의 정보격차 해소에 대한 법적 책무를 재정비하고, 보다 발전적인 정보취약계층 대상 도서관 서비스 중장기 추진전략 수립을 위해 정보취약계층의 속성과 요구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며 심층적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영어자원문법을 활용한 신경망 기계번역의 데이터 증강과 성능 평가

        왕규현 ( Wang Guehyun ),송상헌 ( Song Sanghoun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1 언어와 정보 사회 Vol.42 No.-

        Machine translation commonly involves both analysis and generation across different human languages. This implies that parallel corpora of a large size are essential to create a theoretically reliable and practically robust translation model. However, as is well known, the parallel corpora between Korean and English are insufficient.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pands the data by means of English Resource Grammar (Flickinger 2000) to improve the translation model between the languages. Then, it looks at whether the neural machine translation model performs better with the augmented data. Unfortunately, it turns out the translation models based on augmented data exhibit rather lower BLEU scores. This study further discusses the reason for the unsatisfactory scores and raises the necessity of human evaluation as a next step.

      • KCI등재

        저소득계층의 정보불평등 해소를 위한 도서관서비스 관련 연구

        안인자,노영희,장로사 한국비블리아학회 201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저소득계층의 개념과 기준 및 유형에 관하여 살펴보고, 사례조사에 의해 저소득계층을 대상으로 한 국내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계층에게 필요한 새로운 도서관서비스로 저소득계층의 디지털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관련 프로그램의 시행과 저소득계층 성인 대상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취업 관련 프로그램 및 독서상담치료서비스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또한 저소득계층 대상 도서관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정책방안을 5가지로서 ① 도서관법에서의 저소득계층의 개념과 기준 및 유형에 대한 명확한 규정, ②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의 저소득계층 대상 도서관서비스의 강화, ③ 국가차원의 저소득계층 및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현황조사, ④ 저소득계층의 실제적인 특성 및 정보요구 파악, ⑤ 저소득계층의 다양한 유형별 맞춤형 도서관서비스 개발 및 운영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relevant literature to review the concept of low-income class, its criteria and types. Based on the cases surveyed, the service status of public libraries for low-income class in South Korea was determin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proposed new library services necessary for low-income class, such as the implementation of relevant programs aimed at resolving the digital information divide of low-income class, the introduction of employment programs for the self-economic-support for low-income class adults, and the introduction of reading and counseling therapy service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five policies for activating library services for the low-income class: ① To revise the act on library law so as to clarify the concept of low-income class, its criteria and types, ② to revise the master plan for library development so as to bolster the library services for low-income class, ③ to conduct a national-level survey of the low-income class status and of the library service status, ④ to determine the actual features of the low-income class and their information demands, and ⑤ to prepare library services tailored to the diverse types of low-income class.

      • KCI등재

        지능정보화 기본법의 문제점과 입법 제안

        이부하(LEE, Boo-Ha)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24 No.1

        ‘디지털포용’이란 “디지털취약계층을 포함한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디지털기술, 디지털서비스, 디지털제품에 동등하게 접근하고, 디지털기술 및 디지털역량을 습득하여 디지털기술과 디지털서비스로부터 도출되는 이익을 함께 향유하게 하는 정책”이라 정의할 수 있다. 디지털 포용정책의 수혜자는 디지털취약계층뿐만 아니라 국민과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된다. 디지털 포용정책에는 디지털역량, 디지털격차 해소, 디지털 접근성, 디지털기술 및 디지털서비스 개발 등이 있다. 「지능정보화 기본법」에서는 지능정보서비스 제공자가 그 서비스를 제공할 때 장애인·고령자 등의 접근과 이용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강제적 의무가 아닌 프로그램적 규정이기 때문에 이러한 노력을 하지 않았다고 법적 제재를 할 방법이 없다. 지능정보기기나 제품을 활용할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 지능정보제품이나 지능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지능정보기기나 제품을 활용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지능정보화 기본법」에서는 경제적, 지역적, 신체적 또는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유상 또는 무상으로 지능정보제품을 제공하는 금전적 지원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금전적 지원만으로는 정보 취약계층들의 정보 접근성이 실질적으로 보장되지 못한다. 차별없고 실질적인 정보 접근성 보장을 위해서는 디지털역량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사회의 모든 구성원의 디지털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법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디지털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디지털역량센터를 설치·운영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취약계층에게는 디지털역량교육을 위한 비용을 무료로 해야 한다. 중앙행정기관은 지방자치단체의 장과의 협의를 거쳐 지역주민의 디지털역량 향상을 위해 ‘디지털역량센터’를 지정·운영하여야 한다. 지역 단위의 디지털역량센터에서 사회의 모든 구성원에게 디지털역량 교육이 제공될 수 있도록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Digital Inclusion’ can be defined as “a policy that all members of society, including the digitally vulnerable, have equal access to digital technology, digital services, and digital products, acquire digital technology and digital capabilities, and enjoy the benefits derived from digital technology and digital services together”. Beneficiaries of the digital inclusion policy are not only the digitally vulnerable, but also the citizens and all members of society. Digital inclusion policies include digital competency, digital gap bridging, digital accessibility, digital technology and digital service development. The 「Framework Act on Intelligent Informatization」 stipulates the obligation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access and use of the handicapped and the elderly when intellig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ers provide the service. There is no way to impose legal sanctions for failing to make such efforts because it is a programmatic regulation rather than a mandatory obligation. Even if an intelligent information product or an intelligent information service is provided to a person who does not have the ability to use an intelligent information device or product, it is not possible to utilize or use the intelligent information device or product. In the 「Framework Act on Intelligent Informatization」, financial support is predominantly provided to the economic, regional, physical, or socially vulnerable groups with paid or free intelligent information products. Financial support alone does not substantially guarantee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to the vulnerable. Information competency education should be reinforced to ensure no discrimination and practical access to information.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must designate and operate a “digital competency training center” to improve the digital competencies of local residents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Legal grounds should be provided to ensure that digital competency education can be provided to all members of society at digital competency education centers at the regional level.

      • 스마트사회의 정보화역기능 -정보취약계층의 정보격차를 중심으로-

        신승춘 ( Seung Choon Shin ) 한국지역발전학회 2013 지역발전연구 Vol.13 No.1

        연구는 고도의 첨단기술과 대중적 문화양태가 함께 만들어 가고 있는 스마트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정보격차`` (Digital Divide) 또는 ``스마트양극화``(Smart Divide)의 실태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해소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히 정보취약계층이라 할 수 있는 사회적 약자의 정보격차에 초점을 두었다. 스마트사회가 진전될수록 정보불평등과 정보격차의 심화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소득수준이나 지식정도와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구성원들의 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스마트사회가 해결해야 할 최대의 정책과제가 되고 있다. 스마트사회의 사회적 통합(Social Inclusion)을 실현하는 차원에서 정보격차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회내 다양한 취약집단에게 ICT의 접근 및 활용기회를 확대하는 디지털통합(Digital Inclusion)적 정책투입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취약계층을 위한 정보화 교육기회 강화, 정보격차해소특별법 제정 및 맞춤형 요금제 등과 같은 제도적 기반, 정책적 지원, 편적 기술 및 제품의 개발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on the realities, problems, and the resolutions of the digital divide(or smart divide) in smart society.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digital divide of the information poor(information have-nots) those who are vulnerable the basic information needs.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more smart society progress, the more smart society makes information unequality and digital divide. Because digital divide appears in proportion to level and degree those who have income and knowledge. In conclusion, we must seek to diminish the digital divide to realize social inclusion So, it`s requring the digital inclusion to expand the opportunity of access and utilize leT to the information poor. Specially, policy inputs for the information poor are required below: reinforce of educational opportunity of information, enact special legislation to resolve information divide, introduce custom fitness fare system, and develop universal technology and products in connection with informatio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