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살구 중 Bifenthrin의 잔류 특성 연구

        신현우 ( Hyeon-woo Shin ),이창호 ( Chang-ho Lee ),권회군 ( Hoe-gun Kwon ),나경민 ( Kyung-min Na ),양승현 ( Seung-hyun Yang ),김평열 ( Pyoung-yeol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시설재배 살구 중 Bifenthrin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잔류 특성을 구명하고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여 농산물의 출하단계에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포장은 동일한 품종을 재배하며 지리적으로 차이가 있는 서로 다른 3개 지점에서 수행하였다. 시험농약은 살구에 등록된 농약제품 중 유효성분 함량이 가장 높고 최종 약제살포 후 수확 일이 짧아 잔류가능성이 높은 제품(비펜트린 8% 입상수화제)을 사용하였고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여 살포한 후 최종 약제 살포 후 0, 1, 3, 5, 7, 10 및 14 일차에 시료를 채취하였다. 시료의 전처리는 QuEChERS method (EN 15662)에 따라 수행하였고 LC-MS/MS를 이용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살구 중 Bifenthrin의 정량한계는 0.01 mg/kg이었으며, 회수율 및 저장안정성시험결과는 첨가농도별 평균회수율 허용범위 기준에 모두 적합하였다. 살구 중 Bifenthrin의 일차별 잔류량을 토대로 각 지점별 회귀방정식에 의한 감소상수와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였다. 모든 지점의 처리구에서 최종 약제 살포 후 잔류량이 경시적으로 감소하였으며 A 지점(경북 영천)에서의 반감기는 8.5일, B 지점(경북 영천)에서의 반감기는 6.9일, C 지점(경북 포항)에서의 반감기는 8.3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지점에서 살구의 일차별 잔류량은 잔류허용기준의 최대 64%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가 유통단계에서 섭취할 수 있는 살구에 해당되는 최종살포 후 수확일의 평균 농약 잔류량은 잔류허용기준의 63~50%로 안전한 수준이라 판단되었다.

      • 호박 중 살충제 Buprofezin 및 Pyridaben의 생산단계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 연구

        황규원 ( Kyu-won Hwang ),김현진 ( Hyen Jin Kim ),선정훈 ( Jeong Hoon Sun ),정경수 ( Kyung Su Jung ),이태현 ( Tae Hyun Lee ),문준관 ( Joon-kwan Moon ) 한국환경농학회 2019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9 No.-

        본 연구는 애호박 중 살충제 buprofezin 및 pyridaben의 수확 전 최종 농약 살포일로부터 수확 일까지 농약의 잔류량 감소 추이를 파악하여 약제별 잔류특성을 파악하고, 반감기를 산출함으로써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PHRL, Pre-Harvest Residue Limit)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위도상 직선거리가 20 km 이상인 시험포장 2곳(포장1; 충남 부여, 포장 2 : 경기도 평택)을 선정하여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농약을 살포하고 살포 2시간 후를 0일차로 하여 0, 1, 2, 3, 5, 7, 10일차에 수확하여 잔류량의 경시변화를 토대로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였다. 두 시험 농약은 추출, 액-액 분배, 정제과정을 거친 후 HPLC-UVD로 분석하였다. 정량한계는 모두 0.01mg/kg이었으며, 정량한계 및 정량한계의 10배 수준으로 농약을 처리하여 회수율시험을 수행하였다. 회수율은 buprofezin의 경우 91.1~111.6%이었고, pyridaben은 81.3~114.1%이었으며 변이계수는 15% 미만으로 양호하였다. 애호박 중 농약의 잔류소실양상은 단순 1차감쇄반응식에 따라 반감기를 산출하였으며, 시험포장 1과 시험포장 2에서 buprofezin의 반감기는 각각 4.7일, 4.1일로 나타났고, pyridaben의 반감기는 각각 3.9일, 2.7일로 나타났다. 시험농약의 최종 약제 살포 후 0일차 시료 잔류량은 두 약제 모두 잔류허용기준 (0.5 mg/kg) 미만이었으며, 수확일의 잔류수준을 최대잔류허용량으로 가정하여 잔류회귀감소식을 이용, 수확 10일 전까지의 각 약제별 생산단계 잔류 허용기준(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수확 전 수확 예정일의 잔류량을 예측하여 잔류허용기준의 초과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부적합 농산물의 유통을 사전에 차단하여 소비자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애호박 중 살충제 buprofezin 및 pyridaben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

        황규원,김현진,선정훈,정경수,이태현,문준관 한국농약과학회 2019 농약과학회지 Vol.23 No.3

        The dissipation and residue patterns of buprofezin and pyrdaben in squash grown under greenhouse condition were investigated to establish pre-harvest residue limits (PHRL) and calculate the biological half-lives. The pesticides were treated at standard application rate under two different field Buyeo and Pyeongtaek. Squash were randomly collected from the both areas at 0, 1, 2, 3, 5, 7 and 10 days after treatment. Samples were analyzed by HPLC-UVD and the method limit of quantitation were found to be 0.01 mg/kg. At the fortification levels of 0.01 and 0.1 mg/kg, recoveries ranged 91.1-111.6% for buprofezin and 81.3-114.1% for pyridaben. The biological half-lives of buprofezin were 4.7 days at field 1 and 4.1 days at field 2, respectively. The biological half-lives of pyridaben were 3.9 days at field 1 and 2.7 days at field 2, respectively. According to this study, if pesticide residue is 1.55 mg/kg for buprofezin and 2.16 mg/kg for pyridaben at 10 days before harvesting, pesticide residue will appear under MRL at harvest. 애호박 중 살충제 buprofezin 및 pyridaben의 수확 전 최종 농약 살포일로부터 수확 일까지 농약의 잔류량감소 추이를 파악하여 약제별 잔류특성을 파악하고, 반감기를 산출함으로써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PHRL, Pre- Harvest Residue Limit)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포장 2곳(포장 1: 충남 부여, 포장 2: 경기도 평택)을 선정하여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농약을 살포하고 0, 1, 2, 3, 5, 7, 10일차에 수확하여잔류량의 경시변화를 토대로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였다. HPLC-UVD로 분석한 두 시험농약의 정량한계는 모두0.01 mg/kg이었으며 정량한계 및 정량한계 10배 수준에서 회수율을 시험한 결과 buprofezin의 경우 91.1-111.6%이었고, pyridaben은 81.3-114.1% 범위로 잔류분석 기준인 회수율 70-120% 범위를 모두 만족하였으며 분석법의 오차도20% 미만으로 나타나 양호한 재현성을 보였다[농진청고시 제2019-14호. 농약 및 원제의 등록기준(별표 14) 작물잔류성 시험의 기준 및 방법]. 시험포장 1과 시험포장 2에서 buprofezin의 반감기는 각각 4.7일, 4.1일로 나타났고, pyridaben의 반감기는 각각 3.9일, 2.7일로 나타났다. 수확일의 잔류수준을 최대잔류허용량으로 가정하여 잔류회귀감소식을 이용, 수확 10일 전까지의 각 약제별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안)을 buprofezin 및 pyridaben의 수확 10일전잔류농도가 각각 1.55 mg/kg, 2.16 mg/kg 이하이면 수확시 MRL 수준 이하로 잔류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들깻잎, 상추 및 알타리무 중 살균제 metrafenone의 잔류 특성 및 잔류농도 감소 예측

        노현호,조승현,이정우,신은상,신현우,권혜영,경기성 한국농약과학회 2019 농약과학회지 Vol.23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residual characteristics of metrafenone in perilla leaf, lettuce and ponytail radish called by minor crop and calculate biological half-lives using equations of regression curves based on amount of metrafenone. Also, reduction period of residual concentration was estimated using them. The metrafenone diluted by 2,000 times was sprayed onto perilla leaves and lettuces at three times with 7-day interval and then samples were collected at 0 (after 3 hours), 1, 3, 5 and 7 days after last application. Also, metrafenone was sprayed onto ponytail radishes at treatment plots that were different spraying date before harvest and then they were collected at the harvest day. The amounts of metrafenone in perilla leaf and lettuce were found to be decreased but dilution effect by the growth of perilla leaf was thought to be low. The metrafenone applied onto foliage leaves was detected in root of ponytail radish because of its systemic property. Both roots and leaves had higher residue in the close treatment plot to the harvest day. The biological half-lives of metrafenone in perilla leaf and lettuce were 9.0 and 3.0 days, and those in root and leaf of ponytail radish were 8.0 and 5.0 days, respectively. The period required to reduce the residual amount of metrafenone in perilla leaves below its MRL for the crop was estimated to be 9.6 days. The periods required to reduce the residual amounts of metrafenone in root and leaf of ponytail radish below 0.01 mg kg−1, reference level of the positive list system for pesticide, were estimated to be 23.3 and 46.4 days, respectively. 이 연구는 소면적 재배 작물인 들깻잎, 상추 및 알타리무 중 metrafenone의 경시적 잔류특성을 구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회귀 방정식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여 농약 잔류량 감소 기간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들깻잎과 상추는 2,000배 희석액을 7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한 후 0, 1, 3, 5 및 7일차에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알타리무의 경우 수확전 살포일을 달리하여 살포한 후 일시 수확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들깻잎과 상추중 metrafenone의 잔류량은 경시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들깻잎의 경우 작물 증체에 의한 희석 효과는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알타리무에 엽면 살포된 metrafenone은 침투 이행되어 지하부인 무에도 잔류하였으며, 무와 무청 모두 수확일에 인접하여 살포한 처리구가 높은 잔류량을 나타났다. 들깻잎과 상추 중 metrafenone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각각 9.0과 3.0일로 들깻잎에서 더 오랜 기간 잔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와 무청의 경우 8.0과5.0일로 무에서 오랜 기간 잔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들깻잎 중 metrafenone의 잔류량이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감소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최종 약제 살포 후 9.6일으로 예측되었으며, 무와 무청 중metrafenone이 PLS 기준인 0.01 mg kg−1으로 감소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각각 최종 약제 살포 후 23.3과 46.4일로 예측되었다.

      • KCI등재

        들깻잎 중 Afidopyropen, Pydiflumetofen 및 Mefentrifluconazole의 잔류특성 및 위해성 평가

        박주언,배병진,우상원,정혜진,장유진,박종우,채석,이근식,금영수,경기성,김장억,김태화 한국농약과학회 2022 농약과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소면적 재배작물인 들깻잎 중 afidopyropen, pydiflumetofen 및 mefentrifluconazole의 경시적 잔 류특성과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시험 약제는 살포횟수를 달리하여 살충제는 7일 간격으로 2회, 살 균제는 3회 살포하였다 . 경시적 잔류양상을 평가하기 위한 들깻잎 시료는 최종약제살포 후 0, 1, 3, 5, 7 및 10일차에 각각 수확하여 분석하였다 . 들깻잎 중 시험 농약의 정량한계는 모두 0.01 mg/kg이었으며 , Afidopyropen, 및 대사체 M440I007, pydiflumetofen, mefentrifluconazole의 회수율 결과는 67.2-114.8%의 범위로 양호하였다 . 들깻잎 중 afidopyropen의 잔류량은 0.06-0.42 mg/kg으로 상대적으로 잔류량이 낮은 경향을 보였고 , pydiflumetofen 및 mefentrifluconazole의 잔류량은 12.22-28.90 mg/kg 및 2.35-6.09 mg/kg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잔류량을 보였으며 , 이 는 농약의 특성보다는 살포횟수와 실질적으로 살포된 유효함량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First order kinetics model의 반감기 산출 공식에 적용한 결과 , 들깻잎 중 afidopyropen의 반감기는 4.2일이었고 , pydiflumetofen 및 mefentrifluconazole의 반감기는 각각 8.7일과 8.3일로 상대적으로 afidopyropen의 반감기가 짧은 것은 수중광분해 반감기가 6-19.3일로 짧은 영향인 것으로 사료된다 . 들깻잎에 살포된 afidopyropen은 pydiflumetofen과 mefentrifluconazole의 잔류량은 모두 경시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 일일섭취허용량 대비 일일섭취추정량은 모두 1.5% 미만으로 안전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

      • 호박 중 Buprofezin외 7종의 생산단계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 연구

        문준관 ( Joon-kwan Moon ),황규원 ( Kyu-won Hwang ),김현진 ( Hyen Jin Kim ),선정훈 ( Jeong Hoon Sun ),정경수 ( Kyung Su Jung ),이태현 ( Tae Hyun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19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9 No.-

        본 연구는 애호박 중 살충제 6종 (buprofezin, chlorantraniliprole, clothianidin, pyridaben, spinetoram, thiamethoxam) 및 살균제 2종 (carbendazim, metrafenone)의 수확 전 최종 농약 살포일로부터 수확 일까지 농약의 잔류량 감소 추이를 파악하여 약제별 잔류특성을 파악하고, 반감기를 산출함으로써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PHRL, Pre-Harvest Residue Limit)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위도상 직선거리가 20 km 이상인 시험포장 2곳(포장1; 충남 부여, 포장 2 : 경기도 평택)을 선정하여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농약을 살포하고 살포 2시간 후를 0일차로 하여 0, 1, 2, 3, 5, 7, 10일차에 수확하여 잔류량의 경시변화를 토대로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였다. 애호박 중의 약제들은 추출, 액-액 분배, 정제과정을 거친 후 기기분석을 수행하였다. 정량한계는 모두 0.02 mg/kg 이하였으며 정량한계, 정량한계의 10배 수준에서 회수율 시험을 한 결과 회수율은 78.3~115.4%, 변이계수 15% 미만으로 나타났다. 애호박 중 약제별 생물학적 반감기는 시험포장 1과 시험포장 2에서 buprofezin의 경우 4.7일, 4.1일, carbendazim의 경우 4.2일, 3.1일, chlorantraniliprole의 경우 4.9일, 3.7일, clothianidin의 경우 7.1일, 4.8일, metrafenone의 경우 4.1, 4.4일, pyridaben의 경우 3.9일, 2.7일, spinetoram의 경우 2.2, 2.3일, thiamethoxam의 경우 9.1, 6.4일로 각각 나타났다. 수확일의 잔류수준을 최대잔류허용량으로 가정하여 잔류회귀감 소식을 이용, 수확 10일 전까지의 각 약제별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안)을 제안하였다.

      • 케일 중 Chromafenozide외 3종의 생산단계 농약 잔류허용기준설정 연구

        문준관 ( Joon-kwan Moon ),김현진 ( Hyun-jin Kim ),선정훈 ( Jung-hun Sun ),정경수 ( Kyoung-su Jeong ),이태현 ( Tae-hyun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본 연구는 케일 중 살충제 3종 (Chromafenozide, flubendiamide, pyridalyl) 및 살균제 1종 (pyribencarb)의 수확 전 최종 농약 살포일로부터 수확 일까지 농약의 잔류량 감소 추이를 파악하여 약제별 잔류특성을 파악하고, 반감기를 산출함으로써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PHRL, Pre-Harvest Residue Limit)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위도상 직선거리가 20 km 이상인 시험포장 2곳(포장1 : 경기도 안성, 포장2 : 경기도 이천)을 선정하여 농약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농약을 살포하고 살포 3시간 후를 0일차로 하여 0, 1, 2, 3, 5, 7, 10 (14)일차에 수확하여 잔류량의 경시변화를 토대로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였다. 케일 중의 약제들은 추출, 액-액 분배, 정제과정을 거친 후 기기분석을 수행하였다. 정량한계는 Flubendiamide, pyridalyl의 경우 0.01 mg/kg, pyribencarb(+KIE-9749)의 경우 0.02 mg/kg, chromafenozide의 경우 0.05 mg/kg 이었으며 정량한계 10배 수준, 잔류허용기준 수준에서 회수율 시험을 한 결과 회수율은 chromafenozide의 경우 75.4~83.0%, flubendiamide의 경우 92.6~104.4%, pyribencarb의 경우 71.7~75.5%, KIE-9749의 경우 74.1~86.8%, pyridalyl의 경우 96.1~116.8%이었으며 5성분 모두 변이계수 15% 미만으로 나타났다. 케일 중 약제별 생물학적 반감기는 시험포장 1과 시험포장 2에서 chromafenozide의 경우 5.6일, 3.4일, flubendiamide의 경우 2.4일, 2.7일, pyribencarb(+KIE-9749)의 경우 2.8일, 1.8일, pyridalyl의 경우 4.3일, 3.5일로 각각 나타났다. 수확일의 잔류수준을 최대 잔류허용량으로 가정하여 잔류회귀감소식을 이용, 수확 10일 전까지의 각 약제별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안)을 제안하였다. 추가적으로, 소비단계에서 케일 중 농약의 세척방법에 따른 제거율을 확인하여, 소비자가 보다 안전한 농산물을 섭취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90% Green TD의 수중 잔류 특성

        조일규 ( Il Kyu Cho ),설재웅 ( Jae Ung Seol ),오영곤,김지명 ( Ji Myung Kim ),이동기 ( Dong Gi Lee ),설기하 ( Gi Ha Seol ) 한국환경농학회 2019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9 No.-

        수생태계 질소와 인이 풍부한 부영양 상태에서 유해조류의 대량발생이 빈번해지고 피해가 커지고 있어 이에 대한 친환경인 효율적 방제법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환경 친화적이고 선택적 조류 방지제로 높은 구제효율과 경제성으로 대량 발생한 남조류(Microcystis aeruginosa)등 유해조류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Green TD(90% 수용액)의 수생태계 영향평가 위해 Green TD{Cyclopentyl-(3,4-dichloro-benzyl)-amine} 잔류분석법을 개발하였고 수중 잔류성시험(농촌진흥청고시 제2017-21호, 별표 14-2)을 수행하였다. 시험약제처리량은 25 g/10 a(0.023kg a.i./10 a), 50 g/10 a(0.045 kg a.i./10 a)으로 2개 농도로 온실포트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료채취시기는 처리전, 0일(처리후 2시간),1일, 3일, 5일, 7일, 14일, 21일로 채취하였다. GreenTD의 수중 잔류 양상을 효과적으로 구명하기 위해 수중 잔류분석법을 개발 하였으며, GreenTD의 잔류량을 Shiseido Capcellpak UG120 C18 컬럼을 사용하여 Shmadzu LC-2040C MT Plus(Japan)으로 분석하였다. 물 시료는 감압농축하고 건고물을 물에 용해하여 HPLC-DAD(UV 230 nm)로 분석하였다. 토양 시료는 6N 황산으로 가수분해하고 원심분리한 다음 6N Sodium hydroxide로 알칼리화하고 Dichloromethane으로 분배한 후 감압농축하여 건고물을 물에 용해하여 HPLC-DAD(UV 230nm)로 분석하였다. 물 및 토양 중 GreenTD의 회수율은 각각 76.3 ~ 88.7 %(CV=6.4 %), 74.9 ~79.0 %(CV=1.9 %)이었고, 분석법의 검출한계는 각각 0.01 mg/kg이었다. Green TD 수중 반감기는 25g/10a 및 50g/10a 처리구에서 각각 4.5일와 3.6일이였다. 이 결과는 “수중 반감기가 7일 이하”로 농약의 수중 잔류시험성적 인정범위에 적합한 안전한 수준이였다. 시험약제 처리 21일 후 수중에서 Green TD의 잔류량은 25g/10a 및 50g/10a 처리구 모두 평균 분석법의 검출한계(0.01mg/L)이하로 나타났으며, 토양에서의 Green TD의 잔류량은 25g/10a 처리구에서는 0.03 ~ 0.47mg/kg 이었고 50g/10a 처리구에서는 0.05 ~ 0.92 mg/kg 수준이었다.

      • 들깻(잎) 중 Flubendiamide의 잔류 특성 및 세척방법에 따른 감소 특성

        강동현 ( Dong-hyun Kang ),양승현 ( Seung-hyun Yang ),윤명섭 ( Myung-sub Yun ),오경석 ( Gyeong-seok Oh ),김민 ( Min Kim ),최훈 ( Hoon Choi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본 연구는 들깻(잎) 중 생산단계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하여 농약의 약제처리 후 재배기간 동안 잔류량 변화에 따른 감소상수 및 세척방법에 따른 잔류량 소실 특성 등 경시적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들깻(잎)의 품종은 잎들깨 1호를 사용하였으며 살충제 중 flubendiamide를 대상으로 하여, 충남금산(포장 1)과 충북 음성(포장 2) 및 전남 곡성(포장 3)에 소재한 농가에서 작물 잔류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약제살포는 농약 안전사용기준에 근거하여 flubendiamide 20% 액상수화제(상표명 : 애니충)를 2,000배 희석하여 3일 간격으로 2회 처리하였다. 시료의 채취는 최종살포일로부터 0, 1, 2, 3, 5, 7, 10 일차에 걸쳐 총 7번의 시료를 연속하여 채취하였다. 시료의 채취량은 생산단계 잔류성시험 매뉴얼에 근거하여 최소 50개체 이상의 합이 1kg 이상 되도록 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dryice를 이용하여 마쇄한 후 -20℃ 이하에서 냉동보관하였다. 한편, 세척방법에 따른 농약 제거율(%) 조사를 위한 시험은 5가지(물, 베이킹소다, 칼슘파우더, 식초, 중성세제)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잔류량 분석을 위해 HPLC-UVD는 Waters e2695를 사용하였고, 정량한계는 0.05 mg/kg 이었다. 분석법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약제를 처리하지 않은 공시료에 정량한계의 50배, MRL 수준이 되도록 표준용액을 첨가하여 3반복 회수율 실험을 실시하였다. Flubendiamide의 검량선의 검량 범위는 0.1-5.0 μg/mL에서 검량선 상관계수(r<sup>2</sup>)는 >0.999 이었다. Flubendiamide의 회수율은 정량한계의 50배수준에서 104.2-108.6%, MRL수준에서 111.0-118.6%이었다. 분석법 기준인 회수율 70∼120%, 변이계수 20% 이하를 만족하였다. 또한 확립된 분석법을 토대로 포장시험 시료를 분석하여 잔류농약 경시적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세척 전과 후의 잔류량을 비교하여 세척에 의한 잔류농약 제거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잔류량을 바탕으로 95% 신뢰수준에서 감소상수 하한값을 산출하고 생물학적 반감기를 계산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출하전 일자별 농약잔류허용기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멀칭토양에서 procymidone의 경시적 잔류량 변화와 부추에 대한 흡수이행성

        이득영,김영진,문보연,김경진,송아름,최지민,최근형 한국농약과학회 2022 농약과학회지 Vol.26 No.3

        50% Procymidone 수화제를 부추 노지 재배지에 살포하여 멀칭토양 중 procymidone의 경시적 잔류변화와 토양 잔류 procymidone의 부추에 대한 흡수이행계수 (Bioconcentration factor, BCF)를 산출하였다 . 약액 처리 후 토 양 중 procymidone의 초기 잔류량은 3.661 ± 0.114 mg kg-1이었고 , 최종 부추 수확 후 토양 중 procymidone의 잔류 량은 1.634 ± 0.116 mg kg-1으로 감소하였다 . 멀칭토양 중 procymidone의 잔류 반감기는 (Dissipation time, DT50) 216.6일이었다 . 부추는 시험 기간 중 총 4회 연속 수확하였으며 , 수확한 부추 중 procymidone의 잔류량은 0.789- 1.854 mg kg-1으로 현재 부추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최대 잔류허용기준량인 5.0 mg kg-1을 초과하지 않았다 . 약액 처 리 190일 경과 후 수확한 부추의 잔류량은 1.854 ± 0.117 mg kg-1이었고 , 최종 부추 수확일인 약액 처리 240일 경과 후 수확한 부추의 잔류량은 0.855 ± 0.085 mg kg-1으로 감소하였다 . Procymidone의 부추에 대한 BCF를 산출한 결과 0.216-0.506이었다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