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 수준의 비교 분석

        김해창 한국지방정부학회 2010 지방정부연구 Vol.14 No.3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문제는 오늘날 지구생태계를 위협하는 전지구적 현안이다. IPCC(2007) 는 지구온난화가 인위적으로 발생된 것이라고 과학적 확신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에 각국과 지방정부 차원의 저탄소도시 조성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우리나라도 지난 2008년부터 저탄소 녹색성장을 추진하고 있으나 지자체 차원에서는 아직도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조차 돼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면에서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기후변화 대응 수준을 세계 주요 도시들과 비교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ICLEI-Local Governments for Sustainability(자치단체국제환경협의회)의 1161개 회원 지자체를 1~5 단계에 이르는 국제적인 기후변화대응 단계에 따라 분류,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 1161개 회원 지자체 가운데 2~5 단계를 추진하고 있는 기후변화대응 수준이 높은 도시로 총 275개 지자체를 선별하고, 그중 5 단계까지 추진하고 있는 저탄소도시 107개를 뽑아 이를 인구 규모, 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기준연도 등에 따라 기후변화대응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ICLEI 회원지자체중 정보를 발신한 우리나라 6 개 도시, 그리고 정부 지정 기후변화 대응 및 저탄소 녹색 시범도시 10곳의 기후변화대응 실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기후변화대응 정책 추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저탄소 녹색도시 제도의 운영실효성에 관한 연구 -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군계획수립지침에 의거한 경기도를 중심으로 -

        오은열 ( Eun-yeol Oh ),문채 ( Chai Moon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8 지역개발연구 Vol.50 No.2

        본 연구에서는 저탄소 녹색성장과 이에 따른 저탄소 녹색도시를 구현하기 위해 제도적으로 제정되어 운영되고 있는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군계획수립지침’에 있어 그 실효성 여부가 매우 불투명한 상태에 있다. 이에 대한 제도개선을 위한 제고 방안을 찾아보자는 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실효성 제고와 지속성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전문가로 분류한 시·군에서 도시계획업무를 맡고 있는 담당자들의 공통적인 의견은 기존 운영되고 있는 제도에 환경보전과 관리계획에 통합하는 것, 그리고 의무화나 강제성 및 법적 구속력이 없으므로 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한계 도출, 궁극적으로는 기존 행정규칙인 관련 수립지침과의 통합성에 기인해야 한다는 점에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법제화에 있어서 국토기본법과 국토계획법, 그리고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과의 상호관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현 저탄소 녹색도시 지침과 도시계획관련 지침(광역도시계획, 도시·군기본계획, 도시·군관리계획)간 통합성을 제기했으며, 3단계 구조로 통합·체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실질적인 실행력으로 실천해야 하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실행의지와 개선노력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Guideline of Urban and Country Planning for Low-Carbon Green City” has been established to realize low-carbon green growth and thus low-carbon green cities. However, effectiveness of that guideline is highly uncertain. Therefore, we focused on finding way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low carbon green city system and the following measures of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were derived. As this policy is neither mandatory nor legally binding its effectiveness is restricted, therefore the city and country urban planners classified as experts believe that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he existing management plan with the environment preservation policy, as well as the existing administrative rules with the relevant establishment guideline.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interrelationship among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d, National Land Planning and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Therefore, we suggest integrating current Low-Carbon Green City guideline with urban planning guidelines (Metropolitan Development Plan, Urban and Country Master Plan, and Urban and Country Management Plan) and implementing the integrated and systematized three-stage structure. However, more importantly, the willingness to carry out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efforts of corresponding local autonomous entities is required.

      • KCI등재

        중국 도시의 저탄소 기후변화 완화정책과 법제 고찰

        윤성혜 ( Yun Sung Hye ) 한국환경법학회 2020 環境法 硏究 Vol.42 No.1

        기후변화 대응 주체의 패러다임이 국가에서 도시, 기업, 개인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 중에서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이 특히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도시에서 사용하는 엄청난 양의 에너지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핵심 요인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도시의 이산화탄소 감축 노력 없이는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힘들다. 한편, 도시는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에 매우 취약한 구조로 되어 있다.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을 경우, 그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도시 시스템이 완전히 붕괴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시의 기후 변화에 대한 양면성은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이 필수적임을 방증한다. 중국은 이산화탄소 최대 배출국가로 효과적 기후변화 완화를 위하여 저탄소 도시 시험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 정책은 각 지방 도시가 중심이 되어 각자의 환경에 맞는 저탄소화를 실시하는 것으로 산업, 건축, 에너지 등 각 분야에서 다양한 정책들이 시험실시 중이다. 특색 있는 중국 도시의 저탄소 기후변화 완화 정책은 한국 도시의 기후변화 완화 정책 마련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논문은 우선, 기후변화 대응 주체로서 도시의 의미를 살펴보고, 도시단위에서 활발하게 저탄소 기후변화 완화정책을 실시하고 있는 중국의 관련 법률과 제도를 분석해 본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의 대표 저탄소시험도시인 선전과 닝보시의 관련 정책 및 제도를 평가하고, 한국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 및 법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도록 한다. The paradigm of actor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is expanding from countries to cities, companies, and individuals. The cities’ actio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has been received special attention. Cities generate the enormous amount of carbon dioxide that is the key contributor to induce climate change by using energy. Without the effort of cities to reduce carbon dioxide, it is hard to expect to respond effectively to the climate change. On the other hand, cities are very vulnerable to the climate change led to the extreme weather, such as localized heavy rain, intense heat that would resulting in completely breaking the urban systems. Thus, the effort of cities is essential for the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China as a major emitter of carbon dioxide is implementing a low-carbon city pilot policy in order to effectively mitigate climate change. Each local city leads its own low-carbon pilot policy in various fields like industry, architecture, and energy, suitable for each environment. It is expected to serve as a reference for preparing a policy for mitigating climate change in cities of Korea. Thus, the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cities as a subject to response to climate change first, and then analyzes the legislation and policy on low-carbon pilot cites. Based on this, it evaluates the policy and legislation of the representative low-carbon pilot cities, and then provides the implication to cities of Korea.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 여름철 열섬 예측 평가

        여인애, 윤성환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10 부산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다양한 건축환경이 조성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 도시계획요소 DB를 E-GIS로 도출하여 도시기후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도시기후특성을 도시구조와 함께 도시의 열환경 관점에서 평가하고 현재 도시구조 조건으로부터 개선 요소를 발견하거나 친환경수법 도입의 잠재성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도시의 물리적 구조가 도시열환경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E-GIS DB를 입력조건으로 부산 해운대구 일대 10km☓11.6km영역을 대상으로 도시기후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도시 기후요소를 도출하였다. 2) 연구대상지역은 14시경 도시 내 시가화 지역 대부분 및 장산일대까지도 30℃이상의 극단적인 고온화 지역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간의 고온화 현상이 야간까지도 지속됨으로 인해 불쾌적성이 야기되는 도시지역이 광범위하게 존재하지만 대상지역에 존재하는 수역 및 산지의 저온특성을 도시고온화 저감방안을 위한 녹화 및 바람길 계획을 통해 도시계획에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정량적인 도시구조요소에 따른 도시기후 현상을 도시계획단계에서 미리 예측할 수 있고, 이를 E-GIS DB와 피드백하여 DB로 구축하여 도시고온화현상 억제대책 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추후 친환경 도시설계 수법을 비롯한 도시계획 입장의 다양한 온도저감 수법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토하는 연구가 다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일본 환경모델도시의 계획적 특성과 추진성과에 대한 고찰

        김남정,강명수,Kim, Nam-Jung,Kang, Myung-Soo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1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2 No.4

        본 연구는 저탄소 사회구현을 위해 도시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일본의 환경모델도시 사업을 대상으로 추진과정과 계획내용, 1차 평가결과 등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녹색성장 정책에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일본은 2008~2009년 13개 도시를 환경모델도시로 선정하였으며, 매년 세부추진계획에 대한 평가를 통해 도시와 지역 간의 정보공유 및 지자체간 자율경쟁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환경모델도시의 주요 계획내용을 살펴보면, 대부분 도시공간구조의 컴팩트도시화와 LRT 등을 활용한 대중교통중심형 도시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지역자원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보급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저탄소 도시구현을 지원하는 사회프로그램 도입과 운영에 적극적인 것을 알 수 있는데 환경포인트제도, 에코센터 교육프로그램 전개 등 시민참여와 인재육성에 관련된 계획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추진사례를 통해 볼 때, 우리나라에서 추진 중인 녹색성장 정책은 정부 주도형에서 지자체 주도형으로 전환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해관계자 모두가 참여하는 계획의 추진,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새로운 기술도입시 관련 법적 제도적 보완 등의 노력이 선행될 필요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the suggestions applicable to Korean green-growth(development) policy and the realization of low carbon society by looking around the promotion policy and the process, the promotion system, main environmental policy in each city about the business for environmental model city in Japan which has been promoted in a city in order to realize low-carbon society. Japan had selected 13 local governments as an environmental model city as a part of a policy to build low-carbon society in 2008~2009, and Japan has formed information sharing between cities and provinces, the spread of information sharing and the free competition among local governments for an environmental model city through Zero Carbon City Promotion Council consisting of local governments and specialists. When examining these cases in Japan, the green-growth policy promoting currently in Korea needs to be convert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dominated policy to the local government-dominated policy and Koreaneeds to make more effort to develop software programs in order to realize green-growth social system.

      • KCI등재

        해외 저탄소 녹색수변도시

        권용우(Yongwoo Kwon),왕광익(Kwangik Wang),유선철(Seoncheol Yu) 대한지리학회 2010 대한지리학회지 Vol.45 No.1

        저자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저탄소 녹색수변도시 조성을 위한 방향설정을 위해 해외 저탄소 녹색수변도시에 대한 사례를 검토하였다. 해외 저탄소 녹색수변도시 검토 결과 자원순환을 통한 에너지 절감, 시설 및 공간 집약적 토지이용계획, 대중교통 및 보행자 중심의 교통체계,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을 통한 에너지 저감 및 재활용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변도시에 적용을 위한 방향으로 ① 교통부문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압축형 도시공간구조, 복합토지이용,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 계획, ② 건물 및 일상생활에서의 신재생에너지 활용, ③ 탄소 흡수원 역할과 삶의 질을 높여주는 녹지공간 확보, ④ 물자원의 선순환구조 구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녹색수변도시 조성을 위해서는 이러한 노력들과 더불어 다양한 해외사례 검토와 기술부문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저탄소 녹색수변도시 조성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임을 논하였다. Low-carbon green waterfront cities for overseas cases were reviewed to propose the direction for Korea. The implications suggested include energy saving by resource circulation, compact land use planning,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These in turn suggest the following implementations; ① Energy saving according to compact city, complex land use, an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② Renewable energy use in buildings and daily lives, ③ Expansion of green space for carbon mitigation and improved quality of life, and ④ Water and resource circulation system. We finally discussed that development of the green waterfront cities in Korea requires the fundamentals of low-carbon green waterfront cities achieved by overseas cases study and technical investigation.

      • KCI등재

        탄소규제 전략으로서 녹색도시주의

        최병두(Choi, Byung-Doo),신혜란(Shin, HaeRa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3 공간과 사회 Vol.23 No.2

        The economic depression in the neoliberal process of glocalization on the one hand and energy drainage and climate change deepened on the global scale on the other have led strategy for carbon control both on the national and the local levels. This strategy presupposes decoupling between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With this kind of problem in place, this paper tries to see the recent pursuit of strategy of carbon control on the urban level in terms of ‘green urbanism’. The term green urbanism, as it has been suggested by some scholars, means more or less normatively a renewable, carbon-neutral, and eco-efficient city. But this concept seems to presuppose a transformation from sustainable development to low-carbon green growth as we can see the development process of environmental policies in Western countries. The concept of green urbanism (as well as that of green state) that has emerged in this transformation process can be seen as a strategy with two motives: 1) to contribute capital accumulation through neoliberal environmental fix and 2) to construct a new regime through carbon control governance. In recent Korea, this kind of strategy for carbon control has been introduced in a similar manner. But the strategy for low carbon green growth and low-carbon green city(or urbanism) in Korea seems neither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urban scale for the strategy to work nor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ontext on the structural level. Hence, not only did Lee Myung-Bak’s central government mobilize this strategy in a highly distorted manner, but most of the local governments also could not see the necessity for pursuing the strategy voluntarily. 한편으로 신자유주의적 지구-지방화 과정에 동반된 경제침체와 다른 한편으로 지구적 차원에서 심화된 에너지 고갈과 기후변화는 국가 및 도시 차원에서 경제성장과 환경퇴락의 탈동조화를 전제로 한 탄소규제 전략을 요청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은 특히 도시적 차원에서 탄소규제 전략의 추진을 녹색도시주의의 개념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녹색도시주의라는 용어를 제안한 학자들에게 이는 다소간 순수한 의미에서 재생가능하고 탄소중립적이며 생태효율적인 도시를 의미한다. 그러나 실제 서구 국가들의 환경정책의 전환과정을 살펴보면, 이 개념은 기존의 지속가능발전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으로의 부정적 전환을 전제로 한다. 이 과정에서 등장한 녹색국가 및 녹색도시(주의)는 한편으로 신자유주의적 환경조정을 통한 자본축적에 기여하는 한편 탄소규제 거버넌스의 구축을 통한 새로운 통치 레짐을 모색하기 위한 전략으로 이해된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탄소규제 전략이 2008년 도입되었으며, 도시 정책에도 반영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저탄소 녹색성장 또는 이를 반영한 저탄소 녹색도시(주의)는 개념적으로 도시 차원에서 시행할 필요성과 그 구조적 배경으로 사회-환경적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으며, 이로 인해 이명박 정부는 이를 왜곡되게 활용했을 뿐만 아니라 지자체들도 이를 자발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 KCI등재

        근린주구 에너지 인증기준 구축과 평가에 관한 연구

        정진아(Jung, Jin A),김홍배(Kim, Hong Bae) 한국도시행정학회 2014 도시 행정 학보 Vol.27 No.4

        최근 많은 국가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책이 공간적 요소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온실가스는 대부분의 경제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도시에서 소비되기 때문에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정책은 도시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도시를 이루는 기초 공간 단위는 근린주구로, 도시 내 온실가스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근린주구 단위에서의 정책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의 온실가스를 저감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미국은 LEED-ND, 영국은 BREEAM-Communities, 그리고 일본은 CASBEE-UD를 개발하여 근린주구 단위에서 저탄소 개발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 친환경 인증제도는 에너지 부문뿐만 아니라 생태, 디자인 등의 다양한 부문을 함께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저탄소 도시 구현이라는 인증제도의 근본적인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IPCC 가이드라인의 탄소발생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하여 에너지 부문에 초점을 맞춘 근린주구 단위의 인증기준을 구축하고 이에 대한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에너지 인증기준은 해외 친환경인증제도와 선행연구, 그리고 근린주구 내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활동을 바탕으로 도출하였으며, 각 인증기준별 평가방법은 문헌고찰을 통해 산출한 탄소배출원단위를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구축한 에너지 인증기준을 대상지에 적용하여 인증기준의 도입 효과인 탄소 저감량을 산정하고, 근린주구 내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한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Many nations are currently establishing the policies for reducing the greenhouse gas(GHG) emissions. However, most policies do not reflect spatial factors including land-use plan, location etc. In this aspect, the policy for reducing GHG emissions is required on the city level. This paper attempts to establish the energy certification standards and assessment for a neighborhood unit. Also, this paper proposes the direction for energy-saving policy in urban planning. The energy certification standards consist of four sectors derived from the carbon generation mechanism. There are four sectors as follows: transport, household, sink and planning. This paper draws 14 energy certification standards and the assessment method for the energy certification standards. The assessment method of energy certification standards is presented through case studies and the literature reviews. Finally, the energy certification standards are applied to Dongtan Newtown. As a result, this paper shows a more effective way to reduce the GHG emissions when planning the neighborhood unit.

      • 부산 서구 저탄소 녹색도시사업을 통한 지역환경 개선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정숙진, 윤성환, 우신구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12 부산연구 Vol.10 No.-

        전 세계의 환경문제인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국가 비전인 저탄소 녹색도시을 견인할 수 있는 지역·권역별 녹색도시화 특성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부산 원도심인 서구 충무동·남부민동의 풍부한 자연자원과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저탄소 녹색성장과 환경보호를 양립시켜 새로운 성장동력과 지역경제 활성화로 도시재생방안을 마련한다. 녹색기술을 활용한 경사지 주거재생, 도심형 항만재생, 원도심 상권재생의 3대 목표를 설정하고 6대 핵심 전략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녹색도시를 조성한다. 서구 저탄소 녹색도시 선도사업에서 노후화된 주거시설을 개선하기 위한 하우스 프로젝트을 통해 지역성에 맞는 주거모델을 제시하고 친환경 기술요소를 이용하여 자체에너지 생산, 그린 인프라를 이용하여 생태복원 및 바람길을 연결하여 미기후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도심형 항만재생에서는 공동어시장에 발생하는 유기성폐기물을 바이오매스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며 해양친수공간 조성과 천마산을 연결하는 그린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부산의 대표적인 저탄소 녹색성장 명품도시로 조성한다. By suggesting the green city characterization measure for each region and zone that can lead the low carbon green city which is a new national vision in order to actively cope with the climate change, the global environment issue, we aim to seek for the measure to build up low carbon green city suitable for local characteristics. With low carbon green growth and environment protection by using abundant natural resources and various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in Seo-gu Chungmu-dong and Nambumin-dong, the old downtown of Busan, the city reclamation measure can be prepared based on a new growth driving force and local economic vitalization. It is a general measure related to easing and adapting to climate change like water circulation, including setting up the three main goals like reclamation of residence on slopes, urban ports and business districts in old downtown based on green technology, and the six core strategies like establishing system of carbon reduction through using low carbon energy, improving the transportation structure through introducing green traffic system, having water/resource circulation system through low carbon circulation resource, having green construction system through applying green technology and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building up ecotype greens based on the carbon absorption system through management of greens and urban forest and creating green community through private and public green partnership. It is possible to control microclimate by connecting wind ways, restoring ecology through using green infrastructure and producing its own energy based on environment-friendly technical elements as also suggesting residental models suitable for lo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house project to improve obsolete residential facilities with low carbon green city leading project in Seo-gu. For the urban port reclamation, bio-energy is produced by building up biomass system through organic waste generated in the joint fish market. As also forming waterfront and green network connecting with Mt. Cheonma, it can be the representative low carbon green growth city in Busan.

      • KCI등재

        저탄소 녹색도시 계획기법의 중요도 평가: 전문가 설문조사 및 비용대비 탄소저감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이재준,최석환,김세용 국토지리학회 2012 국토지리학회지 Vol.46 No.1

        This study aims to draw the planning techniques of the low carbon green city. Total 42 planning techniques were drawn by dividing with four areas of ?reen spatial structure?and ?reen transportation systems? ?reen energy? ?reen construction?configuring the low carbon green city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and case study, and focusing on that result, 21 planning techniques which should be introduced preferentially in Korea were drawn by the evaluation of the importance of expert and the cost vs. carbon reduction effec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rrangement of subdivision? ?ecuring green for absorption of carbon?considering ?ompressive·complex land use?and ?ind & microclimate in the terms of green spatial structure were drawn as the important plan direction, the ?ntroduction of the energy-saving new transportation means? ?ransit-oriented development(TOD)? ?icycle & pedestrian network?etc. were drawn in the terms of the green transportation systems. In addition, the ?hotovoltaic power systems?and ?eothermal heat system?were drawn in the terms of the green energy, and the energy saving construction techniques such as the ?igh performance windows? ?ighly insulated·high air tightness materials? ?aylighting?etc. were significantly drawn in the terms of the green energy.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저탄소 녹색도시 계획기법을 도출하는 것이다. 기존 문헌 및 사례분석을 통해 저탄소 녹색도시를 구성하는 ‘녹색공간구조’와 ‘녹색교통체계’, ‘녹색에너지’, ‘녹색건축’ 등 4개 분야 총 42개의 계획기법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저탄소 녹색도시 관련 연구 및 실무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전문가 중요도 평가와 비용대비 탄소저감효과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우선적으로 도입이 필요한 21개의 계획기법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녹색공간구조 측면에서는 ‘압축·복합적 토지이용’과 ‘바람 및 미기후를 고려한 단지배치’, ‘탄소흡수를 위한 녹지 확보’가 중요한 계획방향으로 도출되었으며, 녹색교통체계 측면에서는 ‘에너지 절약형 신교통수단의 도입’, ‘대중교통역 중심계획(TOD)’, ‘자전거 및 보행 네트워크’ 등이 중요하게 도출되었다. 또한 녹색에너지 측면에서는 ‘태양광 발전’과 ‘지열 냉난방’이 녹색건축 측면에서는 ‘고성능 창호’, ‘고단열·고기밀자재’, ‘자연채광’ 등의 에너지 절약 건축 기법이 중요하게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관련 연구경험이 있는 전문가와 비용대비 탄소저감 효과를 토대로 계획기법의 중요도를 검토한 것으로서 향후 도시차원에서의 탄소저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