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어 전치사의 삽입모음 연구

        이성민(Sungmin Lee)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4 동유럽발칸연구 Vol.38 No.4

        러시아어에서 자음으로 끝나는 전치사들은 자음군으로 시작하는 후행 단어와 결합하는 일부 경우에 역사적으로 전치사가 보유하고 있던 약화모음 jer가 후행어의 음절 구조에 따라 탈락하거나 실현되는 유형을 보여준다. 러시아어 접두사와 전치사는 형태-통사적으로 동일하다고 평가되었다. 많은 경우 접두사와 전치사는 동음어이고 역사적으로도 동일한 기원에서 유래하며, 다수의 음운 규칙의 적용 결과가 동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그 실현유형이 고정되어 있는 접두사의 약화모음과 달리 전치사의 약화모음의 실현 여부는 심하게 동요되고 있으며 따라서 접두사와 전치사를 형태 음운적으로는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가 점차 생겨나고 있다. 최근의 연구들은 접두사와 전치사의 차이에 초점을 맞추어 접두사에서의 jer실현 여부는 후행 음절의 jer 보유 여부에 의해 결정되는 반면, 전치사에서의 jer는 후행 음절의 jer의 존재가 아닌 음소배열 제약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러시아어 전치사를 단음절 전치사 'v', 's', 'k'에만 한정시킴으로써 그 외의 전치사들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는가의 문제점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podo mnoj', 'podo l'dom', 'izo rta' 등의 어결합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그 자체로 음절을 형성하고 있는 전치사들 역시 일부 자음군 앞에서 /o/가 부가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것은 최근의 연구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처럼 단순히 두음의 음소배열 제약에 의해서는 설명될 수 없는 문제이다. 전치사가 약화모음이 아닌 기저적인 완전 모음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전치사의 마지막 자음과 후행 단어의 첫 자음군은 종성을 형성하게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러시아어의 전치사와 접두사는 동일한 것이라는 관점을 배경으로 이를 최적성 이론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는 단일 자음 전치사나 접두사뿐만 아니라 전체 전치사, 접두사의 틀에서 나타나는 jer 실현 문제를 일관되게 설명할 수 있다. In Russian, there are some cases in which prepositions consisted of single consonants such as 'v', 'k', 's' insert a vowel /o/ when they are followed by a word starting with a cluster. Recent studies of Russian phonological structure relate such phonological phenomena to an alternation vowel~zero of a reduced vowel jer, originally possessed by Old Slavic prepositions. Preposition and prefix in Russian are considered to be morpho-syntactically identical, since they are homophonous and have a common historical origin. However, nowadays, many of researchers suggest that preposition should be considered morpho-phonologically different from prefix, since preposition shows inconsistent types of realization of its reduced vowel, contrary to the case of prefix. Recent studies rather focus on the difference between prefix and preposition and explain that jer realization in prefix depends on the existence of jer in the following syllable while that in preposition is decided by phonotactics constraints. However, these studies have a limit on their range, which only includes monosyllable prepositions 'v', 's', 'k', and are doubted whether they can be applied to other prepositions as well. For instance, as it is shown in the cases of 'podo mnoj', 'podo l'dom', 'izo rta', syllable-formed prepositions may realize /o/ before certain clusters. And such cases cannot be explained by phonotactics constraints of onset alone, in contrast with the claims of recent studies, since each preposition has a vowel (an underlying full vowel, not a reduced vowel) and therefore enables its last consonant to form a coda with the first consonant(s) of following word. Moreover, inm Russian, there appear several counterexamples and inconsistent cases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has its base on the perspective that views prefix and preposition identical and analyzes them with Derivational Optimality Theory(DOT). Such an approach would explain the jer realization in the scope of all prepositions and prefixes besides single-consonant ones.

      • KCI등재

        루마니아어 전치사의 구조와 시간-공간 관계 표현 양상

        엄태현(Oum, Tae-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중국연구소 2005 동유럽발칸연구 Vol.14 No.1

        동사와 명사구 사이의 통사적 또는 의미적 관계를 보여주는 표지로 영어에서와 같이 전치사의 역할이 강조 되는 언어가 있는가 하면 한국어에서처럼 전치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루마니아어에서처럼 일부 경 우 전치사와 격( )어미 변화가 병용되는 경우도 있다. 루마니아어에서는 수사 등의 격 변화를 통한 의미 표 현이 어려운 경우 전치사를 사용하지만 소유격(Genitiv), 여격(Dative), 목적격(Acuzativ) 등을 표시할 때의 일부 경우에 양자가 혼용되기도 한다. 이것은 개인별, 텍스트 종류별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간편한 글쓰기를 추구하는 최근의 추세 역시 전치사의 사용을 선호하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루마니아어에서 전치사 는 형식적인 면에서 크게 주 전치사와 보조 전치사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주 전치사는 다시 단순 전치사와 복 합 전치사로 나뉘어 질 수 있다. 단순 전치사는 한 단어로 이루어진 전치사이며 복합 전치사는 2개 또는 3개 의 단어로 이루어진 전치사이다. 보조 전치사는 대부분 품사 전환을 통해서 만들어진다. 여러 다른 단어들과 복합적으로 만들어진 전치사구도 전치사의 역할을 담당한다. 루마니아어에서는 공간적 관계를 나타내는 전치 사가 이와 유사한 의미로 시간적 관계를 나타내는 사용되기도 한다. 이때 단순 전치사와 복합 전치사간에 있 어서 의미상 또는 통사 규칙상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Preposition could function as an instrument of showing syntactic and semantical relations. In case of English the role of preposition to express this relation between verb and noun phrase at deep structure is very active. Also in case of Romanian, the role of preposition is very important. But Romanian has another instrument of expressing casual relations, which is declension of articles, nouns and adjectives etc. So in many cases of expressing causal relations in Romanian, the instruments, i.e. preposition and declension of articles are staying at the synonym situations. This possibility of substitution between two instruments could be a maker for showing functional stylistics or individual stylistics. So field research on this subject by means of making a small corpus after styles or texts would be a very valuable works for evaluating dynamic aspects of Romanian writings. Romanian prepositions could be divided, from the view point of forms, as Principal Prepositions, Auxiliary Prepositions and Prepositional Phase. Principal Prepositions could be divided, as a sub category of Principal Preposition, into Simple Preposition and Complex Preposition. Complex Preposition is consist of Prime Preposition and Second Preposition. Contemporary Romanian language has 3 active Prime Preposition, i. e. de, pe, până. It is easily expected that, also from other languages, many prepositions which have a spacial concept are used for expressing temporal concepts. In case of Romanian preposition, which are fully researched on this paper, this is true. It comes from the fact that temporal concepts are hard to be recognized than spacial concepts. The main influent factor is existence of visual image from the spacial concept on which human being is mainly dependent for recognition and for further interpretation. Prepositions of expressing spacial and temporal concepts are used a little bit different from the phrases with a little diverse meanings.

      • KCI등재

        러시아어 전치사 У의 의미 구조와 접두사 У-의 파생 특성: 전치사 У의 원형 의미와 접두사 У-의 동사 파생 가능성

        김연수 ( Youn Soo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5 슬라브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러시아어 전치사 у의 의미구조와 동사 접두사 у-의 파생 특성을 분석한다. 전치사 у가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실현하지만, 그것이 내적으로는 어떤 단일한 의미 개념을 가지며, 이 심층적이고 추상적인 원형 의미로부터 다양한 문맥적 의미들이 파생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에서 출발하여 인지언어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전치사의 원형 의미를 찾고, 이 원형적 의미가 어떻게 은유적으로 확장되어 문맥에서 다양한 의미를 실현하는 것인지 설명한다. 전통적으로 전치사 у가 표현하는 의미를 크게 공간 의미와 소유 의미의 두 가지로 분류한다. 러시아어에서 고유의 소유 관계는 소유접미사 -ин, -ов/-ев, 소유형용사 어미 -ий, 명사의 생격에 의해 표현된다(мамин дом ``엄마의 집``, отцов дом ``아버지의 집``, лисий хвост``여우 꼬리``, дом брата ``형의 집`` 등). 이러한 소유관계는 객체가 누구의 것인지를 묻는 질문(Чей это дом?)에 대한 답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у가 사용되는 소유 구문은 고유의 소유 관계와는 다소 다르다. "У меня есть деньги"는 돈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표현하는 문장으로, 누구의 돈인지에 대해 묻는 질문의 답이 될 수 없다. 즉, [у X(gen) Y] 구문으로 표현되는 소유 의미는 본유적 소유라기 보다는 어떤 인물과 그의 존재 영역 내에 위치하는 한 요소간의 관계가 소유 관계로 특화되는 것이다. [у X(gen) Y] 구조에서 전치사 у가 지시하는 공간은 X와 Y의 비접촉 인접성을 기반으로 하는 구체적인 지각 공간과 추상적인 인지 공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 구체적인 지각 대상물의 존재 공간과 추상적인 인지 대상물의 존재 공간과 연관지을 수 있다. 그리고 두 경우 모두 ``관찰자``의 시선이 전치사 у 사용 가능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전치사 у의 의미는 ``비접촉 공간적 인접성``이며, 이 의미의 은유적 확장을 통하여 문맥에서 다양한 의미를 표현한다. 보다 엄밀히 말해, 전치사 у의 원형적 의미는 어떤 사람이나 사물 혹은 그 속성의 존재-위치 공간이 관찰자의 평상적인 자세의 시야 범위 내에 있음을 나타낸다. 전치사 у와 동사파생 접두사 у-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у(-)의 기본적인 의미는 비접촉 ``인접성``에 있다. 둘째, у(-)가 지시하는 공간은 정태적이다. 셋째, у(-)의 활용에는 ``관찰자`` 개념이 개입된다. 전치사 у의 이러한 원형적 의미는 발생적으로 전치사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동형의 동사 파생접두사 у-의 파생 특성을 잘 설명해준다. 직접적인 의미이든 전이된 의미이든 у- 파생이 가능한 경우는 전치사 у의 의미가 그대로 실현되거나 은유적 확장을 통해 실현되는 경우이다. 반면, 전치사 у의 의미를 실현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접두사 у-를 사용한 파생이 제한적이다. This study aims to account a semantic analysis of the Russian preposition U and the verbal prefix U-. The Russian preposition U realizes various meanings in sentences. But it has a internal abstract prototypical meaning. In traditional approaches, preposition U has two basic meanings : spatial meaning and possessive meaning. But, possessive construction with preposition U is different from typical possessive construction with possessive suffixes -in,-ov/-ev, -ij (ex. mamin dom ``Mom``s house``, otcov dom ``father``s house``) and construction with genitive noun (ex. dom brata ``brother``s house``). These constructions answer the question ``Whoes house is this?``. But the construction [U X(genitive) Y] such as a sentence U menja est`` den``gi (``I have money.``) cannot answer the question ``Whoes money is it?``. The possessive construction with U expresses relationship between a person and a element located within his existence domain. In this construction prepositon U means ``non-contact spatial adjacency``, and realizes various meaning in sentenses through metaphorical meaning extension. The prototypical meaning of Russian preposition U is summarized as follows.

      • KCI등재

        스페인어 전치사 por와 para 연구 및 교수학습 제안

        양승관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2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23 No.2

        One of the challenges that students are facing in the process of learning Spanish is the use of prepositions, por and para. Both prepositions are very similar, so they pose some problems for Korean students when learning Spanish. Most of the manuals and Spanish grammar textbooks do not, in fact, provide a clear and practical solution regarding the problems that the trainees face in Spanish class. The explanations are limited to an overview of prepositions and their general uses. Moreover, these manuals and grammar textbooks do not show any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positions, por and para. Therefore, Korean students may be confused in the use of both prepositions. In other words, most manuals and Spanish grammar textbooks do not handle the difficuties Korean students have when using the prepositions, por and par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educational activities focused on form so that students can make clear distinctions between por and para, and then, research the acquisition of prepositions through the explicit teaching methods of grammar. 한국인 학습자들이 스페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어려운 문법적 사항들 중 하나가 전치사이다. 특히, 전치사 por와 para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치사를 습득하기 어려운 이유는 모국어인 한국어에 전치사에 상응하는 형태가 없고 따라서 그 형태나 개념에 잘 주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접하게 되는 국내외 스페인어 기본 문법서에 나타난 전치사 관련 설명이 명확하지 않아 실제 교실 수업에서 학습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대부분의 교재들은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법을 따르고 있어서 형태 중심의 문법적 설명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페인어 전치사들 중에서 특히 한국인 학습자들이 혼란을 겪고 있는 por와 para의 습득 문제와 형태 중심의 교수 효과에 대해 조사해 보려고 한다. 학습자들이 전치사용법에 주의 집중하는데 있어서 형태에 근거한 학습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전치사 por와 para 사이의 차이를 학습자들이 명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교육적인 활동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스페인어 전치사 교수에 문법적인 지도를 하는 것이 언어 습득에 효과적인지의 문제, 그리고 어떻게 학습자들에게 문법 교수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해 보겠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의미 중심의 교수법과 형태 중심의 교수법에 대해 살펴보겠다. 두 번째로, 국내외 교재에 나타난 전치사 por와 para의 설명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겠다. 세 번째로, 형태에 근거한 전치사 por와 para의 교수 내용 및 절차에 대해 제안해 보겠다. 네 번째로, 형태 중심의 스페인어 전치사 교수 전후 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해 보겠다.

      • KCI등재

        주제문 내 전치사구 삭제와 보류 현상의 중국제 방언에서의 실현 양상

        정혜인 한국중국언어학회 2022 중국언어연구 Vol.- No.100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의 여러 방언에서 보이는 전치사 좌초 회피 전략에 대해 고찰하였다. 중국어 11종 방언에서의 주제문 내 전치사 좌초 회피 전략의 사용 양상은 아래의 특징을 보였다. 1. 조사된 모든 방언에서 전치사의 목적어가 주제화 될 경우, 전치사 좌초 (preposition-stranding)는 허용되지 않았다. 2. 조사된 모든 방언에서 주제문 내 전치사 좌초 회피 전략으로 전치사구 삭제 전략과 전치사구 보류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3. 조사된 모든 방언의 주제문 내에서 사용된 전치사 회피 전략으로 전치사구 삭제 전략만을 사용하거나 전치사구 보류 전략만을 사용한 방언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두 가지 전략을 모두 사용하고 있었다. 4. 고찰된 방언에서 전치사에 따라 사용되는 전략은 일정한 규칙성을 갖고 있었다. 즉 중국 여러 방언에서의 주제문 내 전치사 좌초 회피 현상은 자의적이고 무질서한 언어 현상이 아니라 전치사의 어법의미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규칙성이 비교적 뚜렷한 현상인 것이다.

      • KCI등재

        한국인 독일어 학습자의 전치사 관련 오류

        전경재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3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33 No.-

        In syntaktischer Hinsicht zeichnen sich die deutschen Präpositionendadurch aus, dass sie an der Bildung von Präpositionalphrasen sowohlmit unterschiedlichen Satzgliedfunktionen als auch mit Attributfunktionbeteiligt sind. Und in semantischer Hinsicht dienen die deutschenPräpositionen dazu, Relationen zwischen Wörtern, Wortgruppen oderSätzen zu begründen und semantisch zu spezifizieren. Im Deutschen spielen die Präpositionen eine so gewichtige Rolle,wohingegen die koreanische Sprache nicht einmal den BegriffPräposition kennt. Aus diesem Grund stellt das richtige Verstehen derdeutschen Präpositionen koreanische Deutschlerner besonders in derAnfangsphase vor große Schwierigkeiten. Hieraus resultiert, dass sich derGebrauch der deutschen Präpositionen für sie als eine erheblicheFehlerquelle erweist. Die durch die deutschen Präpositionen bedingten Fehler koreanischerDeutschlerner sind in verschiedene Typen zu unterteilen. Davon wurdein der vorliegenden Studie auf drei Fehlertypen eingegangen. Beimersten Typ handelt es sich um die falsche Verwendung vonWechselpräpositionen, d. h. Präpositionen mit dem Dativ und demAkkusativ, Präpositionen in Prä- und Poststellung sowie komplexenPräpositionen. Bei den zwei anderen Fehlertypen geht es um dieregelwidrige Besetzung der Präpositionalobjektstelle entweder mit einem Dativ- oder mit einem Akkusativobjekt. 이상에서 독일어를 배우는 한국 학생들이 독일어 전치사와 관련해서 범하는 여러 오류 유형 중에서 세 경우에 대해 살펴보았다. 맨먼저 세 종류의 독일어 전치사, 즉 제3격/제4격 지배 전치사, 후치 가능전치사, 복합 전치사에 있어서, 학생들이 쓴 것이 왜 오류인가를 기술하고, 앞으로는 학생들이 그런 오류들을 범하지 않도록, 각 종류 별로 관련된 전문 정보를 제공했다. 이어서 어떤 전치사격 지배 독일어 동사에 상응하는 한국어 동사가 ‘...에게’ 혹은 ‘...에’를 요구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해당 동사를 사용해서 문장을 만들 때 전치사구 대신 제3격을 쓰는 오류를, ‘...에게’의 경우와 ‘...에’의 경우로 나누어 자세히 논의하면서, 그런 오류를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여러 방안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한국어 상응표현이 ‘...을’을 요구하는 전치사격 지배 독일어 동사가 술어(의 일부)인 문장을 만들 때, 제4격 목적어를 전치사격 목적어가 와야 할 자리에 두는 오류가 얼마나 다양하게 발생하는지를 꼼꼼히 살펴보고, 그런 오류를 피할 수 있는 대책을제안했다. 이미 서두에서 언급한 것처럼, 한국어에는 전치사라는 품사가 없는반면, 독일어에서는 전치사가 통사적으로나 의미론상으로나 핵심적인역할을 하고, 아주 광범위하게 많이 쓰이기 때문에, 독일어를 배우는한국 학생들이 독일어 문장을 만들 때, 전치사로 인해 비문법적인 문장을 생성하는 경우가 빈번할 수밖에 없는 것 같다. 본고의 논의를통해 한국 학생들이 독일어 전치사와 관련하여 자신들이 범하는 오류의 성격과 원인을 명확히 인식하고, 독일어 전치사 사용에 관한 정확하고 풍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면, 본고는 소임을 다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The Historical Changes of Russian Prepositions and an Analysis of Their Semantic Systems

        엄순천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6 No.1

        본 논문의 목적은 러시아어 전치사의 역사적 변천과정 및 의미체계 분석을통해 언어 체계와 언어 단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언어내외적 현상들뿐만아니라 러시아어 언중의 인지체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한 시도였다. 러시아어 전치사의 역사는 전치사의 내적 확장이 주로 이루어진 고대부터 17세기까지와 전치사의 외연 확장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18세기 이후로 나눌 수있다. 러시아어 전치사의 의미는 문법의미와 어휘의미의 이중체계로 되어 있다. 문법의미는 통사 층위에서 어휘 간의 관계지시이고 어휘의미는 전치사에 의해연결되는 어휘들 간의 공간, 시간, 인과관계 등의 관계지시다. 러시아어 전치사의 어휘의미는 ‘범주의미⇒하위범주의미⇒그룹의미⇒하위그룹의미⇒개별의미’의 계층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러시아어 전치사는 다의어와 동음이의어를 가질수 있는데 그 과정은 다른 내용어들과는 다소 차별적이며 개별 전치사에 따라서도 변별적이다. 또한 러시아어 전치사는 유의어와 반의어를 가질 수 있는데 전치사의 유의어와 반의어는 동일한 하위범주, 그룹, 하위그룹에 포함된 전치사중에서 찾아야 한다. 단의어 전치사는 유의어와 반의어도 하나의 그룹에만 속하지만 다의어 전치사는 여러 유의어와 반의어 그룹에 속할 수 있다.

      • KCI등재

        이탈리아어의 기능범주와 통사구조

        조성윤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19 이탈리아어문학 Vol.0 No.56

        많은 언어학자들은 문장을 통사론적으로 어휘범주(lexical category)와 기능범주(functional category)로 구분한다. 어휘범주는 개방적 부류(open classes)로 굴절과 파생을 통해 다수의 개체수를 갖고 있으며, 범주 자체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반면 기능범주는 폐쇄적 부류로(closed classes) 어떠한 어휘적 변화가 일어나지 않으며 제한된 개체수를 갖고 있고 범주 자체가 어떠한 의미를 내포하지 않고 오직 문법적인 기능만을 갖는 성질이 있다. 어휘범주가 갖는 개방적 부류의 특성으로 인한 다수의 개체 수 보유 및 범주 자체가 지니고 있는 의미적 기능을 전치사에 부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첫째로 전치사는 개방적 부류라기보다는 굴절과 파생을 겪지 않고 불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다른 품사에 비해 제한된 개체수를 갖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어휘범주는 개방적 부류(open classes)로 굴절과 파생을 통해 다수의 개체수를 갖고 있으며, 범주 자체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반면 기능범주는 폐쇄적 부류로(closed classes) 어떠한 어휘적 변화가 일어나지 않으며 제한된 개체수를 갖고 있고 범주 자체가 어떠한 의미를 내포하지 않고 오직 문법적인 기능만을 갖고 있다. 실제로 영어에는 약 50개의 단순 전치사(Simple P)만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탈리아어도 마찬가지로 a, di, per, su, in 등 다른 어휘범주의 품사들에 비해 극히 제한적인 개체 수를 갖는다. 또 다른 근거로는 다양한 언어에서 단순 전치사와 명사와의 결합으로 복합전치사구가 구성된다는 점이다. 전치사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부류(class)로 나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단순전치사(simple P)와 복합전치사(comlexP)로 나뉘며 영어의 of, to, for, at 등이 전자에 속하고 in front of나 in back of, above, below, next to, near 등이 후자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Svenonius(2012)는 복합전치사는 단순전치사와 또 다른 기능투사구에 속하는 front, back, -hind, -low등이 결합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Koopman(2000, 2010) 또한 단순전치사는 대명사나 한정사처럼 기능핵 범주에 속하며 격 부여를 위한 보충어(complemento)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보충어는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구나 함께 복합 전치사구를 만들 수 있는 front나 back과 같은 명사가 올 수도 있다. 또한 Koopman은 단순전치사가 다른 기능핵인 한정사와 결합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전치사가 기능범주에 속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어휘범주와 기능범주에 속하는 이탈리아어 요소들을 살펴보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전치사를 비교 연구하여 전치사가 기능범주적인 성격을 갖는다고 상정하고 그것이 갖는 통사구조를 살펴보겠다. 특히 기능범주의 투사계층구조를 살펴봄으로써, 전치사가 어휘범주가 아닌 기능범주에 속하는 문법 요소임을 밝히고자한다. Questo studio ha lo scopo di configurare la catetoria funzionale in italiano all'interno della struttura sintattica. Numerosi linguistici recenti hanno studiato sull’esistenza di molteplici livelli di proiezioni funzionali in una proiezione (ad es., lo split DP di Abney(1987), lo split IP di Pollock(1989), e lo split CP di Rizzi(1997)). Basandomi sulle analisi di Kayne(1994), Svenonius(2010, 2012), Cinque(2010), Koopman(2000) ho cercato di mostrare la categoria funzionale in italiano e la sua sintassi. Osservando la limitazione delle preposizioni di categoria funzionale che non possiedono le caratteristiche di variabilità o derivazione delle parole, ho cercato di specificare le categorie lessicali e funzionali. Inoltre ho proposto che i PP possano possedere una struttura articolata di proiezione funzionale. Adottando un approccio cartografico e l’ipotesi dell’Antisimmetria di Kayne(1994), ho tentato di distinguere i diversi livelli di proiezione funzionali nei DP e PP spaziali. Ho cercato di mostrare l'esistenza delle P funzionali selezionati PP come loro complementi.

      • KCI등재

        관계절 내 전치사구 삭제와 보류 현상의 중국어 제 방언에서의 실현 양상

        정혜인 한국중국어문학회 2019 中國文學 Vol.101 No.-

        Focused on not allowing preposition-stranding in the relative clauses of Chinese languages, the study demonstrated the strategies for avoiding prepositional stranding in the relative clause of Chinese dialects. Based on the 28 Chinese dialects researched, the following features were found. 1. When the object of a preposition is relativised, preposition-straining was not permitted in the researched dialects. 2. Deletion and retention of preposition structure was used as a strategy for avoiding prepositionstranding in the researched dialects. 3. There were no dialects which only use deletion of preposition structure or retention of preposition structure in the researched dialects. 4. In all the dialects investigated, each of the two strategies(deletion strategy and retention strategy of preposition structure) was used to avoid preposition-stranding. 5. The strategies which were used according to prepositions in the researched dialects had a certain regularity. The fifth characteristic reveals that the usage of two strategies in Chinese dialects is not a random or disorderly phenomenon, but a phenomenon of regularity, which can be explained. Finally, the strategy for avoiding preposition-stranding according to prepositions in each dialect revealed the semantic hierarchy of prepositions. This was consistent with semantic hierarchy of oblique in the Noun phrase accessibility hierarchy which was suggested in 정혜인 (2015). 본고에서는 중국어 방언에서 보이는 관계절에서의 전치사 좌초 회피 현상과 사용 전략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사된 중국어의 여러 방언에서 전치사의 목적어가 관계화 될 경우 전치사 좌초(preposition-stranding)는 허용되지 않았으며, 전치사 좌초 회피 전략으로 전치사구 삭제 전략과 전치사구 보류 전략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들 방언에서 전치사에 따라 사용되는 전략은 유표성의 위계를 지녔는데, 이러한 전치사 좌초 회피 전략의 유표성에 근거해 전치사의 어법의미의 유표성 위계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