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언론인 인식유형 연구

        김흥규(Hung-Kyu Kim),황온중(On-Jung Hwa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기자들의 주관성 유형을 발견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의 주관성 구조 탐구에 유용한 Q 방법론을 적용한 것으로 기자들이 갖는 시민저널리즘의 신념, 가치, 태도 등 가치체계로 구성된 진술문 24개의 Q 표본을 구성하고 P 표본으로는 성별, 경력 등을 적절하게 고려해 27명의 기자에게 Q 분류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기자들의 주관성 구조는 모두 세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제1유형은 ‘상호보완형’으로서 시민저널리즘의 필요성과 기존 저널리즘과의 상호보완성을 보여주었다. 제2유형은 ‘대안형’으로 시민의 참여를 적극 수용하며 민주주의 위기를 극복하며 동시에 기존 저널리즘을 대체할 만한 대안적 저널리즘의 가능성을 주창한다. 제3유형은 ‘기능형’으로서 시민저널리즘의 역기능을 최소화시키며 합리적 방향으로 발전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기자들은 언론 위기 해소를 위한 대안으로 시민저널리즘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전통저널리즘의 상호보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는 시민이 신문제직에 직ㆍ간접적으로 참여케 함으로써 신문 산업이 처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유용한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도출된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 형태가 상호보완형, 대안형, 기능형 등의 개념으로 도출된 것은 시민저널리즘이 단지 하나의 저널리즘 행태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기자들의 사회심리적인 미디어 환경에 입각해 다양하게 평가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Nowadays, newspaper industry faces a crisis in terms of two aspects: First, in this multi-channel era, it has competed with the online journalism appearing in many digital media. Second, with the decrease of numbers of reader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roles of newspaper has to be changed accordingly. The concept of civic journalism emerged as a solution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in how journalists perceive the civic journalism. The Q-methodology was adapted to identify the factors composing of the belief, values, attitudes, ideas, and opinions toward the civic journalism. Total of 24 Q-sample (statements) were sorted by 27 P-sample (journalists) who were selected by their gender, years of service, and the like. The Quanl program finally produced 3 factors that were interpreted and named as follows: Factor Ⅰ, the Complimentary Journalism, the civic journalism would fulfill the functions that traditional journalism has neglected. Factor Ⅱ, the Alternative Journalism inducing the citizen's participation in the public areas. Factor Ⅲ, the Functional Journalism, emphasizing dysfunction of the civic journalism.

      • KCI등재

        온라인 시민저널리즘 양상과 시민 영향력에 관한 한ㆍ미 간 비교 연구

        양민제(Min-Je Yang),김민하(Min-Ha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5 No.1

        미국 사회에서 1980년대에 시작된 시민저널리즘(civic journalism)이 한국에서는 2000년대에 들어와서야 그 자리를 잡고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기성 저널리즘의 구조적인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태동한 대안 저널리즘으로서의 시민저널리즘은 증기하는 온라인 시민기자와 온라인 뉴스 미디어 확산에 의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두 나라의 시민저널리즘 양상과 그 실천에 있어서의 시민 영향력이 몇몇의 요인에 따라 유의미하게 차이를 드러낸다는 사실에 주목하며 본 연구에서는 그 요인들을 찾아내고 두 나라의 온라인 시민저널리즘을 실증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미국의 CNN 「iReport」, 한국의 「오마이뉴스」라는 양국의 대표적 온라인 시민저널리즘을 다음과 같은 4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탈객관주의 정도, 사회 문제에 대한 해결책 모색, 기사의 생산과 소비에 미치는 시민의 영향력 정도, 그 결과로, 미국의 시민저널리즘에서는 전통적인 저널리즘의 객관주의로부터 벗어난 경우가 많고, 사회 문제에 대한 대안 및 해결책 모색과 시민 기자의 활용 정도에 있어서 한국의 시민저널리즘보다 앞서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사 의제 설정에 있어서의 시민 의견 반영 정도나 생산된 기사에 대한 시민 참여 및 영향력에 있어서도 한국의 시민저널리즘보다 발전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그에 반해, 한국의 시민저널리즘은 기사 의제 설정에 있어서의 여론 조사 반영에 있어서만 미국의 저널리즘보다 앞서 있었고, 정부와 관련된 특정 이슈에 대한 기사에 대해서만 시민의 영향력이 미치는 특징을 나타냈다. Korea has starred to pay attention to civic journalism in recent years while it initially emerged in the United Stare since late 1980s. Furthermore, albeit some discernable limitations, the Interne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ertilizing civic journalism as indicated by the emergence of online news media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civic journalists engaged in the online activities. Whereas there are some patterns of civic journalism practice and the civic influence commonly observed in both countries, there are significant factors that distinguish th l e case of Korea from that of the 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wo countries in terms of the patterns of civic journalism practice and civic influence. This goal has been achieved by analyzing 'CNN iReport' in the U.S. and 'Ohmynews' in Korea, both of which are prime civic journalism websites. Those websites have been compared in light of four standards of civic journalism: first, the degree of post-objectivism; second, the search for effective resolutions of social problems; third, civic engagement in the news making process to enhance bottom-up agenda setting; and finally, citizens' interaction with the new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American civic journalism website is more likely to shed light on deviating from the principle of objectivity and seeking alternatives and resolutions of social problems. Moreover, it effectively utilizes civic engagement in the news making process as indicated by the higher numbers of civic journalists and civic news resources. Also, readers' interaction with the news was found to be more active in the iReport website than in the Ohmynews.

      • KCI등재

        저널리즘 위기의 실체와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손석춘(Seok-Choon Sh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6 No.-

        미디어 빅뱅이란 말이 나올 만큼 미디어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저널리즘은 위기를 맞는 역설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사람들(수용자)이 자유로워지고 자신을 스스로 통제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저널리즘의 목적에 비추어 볼 때, 저널리즘의 위기는 곧바로 ‘수용자 복지’의 훼손으로 귀결된다. 따라서 저널리즘 위기의 실체를 정확히 규명하는 일이 저널리즘의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선행과제다. 이 논문은 저널리즘의 존재 원칙에서 진실과 공점을 기본윤리로 개념화하고, 한국 저널리즘이 얼마나 그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우리 시대가 풀어가야 할 주요 의제에 대해 한국 저널리즘은 진실과 공정의 기본 윤리조차 지키지 않고 있음을 확인했다. 저널리즘 위기의 실체를 근본적으로 ‘존재 원칙의 위기’로 규명한 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미국의 ‘저널리즘을 걱정하는 언론인위원회’의 연구를 소개하며, 한국 언론학계가 언론 단체와 유기적 결합을 통해 저널리즘 살리기에 나설 것을 제안했다. As a term 'Media Big Bang' will appear, the media is extending explosively. But actually it is appearing the paradoxical phenomenon which journalism meets a crisis. If the purpose of journalism is 'to provide people with the information they need to be free and self-governing', the crisis of Journalism directly brings about the result which damages audience welfare. Consequently the preceding task which defends the public good of journalism is accurately to get at the root of the substance which brings about the crisis of Journalism. In this paper, the principle and basic ethics of Journalism was theorized on the concept of truth and fairness, how about Korean journalism was answered to the standard is analyzed. With the result it was confirmed Korean journalism does not defend even truth and fairness about important agenda to be solved today. It was recognizes the substance which brings about the crisis of Journalism is 'the crisis of basic ethics', and was presented a an alternative proposal. It was introduced the research of 'Committee of Concerned Journalists' in the United States, and proposed the effort which is saved journalism with organic combination of Korean academic world and journalist' group.

      • KCI등재

        저널리즘의 담론적 구성에 대하여: 저널리즘 정체성·저널리스트 역할 담론에 대한 고찰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김수미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2 언론과 사회 Vol.30 No.3

        저널리즘은 그것이 본질이 무엇인지, 저널리스트의 역할은 무엇인지 등을 두고이루어지는 담론적 실천을 통해 구성되는 사회문화적 제도이다. 용인할 수 있는저널리즘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발화는 저널리즘을 정의하고, 그것에 의미를부여하고, 그것의 경계를 설정하거나 재구획하고, 특정한 행위자와 그의 실천을정당화하거나 그것의 정당성을 박탈하는 힘을 갖는다. 저널리즘과 저널리스트정체성 담론은 저널리즘의 의미를 규정하며, 이 의미는 저널리즘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신념, 저널리즘이 작동하는 방식, 사람들이 저널리즘을 대하는 방식과연결된다. 이 글은 저널리즘 정체성 담론, 특히 저널리즘의 현실이 구성되고 또이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저널리스트 역할 담론’을 구체화하며, 이에 대한 연구의 정교화 필요성을 논의하는 데 집중한다. 메타저널리즘 담론과담론적 제도주의 이론이 논의의 토대로 활용된다

      • KCI등재

        저널리즘을 성찰하는 공론장의 생성 조건: 저널리즘을 관찰하는 수용자, 투명성을 실천하는 저널리스트

        김영빈,한혜경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3 언론과 사회 Vol.31 No.4

        정치 기사의 저널리즘다움은 어떻게 이야기할 수 있을까? 유튜브 등 디지털 기술환경의 변화와 정파성이 두드러진 정치환경은 오늘날 정치 기사의 저널리즘다움을 커뮤니케이션하는 공론장은 생성 자체가 어려울 것 같다는 인상을 준다. 하지만 이 연구는 저널리스트와 수용자의 정파성에도 불구하고 정치 기사의 저널리즘에 관한 공론장은 유튜브 등의 플랫폼으로부터 자극받아 이미 생성되어작동하고 있다고 본다. 이 저널리즘 공론장을 통해 수용자와 저널리스트는 서로가 이해하는 저널리즘의 차이를 관찰하고 있는 것이다. 이 차이의 관찰은 특히저널리스트에게 자기 저널리즘의 맹점을 성찰할 기회가 될 수 있다. 수용자의저널리즘 불만을 직시함은 저널리스트라서 못 봤던 저널리즘의 문제를 볼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용자의 저널리즘 불만에 저널리스트가 투명성을 실천하여 대답한다면, 이를 통해 활성화된 저널리즘 공론장은 수용자와 저널리스트 모두에게 한국 정치 기사의 저널리즘다움에 관한 진일보된 이해를 가능하게할 것이다. 이상의 주장을 논증하기 위해, 이 연구는 루만의 체계이론으로 매스미디어의 기능과 성찰을 논의하고, 이로부터 저널리즘을 커뮤니케이션하는 공론장 개념을 정립한다. 그리고 코바치와 로젠스틸의 투명성 개념을 비판적으로숙고하여, 저널리스트의 투명성 실천이 저널리즘 공론장에서 어떻게 가능한지를 그 의의와 함께 논의한다. 그리고 이 이론적 논의가 갖춘 현실적 함의를 보여주기 위해, 2019년 조국 사태 때 있었던 KBS와 <알릴레오>의 김 PB 인터뷰 공방사건에 관한 분석을 첨가한다. 특히 당시 생성된 저널리즘 공론장에서 KBS의<저널리즘 토크쇼 J>와 <댓글 읽어주는 기자들>이 수용자 앞에서 실천한 투명성은 특기할 만하다. How can we talk about the journalistic quality of political articles? The changing digital technology environment and the highly partisan political environment give the impression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te public forum that communicates the journalistic quality of political articles today.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despite the partisanship of journalists and audiences, the public forum of journalism in political articles has already been generated and operates, spurred by platforms such as YouTube. Through the journalistic public, the recipient and the journalist are observing the difference in their understanding of journalism. Observing this difference can be an opportunity for journalists to reflect on their own journalistic blind spots. Facing the audience’s journalistic grievances allows them to see problems in their own journalism that they might not have seen as a journalist. When the journalist practices transparency, it responds to the audience's grievances about journalism. Such a public forum for journalism allows both the audience and the journalist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journalistic quality of Korean political articles. the resulting journalistic public forum will enable both the audience and the journalist to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journalistic quality of Korean political reporting. To argue the above, this study discusses the function and reflexion of mass media through Luhmann’s system theory and establishes a concept of the public generated through the topic of journalism. It then critically considers Kovach & Rosenstiel’s concept of transparency and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how journalists’ transparency practices enable the journalistic public. To illustrat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theoretical discussion, we add an analysis of the KBS and Alilleo’s contentious interview with Kim PB during the Cho kuk crisis in 2019. In particular, the transparency practiced by KBS’s “Journalism Talk Show J” and “Journalists Reading Comments” in front of their audiences stands out in the journalistic pubic that was generated at that time.

      • KCI등재

        저널리즘에서 인공지능 활용과 기본권 보호

        이희옥 언론중재위원회 2021 미디어와 인격권 Vol.7 No.1

        기술사회의 위험을 인간과 기계의 대립 구도로 접근하면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에 기반한 저널리즘은 인간의 고유한 가치평가 영역을 기계에 내어준다는 점에서 그 대립이 도드라지는 분야이다. 오늘날 저널리즘 영역에서도 AI의 활용이 시도되고 있다. 빅데이터와 알고리즘을 축으로 하는 AI에 기반한 저널리즘은 뉴스콘텐츠를 작성・제작하는 영역 및 배포・노출 등 제공하는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의 대표적인 예는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한 예측・탐사・분석 보도이며 후자의 대표적인 예는 이용자의 데이터를 기계적 알고리즘으로 그루핑(grouping)한 맞춤형 뉴스서비스가 있다. AI에 기반한 저널리즘은 콘텐츠 생산과 제공에 효용성을 높인다. 반면 편향된 정보를 기계적으로 제공함에 따라서 알 권리 표현의 자유 등 수용자의 정보기본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 아울러 가짜뉴스(fake news) 등을 판별하기 위한 AI를 활용한 필터링은 공적 표현의 자유를 과도하게 위축시킬 수 있다. 현재 AI는 발전 단계에 있어서 관련 규제 마련이 어려운 실정이나 AI 활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규율하는 법제화의 방안은 계속해서 연구가 필요한 영역이다. 기술의 초기단계에서는 섣부른 입법을 보다 관련 기본권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를 조망해볼 필요가 있다. 아울러 AI기반 저널리즘의 기본권 간 충돌상황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국가의 소극적 부작위에 관한 심사기준을 강화하는 헌법상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AI에 기반한 저널리즘에서 발생하는 법적 문제를 특히 헌법에서 보장하는 기본권의 개념과 보호의 관점에서 조망하였다. 아울러 헌법의 실천적 과제로서 사인 간의 기본권의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기본권 보호의무 심사기준으로 과소보호금지원칙을 전향적으로 적용하는 방법과 정보의 자유로서 자기결정권의 보호범위 획정을 제안하였다. When approaching a technological society’s risks from a confrontational structure between humans and machines, journalis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an area where confrontation gives away the unique areas of human valuation to machines. Nowadays, AI use in journalism is being attempted. Such journalism based on AI, which is subsequently based on big data and algorithms, is accessed in areas where news content is written and produced and where news is distributed (arrayed) and exposed. Some examples of the former include forecasting, exploration, and analysis reporting through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anwhile, customized news services that group user data into mechanical algorithms are an example of the latter. Fears surrounding AI-based journalism stems from bringing utility to content production and delivery while threatening inmates’ privacy and violating their fundamental rights by providing biased information mechanically. In addition, filtering using AI to identify fake news in journalism can excessively dampen the freedom of public expression. Currently, preparing regulations related to AI development is difficult because legislation designed to regulate problems caused by AI utilization is an area where research is continuously needed. In the early stages, details on specific fundamental rights need to be confirmed in the constitution before legislation can be drafted. In addition, constitutional efforts are needed to strengthen screening standards on the side effects before creating a solution to the conflict between fundamental rights and AI-based journalism. This study examines the legal problems arising from AI-based journalism, especially on the concept and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In addition, the constitution proposes the prospective application of the Underprotective Prohibition as Judicial Review Standard Principle to resolve conflicts involving fundamental rights between signatories. This proposal also requires establishing a scope of protection for self-determination as freedom of information.

      • KCI등재

        한국 스포츠저널리즘의 전개과정과 과제

        권순용,김방출,김한범 한국융합과학회 2019 한국융합과학회지 Vol.8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스포츠 저널리즘의 전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스포츠저널리즘의방향성과 과제를 모색해보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방법 : 주로 문헌고찰을 통해 수행되었다. 스포츠저널리즘의 전개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관련된 보고서 및 문헌자료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으며, 저널리즘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는 문헌을 통해 발전과제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 한국 사회 내에서 스포츠 저널리즘이 어떠한 단계를 거쳐 역사적으로 형성되어 왔는지 그 전개 과정에 대해 정리하였다. 한국 스포츠 저널리즘은 태동기, 성장기, 도약기, 경쟁기, 확장기를 통해 발전해왔다. 이 과정에서 스포츠 저널리즘은 스포츠 저널리즘을 저널리즘의 하위 영역으로써 바라보는 관점과 저널리즘과 스포츠의 중첩된 영역으로 스포츠 저널리즘을 이해하는 두 가지 관점을 토대로 전개되었다. 그리고 스포츠 저널리즘의 영역과 유형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미래의 스포츠 저널리즘의 질적인 성장을 위해 스포츠 저널리스트를 양성하는 위한 제도적, 교육적측면을 정비하고, 스포츠 저널리즘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 향후 보다 건강한 스포츠문화를 이끌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Purpose : This paper analyz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sport journalism in South Korea and explores its future directions and tasks. Methods : Drawn from existing literature and documents, we have analyzed sociopolitical contexts, media environment, and mediasport development to categorize five historical stages of sport journalism development: the beginning stage, the growth stage, the leaping stage, the competition state, and the expansion stage. Results : It is notable that,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the area of sport journalism has been characterized as either a mainstream journalism subfield or a converged field of mediasport. Second, it is identified that the field of sport journalism has witnessed increasing diversity and expansion in its types, scopes, and areas.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in order to advance Korean sport journalism, institutional and educational strategies and tasks are to be provided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port journalists.

      • KCI등재

        영미 저널리즘과 비교해 본 프랑스 현대 저널리즘

        임종권(Jong-Gwon L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7 현상과 인식 Vol.31 No.4

        이 논문은 영미 저널리즘과 프랑스 저널리즘의 특징과 그 차이점을 고찰한 것이다. 현재 논쟁의 쟁점은 프랑스 현대 저널리즘의 형성은 19세기 말 사실과 객관성을 바탕으로 한 뉴스 중심의 영미 저널리즘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주장과 프랑스 저널리즘은 본래 문학과 정치와 깊은 연관 속에서 시작하고 발전되어 온 만큼 이 두 장르가 프랑스 저널리즘의 특징을 이루어 왔으며 따라서 프랑스 현대 저널리즘은 바로 프랑스적인 것이라는 주장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프랑스 저널리즘의 전통인 정치와 문학이 어떻게 프랑스 저널리즘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피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대체적으로 프랑스 저널리즘은 뉴스 보도보다 사상과 정파의 교리를 전하고 선전하기 위한 도구로서 활용되어 왔고 또한 작가가 되기 위한 통로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므로 프랑스에서 저널리스트가 곧 작가이고 정치인이었다. 이처럼 프랑스 신문은 본래 문학의 비평과 정치 선전을 위해 창간되었기 때문에 그 발전 과정은 영미 저널리즘과 매우 달랐던 것이다. 말하자면 프랑스 저널리즘은 문학에서 사실적인 보도 방식을 발견했고 정치에서 비평의 방식을 발전시켰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오늘 프랑스적인 현대 저널리즘의 특징을 이루고 있으며 ‘영미 저널리즘의 영향’이란 주장은 사실상 프랑스 저널리즘의 전통을 무시한 결과인 것이다. This article considers the distinctions and differences of the French journalism and British-American journalism. Nowadays, A points in disputes about the modern French journalism consists in an argument that one has been influenced by British-American Journalism and the other resulted from a development of traditional French journalism francized. Thus, this article puts emphasis on how politics and literature in France had influenced French journal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French journalism had been a instrument to propagate the political thought and to spread the doctrine of a political party as well as the vehicle to become a writer. Therefore, in France, a journalist was just a writer or a politician and French journalism invented a method to report real news from the literature, developed a way of comment from the politics. These made a feature of the modern French journalism. Therefore, I argue British-American journalism which has maintained the values of news based on an objectivity and facts had influence on the modern French journalism, resulted from disregarding the tradition of the French journalism.

      • KCI등재

        VR 저널리즘의 발전과 미래

        이승환(Seungwhan Lee)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7 애니메이션연구 Vol.13 No.1

        오랜 역사를 가진 가상현실(VR) 기술은 최근 다양하고 저렴한 기기들이 보급되면서 크게 확산되고 있다. 가상현실 기술이 새롭게 활용되기 시작한 분야 중에 하나가 뉴스 분야다. VR 저널리즘이 국내외에서 시도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100만 개의 구글 카드보드를 정기 독자에게 무료로 배포하고 시리아 ‘난민’ 어린이에 대한 심층 보도물을 VR로 공개하여 VR 저널리즘의 가능성을 전 세계에 알렸다. 한국에서는 조선일보가 ‘VR 조선’을 통해 VR 저널리즘의 확산에 가장 노력하고 있지만 한국의 VR 저널리즘은 이제 막 시작한 초보 단계이고 큰 영향력을 보여 주지는 못하고 있다. 현 단계에서 VR 저널리즘 발전을 위한 당면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VR 저널리즘의 확산에는 VR 자체의 사회적 확산이 필수적이다. 둘째, 기존의 영상 보도 콘텐츠 제작에 비해서 VR 저널리즘 제작에는 더 많은 비용이 든다. 셋째, 모든 뉴스의 소재가 VR 저널리즘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넷째, 새로운 VR저널리즘용 제작 장비 개발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 VR 저널리즘이 발전하기 위해서 고민해야 하는 문제들도 있다. 고유의 스토리텔링 기법 발전, VR 저널리즘의 윤리 문제 발생 가능성,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을 융합한 형태의 VR 저널리즘 등을 준비하면 VR 저널리즘이 향후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 VR 저널리즘은 보편적인 뉴스 보도 형태로까지 발전하지 못하고 실험적으로 도입하는 단계이기에 본 연구는 본격적인 학술 연구로 발전시키지 못한 한계를 지니지만 국내 최초의 VR 저널리즘 연구로 후속 연구들이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Virtual reality, which has a long development history, is booming recently as various and inexpensive VR devices are introduced. One of the areas that began to use VR is news reporting. VR journalism is emerging in many countries. New York Times made VR journalism famous around the world when it opened ‘The Displaced’, a VR video story about Syrian children who live in refugee camps, with distributing free Google VR cardboards to its one million subscribers. In Korea, Chosunilbo became a leader in VR journalism since it started ‘VR Chosun’. Overall, Korean VR journalism is just at its infant stage and its impact is not big yet. Current situation of VR journalism in Korea faces the following tasks in order to be developed fully in the future: First, the diffusion of VR itself is required condition for a rapid adoption of VR journalism. Second, the high production cost for VR journalism is a hurdle. Third, not all VR news items are suitable for VR journalism. Fourth, some new developments for VR journalism production devices are necessary. Furthermore, there are needs for finding answers for the following questions in a long-term period: developments of new storytelling for VR journalism, possibilities of emerging new ethics of VR journalism, and convergence of VR and AR for VR journalism. This study has limitations because it was not able to analyze VR journalism academically due to its infant stage of VR journalism. As the first study in VR journalism in Korea, it hopes to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in the area of VR journalism.

      • KCI등재

        영미 저널리즘과 비교해 본 프랑스 현대 저널리즘

        임종권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7 현상과 인식 Vol.31 No.3

        이 논문은 영미 저널리즘과 프랑스 저널리즘의 특징과 그 차이점을 고찰한 것이다. 현재 논쟁의 쟁점은 프랑스 현대 저널리즘의 형성은 19세기 말 사실과 객관성을 바탕으로 한 뉴스 중심의 영미 저널리즘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주장과 프랑스 저널리즘은 본래 문학과 정치와 깊은 연관 속에서 시작하고 발전되어 온 만큼 이 두 장르가 프랑스 저널리즘의 특징을 이루어 왔으며 따라서 프랑스 현대 저널리즘은 바로 프랑스적인 것이라는 주장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프랑스 저널리즘의 전통인 정치와 문학이 어떻게 프랑스 저널리즘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피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대체적으로 프랑스 저널리즘은 뉴스 보도보다 사상과 정파의 교리를 전하고 선전하기 위한 도구로서 활용되어 왔고 또한 작가가 되기 위한 통로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므로 프랑스에서 저널리스트가 곧 작가이고 정치인이었다. 이처럼 프랑스 신문은 본래 문학의 비평과 정치 선전을 위해 창간되었기 때문에 그 발전 과정은 영미 저널리즘과 매우 달랐던 것이다. 말하자면 프랑스 저널리즘은 문학에서 사실적인 보도 방식을 발견했고 정치에서 비평의 방식을 발전시켰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오늘 프랑스적인 현대 저널리즘의 특징을 이루고 있으며 ‘영미 저널리즘의 영향’이란 주장은 사실상 프랑스 저널리즘의 전통을 무시한 결과인 것이다. This article considers the distinctions and differences of the French journalism and British-American journalism. Nowadays, A points in disputes about the modern French journalism consists in an argument that one has been influenced by British-American Journalism and the other resulted from a development of traditional French journalism francized. Thus, this article puts emphasis on how politics and literature in France had influenced French journal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French journalism had been a instrument to propagate the political thought and to spread the doctrine of a political party as well as the vehicle to become a writer. Therefore, in France, a journalist was just a writer or a politician and French journalism invented a method to report real news from the literature, developed a way of comment from the politics. These made a feature of the modern French journalism. Therefore, I argue British-American journalism which has maintained the values of news based on an objectivity and facts had influence on the modern French journalism, resulted from disregarding the tradition of the French jour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