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呪詞에 타나난 時間觀 考察 - 鼻荊郞詞ㆍ志鬼詞ㆍ處容歌를 중심으로 -

        金榮洙 동아시아고대학회 2007 동아시아고대학 Vol.16 No.-

        이 논문에서는 <비형랑사>, <지귀사>, <처용가> 등의 呪詞에 나타난 시간관을 살펴보았다. <비형랑사>에서 脫時間을 드러내는 용어는 ‘魂’과 ‘鬼衆’이라는 표현이다. 초현실적인 존재이기에 현실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 집이란 사람들이 거처하는 곳이지만 유독 <비형랑사>에서는 귀신들이 머물지 못하도록 명령하는 것은 庶出로써 ‘귀신을 쫓는다’(鄕俗帖此詞而辟鬼)는 한 맺힌 원리가 작용한 것이라고 본다. 즉, 以夷制夷의 방식으로 귀신에 대처하는 민중의식을 살필 수 있다고 본다. <비형랑사>는 비형랑이 유복자로 태어났기 때문에 그의 영혼을 위로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설화로 본다. <지귀사>는 술파가 설화가 애초에 불교수행에 방해가 되는 여인들을 멀리하는 교화적인 설화였음에도 불구하고, 신라에 들어와 지귀가 선덕여왕을 사모하고, 여왕이 이에 너그럽게 대응하는 로맨스로 변용시킨 것은 신라인들의 설화수용 방식이 매우 포용적이고 낭만적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 설화는 혜공스님의 우려와 같이 세속인의 애정행각이 성스러운 사찰을 오염시킬 수 없다는 신성관념을 드러내는 설화로 보는 것이 옳다고 본다. 지귀가 못 이룬 염정을 불태우며 세속에서 불의 신으로 받들어진 것도 중요하지만, 이면에는 수도승들에게 수행에 방해가 되는 남녀의 염정문제에 대해 경계하는 의미 또한 내재한다고 본다. 이미 신으로 좌정한 고려 <처용가>에서의 처용아비의 모습은 매우 위력적이고, 무시무시하다. 그는 이미 향가 <처용가>에서 보여준 관용의 화신이 아니라 열병신을 쫓는 무서운 신격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인간 처용으로서의 한계와 갈등을 드러낸 존재가 아니라, 시공간을 초월한 신격으로 변신하여 민중들의 마음속에 좌정한 존재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The author do considers narratives not folklore but stories in which historical truths were exaggerated, augmented, or reduced to be circulated. The fact that ancient Korean novels(古代小說) added moral factors (interest) to historical truths may reflect such viewpoint. Inquiring the origin narratives in the study of ancient novels, or habitual configuration of time, region, and characters in the beginning of novels is a method of pretending to be historical truths. Three Jusas (songs of spell) in ancient poetry were selected to be considered of their time perspective. ‘Bihyungrangsa(鼻荊郞詞),’ ‘Jiguisa(志鬼詞),’ and ‘Cheoyongga(處容歌)’ are individually worthy of controversy, and have factors with which literature, history, and tradition (folk customs) can be investigated. All the three works shared the basis of ‘Byek-sa-jin-kyung(辟邪進慶 : defeating evil and celebrating happiness)’ and at the same time serve as folklore closely related to people's lives. Once a historical event is included in folklore, it undergoes a process through which it is settled in the mentality of the public by way of Entzeitlichung(‘out of time’). In Bihyungrangsa(鼻荊郞詞), ‘a spirit’ and ‘group of ghosts’ represent its Entzeitlichung. They are distant from reality in some extent because they are surreal beings. Houses are a place where people live, but in Bihyungrangsa, ghosts are ordered not to stay in houses because a deplorable principle of ‘expelling ghosts’ by an illegitimate may be applied. Therefore, it shows the public awareness about treating ghosts through ‘defeating enemy by using of other enemy.’ Bihyungrangsa as a narrative may have been created for comforting Bihyungrang's spirit because he was a posthumous child (or his father was the spirit of King Jinjee<眞智王>). The origin of Jiguisa(志鬼詞) is India's Sulpaga(術波伽) narrative for educating Buddhist trainees that women should be avoided because they disturb learning, while Jiguisa, a Silla's narrative, is transformed to be a romance in which Jigui(志鬼) yearns after Queen Sundeuk(善德女王) and the Queen is tolerant for him. Therefore, it shows the way Silla received foreign narratives was greatly tolerating and romantic. However, Jiguisa should be considered a narrative showing sanctity that a love of the vulgar should not contaminate sacred temples, as represented by the anxiety of Monk Haekong(釋 惠空). In Goryeo's Cheoyongga(高麗 處容歌), Cheoyong-abi(處容) is greatly powerful and gruesome. He is already no more an incarnation of tolerance as in the Hyangga ‘Cheoyongga(鄕歌 處容歌),’ but is a frightful divinity who dispels demons of fever. While he represented the limitation and struggle as a male named Cheoyong (as shown in witnessing the sexual intercourse of his wife and the god of smallpox and appeasing his anger to the god), he is transformed to be a divinit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and is settled in the mentality of the public.

      • KCI등재

        晉文公의 論功行賞과 介子推의 龍蛇之歌

        金榮洙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1

        <晉語>는 시간적 순서에 따른 역사 기술이 아니라 사건이 중복되거나 넘나들고 있으며, 占卜을 통한 길흉 예측과 결과를 통한 교훈적인 의미를 강하게 드러내는 사서이다. 重耳는 43세에 국외로 망명하고, 19년 동안 각국을 전전하며, 62세에 晉나라에 돌아와 9년 동안 재위하면서 제환공에 이어 제2의 覇者가 되어 尊王攘夷와 繼絶存亡의 질서를 구축해 나갔다. 그는 망명생활 동안 자신을 따르던 유능한 신하들(狐偃,趙衰,介子推,顚頡,魏武子 등)의 조언과 그의 仁德과 능력을 알아본 일부 제후들의 도움, 아내의 헌신적인 내조, 그리고 진목공 등의 절대적인 후원 하에 귀국하여 발빠르게 정적을 제거하고 정치적인 안정을 이루었다. 진문공은 초나라와의 싸움에서 초성왕과의 약속대로 三舍를 물러나면서도 城濮戰鬪에서 승리하여 패자가 되었고, 踐土의 會盟을 주도했다. 明君良臣의 이상적인 경지는 난세에는 기대하기 어렵지만 반대로 난세라야 신하로서의 참 모습이 드러나기도 한다. 진문공의 논공행상의 과정에서 介子推의 은둔과 焚死는 功成身退의 모범적인 사례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군주가 새겨야 할 소중한 교훈이기도 하다. ‘割其腕股 以啖重耳’의 이야기는 개자추의 衷心을 드러내는 극단적인 사례이자, 진문공의 고난을 극대화하는 언급이기도 하다. 동시에 이같은 사례는 신하들의 충성심을 가늠하는 극단적인 행위로서 찬양과 비난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오랜 망명 생활 동안 신하들과 동고동락 하면서 얻은 처세의 교훈, 각국 군주들의 환대와 냉대, 모욕을 참고 克己하는 자세, 신의를 지키고 은혜에 보답하는 것 등은 모두 체험과 소통을 통해 얻은 값진 것이며 신하들의 引導와 警戒를 받아들인 진문공의 업적인 것이다. ‘Jin-heon-gong(晉獻公)’ was the monarch who stabilized the country ‘Jin(晉)’ after long civil war. He had 8 sons and ‘Sin-saeng’(申生:Crown Prince) , ‘Chong-yi(重耳,晉文公)’ and ‘Yi-o(夷吾,惠公)’ were major characters among them. But after his getting new queen ‘Yeo-hee(驪姬)’ the tragedy began. ‘Yeo-hee’ slandered ‘Sin-saeng’ to die for making her own son ‘Hae-jae(奚齊)’ become the crown prince and expelled ‘Chong-yi’ and ‘Yi-o’ and tried to kill them. On the edge of death those two brothers got separate and they also struggled to fight each other to get the power. When ‘Chong-yi’ was 49-years-old he lived in exile for 19 years wandering many countries. After that he came back to his country ‘Jin(晉)’ and reigned the country for 9 years as the most big power-holder right after ‘Je-hwan-gong(齊桓公)’ under the rule of ‘Jon-wang-yang-yi’(尊王攘夷:Respect the emperor and defeat enemy) and ‘Gye-jeol-jon-mang’(繼絶存亡:carry on family line and revive the lost)Wise king and good subjects(明君良臣) are hard to exist during turbulent age but it is also the best timing to find out what they really are. Gae-jachoo(介子推 - one subject)'s hiding and death are not only the role model cases of that it is virtue for subject to get out of main stage when he made a big contribution especially for his king's work(功成身退), but also the values that all subjects should to follow and keep. A story that during the king Jin-moongong's exile, the loyal subject Gae-jachoo slashed his thigh for feeding the king(割其腕股 以啖重耳) is a case of showing Gae-jachoo's loyalty toward his king but it is also a mentioned story of maximizing Jin-moongong(a King - 晉文公)'s hardship too. At the same time, this kind of case shows an extremely loyal behavior toward king and leaves to both evaluation from people - 'worthy of praise' and also 'worthy of criticism'. The lesson of being worldly wise through conversation with courtiers during long exile times, enduring other’s insult and keeping faith and repaying one’s kindness are all precious things are to be done by ‘Jin-moon-gong’s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It is also ‘Jin-moon-gong’s great achievement to accept his courtiers’ advice and w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