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 하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원인 재고

        정영호 ( Yeong Ho Jeong ) 한민족어문학회 2012 韓民族語文學 Vol.0 No.61

        자음과 모음의 공통자질인 [전설성]을 통해 근대국어 후기에 일어난 일련의 음운현상을 전설성 동화로 해석할 수 있다. 피동화음에 선행하거나 후행하는 자음이 [전설성]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하향이중모음 중에서 ``외, 위``의 단모음화도 선행자음이 주로 [전설성]이기 때문에 전설성 동화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18세기를 전후하여 일어난 일련의 모음변화는 [전설성]에 영향을 받은 전설성 동화 현상일 가능성이 높다. 하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는 ``□``의 소실로 인한 모음체계의 변화와 전설성 자질에 의한 전설성 동화가 원인이 되어 일어났다. ``애, 에``는 주로 모음체계의 공백 때문에 단모음 화되지만 이중모음 내부의 상호동화에 의해서도 단모음화가 일어났다. ``외, 위``는 전설성 자음 뒤 환경에서 상호동화 혹은 이중동화에 의해 단모음화가 시작되어 순자음 뒤, 어두의 음절초성이 없는 환경까지 확산되었다. 하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는 음절 주음과 부음이 서로 ``혀의 높이`` 혹은 ``입술의 모양``과 ``혀의 전후 위치``에 의해 동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상호동화에 해당한다. 특히 ``외, 위``는 피동화음 앞뒤에 있는 두 소리가 동시에 전설성의 동화음이기 때문에 이중동화로도 볼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quire into by what cause the monophthongization of the Falling diphthong is done. Phonological phenomenon that happened since the 18th century in the Korean can be interpreted as a assimilation by the frontal feature. Because the frontal consonant preceded to or went back to it. Also, it can be seen as the Frontal assimilation that preceding consonant mainly due to the frontal feature in the case of monophthongization ``외, 위`` in the Falling diphthong. It is shown that the monophthongization of the Falling diphthong by the deletion of the ``□`` has been dominated by the change of vowel system. And it is found out that the frontal feature are caused by the frontal assimilation took place ``애, 에``, in a vowel system, mainly because of the space monophthongize vowels. And it also took place by mutual assimilation. ``외, 위`` in the environment after the frontal consonant by mutual assimilation or double assimilation begins to change toward monophthongization. And it will spread to other environments. In conclusion, it is equivalent to the mutual assimilation because syllabic and momsyllabic caused assimilation by a ``tongue height`` and ``front-back position of the tongue`` each other. Also, it can be seen as the double assimilation that the frontal feature mainly place to front and back of the sound in the case of monophthongization ``외, 위``.

      • KCI등재

        어감 표현과 전설모음화의 한 유형

        정인호(Jeong, In-ho)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7 No.-

        본고에서는 한국어 방언들에 ‘후설모음ː전설모음’의 어감 대립 체계가 형성되고 이 대립이 드러나는 전설모음화가 존재함을 확인하려 한다. 어감은 음색에 따른 미묘한 뉘앙스를 말의 의미에 결부시켜 감정을 표현하는 하나의 체계이다. 그리고 어감은 여러 가지 방식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데 그 주된 방식은 음을 변환시키는 것이다. 근래에 한국어 방언들에는 전통적인 모음 어감 대립 체계 외에, ‘초점’의 어감 차이를 보이는 ‘후설모음ː전설모음’이라는 새로운 어감 대립 체계가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이 체계가 드러나는 전설모음화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후설모음을 전설모음으로 교체하여 해당 단어의 의미와 제1음절 모음의 어감을 일치시킴으로써 그 정도성 의미를 강조하고자 하는 음운현상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struction of the nuance opposition between back vowel and front vowel, and front-vowelization which this oppositional system is revealed in Korean dialects. One expresses emotions by means that relate subtle nuance to meaning of the words. The nuance is expressed in various manners, but the alternation a sound into another is principal. New system of nuance opposition between back vowel and front vowel, recently, has been constructed in addition to traditional system. The nuance of the front vowel is ‘focus’ sense. Besides, front-vowelization which this new oppositional system is revealed is in progress in Korean dialects. And this phonological phenomenon is the one that back vowels change into front vowel in order to place emphasis on the meaning of a certain word.

      • KCI등재

        달성지역어 전설모음화의 변화 과정

        배혜진(Bae, Hye-jin) 한국어문학회 2015 語文學 Vol.0 No.129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Front-vewelization change in Dalseong Subdialect. So first, examined the Front-vowelization variations in modern Dalseong subdiaclet by generation among old and youngest generations,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field survey. Next made the comparison of data obtained from field survey. It therby examined how the Front-vowelization changes in Dalseong subdialect have been made and in which pattern the chages would take place in the future. Front-vowelization chage is ‘extinc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ont-vowelization occurred and started to in Dalseong since the 18th century, which mainly occurred to un-word initial ‘ㅅ’. And Frontvowelization was spread to un-word initial ‘ㅅ, ㅈ’, word initial ‘ㅅ, ㅈ’, and un-word initial ‘ㄹ’ to 20th century. Second, Front-vowelization was found out in realized form(innovative form) in most of their vocabulary, which un-word initial ‘ㅅ, ㅈ’, word initial ‘ㅅ, ㅈ’, and un-word initial ‘ㄹ’, among the older speakers in Dalseong province, whereas in a non-realized form(conservative form) in most realized environments except some vocabulary, which ‘씹다, 미안시럽다’, among the youngest speakers. In its final analysis, Front-vowelization occurred to in Dalseong province since the 18th century, which mainly started to un-word initial ‘ㅅ’, and have been productively used by those in the modern Dalseong province. But this change seem to have been made especially due to the negative perception of a dialect from among the youngest generation and to standard Korean education for them.

      • KCI등재후보

        ≪천변풍경≫의 음운론

        강희숙 국어학회 2002 국어학 Vol.40 No.-

        이 연구는 박태원의《천변풍경》에 반영된 1930년대 서울 토박이말의 특징을 음운론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천변풍경》이 '객관적 태도로, 객관을 본 리얼리즘의 확대'라는 평가를 전제로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 작품의 시대적 배경과 인물들의 성격을 생생하게 드러내 주는 언어적 특성으로서 모음 상승, 움라우트, 모음조화의 파괴, 전설모음화, 준말,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원순모음화 등등 전형적인 서울 토박이말의 성격을 보여주는 음운론적 특성과 함께《천변풍경》의 문화적 성격이 보다 분명하게 드러나게 되었다. This study is a phonological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dialects in the 1930's which is reflected in《천변풍경, Cheonbyeon-punggyeong》. It is presupposed that the work possesses the properties of realism. As a result of this study, various phonological features of the vernacular of Seoul such as vowel raising, umlaut, destruction of vowel harmony, fronting of vowel, contraction, monophthongization, labialization, etc. which show the phases of the times and the characters of the work were observed. The facts discovered in this study lead us to recognize that literary works are used to observe and analyze the linguistic reality.

      • KCI등재

        발신자의 사회적 성격에 따른 19세기 한글 편지의 표기와 음운

        신성철(Shin, Seong-cheol)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7 No.-

        이 글은 발신자의 사회적 성격에 따른, 19세기 한글 편지에서 드러나는 표기와 음운 층위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표기 층위는 ‘ㄹㄹ’ 연쇄 표기, 음운 층위는 ‘ㅡ’ 전설모음화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ㄹㄴ’, ‘ㄹㄹ’ 유형은 유음화, ‘ㄴㄴ’, ‘ㄴㄹ’ 유형은 비음화와 관련되며, 현대국어와 달리 ‘ㄹ$ㄴ’에는 유음화 규칙, ‘ㄴ$ㄹ’에는 ‘ㄹ’ 비음화가 적용된다. 양반가 언간에서 나타난 ‘ㄴ$ㄹ’의 유음화는 타성 인물이 관련된 것이다. ‘ㅡ’ 전설모음화는 1단계 ‘ㅡ>ㅣ’와 ‘ㅣ>ㅡ’ 유형의 극소수 발생, 2단계 ‘ㅣ>ㅡ’ 확대, 3단계 두 유형의 확산 과정을 거친다. ‘ㅡ’ 전설모음화의 적용 시기와 각 과정은 양반가 언간과 왕실 언간 사이에 약 반세기의 시차가 존재하며, 양반가 언간에서 보이는 ‘ㅡ’ 전설모음화의 혼란 용례는 대부분 타성에 의한 것이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writing and phoneme levels in Hangeul letters in the 19th century by social characteristics of addresser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ㄹㄹ’ consecutive writing for writing level and ‘ㅡ’ front vowelization. ‘ㄹㄴ’ and ‘ㄹㄹ’ types are related to lateralization and ‘ㄴㄴ’ and ‘ㄴㄹ’ types are related to nasalization. Unlike modern Korean, lateralization rule is applied to ‘ㄹ$ㄴ’ and nasalization rule to ‘ㄴ$ㄹ’. The lateralization of ‘ㄴ$ㄹ’ found in aristocrats’ letters is related to another sur-name. ‘ㅡ’ front vowelization goes through three stages : ‘ㅡ>ㅣ’ and ‘ㅣ>ㅡ’ types rarely occur in stage 1, ‘ㅣ>ㅡ’ expands in stage 2, and both types expand in stage 3. As for application of front vowelization and procedures, a time difference of approximately a half century exists between aristocrats’ letters and royal letters. Confusing cases of ‘ㅡ’ front vowelization in aristocrats’ letters are mostly due to another sur-name.

      • KCI등재

        흑산도지역어의 모음과 관련된 음운현상

        김경표 한국방언학회 2014 방언학 Vol.0 No.19

        This study suggested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is dialect and examined the vowel phonology of conjugation. This dialect has 20 consonants, 9 vowels and as the glide, there are ‘w, y’. In case of diphthong, there appeared 'w' series of ‘여, 야, 유, 요, 예(yE)’, 'y' series of ‘워, 와, 웨(wE)’. In the vowel phonology of Heuksan Dialect, I examined vowel assimilation and glide formation and vowel fronting. In the vowel assimilation, if the stem-syllable ended in vowels, ‘이’ vowel of one-syllable and more than two-syllables is different from other regional dialects. Among the glide formation, there are w-glide formation, y-glide formation. In the w-glide formation, if the stem-syllable ended in vowels, ‘오’ vowel of one-syllable occurs well as compared with other regional dialects, and in the case of the stem of ‘우’ type, ㅂ- irregular verbs are similar to other regional dialects. If the one-syllable stem ends in vowels, the y-glide formation doesn't occur well . However, if more than two-syllable stem ends in vowels, the y-glide formation occurs well as compared with other regional dialects. In the vowel fronting, when consonant ‘ㅆ’ proceeds, vowel fronting occurs optionally. Yet, when consonant ‘ㅈ, ㅊ, ㅉ’ proceeds, vowel fronting occurs inevitably. 본고는 흑산도지역어에 존재하는 음소목록을 제시하고 활용에서 모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을 살펴보았다. 흑산도지역어는 20개의 자음과 9개의 단모음이 존재한다. 그리고 활음 ‘y’와 활음 ‘w’가 있는데 ‘y’계 이중모음은 ‘여, 야, 유, 요, 예(yE)’가 있고 ‘w’계 이중모음은 ‘워, 와, 웨(wE)’가 있다. 흑산도지역어에서 모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 중 모음의 완전순행동화, 활음화, 전설모음화를 살펴보았다. 모음의 완전순행동화는 어간말음절의 모음이 ‘이’인 1음절 어간이나 2음절 어간의 경우에 다른 지역어와 다른 모습을 보인다. 활음화에는 ‘w-활음화’와 ‘y-활음화’가 있는데 ‘w-활음화’는 어간말음절의 모음이 ‘오’이고 1음절인 경우에 다른 지역어에 비해서 활음화가 잘 일어나고 어간말음절의 모음이 ‘우’인 경우나 ㅂ-불규칙 용언의 경우에는 다른 지역어와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y-활음화’는 1음절 어간의 경우에 활음화가 잘 일어나지 않고 2음절 이상인 어간의 경우에 다른 지역어와 달리 y-활음화가 주로 일어난다. 전설모음화는 ‘ㅆ’아래에서는 전설모음화가 수의적으로 일어나고 ‘ㅈ, ㅊ, ㅉ’아래에서는 필수적으로 일어나는데 다른 지역어와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 KCI등재

        나하방언의 전설모음화

        이병훈(Lee, Byeong Hoo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5 일본문화연구 Vol.0 No.5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vowel fronting in Naha Ryukyuan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Back vowel /u/ became front vowel [i] after coronal obstruents in Naha Ryukyuan. In order to explain this vowel fronting, this paper adopts a markedness constraint COR./.FR, as proposed by Miyashita(2000). Due to COR./.FR, which prohibits non-front vowels after coronals, /u/ became [i] after coronal obstruents in Naha Ryukyuan. Despite COR./.FR, [u], which was changed from /o/ by vowel raising, did not become [i] after coronal obstruents in Naha Ryukyuan. To explain this counter-feeding opacity, this paper employs Local Constraint Conjunction and adopts a constraint [Ident(back) & Ident(high)]seg, which conjoins two faithfulness constraints Ident(back) and Ident(high). A faithfulness constraint, Ident(back), was lower ranked than a markedness constraint, COR./.FR in Naha Ryukyuan, so /u/ became [i] after coronal obstruents. However, since the composite constraint [Ident(back) & Ident(high)]seg is more highly ranked than COR./.FR, [u], which was changed from /o/ by vowel raising, did not become [i] after coronal obstruents.

      • KCI등재

        転写資料を活用した韓国語音韻史の研究 - 近世日韓の語学書を中心に -

        許仁寧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3 No.-

        이제까지 한국어 음운사 연구는 한글 문헌 자료에 나타나는 한국어의 한글 표기를 중심으 로 이루어져 왔다. 한글은 표음문자이지만, 문자라는 것은 본래 보수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어 서 시간이 지나면서 나타나는 언어의 변화를 제때 반영하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한국 어 음운사 연구에 있어서도 음성의 변화가 누적되어 생기는 음운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는 한글 이외의 다른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그러한 시도의 한 사례 로, 일본어 한글・한국어 가나 전사자료, 특히 전근대 시기의 한국어・일본어 학습서를 대상으 로 한국어 모음 /ㅕ/, /ㅖ/, /ㅔ/의 변화를 검토한 것이다. 한편 한일 학습서 자료의 연구가 일본어학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한국에서 편찬된 일본 어 학습서, 이른바 ‘왜학서’와 일본에서 편찬된 한국어 학습서를 모두 ‘조선자료’라고 칭하는 관습이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편찬주체・대상언어・표 기문자에 따라 전사자료의 종류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어 가나 전사자료를 믿을 만한 한국어사 연구 자료로 사용하려면, 한국어 복원은 일차적으로 가나 전사와 대역 일본어 에 의지하고, 한글 표기는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방법론에 따라 일본어 한글 전사자료와 한국어 가나 전사자료를 함께 검토해 보면 한글 표기만으로는 알 수 없는 다양한 음성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본어 한글 전사자료 에서 일본어의 /e/는 환경에 따라 ‘ㅕ’와 ‘ㅖ’로 전사되다가, ‘ㅖ’로 통일된 후 /n, t/ 뒤의 /e/는 ‘ㅔ’로도 전사된다. 이것은 [+설정성] 환경에서 /ㅕ/의 핵모음이 [e]에 가깝게 실현되었으나 후 설화하였고, /ㅔ/는 같은 환경에서 전설화하였음을 보여준다. 한국어 가나 전사자료에서 한국 어의 /ㅕ/는 ‘e’로 전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비어두・고유어(문법요소) 환경에서는 ‘yo’나 ‘ya’로 전사되는 경우가 많다. /ㅔ/는 ‘oi’로 전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비어두의 조사에 서 ‘e(i)’로 전사되는 예가 보인다. 이것은 /ㅕ/의 후설화와 이에 맞물리는 /ㅔ/의 전설단모음화 가 비어두・고유어(문법요소) 환경에서 먼저 일어나 어두・한자어로 확산되었고, 모음의 [+전설 성]에는 선후행 자음의 [+설정성]이 깊이 관여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Research on Korean historical phonology to date has focused solely on the Hangŭl notation of Korean as it appears in Hangŭl sources. Although Hangŭl is a phonographic writing system, the inherently conservative nature of writing makes it extremely difficult to reflect upon linguistic changes that appear over time. Therefore, in the study of Korean historical phonology, it is necessary to make active use of sources other than Hangŭl in order to capture the phonological changes that occur as a result of cumulative phonetic changes. As an example of such an attempt,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Korean vowels using Japanese-Hangŭl and Korean-Kana transcriptional sources, especially pre-modern Korean and Japanese study books. Up until now, transcriptional sources have mainly been studied in the field of Japanese linguistics, so there has been a practice of referring to all Japanese study books that were compiled in Korea and Korean study books that were compiled in Japan as ‘Chosun sources.’ However, for the systematic use of various source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types of transcriptions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e compilation, the target language, and the written script. In the case of Korean-Kana transcriptions,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Korean language from the Kana in order to make use of them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history.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it is advisable to rely on Kana transcriptions and Japanese translations, and to use Hangŭl notation only as a supplement. Based on this methodology, the study of both Japanese-Hangŭl and Korean-Kana transcriptional sources reveals a variety of information that cannot be obtained from the Hangŭl notations alone. In the Japanese-Hangŭl transcriptional sources, Japanese /e/ is transcribed as <ㅕ> and <ㅖ> depending on the context, and after being unified to <ㅖ>, it is also transcribed as <ㅔ> after /n, t/. This shows that the nuclear vowel of /ㅕ/ was realized close to [e] in the [+coronal] context, but underwent vowel backing, and /ㅔ/ underwent vowel fronting in the same context. In Korean-Kana transcriptional sources, Korean /ㅕ/ is often transcribed with <e>, but in non-word-initial and native word contexts, it is often transcribed with <yo> or <ya>. /ㅔ/ is often transcribed with <oi>, but there are cases where it is transcribed with <e(i)> in non-final particles. This shows that the backing of /ㅕ/ and the fronting-monophthongization of /ㅔ/, which occurred in conjunction with the backing of /ㅕ/, originated in a non-word-initial and native word context and spread to word-initial and Sino-Korean word context, and that the [+front] feature of vowels is deeply related to the [+coronal] feature of the preceding and following consonants.

      • KCI등재

        충청도 방언의 해유체 종결형 ‘있어유’>‘있유’의 변화에 대하여

        김영규 진단학회 2024 진단학보 Vol.0 No.142

        이 글은 충청도 방언의 특이 활용형 ‘있유(있어요)’, ‘청국장이유(청국장이에요)’, ‘가슈(가세요)’ 등의 형성 과정을 해명하고, ‘ㅓ’>‘ㅔ’>‘ㅣ’ 견인 현상의 존재를 제안한다. ‘ㅓ’의 견인은 ‘{ㅅ, ㅆ, ㅣ, j}_j’의 환경, 곧 전설성 요소가 ‘ㅓ’의 앞뒤로 연접하는 조건에서 발생하며, ‘있-’, ‘-이-’, ‘-으시-’ 부류처럼 사용 빈도가 무척 높은 부류에 국한하여 일어나는 현상이다. 경기도 방언의 ‘있에요’, 서남방언의 ‘있이야’, 서북방언의 ‘잇이요’ 등도 ‘ㅓ’ 견인의 예로 설명할 수 있다. 이 현상은 전설음화(fronting)의 한 유형으로 이해되지만, ‘ㅅ’의 구개성을 전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ㅡ’>‘ㅣ’의 전설음화와는 같지 않다. 충청도 방언과 전라북도 방언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어야, -어유’>‘-으야, -으유’ 재구조화는 ‘있유(~있이유)’를 ‘있-으유’로 재분석한 결과로 추측된다. This paper elucidates the change process of some special conjugated forms like ‘issyu’, ‘cheonggukjangiyu’, and ‘gasyu’ in the Chungcheongdo dialect, and proposes the existence of the ‘ə’>‘e’>‘i’ pulling change. The pulling change of ‘ə’ occurs in an environment where front or coronal elements are adjacent to ‘ə’, or ‘{s, sˀ, i, j}_j’, and it is limited to highly frequent word classes such as ‘iss-(to exist)’, ‘-i-(copula)’, and ‘-eusi-(honorific marker)’. Forms like ‘isseyo’ in the Gyeonggido dialect, ‘issiya’ in the Southwestern dialect and ‘isiyo’ in the Northwestern dialect can also be explained as instances of this process. While this process can be understood as a type of vowel fronting, it differs from the fronting of ‘ɨ’>‘i’ in that it does not presuppose the palatality of ‘s’. The restructuring of ‘-eoya, -eoyu’>‘-euya, -euyu’ observed in the Chungcheongdo and Jeollabukdo dialects is conjectured to be the result of reanalyzing ‘issyu’ as ‘iss-euyu’.

      • KCI등재

        개화기 『國語讀本』과 일제 강점기 『朝鮮語讀本』의 모음 표기에 대한 고찰

        송미영(Song Mi-young)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3 No.-

        이 연구는 개화기 『國語讀本』과 일제 강점기 네 차례 발간된 『朝鮮語讀本』의 모음 표기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10년 일한병합으로 조선총독부가 설치되면서 국어는 조선어로, 일어가 국어로 뒤바뀌어 국어 교과서는 조선어 교과서로 격하된다. 1895년 학부 관제가 시행되면서 학부에서 교과서 발간을 주도하였으나, 조선총독부는 내무부 산하에 학무국 편집국만을 설치하여 교육 행정이 매우 축소된다. 즉 일제 강점기 교과서 편찬의 주체는 학무국의 편집과였고, 조선총독부의 편수관이나 편수 서기 등의 소수의 인원에 의해 교과서가 편찬되었다. 개화기 『國語讀本』(1907~1908)은 일제의 동화주의 정책에 따라 자구 정정을 거쳐 『訂正 普通學校 學徒用 朝鮮語讀本』(1911~1913)으로 발간되었고, 이어 세 차례 『朝鮮語讀本』이 간행된다. 그러나 『國語讀本』과 『訂正 普通學校 學徒用 朝鮮語讀本』만 내용이 유사할 뿐 이후 세 차례의 『朝鮮語讀本』은 대부분 개정된 내용이다. 또한 당시 어문 규범에 해당하는 「普通學校用 諺文綴字法」이 존재했고, 교과서 편찬 시 이에 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육 정책에 해당하며 교과서 편찬의 지침이라 할 수 있는 어문 규범, 교과서 서문 등과 함께 『國語讀本』과 『朝鮮語讀本』의 모음 표기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아래아(ㆍ), 원순모음화, 전설모음화, 모음조화, 모음 탈락 등의 표기를 중심으로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riting of vowels in “Gugeodokbon by Enlightenment and “Joseoneodokbon published four tim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hen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 was established in 1910, ‘Gugeo(korean) became ‘Joseoneo and ‘Japanese was changed to ‘Gugeo and ‘Gugeo(korean) textbook became ‘Joseoneo textbook . It was downgraded. In 1895, textbooks were published by Hakbu, but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 only installed academic affairs bureaus at home affairs, greatly reducing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Japanese Colonial Era textbook was in charge of the academic affairs bureau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 and was compiled by a small number of personnel(editorial officer, editorial clerk). “Gugeodokbon published in the Enlightenment, was revised and published as “Revised Primary School Joseoneodokbon in accordance with assimilation policy of Japanese, followed by Joseoneodokbon three times. However, only Guugeodokbon(1907-1908) and Revise Primary School Joseoneodokbon(1911-1913) have similar content, and the three later publications, Joseoneodokbon are mostly revised. At that time, there was the Korean Spelling System for Primary School, corresponding to Linguistic Norm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pproach the vowels writing of Gugeodokbon and Joseoneodokbon, with the Linguistic Norms and textbook prefaces, which are both educational policies and guidelines for textbook compilation.. This study focused on writing such as Arae-a(·), Vowel-rounding, Front-vowelization, Vowel Harmony, Vowel dele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