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개인 및 조직 변인의 위계적 관계

        문미혜,조대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hierarchical linear relationship among the professional identity, individual variables,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Method: 453 responses from 33 special schools were used. All data analyses were using the SPSS 23.0 and HLM 8.1 programs. Results: First, 65.3% of the total variance in professional identity was explained by individual level variance and 34.7% of the variance in that was organizational level variance. Second, the effects of career, external scanning of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agility were significant. Third, the effects of average academic achievement, leadership and personal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were significant. Conclusion: As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pecial school teachers differed depending on individual teachers and school organization, not sure when these two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및 조직 수준 변인의 위계적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33개의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453명의 특수교사가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SPSS 23.0, AMOS 23.0, HLM 8.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2수준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의 기초모형 분석, 중간모형 분석 그리고 연구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 간 차이로 설명되는 변량은 65.3%, 조직 간 차이로 설명되는 변량은 34.7%로 확인되었다. 둘째,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관한 개인 수준 변인의 설명량은()은 6.25%로 나타났다. 개인 수준 변인 가운데 경력, 무형식학습 활동의 외부탐색과 학습민첩성은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조직 수준 변인의 설명량은()은 53.6%로 나타났다. 조직 수준 변인 중 학력평균과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인 리더십과 개인개발이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교사 개인 및 학교조직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개인적 특성뿐 아니라 특수학교 맥락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학교조직의 차별화된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경기도 고등학생의 코로나19 전후 국어·영어·수학 학업성취도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문미혜,강윤경,조대연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3 중등교육연구 Vol.71 No.1

        본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전후 국어·영어·수학의 과목별 성적을 각각 비교하고, 코로나19 이후인 2020년의 성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2수준 다층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코로나19 이전보다 이후에 상위권인 1,2등급 학생 비율이 낮아졌다. 둘째, 코로나19 이후 국어·영어·수학 학업성취도는 모두 학생과 학교 특성의 영향을 모두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 수준에서는 자기효능감, 교과효능감이 높을수록, 자기주도학습 시간, 사교육 시간이 많을수록, 운동 시간, EBS 이용시간,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적을수록, 자아개념-사회, 부모와의 관계가 낮을수록 국, 영, 수 교과의 학업성취도는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교 수준에서 국어 학업성취도는 학교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사 수업능력과 교사와의 관계는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수학 학업성취도는 교사와의 관계가 낮을수록 높았다.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교육적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 담당자의 직무연수 교과목 개발 연구

        문미혜,김정원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 Vol.2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urriculum of job training program to enhance professionalism of personnel in charge of the project to revitalize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 Subjects requiring personnel in charge of lifelong learning cit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identified through a modified Delphi technique. Results: First, study results up to the second round of Delphi study revealed that, the CVR minimum standard value of 0.42 was met. CV value was less than 0.5, indicating that no additional round was required. In other words, the validity of each item was verified as subjects of job training for officials in charge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abuse prevention and safety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identified with an average value of 6.43, which was the highest, followed by positive behavior support, understanding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hallenging behavior, and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research results, subjects for the job training program necessary for personnel in charge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identifi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a job training program that can enhance professionalism by reflecting the field-oriented nature. In addition,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based on these results.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사업 담당자의 전문성 향상에 필요한 직무연수 교과목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는 수정된 델파이 조사 기법을 활용했으며, 21명의 현장, 학계 전문가 풀을 활용하여 2차에 걸쳐 조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2차까지 실시한 델파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모든 문항이 CVR 최소 기준값인 0.42를 충족시켰으므로 각 항목이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 담당자의 직무연수 교과목으로서 타당함을 검증했다. CV 값 역시 모두 0.5 미만으로 조사되어 추가 라운드가 필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직무연수 교과목 중 장애인 학대예방 및 안전교육이 타당도 평균 6.43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긍정적 행동지원, 도전적 행동에 대한 이해 및 중재 전략, 성인 장애인 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순으로 평균이 높았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 담당자에게 필요한 직무연수 교과목과 세분화된 분류를 제안했으며, 향후 이에 대한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문미혜,조대연,김종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효과를 양적으로 분석하고 일반화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장 관련 리더십 15편을 선정하였으며, 23개의 효과크기로 CMA 3.0 프로그램를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효과크기는 0.674로 나타나 Cohen(1988)의 기준에 의하면 중간 크기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연구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를 알아보고자 학교유형과 종속변인의 범주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반학교장의 리더십 효과크기가 1.299, 특수학교장의 리더십 효과크기가 0.581로 일반학교의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장 리더십 효과크기가 더 컸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종속변인의 수준에 따른 학교장 리더십의 효과크기는 개인 수준의 종속변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경우 0.446, 조직 수준의 종속변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효과크기는 1.037이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장리더십에 관한 메타연구의 시사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and generalize the effects of principals’ leadership perceived by Kore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do this, we selected fifteen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about principals' leadership related to the special teacher and conducted meta - analysis using CMA 3.0 program. As a result, the total effect size of principals’ leadership perceived by the special teacher was 0.674. The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schools and group of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the size of leadership effect of general school principals was 1.299 and the size of leadership effect of special principals was 0.581. The effect of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perceiv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eneral schools was larger and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size of the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dependent variables was 0.446 in the case of the research on the dependent variables of individual level,the effect size of the study on the dependent variables in the school organization level was 1.037.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implications of the meta-research on the leadership of the school principals.

      • KCI등재

        한국 불임 여성에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 유전자형과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임상 결과와의 관련성

        문미혜,최혜원,김민지,이형송,차선화,송인옥,궁미경,전진현,Moon, Mi-Hye,Choi, Hye-Won,Kim, Min-Jee,Lee, Hyoung-Song,Cha, Sun-Hwa,Song, In-Ok,Koong, Mi-Kyoung,Jun, Jin-Hyun 대한생식의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5 No.1

        목 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 불임 여성의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 유전자형의 분포 빈도를 파악하고, 체외수정 시술에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 유전자형에 따른 과배란 유도 과정에서의 난소 반응과 각종 임상 결과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제일병원에 내원한 여성 불임 환자 1, 020명을 대상으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의 유전자형, 즉 Thr307Ala (T/A)과 Asn680Ser (N/S)을 조사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과배란 유도와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을 시행한 302주기에서의 임상 결과를 이들의 유전자형에 따라 비교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에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의 Thr307Ala와 Asn680Ser의 유전자형 빈도는 TT/NN 군이 44.80% (n=457), TA/NS 군이 41.96% (n=428) 그리고 AA/SS군이 10.49% (n=107)의 분포로 조사되었다. 과배란 유도에서의 각 유전자형에 따른 대상 환자의 나이, 난소 반응에 관련된 사용한 난포자극호르몬의 용량과 이에 따른 혈중 에스트라디올의 농도와 채취된 난자의 수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배아이식 후 AA/SS 유전자형 환자에서의 착상률이 TT/NN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24.5% vs 15.7%, p<0.05) 결 론: 대표적인 세 가지 TT/NN, TA/NS 그리고 AA/SS 유전자형에 따른 과배란 유도에서의 난소 반응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각각의 유전자형에 따라 난소 반응과 임상 결과가 다소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follicle-stimulating hormone receptor (FSHR) genotypes in infertile Korean women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SHR genotypes and clinical outcomes of IVF-ET cycles. Methods: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peripheral blood in 1, 020 of infertile Korean women. Genotypes of FSHR at Thr307Ala (T/A) and Asn680Ser (N/S) were scree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analysis. Clinical outcomes related to the genotypes of FSHR were evaluated in IVF-ET cycles (n=302) with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of infertile women under 40 years old. Results: In a population of 1, 020 infertile Korean women, the frequency of TT/NN, TA/NS and AA/SS for the major variant Thr307Ala and Asn680Ser was 44.80%, 41.96% and 10.49%,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of ovarian response and clinical pregnancy rate among the major genotypes of FSHR in IVF-ET cycles with COH. However, implantation rate of AA/SS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T/NN patients (24.5% vs 15.7%, p<0.05).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FSHR genotype wa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ovarian response in IVF-ET cycles with COH.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outcomes and FSHR genotypes of patients should be substantiated by further studies.

      • KCI등재

        특수학교의 교사들이 인식한 조직학습 역량구축 정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문미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perceived by teachers of special education school on teacher efficacy.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f 330 teachers working in 9 special education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Kyounggi, and finally 291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3.0 (Korean version) was used to analyze collected data. Factor analyses,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dd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ears’ teaching exper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Second, after control for years’ teaching experience, the capacity of organizational learning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 finding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needs specific supports for teachers with less teaching experience to increase teacher efficacy. Second, special education schools can increase teacher efficacy by revitalizing the capacity of organizational learning. Finally, the study discussed some implications for HRD theory and practice. 본 연구는 특수학교의 교사들이 인식한 조직학습 역량구축 정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330명으로부터 자료 수집을 하였고, 요인분석, 기술통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경력은 교사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경력을 통제 후,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은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의 하위요소 중 공유된 비전과 협력, 참여적 의사결정 순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 중 리더십, 개인개발, 피드백은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경력이 증가할수록 교사효능감이 향상된다. 둘째, 교사의 교직경력과 무관하게 특수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조직학습 역량구축 정도는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