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문직업적 정체성, 자기효능감이 음악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최상기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8 음악예술연구 Vol.8 No.2

        본 논문은 음악인의 전문직업적 정체성(professional identity)과 자기효 능감(self-efficacy)이 음악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 이다. 인간이 존재에 대한 고민을 시작한 이래로 현재까지도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로 논의되고 있는 행복에 대한 고민은 긍정심리학(positive psychology)의 발달과 함께 일반인들에게도 큰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하 지만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음악인의 행복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찾아보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음악인의 행복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음악인이 가지는 다양한 특성 중 그들이 전문가라는 특성에 집중하여 음악인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자기효능감이 음악인의 행 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인, 전문직업적 정체성, 자기효능감, 그리고 행복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변인들 간에 서로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고찰한 후 143명의 음악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인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다른 직업군들을 대 상으로 한 선행연구에 비해 비교적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 효능감과 행복(주관적 안녕감) 수준 역시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음악인의 행복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과 음악인의 행복 간에도 유의미한 정 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음악인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과 자기효능감은 음악인의 행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자기효능감은 음악인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설 명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논문의 결과는 앞으로 수행될 음 악인의 행복에 관한 다양한 연구의 선행 자료로서 가치를 가질 것이며, 지 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잘 시도되지 않았던 음악인의 행복이라는 주제에 대한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가치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professional Identity and self-efficacy of musicians affect their personal happiness. happiness and how to achieve happiness has been an important question to mankind since the birth of metaphysics. With the development of positive psychology, the general public has also taken an interest in the seeking of happiness. Despite the increase in interest in happiness, not many papers focus on the happiness of musicians. Therefore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happiness of musicians, specifically on the fact that professional nature of musicians and how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self-efficacy affects their happiness. After reviewing past studies on musicians, professional identity, self-efficacy, and happiness, this paper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conducted a survey. The survey was targeted toward 143 musicians and was conducted onlin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compared to past studies on other occupations, musicians scored highly on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levels of self-efficacy and happiness (Subjective Well-being) were also favorable. Second, both happiness and professional identity, and self-efficacy and happiness showed to have a static relation. Lastly, both professional identity and self-efficacy showe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appiness, showing that professional identity and self-efficacy having explanation power on happ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valued as it is focused on the happiness of musicians, a subject ignored in the past in Korea and will stand as preliminary data for various future studies on happiness of musicians.

      • KCI등재

        나는 전문가인가?

        유선욱(Yoo, Sunwook),문현기(Moon, Hyunk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5 광고연구 Vol.0 No.107

        본 연구는 광고실무자인 한국의 광고회사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전문직업적 정체성(professional identity)과 직업적 웰빙(occupational wellbeing), 직무열의(job engagement)와 직무소진(job burnout), 직무효과 변인인 직무만족(job satisfaction)과 직무성과(job performance)가 성별, 경력, 직급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직업적 정체성, 직무열의, 직무성과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난 가운데 모두 남성 실무자들에게 높게 나타났다. 경력에 따라서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력이 많을수록 전문가로서의 정체성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5년 미만과 10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그룹 간 차이가 유의미했다. 직업적 건강이나 직무효과성 인식에 있어서는 경력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직급에 따라서는 직무소진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사원 · 대리급과 부장 이상 급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전문직업적 정체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있어서는 과 · 차장급과 부장 이상 급 간 차이도 유의미했다.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직무열의는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반면, 직무소진은 직무만족에서만 부분매개로 작용함이 나타났다. 직무소진은 직무성과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광고실무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성과를 매개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광고회사의 실무자들은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가질수록 직무에 만족하고, 긍정적인 성과를 이끌어 낸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규명하였으며, 또 스스로 전문가라고 생각하는 광고실무자들은 직무에 헌신하고 몰입하며 활력을 갖게 되어 자신의 일에 더 만족하고 일을 더 잘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광고 종사자들의 타 직종으로의 이직 및 전직이 심각한 수준에 이른 현재의 광고산업 환경에서, 광고실무자들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제고를 통해 건강한 직업인으로서 업무에 임하며 직무에 만족하고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각각의 광고회사와 산업 차원에서 제도적 정비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on advertising practitioners in Korea has two purposes. One is to examine how professional identity,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occupational wellbeing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differ based on gender, work experiences, and positions of advertising agency employees in Korea. The other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s variables abov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e following. The differences of professional identity, job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gend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male practitioners had higher means than female practitioners. Based on work experiences, only professional ident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eniors showed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re was a stalk difference between less than 5 years group and more than 10 years group. For variables like occupational wellbeing,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differences in work experiences, were not significant. Based on pos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variables except job burnout between juniors and department heads and above. In case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job satisfaction, differences between managers and department heads and above(were also significant. In professional identity"s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job engagement appears to have partial mediation. Whereas, job burnout appears to have partial mediation on job satisfaction only. Job burnout does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hence job burnout does not have any mediating effect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job performance. The study investigated theoretically that the more advertising practitioners have professional identity, the more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job, and the more they yield positive performance. Also, advertising practitioners who think of themselves as professionals were found to be more dedicated to their work, more engaged, and more energetic, and are therefore more satisfied with their work. In the present advertising industry which shows high rate of career changes, the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each advertising agency as well as advertising industry as a whole should prepare improvement and reorganization of systems to enhance professional identity of advertising practitioners so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job and yield better performance.

      •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개인 및 조직 변인의 위계적 관계

        문미혜,조대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hierarchical linear relationship among the professional identity, individual variables,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Method: 453 responses from 33 special schools were used. All data analyses were using the SPSS 23.0 and HLM 8.1 programs. Results: First, 65.3% of the total variance in professional identity was explained by individual level variance and 34.7% of the variance in that was organizational level variance. Second, the effects of career, external scanning of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agility were significant. Third, the effects of average academic achievement, leadership and personal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were significant. Conclusion: As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pecial school teachers differed depending on individual teachers and school organization, not sure when these two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및 조직 수준 변인의 위계적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33개의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453명의 특수교사가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SPSS 23.0, AMOS 23.0, HLM 8.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2수준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의 기초모형 분석, 중간모형 분석 그리고 연구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 간 차이로 설명되는 변량은 65.3%, 조직 간 차이로 설명되는 변량은 34.7%로 확인되었다. 둘째,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관한 개인 수준 변인의 설명량은()은 6.25%로 나타났다. 개인 수준 변인 가운데 경력, 무형식학습 활동의 외부탐색과 학습민첩성은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조직 수준 변인의 설명량은()은 53.6%로 나타났다. 조직 수준 변인 중 학력평균과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인 리더십과 개인개발이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교사 개인 및 학교조직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개인적 특성뿐 아니라 특수학교 맥락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학교조직의 차별화된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노인복지전문가의 개인적 특성과 직무만족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이선희(Sun Hee Lee),전익기(Ik Ki Jeon),곽정현(Jeong Hyeon Kwak)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노인체육지도자 들을 대상으로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사회복지사, 노인 체육 지도자들이 어려움 없이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경기도에 소재한 노인복지시설의 사회복지사와 노인프로그램 담당 강사들 총 227명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더미회귀분석(Dummy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 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각 변인들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교육수준과 경력수준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더미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4년제 대학 졸업 집단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수준에서는 4-6년 정도인 사회복지사, 노인체육 지도자 들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크게 인적요소, 직무 및 환경적 요소, 보상요소 등으로 나뉘며, 모든 요인이 전문 직업적 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sents a basis that senior welfare professional's work easily through analysis of factors about professional job identification of senior welfare professional's As for the research subject, the data of 227 social workers and instructors of senior program region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and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 The ways of analysis a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Dummy regression analysis. First, I analysis about reliability between professional job identification to satisfaction of work and it showed regard reliability. Second, I analysis for factor about professional work identity that independent factor set up education level and career level and use Dummy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group of graduation of college has significant effect of professional work identity. Third, factors that give an effect to professional work identity are human factors, work and environment factors, reward factors and all of factors give an effect to professional work identity.

      • KCI등재

        육군 전문인력의 전문가지향성 및 직무도전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매개효과

        강용관 ( Yongkwan Kang ),이민수 ( Minsu Lee ),임유신 ( Yooshin Im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5 국방연구 Vol.58 No.2

        본 연구는 육군 전문인력의 전문가지향성과 직무도전성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매개로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석사학위 이상의 위탁교육을 마치고 전문인력으로 분류된 육군의 전문인력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설검증을 실시한 결과, 전문인력의 전문가지향성이 높을수록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인력이 수행하는 업무의 직무도전성이 높을수록 이들이 인식하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높아졌다. 한편 전문가지향성과 직무도전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발 및 양성을 포함한 전문인력 인사제도 발전방향과 관련하여 본 연구가 지니는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A survey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cesses through which professional ident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t orientation, job challeng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 used a sample of 225 professional army officers with master``s or Ph.D. degree through commissioned education. Adopt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found that both expert orientation and job challenge positively affect professional identity. Professional identit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t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lleng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mplications on personnel management policies for professional manpower including selection and training, and research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보호관찰관의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원홍,이형섭,김현민 한국보호관찰학회 2010 보호관찰 Vol.10 No.2

        본 연구는 보호관찰공무원의 사회복지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수행을 위해 426명의 자료를 2009년 10월 한달 동안 현재 법무부 소속 보호관찰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호관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고, 이를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인 가운데, 자율성 요인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통제된 주요 변수는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Herzberg의 동기-위생요인 변수였는데, 이들 변수들 가운데 인구사회학적 변수로서는 사회복지학위 소지여부가 유일하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제변수로 사용된 Herzberg의 동기요인 중에서는 성취감. 승진, 책임감과 사명감이, 위생요인 중에서는 근무조건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호관찰공무원의 직무만족 향상 및 이를 통한 직무성과를 증진을 위해서 여러 가지 정책적 · 실천적 함의를 지닌다. 첫째로 앞으로 보호관찰 업무현장에서 책임감과 사명 등 동기요인을 고취하기 위한 교육과 리더십이 보다 강화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 보호관찰공무원의 채용에 있어서 사회복지 학위소지자를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는 특별채용제도의 활성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또한 기존직원이 직무훈련에 있어서도 사회복지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훈련과정의 확충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가장 중요한 함의는 다른 영역의 사회복지사와 마찬가지로 전문가적 ‘자율성’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청소년지도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미영 ( Mi Young Cho ),김선희 ( Sunny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수준과 개인특성별 차이를 조사하고,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청소년수련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청소년지도사 202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에서는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 직무만족도에서는 동료에 대한 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성별, 최종급수, 근무시설, 근무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에서는 성별, 최종급수, 근무시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청소년지도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도는 중간정도의 정적상관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인은 행동의 준거로서 전문조직의 활용과 자기분야에 대한 소명의식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youth work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to analyze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A total of 202 professionals in the youth facilities completed a questionnaire including the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professional identities, and job satisfac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autonomy in the professional identity and contentment of relationships among colleagues in job satisfaction were ranked highes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fessional identity in relation to sex, recent position, working institution and working period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in relation to sex, recent position and working institution. Fourth,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youth workers. Finally, the utilization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sense of vocation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직업상담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 만족의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

        최정인,하정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0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among professional identity,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vocational counselors. The 169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Career Counseling Center in South Korea. They were answered questionnaires in which their professional identity level, job stress level, and job satisfaction level were measured. The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ere employed to verify the hypothesized model. Results reveal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professional ident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Findings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link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job satisfaction was fully mediated by job stres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programs for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counselor.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 of this result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직업상담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 만족의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업상담원 169명을 대상으로 주요변인들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구하고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사용하여 측정모형 및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직무스트레스와 부적상관, 직무만족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직접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직무 스트레스를 낮춤으로써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업상담원의 직무만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함양할 뿐만아니라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노인생활시설 사회복지사들의 직무 및 조직특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매개효과

        차명진(Cha, Myeong Jin),제석봉(Je, Seok Bong)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professional identity as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nd organization- related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urveyed social workers who worked at 24 senior welfare facilities in DaeguㆍGyeoungbuk province from Aug. 1. to Aug. 30. 2006. A total of 13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using on-site survey (response rate 76.7%).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12.0 for Windows. Descriptive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performed on overall measurement item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The reliability of statements was acceptable since the coefficient alphas were > .70.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show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was verified as a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related with job and organization and job satisfaction. As the population ages, there will be an increasing need for professional social workers effectively to work with and help care for the elderly. This study highlighted that job- and organization- related factors, namely self-regulations and social supports,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Especially, such effect was more significantly apparent in high professional identity which is playing a partial mediator. This result implies that there is potential to change work environments of social workers ensuring a delegation of power and responsibility.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promotion system and connect social worker as servant with community through diverse service learning programs. 본 연구는 노인생활시설 사회복지사들의 직무 및 조직특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 있어서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매개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구시 전체 노인생활시설 24개소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18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통계적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 (Window SPSS 12.0)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 및 조직특성, 전문직업적 정체성, 직무만족에 대한 대상자들의 인식은 직무만족(3.28±.63)이 가장 높았으며 전문직업적 정체성(3.23±.50), 직무특성(3.17±.49), 조직특성(3.17±.58)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특성(β=.699, p<.001)과 조직특성(β=.871, p<.001)은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매개변수로 사용한 경우 직무만족에 대한 직무특성(β=.543, p<.001)과 조직특성(β=.773, p<.001)의 영향력이 감소되어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부분적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