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상옥 시조의 전통성과 시대정신

        이순희(Lee Soon-Hee) 한국시조학회 2011 시조학논총 Vol.34 No.-

        본고는 초정 김상옥 시인의 시조를 대상으로 작품 속에 내재된 전통성과 초기, 중기, 후기를 거치면서 그의 시조가 보여주었던 시대정신을 규명(糾明)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그는 우리의 민족시(民族詩)인 시조 속에 끊임없이 민족적 전통성을 불어넣었고 시대상황을 반영한 실험을 거듭하면서 그 형태와 내용을 변모시켰다. 그러한 과정을 밝히는 것은 국제화, 세계화 시대인 오늘날 한국시(韓國詩)가 세계무대에서 위상을 높이기 위해 갖추어야 할 자세와 지향점이 무엇인지를 찾을 수 있는 단초(端初)가 된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를 지닌다. 초정 김상옥 시인은 일제강점기와 민족의 비극인 6ㆍ25 사변을 거쳐 경제 부흥기, 민주화운동에 이르기까지 민족의 격동기를 살아오면서 전통적 소재인 한국의 자연물, 한국의 유적ㆍ유물 등을 향토어와 시조의 전통적 율격으로 잘 조탁하여 전통적 서정성과 더불어 선비정신을 불어넣음으로써 우리 민족의 얼인 전통성을 그의 작품 속에서 되살려 내어 민족성을 고양(高揚)시켰다. 초정 김상옥이 일본의 감시 속에서 주로 소재로 선택한 것은 한국의 자연물과 민족의 얼이 담긴 유적과 유물이었는데 특히 애정을 가졌던 것은 자기(磁器)였으며 그 자기(磁器)의 당당함에는 선비정신이 담겨 있다. 초기, 중기, 후기에 걸쳐 전통적 소재와 일체가 되거나 객관적 입장에서 시적 자아의 정서를 표출하는 전통적 서정성을 작품에 담았으며 향토어, 조어(造語)를 사용하여 전통적 서정성을 고조(高調)시켰다. 마지막으로 형식면에서 그는 초기, 중기, 후기에 걸쳐 시조의 형식적 실험을 거듭 했지만 그 구심점은 언제나 전통적 율격에 두었다. 전통성을 고수하면서 열린 시 형식으로 시대정신을 담으면서 변모를 추구했는데 초기 시조집 초적에서 초정 김상옥은 그리움이 대부분인 제한된 소재 선택, 회화적 이미지 기법, 정형화된 율격을 보여주어 민족혼을 일깨우는 방법으로 ‘국권회복운동’이라는 시대정신을 드러냈다. 중기 시조인 삼행시육십오편에서는 소재선택의 확장, 추상적 이미지 선택, 형식 실험을 통한 삼행시라는 넓은 의미의 시조 형식을 제시함으로써 복잡다단한 시대정신을 담았으며 ‘산업화’라는 시대상황의 뒤안길에서 잘못 생성된 전통적 가치의 붕괴는 작품을 통해 바로잡고자 했던 민족애가 그의 시대정신이었다. 후기 시조느티나무의 말에서 초정 김상옥은 관조적 이미지 추구를 위해 탈의미적으로 소재를 인식하고 선택했으며 형식면에서 다양한 형태미학을 추구했다. ‘민주화운동’ 과 ‘무원칙 다변화’의 시대사상을 초월적ㆍ관조적 세계로 바라봄으로써 시대상황에 대한 공감이나 반발을 뛰어넘어 이 두 가지를 한꺼번에 수용하고 녹여내어 한 시대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인식태도를 우회적(迂廻的)으로 제시하여 그의 시대정신을 표출했다. 초정 김상옥은 격동기의 한국 역사를 겪어오면서 그의 작품 세계를 통해 때로는 시대정신에 공감하기도 하고 때로는 반발, 포용하기도 했다. 아무튼 그러한 자세(姿勢) 모두가 그 시대를 살아가가면서 그가 민족애를 위해 취할 수 있는 최선의 시대 반응이었다. 초정 김상옥이 우리의 민족시 시조를 통해 전통성(傳統性)과 시대정신(時代精神)에 따른 현대성(現代性)을 동시에 추구한 것은 시대의 변화 속에서 우리 민족의 정수(精髓)를 지키면서 유연하게 시조를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explore by dividing the national traditionality, and the spirit of the times, which were reflected in line with the changing period, into the early days, the middle years, and the late period, which are buried in the foundation of《Chojeok》,《Samhaengsiyuksipopyeon(三行詩六十五篇)》,《Zelkova's Word》, which are the sijo collection in the poet Chojeong Kim Sang-ok. The poet Chojeong Kim Sang-ok had transfigured with reflecting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e middle of continuously following the national traditionality amid his works in the period that the national traditionality could have been lost at the slightest slip while passing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repeated historical turbulent era since then. As a result, with reaching today that is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sijo established stature available for standing for national poem. Through the repeated experiment in a form and content, it suggested possibility of sijo that modern sijo poets, who proceed with living in modern times and who may appear in the future, can approach in diverse forms. Based on it, the foothold was arranged that can go on the world stage fairly as the national poem that satisfies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at the same time and has universality and identity.

      • KCI등재

        한국적 전통성의 재해석을 통한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발 사례 연구- ESSE 로얄팰리스 중심으로 -

        서연아,신상윤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4

        Today, the tobacco market is rapidly changing due to fierce competition with multinational companies, and accordingly, the role of tobacco packages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a marketing tool.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design concept extraction process through the case of cigarette package design development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 and to consider the package design process and process so that the Esse Royal Palace can solidify the highest-priced premium cigarette image with luxuriousness. In carrying out the renewal of the Esse Royal Palace brand, the package design reflecting the re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visual and structural problems of the existing brand were analyzed through a survey. Each design motif was proposed based on the concept derived based on the survey, and a design was proposed based on the final 'dragon' motif. According to a comparative survey of how the renewal package design has changed from the existing design to the sensibility, aesthetics, differentiation, traditionality, and premium image, the design applying a re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ity was higher in all categories except for traditionality than the previous design. Compared to previous designs that have only emphasized traditionality to emphasize premium, renewed designs are more suitable through satisfying consumers' needs and deriving design concepts. In presenting the direction of cigarette package design, it is believed that the desired purpose can be achieved when design results through discriminatory concepts and accurate targeting are released in the market,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오늘날 담배 시장은 다국적 기업과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급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담배 패키지의 역할은 마케팅 수단으로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연구목적은 한국적 전통성의 재해석을 통한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발 사례를 통해 디자인 컨셉 추출 과정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에쎄 로얄팰리스가 고급스러움으로 최고가 프리미엄 담배 이미지를 굳힐 수 있도록 패키지디자인 과정과 프로세스의 고찰이다. 에쎄 로얄팰리스 브랜드 리뉴얼을 진행함에 있어 한국적 전통성의 재해석을 반영한 패키지디자인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기존 브랜드의 시각적, 구조적 문제점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소비자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도출된 컨셉을 바탕으로 각 디자인 모티프를 제안하였고 최종 ‘용’ 모티프를 기반으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리뉴얼 후 패키지디자인을 기존 디자인과 감성, 심미성, 차별성, 전통성, 프리미엄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비교 조사한 결과 한국적 전통성의 재해석을 적용한 디자인이 이전 디자인보다 전통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전 디자인이 프리미엄을 강조하기 위해 전통성만을 강조해왔던 것에 비해 소비자의 니즈 충족과 디자인 컨셉 도출을 통해 리뉴얼된 디자인이 더 적합하다는 결과로 나타났다. 담배 패키지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함에 있어서도 차별적 컨셉과 정확한 타겟팅을 통한 디자인 결과물이 시장에 출시될 경우에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지속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국 현대 주거공간에 반영된 전통성 표현 연구 -1990년대 이후 전통성이 표현된 단독주택공간을 중심으로-

        이영원 ( Youngwon Lee ),윤성호 ( Sungho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4

        (연구배경 및 목적)조형성과 기능을 강조하는 현대 주거건축에 반해 전통 주거건축은 자연과 건축, 건축과 인간이 소통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내·외부의 조화, 사람과 자연의 소통이 이루어졌던 한국 전통주거공간에 주목할 이유이다. 이러한 주거건축에서 전통성의 가치는 1990년대부터 여러 작가들의 작품 활동으로 인해 보다 많은 관심이 일어났다. 전통 주거건축의 가치를 재조명하게 되었고, 그 가치와 특성을 주거공간에 부여함으로써 서구식 주거의 단점을 보완한 현대주거공간을 계획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전통주거공간의 형태를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닌 구성 원리와 의도를 이해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계획하는 것이다. 한국인에게 적합한 주거문화 형성을 위하여 현대 주거건축에서의 전통성 표현의 경향과 변화를 파악하고자한다.(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전통의 개념을 알아보고, 주거공간의 일반적 특징을 사회적 배경, 배치, 평면, 입면, 구조, 재료, 환경조절로 나누어 고찰한다. 앞서 고찰한 전통 주거건축의 특징을 바탕으로 전통성이 표현된 현대 주거공간의 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현대주거공간에 적용되어진 전통주거의 현대적 해석과 적용가치에 대하여 타당성을 부여한다. (결과) 대부분이 마당 중심의 평면으로 마당을 감싸는 형태의 배치를 하고 있으며, 전통주거공간의 채 분화로 이해 할 수 있는 건물매스의 분절과 결합 양상이 많이 나타나 시각의 변화가 다양하게 일어나는 사이공간이 자연스럽게 생겨났다. 또한 내·외부를 연결하는 방식과 동선이 전통요소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현대 주거건축에서는 자연과의 관계를 고려한 공간 구성방식이나 개념적인 측면을 적용하는 시도가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현대주거공간에서의 전통성 표현경향과 변화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앞서 고찰한 전통주거공간의 특징을 통해 현대적 의미를 모색하고, 그 해석에 따른 사례지 분석을 하였다. 자연과의 관계를 고려한 전통공간의 구성방식이나 개념적인 측면을 적용하는 시도와 변화는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이는 주거환경과 전통에 대한 가치회복이라 할 수 있다. 현 시대에 맞게 전통을 재해석하여 우리나라만의 독자적인 미래 주거환경으로 가꾸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design h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architecture and humans. However, contemporary residential design has emphasized more values at form and function. The combin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nature inherent in 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design has led to its ongoing attention from scholars. The reassessment of traditional dwelling designs attracted increased focus from 1990, with a number of new projects and architects who aimed to refocus the value of traditional residential construction. Active discussions have taken place on how contemporary residential spaces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Western housing by providing values and attributes that directly complement the living space. Not imitating Korean traditional structures.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 principles and intentions of traditional housing and plans to reinterpret these in a modern style, along with the formation of suitable residential culture for Koreans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within traditional representations of housing today. It also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patterns that evolve according to modern living spaces, and the continuation and transformation of tradition. (Method) This study identifies the features of traditional residential architectur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onsiders the features of such architecture in terms of background, place, plan, elevation, structure, materials, and environmental contro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residential architecture, we also analyze the case of modern living spaces. (Results) Most of the center plane of the yard which are in the form of arrangement surrounding the yard, appeared a lot of segments, combined with aspects of the building mass that can be understood by differentiation of the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while the space between that various changes in time occurring naturally arose. Similarly, copper used to connect the internal to external space on modern housing has been changed by actively introducing traditional elements. Contemporary dwelling projects also emphasize aspects and methods of spatial configuration that consider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architecture. (Conclusion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rends and changes in the traditional compared to contemporary living spaces, and explores modern structures through a prior review by the traditional features of residential spaces, and an analysis of case studies. The changes in housing can be seen to be intended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recover traditional values.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identity should be reinterpreted to generate indigenous residential environments.

      • 부하의 정서적 안정성,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지각, 직장 내 일탈행동의 관계: 전통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황성주(Sungjoo Hwang),전병준(Byung-June Chun) 한국경영학회 2019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8

        본 연구는 부하의 성격특성과 더불어 부하가 지각하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전통성, 직장내 일탈행동 간의 동태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부하의 정서적 안정성과 직장 내 일탈행동의 관계에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지각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고,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지각과 직장 내 일탈행동의 관계에서 전통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부하의 정서적 안정성과 직장 내 일탈행동의 관계에서 나타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지각의 매개효과가 전통성에 의해 조절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직장인 43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실증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하의 정서적 안정성과 직장 내 일탈행동의 사이에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지각은 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둘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지각과 직장 내 일탈행동간의 관계는 전통성이 조절하고 있었다. 셋째, 부하의 정서적 안정성이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지각을 경유하여 직장 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전통성에 의해 조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하의 정서적 안정성이 직장 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와 더불어 그 과정에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지각과 부하의 전통성의 역할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직 내 부정적 행동을 관리하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에서 전통성 구현 전략과 단지외부공간의 활성화 방안 연구 : 동탄(2)신도시 커뮤니티 시범단지 마스터플랜 현상설계안을 중심으로

        박훈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1

        현대사회에서 주거단지의 설계에 있어 커뮤니티의 문제는 지속적인 단지계획의 문제로 제기되어 왔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지속적으로 논의 되어왔다. 일찍부터 건축적 측면에서는 전통성의 구현에 대해 지속적 관심을 가져왔던 반면 도시 및 단지계획 측면에서는 이와 같은 요구는 지속되었으나 소극적인 계획양상에 머물러 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동탄(2) 신도시 커뮤니티 시범단지 마스터를랜 현상설계안의 분석을 통해 전통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단지계획에서 요구되는 각 요소의 적용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통적 공간의 구현은 길과 마당의 공간으로 전략화 될 수 있으며, 이는 각각 마을 바깥길, 마을안길(고샅), 마을 샛길, 마을 뒷길, 그리고 마을 어귀마당, 마을 바깥마당, 마을 안마당으로 세분화 하여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요소는 부대복리시설, 사랑채의 커뮤니티시설과 텃밭, 놀이터, 체육시설, 정자, 마을 상징물, 담장(용벽), 개불(수로)등을 포함하는 외부공간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결과로 첫째, 전통성의 적용에 있어 직접적, 은유적 적용 등 요소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현대사회의 생활패턴 변화와 전통과의 적절한 관계 해석을 통한 적용이 필요하다. 셋째, 실제 적용과적에서 계획가가 제안한 개념에 대해 적극적인 반영의 의지가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전략을 통해 도시 및 단지차원의 전통성 구현에 대한 적극적 방안 모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일본 현대주택에 나타난 전통성 표현경향에 관한 연구

        한지만(Han Ji-Man),이정미(Lee Jeong-Mee)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9

        In Korea, the discussion on the traditionality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was started in 1970’s, and various study have lasted until now. But the most result of the precedent study were focused on the exterior space, shape and materials rather than interior space. The residential type of Korea was rapidly changed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In Japan, by accepting western architecture, the existing house was rapidly changed during the Meiji era(1868-1912), and western style house was in fashion. Although, they, who discussed on the traditionality from 1910’s, succeeded in globalizing their architecture by modernizing the traditional elements of Japanese architecture. But, the contemporary house of Korea, still stay in the modern expression, which are concentrated in shape and materials.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tendency of traditionality in Japanese contemporary detached house was analyzed. The result of it will be used as the reference for the study on the expression method of traditionality in the contemporary house of Korea.

      • KCI등재

        성경적 관점에서 전통성과 현대성의 재해석

        최명철,서문교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8 로고스경영연구 Vol.16 No.1

        This paper sought to examine the values of tradition and modern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ible . Confucianism is the ideology and values that have led Korean society in the past. However religion and values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modern Korean society are Christian consciousnes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Kore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se values. And it seems to be meaningful to examin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values and the Bible. In this paper, we divide the values into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to examin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with the Bible. The concepts of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developed by Yang(1993) and Farh et al(1997) are analyzed, and the connectivity with Bible verses is searched. As a results of the searches, Tradition has been reinterpreted as biblical contents like following instructions in senior and respect leaders' decisions, concept that delegates the power of decision-making to the leader and respects the boss. Modernity was reinterpreted as biblical contents like criticizing the leader or conduct free discussion, the process of self-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expected to provide a basic database on the understanding of religion and Korean value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논문은 유교의 오륜 등에 바탕을 둔 가치관인 전통성과 서양의 개인주의와 평등의식을 반영한 가치관인 현대성이라는 가치관을 성경적 관점에서 검토하고 관련성을 찾고자 하였다. 과거 한국사회를 이끌어왔던 사상적 이념 및 가치관은 유교이지만, 현대 한국사회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종교 및 가치관은 기독교와 서구식 평등의식이다. 따라서 과거의 한국사회와 현재의 한국사회를 이해하려면 이들 가치관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며, 삼자 간의 연결성 및 차이점과 유사점을 알아보는 것 또한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논문은 가치관을 유교적 및 보수적 가치에 중점을 둔 전통성과 서구식 평등의식 등에 중점을 둔 현대성으로 나누어 성경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연결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전통성과 현대성에 대한 개념은 Yang(1993) 및 Farh et al(1997)이 개발한 틀을 가지고 분석하며, 성경 구절과의 연결성을 탐색하였다. 탐색결과 전통성의 경우 상급자의 지시를 따르고 지도자의 결정을 존중하는 모습, 리더에게 의사결정의 권한을 위임하고 윗사람을 존경하면서 공경하는 등의 개념들이 성경과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성의 경우 지도자에 대해 비판을 하거나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 개인을 학습시키는 행위, 개혁의 필요성을 인식해 의견을 주장하고 기존에 있던 모습에서 벗어나 자신을 개발하기 위해 학습 및 경력을 만들어 가는 과정들이 성경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듯 본 연구의 결과는 종교성과 한국적 가치관 이해에 대한 기초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음은 물론, 앞으로의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호텔 객실에서의 전통성 표현에 관한 연구

        송규만(Song, Kyu Man),이지영(Lee, Ji You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1 No.2

        This study focuses on comparative study of the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ity’ in Asian hotel guest rooms. Hotel can be a concentration of the country"s culture and tradition and provide unique experience to guests through its space, decoration, and material. However, most hotels in Korea are lack of a strong identity based on the Korean culture and tradition, due to adoptation of the western hotel styles without any critic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methods of the traditionality in Asian hotel guest rooms to provide design guideline to enhance identity of hotel guest rooms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the previous researches, criteria of the three design application methods and the five design elements were defined to analyze the representation of the traditonality. Design application methods were categorized as “Original form”, “Partial adoption”, and “Metaphor”. Five design elements include “Shape”, “Material”, “Color”, “Object”, and “Pattern”. Thirty nine Asian hotels containing the traditional design elements were explored in the study. In result, design application methods in Korea used all three methods equally, while other Asian countries used mainly the Partial adoption and Metaphor methods to express their traditions rather than the Original form method. All five deign elements were mostly used in case of the Original form methods, and two or three elements among five elements were used for the Partial adoption and Metaphor methods. The traditional representation of hotel guest rooms in Korea, reflecting current thinking, living pattern and culture, will be a solution for the new hotel design as well as elevation of Korea’s status to a higher level.

      • KCI등재

        중국회화 미학의 형신론을 기반으로 중국과 한국의 주거 건축의 전통성 표현에 관한 비교 연구 -장영화와 승효상의 주거 건축을 중심으로-

        현걸,김남효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회화 미학의 관점에 따라 장영화 건축가와 승효상 건축가의 주거 건축 작품에서 전통의 형태적, 내용적 적용 방식과 표현 방법을 분석하고 중국회화 미학에서 형신에 대한 논의를토대로 두 건축가가 주거 건축설계에서 무엇을 더욱 중시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장영화와 승효상의 건축 작품 중 전통성이 반영된 주거 건축작품을 각각 3개씩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장영화와 승효상의 건축이론을 살펴보고 건축 미학에서의 형식미학과 내용 미학에 대해 알아본다. 이를 통하여 건축의 형적 요소 및 신적 요소를도출한다. 둘째, 형신의 기원 및 발전과정과 중국회화 미학에서 형과 신의 관계를 살펴보고 형신 관계의 특징을 도출한다. 셋째, 분석 방법과 분석기준을 설정하고 분석의 틀을 도출한다. 넷째, 중국회화미학의 관점에 따라 장영화와 승효상의 주거 건축 작품을 비교 분석한다. 분석 결과, 두 건축가 모두주거 건축 설계과정에서 전통의 형적 요소보다 신적 요소를 더욱 중시하고 형태적 모방 보다는 전통의 내면적 특징을 활용하여 현대적 건축에서 전통성을 표현하였다. 동양의 미학과 이론이 중시되는 시대적 상황에서 본 연구가 전통의 계승 방법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하면서 현대주거 건축에서 전통성의 표현 방법 및 적용 방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현대의 주거 건축에서전통성의 표현은 그 표면에 나타나는 형태적 요소에만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전통의 내면적 특징을 바탕으로 전통성을 구현해야 하며, 전통의 형태를 추구하여 전통 주거 건축을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전통 주거 건축의 특징을 해석하여 자신만의 방식으로 표현해야 한다. 다시 말해 전통성의표현 과정에서 중형보다는 중신, 즉 형태보다는 내용을 더욱 중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高麗時代佛敎香爐의 傳統性과 獨創性

        李溶振 동악미술사학회 2012 東岳美術史學 Vol.0 No.13

        고려시대 불교향로는 전통성과 독창성이라는 두 가지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 두 가지 성격은 상반되는 속성일 수도 있지만 전통을 바탕으로 독창성이 발휘되는 것도 있고, 고려인들만의 창조적인 독창성이 표현된 것도 확인할 수 있다. 고려시대 불교향로 중에는 통일신라부터 사용된 기형을 그대로 계승하여 고려화 한 것과 통일신라시대의 향로를 바탕으로 발전시킨 향로가 있다. 고려시대의 獅子鎭柄香爐가 전자에 해당하고, 香이 후자에 해당한다. 통일신라시대의 기형을 그대로 계승한 獅子鎭柄香爐는 제작기법과 사자의 모습 등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시기는 12세기에서 13세기경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불교향로인 香은 통일신라의 불교향로를 바탕으로 점진적인 변화와 발전 속에서 완성된 것이고, 조선으로 계승되어 또 다른 전통이 되었다. 고려시대 불교향로의 독창성은 懸爐와 香에 은입사 된 문양을 통해 볼 수 있다. 懸爐는 柄香爐와 居香爐와는 다르게 경전적인 근거가 없는 고려인들의 독창성이 발현된 것으로 彌陀會와 같은 특정의례에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시대 靑銅銀入絲香에 나타나는 문양은 단계적으로 체계를 갖추었고, 1218년 제작된 貞祐6年社福寺銘청동은입사향완에 이르러 고려시대 청동은입사향완의 문양이 완성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梵字를 장엄하기 위해 사용된 如意頭文의 원권은 고려시대 靑銅銀入絲香의 가장 특징적인 문양일 뿐만 아니라 고려와 조선시대의 靑銅銀入絲香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양식적 지표이다. 梵字를 香에 은입사 하는 것은 고려만의 독창적인 것일 뿐만 아니라 梵字는 뜻을 이루기도 하지만 최상의 찬탄어구로 이루어진 것도 있었고, 元代불교의 경향을 반영한 것도 있었다. 또한 고려시대 청동은입사향완의 범자가 高麗大藏經의 悉曇字를 근간으로 했던 것을 서체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고려시대 불교향로에 보이는 전통성과 독자성은 통일신라 향로의 계승과 조선시대 향로를 연결하는 중요한 성격으로 판단된다. 또한 동시기 주변국의 불교향로에서는 볼 수 없는 가장 불교적이고 한국적 불교향로를 완성했다는 점에서 독창적이라 할 수 있다.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traditionality and originality, in Buddhist incense burners of Goryeo period. Of all incense burners in Goryeo period, what inherited incense burner of Unified Silla period is the incense burner with having lion weight. What developed incense burner on the basis of Unified Silla period is Hwangwan. The incense burner with having lion weight of Goryeo period was changed in technique and appearance of lion between 12th and 13th century. Hwangwan representing Goryeo incense burner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Buddhist incense burner of Unified Silla, and Hwangwan succeeded by the Joseon became another tradition. The originality of the Buddhist incense burners of Goryeo period is the Hyeonro(hanging incense burner) and silver inlaid pattern on the Hwangwan. The Hyeonro(hanging incense burner) that has no scriptures basis is to show the originality of Goryeo’s people. Also this incense burner was used Amitabha ritual ceremony. The round frame of Ruyi head pattern for decorating Sanskrit characters is not only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silver inlaid Hwangwan of Goryeo period but also the stylistic indicator to distinguish period between Goryeo and Joseon. Silver inlaid pattern on the Hwangwan was equipped with the pattern system step by step. Silver inlaid Hwangwan with inscription Saboksa temple made in 1218 the first work equipped with the completed pattern system. Silver inlaid sanskrit characters on Hwangwan is the creative representation technique. There are four characteristics in sanskrit characters on silver inlaid Hwangwan such as om. ma n.i pad me hu -m. , a om. hri-h. hu-m., a a- am. ah, and admiration phrase. In addition the font of silver inlaid sanskrit characters on Hwangwan is on the basis of Tripitaka Koreana. The traditionality and originality of the Buddhist incense burners of Goryeo period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connecting Unified Silla and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