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재학파 성리학의 지역적 전개 양상과 사상적 특성

        이상호(李相昊)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5 No.-

        조선성리학파는 크게 기호학파와 영남학파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19세기 조선성리학파에 이르게 되면 성리설의 내용으로 볼 때 사실상위와 같은 구분은 크게 의미가 없게 되며, 독자적인 연원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그 중심 인물에 따라 학파를 구분해 보면 여러 학파로 분류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학파로는 정재학파定齋學派ㆍ화서학파華西學派ㆍ노사학파蘆沙學派ㆍ한주학파寒洲學派ㆍ간재학파艮齋學派 등을 꼽을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이들 중심 학파 중 간재학파의 연원과 형성, 사상적 특성 등을 살펴봄으로써 19세기 조선성리학파의 한 단면을 엿보고 그 의미를 논하고자 한다. 간재艮齋 전우田愚(1841~1922)는 율곡栗谷 이이李珥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을 잇는 기호학파의 전통을 계승하여 조선성리학의 마지막을 장식한 대표적 인물이다. 전우의 성리설性理說은 그 사상적 특징으로 볼 때 김창협으로부터 이어지는 낙론계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전우의 성리설 전개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첫째는 조선성리학을 새롭게 정립하려고 했던 인물들 즉 화서 이항로ㆍ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ㆍ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의 성리설을 율곡 이이 이후의 전통적 기호학파의 입장에서 비판하는 것이었으며, 둘째는 ‘심본성心本性’ㆍ‘성존심비性尊心卑’ㆍ‘성사심제性師心弟’ 등으로 대표되는 자기 설의 정립이다. 전우의 문하에 문인들이 본격적으로 모이기 시작한 것은 40대 이후 본격화된 강회를 통해서였다. 전우는 제자들의 요청에 따라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등을 순회하며 수시로 강회를 열었고, 학문탐구와 강학을 위해 수개월 동안 강학처에 머물면서 자신의 학문체계를 다지면서 강회를 진행하였다. 심지어 제자들의 요청에 따라 강학을 위해 가족들의 거처를 수시로 옮기기도 하였다. 전우가 독서와 강학을 위해 산사에 머물거나 거처를 옮길 때 늘 문인들이 시종하여 전우를 따라 거처를 옮기거나 아예 자신의 고향을 떠나 가족들과 함께 이주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이러한 점은 전우와 문인들 사이의 학문적 결속력이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고, 이후 전우의 성사심제설, 성존심비설 등에 대한 기호학파 내부의 비판 및 한주학파와의 논쟁에서 전우의 문인들이 앞다투어 스승의 학설을 옹호하고 반비판에 나서게 되는 밑거름이 되었다. 이처럼 전우의 문인들은 스승인 전우의 길을 따라 유교적 도의道義 교육과 계승을 위해 평생의 노력을 기울였다. 그들은 강학과 수의守義로 점철한 삶을 살았는데, 이는 간재학파의 최대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이 견지했던 전우의 성사심제ㆍr성존심비설은 인간의 자의성을 견제하고 도덕규범의 객관적 표준에 순응하기를 요구하는 규범주의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고, 이런 면에 다른 학파보다 좀 더 보수적이고 엄격성이 강한 특징을 지니게 된다. 전우의 문인들의 삶은 이런 특징을 여실히 보여주었고, 지금도 재전 혹은 삼전 제자들을 통해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A school of Chosun Neo-Confucianism can be divided into two schools: The Giho school and the Yeongnam school. But when it comes to Chosun Neo-Confucianism of 19th century, in fact the division above becomes meaningless by the theoretical contents of Xing-Li theory and there come out many cases forming the original inception. Thus the schools can be divided numerously according to the leaders, but in terms of the depth of its academic contents or the constitution of their members, we can say Jungje school(定齋學派)ㆍHwaseo school(華西學派)ㆍNosa school(蘆沙學派)ㆍHanjoo school(寒洲學派)ㆍGanje school(艮齋學派) are the representative schools of Chosun Neo-Confucianism. Here I want to look over and talk about the meaning of the one aspect of Chosun Neo-Confucianism in 19th century by seeing the origin, formation and ideological features of Ganje school, one of the main schools of this confucianism. Ganje(艮齋) Jeonwoo(田愚, 1841~1922) is the main figure who succeeded to the tradition of Giho school following Yoolgok(栗谷) Eee(李珥) and Wooam(尤庵) Song Shiyeol(宋時烈) decorated the last part of Chosun Neo-Confucianism. Jeonwoo's Xing-Li theory had affected much by Nakron school continued from Kim Changhyup by its ideologic characteristic. His theory was developed into two ways. First way was to criticize the theory of people, Lee HangroㆍNosa(蘆沙) Gi Jungjin(奇正鎭)ㆍHanjoo(寒洲) Lee Jinsang(李震相), who tried to establish Neo-Confucianism in a new way with the thought of traditional Giho school after Yoolgok Eee. Second way was to establish the theory of Ego which includes ‘Shimbonsung(心本性)’, ‘Sungjonshimbi (性尊心卑)’, ‘Sungsashimje(性師心弟)’, etc. After Jeonwoo's 40s, literary men gathered under his instruction in earnest through the full-out lectures. He regarded that the learning of Imheon club was handed down to himself and there were requests from his pupils so he traveled Chungchong, Gyeongsang, and Chulla Provinces giving lectures occasionally. While staying at lecture place for several months for studying and lectures, he developed the system of his theory further and continued giving lectures. He even moved with his family for lectures requested by his pupils. In reference to the formation of groups of literary men and educational expansion on theories, it is remarkable that the literary men also moved following Jeonwoo when he moved to other place for his reading and lectures. Even some men left his hometown with his families. This made the academic connection between Jeonwoo and his men stronger. Since then, his pupils supported his theory enthusiastically and confronted the controversy with Hanjoo school and criticism from the inside of Giho school which was against Jeonwoo's theories such as Sungsashimje, Sungjonshimbi, etc. Like this, Jeonwoo's literary men followed their leader Jeonwoo and made great efforts to educate and inherit Confucian morality through their whole lives. Their lives were filled with lectures and wills to maintain the justice which is now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Ganje school. Jeonwoo's Sungsashimjeㆍ.Sungjonshimbi theories restrained human's arbitariness and were close to prescriptivism demanding acceptance of objective moral standard from people. Therefore this school has been known as little bit more conservative and strict than other schools and still nowadays the lives of Jeonwoo's men have continued through his pupils in following generations.

      • KCI등재

        田愚의 西學認識과 斥邪論 -「自西徂東辨」과 「梁集諸說辨」을 중심으로-

        이종록 조선시대사학회 2017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0

        The earlier studies confined main agents of practicing expulsion theory(斥邪論) to Myungduckjurironja(明德主理) and therefore, covered that their Wijungchucksa Movement(衛正斥邪運動) later developed into nationalism. However, the whole concept of expulsion theory(斥邪論)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how we understand Neo-Confucianism(朱子學) so this limited scope needs to be modified. The reason why only Myunduckjurironja(明德主理論者)’s expulsion theory(斥邪論) received attention but Myunduckjugironja(明德主氣論者)’s didn’t in the existing studies was because the focus of the studies was not on he expulsion theory(斥邪論) itself but on Wijungchucksa Movement(衛正斥邪運動) triggered by the expulsion theory(斥邪論) of Myunduckjurironja(明德主理論者).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Wijungchucksa Movement(衛正斥邪運動) was so active, he didn’t join the movement of Myunduckjurironjas(明德主理論者). This thesis examines 「Jaseojodongbyun(自西徂東辨)」 and 「Yangjipjesulbyun (梁集諸說辨)」 written as part of educational expulsion theory(敎育的 斥邪論). This educational expulsion theory(敎育的 斥邪論) was different from Myunduckjurironjas(明德主理論者)’ Wijungchucksa Movement(衛正斥邪運動) in that it changed Sino-centric worldview(華夷觀) for both sinocentrism and barbarism(夷狄) to discard greed and to follow human nature. Even after the fall of Chosun, this enabled Jun Woo to teach on an island to preserve Tao, never compromising with the Japanese Empire. His educational expulsion theory(敎育的 斥邪論) as social practice continued after the collapse of Chosun Dynasty.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유교지식인 艮齋 田愚(1841~1922)의 서학인식과 척사론을 검토 대상으로 삼고 있다. 명덕주기론자의 대표적 인물인 전우는 기호 낙론의 학통을 이은 인물이다. 전우는 이이가 제창한 性卽理, 心是氣의 명제를 性師心弟로 충실히 계승하여 명덕주기론을 견지하였다. 척사론에 대한 종래의 연구는 척사론의 실천 주체를 明德主理論者로 한정하였고, 이들의 위정척사운동이 이후 민족주의의 기원이 되었다는 것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척사론은 주자학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해석을 달리할 수 있다. 척사론의 본원적 의미로 이해한다면 명덕주기론자의 척사론 또한 독립적인 척사론으로 규정할 수 있게 되어 기존의 한정된 범주는 수정될 필요가 있다. 전우가 위정척사운동을 시작한 것은 서교수용론과 유교개량론이 대두되면서 부터였다. 1896년 창간된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문명개화론자들은 개신교를 믿는 나라는 부강해진다고 하여 西敎受容論을 주장하였다. 전우는 西敎受容을 적극 권고하는 漢譯西學書인 『自西徂東』을 논변하여 西敎受容論에 이론적으로 대응하였다. 『自西徂東』은 개신교 선교사 에른스트 파버(Ernst Faber)의 저서로 西敎, 西法, 西禮, 西俗 등 광범위한 서양의 문명을 소개하고, 西敎와 儒敎가 본질적으로 비슷하다고 주장하였다. 전우는 파버의 오류와 조선과 서양의 문화가 매우 이질적임을 논변하는 「自西徂東辨」을 서술하고 배포하였다. 한편 『황성신문』을 중심으로 서양 부강의 원인이 종교개혁에 있다고 하여 儒敎改良論을 주장하였다. 개신유림들은 양계초의 여러 논설 중에서 孔敎論을 조선에 소개하며 유교개량론을 확산시켜 나갔다. 전우는 新學이란 청나라 사람이 西法을 바꾸어 말해 놓은 것에 지나지 않다고 보았으며 「梁集諸說辨」을 통해 양계초의 공교론은 그저 여러 이단과 다를 바 없음을 고증하였다. 이처럼 명덕주기론에 기반한 전우는 창의파의 위정척사운동에 참여하지 않고, 교학파의 독자적인 위정척사운동을 전개하였다. 전우는 교학파의 척사론인 「自西徂東辨」과 「梁集諸說辨」을 저술하였고, 國亡 이후에도 도를 보전하고자 일제와 타협하지 않고 계화도에 들어가 강학의 형태로 위정척사운동을 실천하였다. 명덕주기론자인 전우는 서학에 대한 구체적 인식을 통해 척사론을 저술하였고, 국망 이후 죽을 때까지 위정척사운동을 실천하였다.

      • KCI등재

        艮齋 田愚의 저서 간행 상황과 문제점

        정경훈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1

        This thesis studied the edited version of Kim Taek-sul's Hwadosujeongbon, and focused on Gusanjabjeo published by Kim Young-seop. These books have not ye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academic world and have not been introduced. Jeon-u left many writings in line with his great fame. Jeon-u's collections of literature include Ganjaesago , Ganjaeseonsaengmunjib , Chudambyeoljib , Ganjaeseonsaengmunjibseubyu , and Anjapyeon , Yeonwonjeongjong , Ohyeonsueon , Seonglilyuseon , Geombon , Gusanjabjeo , Gusanseon- saengpung-a , Gusanjigyeol , Ganjaeseonsaenglyeseol , Ganjaeseonsaeng- cheogdog , Ganjaeseonsaengnyeonbo , Sam-eunhabgo , Agcheonsauwang- bog , As such, there are 12 types of writings. These monographs were published either before or after Jeon-u's life. Among these books, the majority of works are not in the collections rather than those that overlap with the collections. The book published this time, Gusanjapjes , is a book published by Kim Young-seop, a writer in Shanghai, China, collecting the works of Jeon-u's adulthood.T his book is composed of three works: <Gumbon>, <Ilsapyeon>, and Jeonsisasakmanghunsa . Judging from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three works, <Gumbon> should be regarded <lsapyeon>, and <Jeonsisasakmanghunsa> should not be included in his collection of works. Kim Taek-sul's manuscript was copied along with Choi Byung-shim, and he faithfully inherited his master's teachings and planned to publish it after liberation, but it was not published. It was published twice in 1975 and 1984 by his son Kim Hyung-gwan. Kim Taek-sul's manuscript is recognized for its existence and value, so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single edition for ‘The Book of Ganjae’. 본고는 艮齋 田愚(1841~1922)의 문집 중 金澤述이 전한 華島手定本과 金永燮에 의해 간행된 臼山雜著 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전우는 거대한 명성에 맞게 많은 저술을 남겼다. 艮齋私稿 , 艮齋先生文集 , 秋潭別集 , 艮齋先生文集拾遺 등 문집을 제외하고도 단행본은 현재 12종이 확인되고 있다. 이들 단행본은 전우 생전, 혹은 사후에 간행되었다. 이들 단행본 중에는 문집과 중복되는 작품 보다는 문집에 소재하지 않은 작품들이 대다수이지만 총제적인 전우 저서는 아직 학계에서 본격적인 논의 시도나 소개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번에 공개한 구산잡저 는 전우의 장년기의 작품을 모아 중국 상해에서 문인인 김영섭에 의해 간행된 책이다. 상하 2권, 1책으로 「檢本」, 「一事編」, 「田氏朔望訓辭」 등 세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 작품이 전우의 작품인지는 艮齋年譜 등을 통해 알 수 있고, 「검본」은 전우의 발문이 있어 간행 경위를 알 수 있었다. 발행인 김영섭은 저자인 전우의 허락여부를 밝히지 않았고, 구산잡저 의 작품들이 이후 간행된 전우 문집에 미수록된 상태였다. 세 작품들의 구성과 내용을 볼 때 「검본」은 하나의 단독 저술로 보아야 하고, 「일사편」, 「전씨삭망훈사」는 잡저의 형태로 문집에 포함해도 가능할 것이다. 김택술이 필사했다는 원고본 화도수정본은 崔秉心과 같이 필사한 것으로 스승의 유훈을 충실히 계승하여 광복 후 간행을 도모했지만 김택술 생전에는 간행되지 못했다. 그의 아들인 金炯觀에 의해 1975년, 1984년 등 이후에도 몇 차례 정본화 되지 않은 원고본 형태로 영인되었다. 원고본 형태의 화도수정본을 향후 정본 간재집 의 완성에 있어 별도의 판본으로 가능 여부는 앞으로 정밀하게 살펴보아야 하겠지만 전우, 최병심 문인들은 화도수정본의 존재와 가치를 인정하고 있어 정본 간재집 을 위한 하나의 판본으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臼山旨訣과 絅齋 金永燮의 간재학 계승

        정도원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1

        GusanJigyeol is a collection of articles such as letters from Jeon-Woo to Kim-Youngsup. This book was printed in lithograph in Shanghai in 1897. Kim-Youngsup brought about 1,000 vaginal products into Korea and distributed them. Kim-Youngsup believed that Joseon Confucian scholars would read this book and understand the thoughts of his teacher Jeon-Woo. He also thought that he would be recognized as a disciple who succeeded in the orthodoxy of Jeon-Woo. However, Korean Confucian scholars read this book and criticized Jeon-Woo. “At the time, Joseon was in a very difficult situation nationally, and Jeon-Woo ignored it. This appearance of Jeon-Woo is the result of Jeon-Woo's lack of personality and wrong judgment. He has no qualifications as a leader of Joseon Confucianism.” Faced with these criticisms, Jeon-Woo and Jeon-Woo's disciples ordered the book to be collected and burned, but the criticism did not subside. Kim-Youngsup was posthumously removed from Jeon-Woo's list of pupils. Kim-Youngsup was reinstated after Jeon-Woo died. This book contains the teachings of Jeon-Woo passed down to Kim-Youngsup. Kim-Youngsup packaged it as revealing his academic legitimacy, but Jeon-Woo's anthology has removed this packaging. The Jeon-Woo anthology excludes many of the letters contained in this book. Most of the letters excluded were those that caused scandal or contained content that Kim-Youngsup would be proud of.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this book did not receive Jeon-Woo's approval. However, the contents of this book and its comments help us understand the times in which Jeon-Woo and Kim-Youngsup lived. And it helps us understand what Jeon-Woo taught his disciples. Perhaps the virtue of this book lies in its value as a historical material. 臼山旨訣 은 田愚가 金永燮에게 보낸 편지 등의 글을 모은 책이다. 이 책은 1897년 상해에서 석판본으로 인쇄되었는데, 김영섭은 약 1,000질 가량을 국내로 들여와 유포하였다. 김영섭은 사림들이 이 책을 통해 스승 전우의 도학을 이해해줄 것으로 믿었고, 자신 또한 전우 문하의 정통을 이은 제자로 인정받으리라 생각했겠지만, 이 책은 사림들의 거센 비판만 야기했다.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전우의 처신은 儒宗을 자처하는 사람으로서 매우 부족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에 직면한 전우는 이 책을 수거, 소각하도록 지시했지만, 비판은 수그러들지 않았고 김영섭은 사후에 문인록에서 삭제되었다. 김영섭이 복권된 것은 전우가 사망한 뒤이다. 이 책은 김영섭에게 전해진 전우의 心法을 담고 있고, 김영섭은 이를 자신의 학문적 정통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포장하고자 하였으나, 전우의 문집은 이러한 포장을 거둬 냈고, 이 책에 담긴 많은 편지 역시 제외하였다. 제외된 편지 대부분은 물의를 일으켰거나 김영섭의 심법 수수를 유추할 만한 내용이 담긴 것들이었다. 전우가 생전에 자신의 문집을 직접 산삭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둔다면, 이 책이 결국 전우의 인가를 받지 못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책에 담긴 내용들과 그에 관한 주석은 전우와 김영섭이 산 시대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전우가 제자들에게 어떤 식으로 도학을 전수하고자 하였는지 또한 보여준다. 이 책의 가치는 바로 이런 역사적 사실로서의 의미에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간재 전우의 시대인식과 이론적 배경

        유지웅 ( Yoo Ji-woong ),황갑연 ( Hwang Gap-yeon ) 한국유교학회 202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82

        이 논문은 간재 전우의 삶에서 타학파 성리설에 대한 비판, 수도(守道)와 전도(傳道)의 선택 그리고 파리장서(巴里長書)에 대한 서명 거부가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러한 선택들에 대한 전우의 문제의식과 그 선택들의 이론적 배경은 무엇인지에 대해 확인하고 있다. 『간재집(艮齋集)』에는 타학파 성리설을 비판하는 수많은 글들이 남아있다. 조선 성리학자 가운데 양적으로 전우만큼 타학파 성리설을 비판하는 글을 많이 발표한 인물도 드물 것이다. 또한 화서학파의 유인석을 비롯해 당시의 유림들이 전우에게 의병활동에 나서 줄 것을 요청했지만 위정척사의 구체적인 방법론에서는 수도와 전도를 선택해 당시 주변 학자들로부터 많은 비난을 받았다. 하지만 전우가 선택한 것 가운데 가장 많은 비난의 대상이 되었고 해방 이후에도 계속해서 논란이 되었던 것은 파리장서에 서명을 거부한 것이다. 성리학자들은 늘 자신의 철학적인 입장을 토대로 선택하고 행동한다. 전우가 타 학파 성리설을 비판한 수많은 글을 발표한 것도 그리고 수도와 전도의 방법론을 선택한 것, 파리장서에 서명하지 않은 근본적인 문제의식도 전우의 철학적 입장에 기인할 것이다. 그렇다면 전우의 선택과 그의 성리설은 어떻게 연결되는 것일까? 전우가 이 세 가지 선택을 한 것은 망국의 원인을 리(성리학)에게 전가시킬 수 없다는 것, 그리고 심본성(心本性)과 명덕심설(明德心說)의 이론적 배경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전우의 선택들이 당시의 시대정신에 부합하는지에 대해서는 긍정도 부정도 할 수 없지만, 이론과 실천의 정합성만큼은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성리학자라 평가할 수 있다. Assuming the symbolism of criticisms of Neo-Confucian theories by other schools, choice of keeping and transmitting Dao, and refusal to sign on the Petition to Paris Peace Conference in the life of Ganjae Jeon Woo, one of the utmost figures in the Neo-Confucian community during the transition to modern time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and theoretical grounds of his acts. Jeon Woo published a number of works to criticize Neo-Confucian theories by other schools. There were no Neo-Confucian Scholars of Joseon that published more works to criticize Neo-Confucian theories by other schools than Jeon Woo. He was also asked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o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s a specific methodology of protecting the orthodox and repelling the heterodox, but he made a passive choice of keeping and transmitting Dao and accordingly received a lot of criticism from scholars around him those days. But the most criticized and controversial choice of his eve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was his refusal to sign on the Petition to Paris Peace Conference. The investigator figures that his Neo-Confucian theory was deeply connected to his almost obsessive criticism of Neo-Confucian theories by other schools, his methodology of keeping and transmitting Dao, and his decision of not signing on the Petition to Paris Peace Conference.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re was his consistent theoretical background in his three choices: the cause of fallen Joseon could not be attributed to Neo-Confucianism, and the mind and nature or principle should serve as the root. There is no positive confirmation that his choices matched the spirit of the times those days, but there is no doubt that he was a consistent and systematic Neo-Confucian scholar at least in compatibilit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지친 성리학적 사유의 거울: 전우(田愚)와 외필논쟁(猥筆論爭)

        이향준 범한철학회 2022 汎韓哲學 Vol.106 No.3

        이 글은 외필논쟁과 전우 성리학의 상호작용을 탐구한 것이다. 전우의 저술 가운데 외필논쟁과 연관된 27가지 자료를 간추리고 이들을 시기적으로 3단계로 나누어 서술한다. 첫째 시기는 1891년으로 그는 신득구와의 교유을 배경으로 「외필」의 학술적 경향성을 단편적으로 언급했다. 둘째 시기는 1902년에서 1905년에 이른다. 전우는 권봉희에게 자극을 받아 본격적으로 외필논쟁에 참여했고, 가장 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것은 「외필변」과 「외필후변」이다. 셋째 시기는 1914년에서 1916년에 이른다. 각 시기를 경과하면서 전우의 서술은 단편적인 논평에서, 「외필」의 조목별 비판, 기정진 성리학 일반의 평가, 나아가 이항로 및 이진상과 심설논쟁의 쟁점을 포괄하는 비평으로 확장되었다. 이 모든 과정에서 일관된 성리학적 판단의 기준은 ‘리무위 기유위’와 ‘리의 주재’라는 발상이었다. 결국 전우의 성리학은 일종의 율곡 정전주의에 기초해서 외필논쟁과 심설논쟁 및 앞선 주리적인 성리학적 경향성에 대한 포괄적 반론으로서 정립되었다. 이런 점에서 전우는 그보다 앞선 세대의 사유를 비춰주는 성리학적 사유의 거울이라고 할 수 있다. 남겨진 질문은 이 거울의 이론적 성격뿐만이 아니다. 오히려 어떤 역사적 성격이다. 이것은 16세기의 이이를 근거로 19세기의 사유를 20세기초에 논쟁했다는 구체성에서 비롯된다. 전우 성리학에 대한 탐구와 토론에서 이 질문의 의미를 숙고하는 것은 생각보다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다. This article is a linear explor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opil-Debate(猥筆論爭) and the Jeon Woo(田愚) Neo-Confucianism. His 27 writings related to the Eopil-Debate are summarized and described in three stages in a timely. In 1891, the first period, he discussed the academic trend of Eopil(猥筆) in pieces against the backdrop of his friendship with Shin Deukgu(申得求). The second period ranges from 1902 to 1905. Kwon Bonghee(權鳳熙)'s letter provided him with a problem consciousness, and Jeon Woo participated in a full-fledged the Eopil-Debate and left the most writings.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ones were ‘Eopilbyun(猥筆辨)’ and ‘Eopilhoobyun(猥筆後辨)’. The third period ranges from 1914 to 1916. Throughout each period, it was expanded from fragmentary comments to criticism by article of Eopil(猥筆), general evaluation of Gi Jeongjin(奇正鎭) Neo-Confucianism, and further to criticism that encompasses issues of Lee Hangro(李恒老) and Lee Jinsang(李震相) and the Simseol-Debate(心說論爭). In all of these processes, the consistent criteria for Neo-Confucian judgment were the ideas of 'Li as Muwi(無爲理)', 'Ki as Yuwi(有爲氣)', and 'Li as Presiding'. Based on a kind of Yulgok(栗谷) orthodoxy, he was established as a comprehensive counterargument to the Eopil-Debaten and Simseol- Debate and the Neo-Confucian tendency centered on Li in the previous era. In this respect, Jeon Woo can be said to be a mirror of Neo-Confucian thought that appea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question that emerges here is the historical nature of this mirror. Considering the meaning of this question in his quest for Neo-Confucianism and discussion will have more significance than thought.

      • KCI등재

        한말 유학자의 위기의식과 근대문명 담론 비판 - 艮齋 田愚의 梁啓超 비판을 중심으로 -

        김건우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61 No.-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writings of Jeonwu, who was a Confucian scholar and criticized the scholarship of Liang Qichao of China at the time of great changes on the threshold of modernity, when the shock of Western civilization was shaking all the systems and institutions of the Joseon society to its foundations. As a distinguished thinker, politician, writer and journalist representing modern China, Liang Qichao had a great impact on Chinese people with his vast output of editorials and writings, as well as on the Confucian intellectuals of Korea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1897~1910), who were engaged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One of the harsh critics of Liang Qichao would be found in Jeonwu, a Confucian scholar at the time, who left to posterity the largest number of critical reviews of the discourse of the Chinese man of letters. To be sure, most of the Confucian scholars in Korea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were in agreement on their disapproving stance on the ideas and theories of Liang Qichao. Most of them, however, remained just sporadic occurrences and perhaps no one ever challenged Liang Qichao’s thoughts and pointed out their potentially harmful consequences as much as Jeonwu did. An analysis is made of Jeonwu’s criticism of the ideas of pragmatism and utilitarianism, freedom and equality, the people’s rights and nationalism that he found in Liang Qichao’s discourses. Particularly, Jeonwu singled out the ideas of equality and the people’s rights as two major threats that would undermine the moral principles he conceived. He understood that the concept of equality was an attempt to see the relationship of the ruler and the ruled, father and son, and husband and wife on equal terms, and as such, a misleading and malicious idea that would overthrow the Confucian order. Jeonwu criticized that behind these ideas were the motive to put the people under the tyranny of the government. His intention was to keep the Confucian order by underlining the duty and role, rather than the rights, of the individual as the agent of moral practice. The ideas of Liang Qichao were a result of his struggle to see a modern civilized country established in China, by means of creating sinmin(新民) in urgent circumstances of the invasion of the Great Powers of the world. As a Confucian scholar, on the other hand, Jeonwu was concerned with preserving the values and purity of Confucianism and understood Liang Qichao as a figure who forsook the moral principles of humanity by giving the first priority to the wealth and power of the nation. 본 논문은 새로운 서구문명이 조선의 유교사회를 뿌리 채 뒤흔들었던 변혁기에 유학자 艮齋 田愚가 중국 梁啓超의 학술을 비판한 글을 분석했다. 양계초는 방대한 저술로 중국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구한말 우리나라에 소개되어 애국계몽 유교지식인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한편 양계초의 담론을 비판하는 글을 가장 많이 남긴 구한말 유학자로 간재 전우를 들 수 있다. 물론 한말 유학자들 중에는 양계초 학설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단편적인 수준에 머물렀고, 전우만큼 양계초의 학설과 그 폐해를 지적한 경우는 드물다. 본 논문은 우선 신문매체와 불편한 관계를 맺고 있던 전우의 위기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우는 당시 신문을 유교의 인륜을 무너뜨리는 불온매체로 인식하여 위기의식을 가졌으며, 자신을 비롯하여 전통 유학자들에 대한 허위보도와 조롱, 비판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특히 양계초의 담론 중 종교, 實利主義와 實行主義, 자유·평등과 민권, 국가주의에 대한 전우의 비판을 분석하였다. 양계초의 사상은 열강의 침략이라는 상황에서 新民을 만들어 근대 문명국가를 수립하려고 했던 고심어린 결과물이었다. 君臣·父子·夫婦 관계가 평등하다는 양계초의 자유·평등에 대해 전우는 유교적 질서를 顚倒시키는 邪說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전우는 양계초 논설의 본질이 결국 국민들에게 정부의 압제를 받게 하려는 속셈이라고 비판하였다. 개인의 권리보다는 도덕실천의 주체로서 각자의 본분을 강조함으로써 유교적 질서를 확립하려고 한 것이다. 전통 유학자 입장에서 철저하게 유교의 가치와 그 순수성을 보전하려는 전우는, 富強을 최고 가치로 삼아 인륜을 저버리는 인물로 양계초를 인식했다.

      • KCI등재

        율계(栗溪) 정기(鄭琦)의 체용불이(體用不二)의 사유

        서영이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2 儒學硏究 Vol.59 No.-

        This paper presents an attempt to demonstrate that Yulgye(栗溪) Jeong Gi(鄭琦, 1879 ∼1950) with his Li(理) Philosophy thinking systemized the Theory of Li based on Li as the existence of unrivaled no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ity of Substance and Function. His arguments show the line of disputes that naturally moved from "Ki Jung-jin through Jeon Woo, Jeong Jae-kyu, and Jeon Woo to Jeong Gi." Considering that Jeon Woo held the most important place in the criticism of Eopil(猥筆), Jeong Gi's arguments represented the position of Nosa School at the tip of the biggest branch of the Eopil debate. An examination into his arguments will open an inquiry into an axis of the discourse about the actual flow of the overall point in the Eopil debate. The study contrasted metaphors used by Ki Jung-jin, Jeon Woo, Jeong Jae-kyu, and Jeong Gi and checked theoretical differences and the flow of theoretical flows among them clearly. The points that Jeong Gi made as a representative member of Nosa School around 1936 are arranged into the two following aspects: 1) Jeong Gi inherited the Philosophy of Nosa based on Li as the existence of unrivaled nobility by assuming Li as Doing without Doing, in which process he maintained that Jeon Woo's "Gijai(機自爾)," which means that the material world is what it is itself, offered limited explanations only about "superficial phenomena" of the world. He understood a "superficial phenomenon, Gijai" as a phenomenon of Li's manifestation. This argument is significant as it tries to digest Jeon Woo's criticism within the theories of Nosa School by adding persuasive interpretations about his "Gijai." 2) Jeong Gi sought active interventions into the reality by emphasizing that "Daoxue (道學) and economy were one" from the perspective of substance and function as one. This idea was his attempt to incorporate Ki Jung-jin's Li studies into real issues. This indicates that he realized the fundamental philosophical faith of Nosa School by seeking active interventions and changes for the real society of his time that reached an extreme degree of trouble based on this powerful concept of Li. 이 논문은 율계(栗溪) 정기(鄭琦, 1879∼1950)의 성리학적 사유가 리존무대(理尊 無對)의 주리론을 체용불이(體用不二)의 관점에서 체계화하고 있음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그의 논변은 자연스럽게 ‘기정진전우정재규전우정기’ 로 진행되는논쟁의 계열을 보여준다. 전우가 「외필(猥筆)」 비판의 가장 중요한 비판가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기의 논변은 「외필」을 둘러싼 논쟁의 가장 큰 줄기에서도 가장 끝자락에서 노사학파의 입장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그의 논변을 살펴보는 것은 실제로 외필논쟁 전체의 논점이 어떻게 흘러갔는지에 대한 담론의 축을 확인하는 탐구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기정진, 전우, 정재규, 정기가 사용하는 은유들을 대비시켜 봄으로써 그들 간의 이론적 차이와 이론적 흐름의 방향을 선명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1936년경 노사학파를 대변하는 정기의 논점은 다음 두 가지로 정리된다. 1) 정기는 「무위지위(無爲之爲)의 리(理)」를 가정함으로써 리존무대의 노사학을계승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정기는 전우의 ‘기자이(機自爾)’가 세계 현상의 ‘표면적현상’만을 제한적으로 설명하는 것임을 주장한다. 리 발현의 일면적 현상으로 「표면적 현상, 기자이」를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이 갖는 의의는 전우의 ‘기자이’에 대해 설득력 있는 해석을 가함으로써, 노사학파 이론의 내부에서 전우의 비판을 소화하려 한다는 점에 있다. 2) 정기는 체용불이의 관점에서 「도학과 경제는 하나」임을 강조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을 모색한다. 이러한 정기의 사유는 기정진의 리학과 현실 문제를 접합시키려는 시도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강력한 리 개념에 근거해서, 변고의 극단에 이른 당시 현실 사회의 적극적인 개입과 변화를 모색하는 것이야말로 노사학파의 근본적인 철학적 신념을 실현하는 것이다.

      • KCI등재

        전우의 문인 홍사철의 심설 -곽종석 비판을 중심으로-

        김낙진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2

        Hong Sa-cheol was born in Yecheon, but moved to Hoedeok and spent the last years of his life. As a young man, he met Kwak Jong-seok, who had a different academic background, and became aware of differences in opinion about Mind theory. Therefore, he informed Jeon Woo about this, and mediated the two scholar's argument. In favor of his master's view, he criticized Kwak Jong-seok's doctrine, but he had a desire to unify different opinions on the Mind. This paper, which seek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activities of Hong Sa-cheol, includes the following. First, by examining his family and academic background, I will guess why his views was friendly to Yi i, Song Si-yeol, and Jeon Woo. Second, by examining the discussion between Kwak Jong-seok and Jeon Woo, l will summarize the outlin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chools. Third, by examining the background of the instructions given by Jeon Woo, who stopped the debate, we can guess the atmosphere in the academic world at the time, which gave more value to sticking to the teacher's doctrine than to free debate. Fourth, by examining the mind theory of Hong Sa-cheol, we can investigate the pattern of succession of Jeon Woo’s theory. Fifth, by critically examining whether he really understood Kwak Jong-seok's theoty, I will draw the limits of the academic debate at that time. 곽종석을 만나 심설에 관한 이견을 듣게 된 홍사철은 이를 전우에게 알려 전우와 곽종석의 논쟁을 매개하였다. 두 문하의 논쟁이 격화되면서 전우가 곽종석과의 토론을 금지하자, 그는 홀로 심설연구에 매진하면서 스승의 학설을 옹호할 논리를 가다듬었다. 본래 심설을 통일하고자 하는 포부를 지녔던 홍사철은 전우의 견해에 찬성하고 곽종석을 비판했다. 전래의 심합이기설에 부족함을 느끼고 심시기설을 지지한 그는 리와 기, 심과 성을 합언하는 방법에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분언의 방식을 더 중시했다. 그래서 마음은 유위하고, 본성은 무위하다는 규정을 마음에 관한 여러 학설들을 판정하는 기준으로 삼았다. 심설 논쟁에 관여하는 홍사철의 활동을 밝히려는 본고는 다음 내용을 포함한다. 첫째, 가문과 학통을 살펴서 이이와 송시열, 전우에 친화적인 이유를 짐작해 본다. 둘째, 홍사철을 매개로 벌어진 곽종석과 전우의 토론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두 학단이 지녔던 입장 차이의 대강을 정리한다. 셋째, 심설 토론을 중지시킨 전우의 지시가 나온 사정을 살펴봄으로써 자유로운 논쟁보다 사설의 고집을 더 아름답게 여겼던 당시의 학풍을 밝힌다. 넷째, 홍사철의 심설을 살펴서 전우의 학설이 계승되는 양상을 살핀다. 다섯째, 과연 그가 곽종석의 심설을 제대로 이해하였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당시 학술 논쟁의 한계를 알아본다.

      • KCI등재

        간재 전우 성리설의 문제의식

        유지웅 ( Yoo Ji-woong ) 퇴계학연구원 2017 退溪學報 Vol.142 No.-

        19세기 중반을 전후한 기호학계는 그동안 절대적 권위를 가지고 있던 ‘心是氣’에 대한 비판과 회의가 크게 성행하였다. 이러한 경향을 주도하던 인물로는 李恒老와 奇正鎭이 있다. ‘心是氣’에 대한 이들의 공통된 입장은 인간의 행위를 주재하는 심을 악의 원인이 되는 '氣'로 파악함으로서 현재의 혼란상을 초래했다는 것이다. 이는 곧 '心是氣'는 더 이상 당시의 시대적 혼란상을 극복해 나가고 상황을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기호학계의 상황에서 理無爲, 氣有爲, 性卽理, 心是氣의 전통을 고수한 인물은 田愚이다. 특히 전우는 華西, 蘆沙學派의 성리설에 대해 性을 大本으로 여기지 않고 心을 大本으로 여기는 잘못을 범하고 있다고 강도 높게 비판한다. 그래서 전우는 조선 성리학의 정통성을 기호 성리설을 통해 재확인함과 동시에 ‘心是氣’에 반하는 학설 비판에 평생을 쏟게 된다. 이에 필자는 한말 기호학계의 상황에서 전우가 고민한 문제의식이 무엇이며, 이러한 문제의식에 의해 제시된 그의 성리설이 그가 택한 自靖과 講學활동과는 어떠한 연결고리가 있는지를 확인하려 한다. 특히 필자는 이 논문에서 전우가 왜 心是氣를 고수하였는지 주목했다. 단지 철저한 사승관계에 대한 계승적 측면에서 이를 바라본다면 전우 성리설에는 아무런 생명력이 없을 것이다. 이에 대해 필자는 理의 주재를 관철시키기 위해 실질적 실현자인 ‘心(氣)’에 주목하여 당시의 시대상을 극복하려 했던 문제의식이 자리잡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당시 시대적 혼란상의 원인을 心에서 찾고 있지만, 결국 이 심은 다른이의 心이 아니라 전우 바로 자신의 心이라고 생각했다. 전우는 이에 대한 책임의식을 가지고 ‘理’가 조선의 땅에 다시 실현될 수 있도록 성리학 道統의 전수자로서의 역할을 자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will attempts to clarify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that Ganjae adhered to 'the mind is vital force' in the situation of Kiho school, which was the subject of the theory of Simjuri. After that, this paper will clarify to reveal the meaning of his theory of Neo-Confucianism, which is presented by his critical mind, at the time. Especially, I have wondered why Ganjae’s Neo-Confucianism adhered to in this paper. Ganjae's theory of Neo-Confucianism would have no val-ue if it were considered in a successive point of view of close relations between student and teacher. Because of the fundamental critical mind of such intervention, he refused to guarantee the superintendence of the mind by assuming the moblie of li like Hwaseo and Nosa. That is why I be-lieve that Ganjae adhered to 'the mind is vital force'. From Ganjae's per-spective, li's mobile is undermining its character of always good and the absoluteness, and also denying the value of Neo-Confucianism. Thus, Ganjae's adherence to ''the mind is vital force'' can be attributed to his critical mind. So how did Ganjae want to overcome the chaos of the times? According to Ganjae's theory of Neo-Confucianism, the realization of an immobile moral nature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mind. But the important thing is ‘the mind is vital force’. In other words, the mind is not steady but has a possibility of change. However, this possibility of change has a negative meaning that it can interfere with the realization of the moral nature, but on the other hand it implies the positive meaning that the moral nature can be fully realized. Therefore, Ganjae gave active responsibility to 'the mind is vital force', which has the possibility of change, to overcome the situation of the time when li was not realized properly. So that is why it is 'the mind is vital fo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