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톨로지를 이용한 단어 군집화 성능 개선

        박은진,김재훈,옥철영,Park Eun-Jin,Kim Jae-Hoon,Ock Cheol-Yo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3 No.3

        이 논문은 사전의 뜻 풀이말을 이용하여 단어 군집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군집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자질이 요구되며 어떤 자질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군집화의 성능이 좌우된다. 뜻 풀이말은 표제어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기는 하지만, 뜻 풀이말에 사용된 단어가 너무 함축적이거나 추상적이어서 뜻 풀이말이 그다지 길지 않다. 뜻 풀이말로부터 추출된 자질을 그대로 군집화에 이용할 경우에는 다수의 작은 군집이 형성된다. 뜻 풀이말을 이용하여 보다 더 좋은 군집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뜻 풀이말의 의미를 크게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보다 더 일반적인 단어로 바꾸어 군집화에 필요한 자질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 추상적인 말을 온톨로지 상에서 한 단계 위의 단어로 확장하거나 온톨로지 상에서 고정 높이에 해당하는 단어로 확장함으로써 단어 군집화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서 온톨로지를 이용해서 자질을 확장할 경우 단어 군집화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보면 온톨로지 상에서 고정 높이에 해당하는 단어로 확장할 경우가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또한 단어 군집화를 위한 자질로 동사가 매우 유용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esign and the implementation of word clustering system using a definition of an entry word in the dictionary, called a dictionary definition. Generally word clustering needs various features like words and the performance of a system for the word clustering depends on using some kinds of features. Dictionary definition describes the meaning of an entry in detail, but words in the dictionary definition are implicative or abstractive, and then its length is not long. The word clustering using only features extracted from the dictionary definition results in a lots of small-size clusters. In order to make large-size clusters and improve the performance, we need to transform the features into more general words with keeping the original meaning of the dictionary definition as intact as possible. In this paper, we propose two methods for extending the dictionary definition using ontology. One is to extend the dictionary definition to parent words on the ontology and the other is to extend the dictionary definition to some words in fixed depth from the root of the ontology. Through our experiments, we have observed that the proposed systems outperform that without extending features, and the latter's extending method overtakes the former's extending method in performance. We have also observed that verbs are very useful in extending features in the case of word clustering.

      • KCI등재SCOPUS

        문서 확장을 이용한 표제어 검색시스템

        김재훈,김형철,Kim, Jae-Hoon,Kim, Hyung-Chu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11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42 No.4

        A headword finding system is defined as a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ing a word gloss as a query. We use the gloss as a document in order to implement such a system. Generally the gloss is very short in length and then makes very difficult to find the most proper headword for a given query. To alleviate this problem, we expand the document using the concept of query expansion in information retrieval. In this paper, we use 2 document expansion methods : gloss expansion and similar word expansion. The former is the process of inserting glosses of words, which include in the document, into a seed document. The latter is also the process of inserting similar words into a seed document. We use a featureless clustering algorithm for getting the similar words. The performance (r-inclusion rate) amounts to almost 100% when the queries are word glosses and r is 16, and to 66.9% when the queries are written in person by users. Through several experiments, we have observed that the document expansions are very useful for the headword finding system. In the future, new measures including the r-inclusion rate of our proposed measure are requir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headword finding systems and new evaluation sets are also needed for objective assessment. 표제어 검색시스템은 뜻풀이를 질의로 간주하는 정보검색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사전의 표제어 뜻풀이(사전 뜻풀이)를 문서로 간주하는 정보검색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 문서의 길이가 너무 짧아 사용자 질의(사용자 뜻풀이)에 대한 적절한 표제어를 검색하기 어렵다. 이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검색에서 사용되는 질의 확장 개념을 문서 확장에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 확장 방법으로는 뜻풀이 확장과 유의어 확장을 사용한다. 뜻풀이 확장은 주어진 단어의 사전 뜻풀이에 속하는 단어의 뜻풀이를 문서에 포함시키는 방법이고, 유의어 확장은 무자질 군집화 알고리즘을 통해서 유의어를 찾고, 찾아진 유의어를 문서에 포함시키는 방법이다. 제안된 표제어 검색시스템은 사전 뜻풀이 그 자체를 입력으로 할 때, 16-포함률이 거의 100%에 달하였다. 또한 사용자 뜻풀이를 입력으로 할 때, 20-포함률이 66.9%였다. 사용자 뜻풀이가 단어의 의미를 충분히 전달할 수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앞으로 정확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서 평가 집합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φ-자질일치와 측면이동(SWM) 규칙에 의한 한국어와 영어 재귀사 해석

        배상희 ( Sang Hee Bae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7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재귀사와 영어 재귀사의 통사 의미적 해석이φ-자질일치와 관계가 있으며 기존 연구에서와 같이 X0-재귀사와 XP-재귀사로 분류하여 재귀사 해석을 설명하기 보다는 FD 원리와 SWM을 근거로 한 [±GEN]의 특성에 따라 설명하는 것이 경제적임을 새롭게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해석의 정확성과 확장성에 관한 두 가지 관점에서 한국어와 영어 재귀사 해석을 시도한다. 첫째, 해석의 정확성과 관련한 재귀사 해석을 위해 자질일치와 관련한FD 원리를 반영한다. FD 원리에 의한 φ-자질, [±GEN] 일치해석을 통해한국어와 영어 재귀사가 동시에 여러 개의 선행사와 결속되는 현상을 설명한다. 둘째, 해석의 확장성과 관련한 재귀사 해석을 위해 SWM 원리를 적용한다. 이러한 원리를 통해 이동을 겪는 성분이 자신의 흔적자리를 성분통어하지 않고도 재귀사와 결속관계를 이루는 현상을 설명한다. 이와 같은 두 원리를 바탕으로 한 φ-자질의 [±GEN]일치가 한국어와 영어 재귀사의 해석을 결정하며, 특히, 기본 값이 X0 또는 XP인 재귀사는[±GEN]일치 방향성에 의해 해석의 정확성과 확장성 결과가 결정됨을 새롭게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newly presents the point that the interpretation of reflexives is determined by [±GEN] properties which are based on FD and SWM principles rather than by X0-reflexives and XP-reflexives because the interpretation of reflexives in Korean and English is associated with φ -feature Agree. To achieve this,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interpret reflexives in Korean and English from the viewpoint of the accuracy and extension of reflexive interpretation. Firstly, for accuracy of reflexive interpretation, the FD principle associated with feature-Agree is introduced. Through the [±GEN] Agree by FD, the FD principle can explain the phenomenon that reflexives are simultaneously binding multi-antecedents. Secondly, in respect of accuracy and extension of interpretation, by positing the SWM as an economical principle, this study illustrates the phenomenon that a component under movement and its traces do not stand in a c-command relation. On the basis of these two principles, this study argues that the φ-feature, [±GEN] Agree determines the reflexive interpretation in Korean and English, in particular, which have X0 or XP defaults. This study further newly demonstrates that the directionality of [±GEN] Agree determines accuracy and extension in reflexive interpretation.

      • KCI등재

        근대계몽기 신문 소재 약성가(藥性歌)의 근대적 변전(變轉)과 의미 연구

        김형태 ( Kim Hyung-tae ) 온지학회 2021 溫知論叢 Vol.- No.68

        약성가는 병의 원인을 진단하고, 약의 성질을 밝혀놓으며, 한방에서 다루는 다양한 약재와 치료법 등을 나열한 시가이다. 약성가는 한의학이 의술의 대세를 이루었던 동북아시아 중 특히 우리나라에서 가장 활발하고 다양하게 전승된 전통이다. 또한 의학 관련 내용을 시조나 가사의 노래 형식으로 만들어 암송과 활용에 용이하게 만든 것이라는 측면에서 우리 시가 향유 방식과 자질의 독특한 점을 확인해볼 수 있는 좋은 갈래이다. 현재 약성가를 확인할 수 있는 텍스트는 조선후기의 의서, 소설 <흥부전>, 판소리 사설 <수궁가(水宮歌)>·<변강쇠가>, 가면극 <봉산탈춤> 등이고, 근대 신문과 잡지 수록 자료, 현대 희곡 등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근대의 신문 중 『대한매일신보』와 『대한민보』 소재 약성가를 대상으로 근대적 변전의 양상과 그 의미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조선후기 약성가류와 근대 약성가의 비교 방법을 통해 앞으로 확장될 관련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근대계몽기 신문에 수록된 약성가는 독서물로 정착하면서 기존의 부수적 성격으로부터 독자적 가결을 형성하였고, 근대 이전 약성가와 달리 의약가적 구성의 확장이 일어났으며, 내용 축약과 정제를 통한 변전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수궁가> 등 판소리에 포함된 약성가는 의서(醫書) 소재 약성가의 영향을 받았으며, 시가로서 충분히 향유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가창 자질을 획득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근대 약성가는 신문 등 다양한 근대적 매체를 통해 시국을 알리고 사회의 각종 병폐를 고발하며, 그 해결책을 전달하려는 목적성을 띠게 되었다. 즉, 근대 약성가는 근대계몽기의 다양한 신문 및 학술지 발간에 힘입어 근대적 사유를 전파하는 수단으로 기능한 것이다. Yak-seong-ga(藥性歌) is a poem that diagnoses the cause of a disease, define the properties of the drug, and lists various drugs and treatments used in oriental medicine. And Yak-seong-ga(藥性歌) made drug-related contents in the form of songs to make it easier to memorize and write. Therefore, it is also a good literary asset that can confirm the enjoyment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Korean poetr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firm the aspect and meaning of modern transformation by targeting the Yak-seong-ga(藥性歌) in the modern newspapers 『The 『Korea Daily News』 and The 『Daehan Minbo』. For this purpose, the basis for related research to be expanded in the future was laid through the comparative method between the Yak-seong-ga(藥性歌)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modern Yak-seong-ga(藥性歌). The texts that can be used for the study include medical book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novel < Chun-hyang-jeon >, pan-so-ri editorial < Su-gung-ga > and < Byeon-gangso- ga >, and the mask play < Bong-san Mask Dance >, materials from modern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modern plays. The Yak-seong-ga(藥性歌) included in the newspapers of the Modern Enlightenment changed from the existing incidental character and formed an unique lyrics while settling down as a reading material. Also, unlike the pre-modern Yak-seong-ga(藥性歌), the composition of the medicinal value was expanded, and the aspect of transformation through content summary and refinement could be confirmed.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at influenced by the yak-seong songs included in the pan-so-ri such as < Su-gung-ga >, and acquired the singing qualities with the potential to be fully enjoyed as a poems and songs. The modern Yak-seong-ga(藥性歌) has the purpose of informing the state of the world through various modern media such as newspapers, accusing society of various ills, and delivering solutions. In other words, the modern Yak-seong-ga (藥性歌) functioned as a means of disseminating modern thinking thanks to the publication of various newspapers and academic journals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 KCI등재후보

        {색}과 {빛}의 의미에 관한 비교 연구

        신현숙(Shin Hyon Sook),박건숙(Park Keon Sook) 동악어문학회 2008 동악어문학 Vol.50 No.-

        이 논문의 목적은 {색}과 {빛}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분석ㆍ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나아가 {색}과 {빛}에 대한 한국어 화자의 인지 방법을 밝히는 데에 있다. {색}과 {빛}은 색채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색}은 색채어와 결합한 [색]을 비롯하여 [대상물/ 자연/ 신체]의 [색]을 기본 의미로 갖는데 비해서 {빛}은 [대상물/ 자연/ 신체]가 발하는 [빛]과 [색]의 [빛]을 기본 의미로 갖는다. 곧 한국어 화자는 {색}을 볼 때에는 제일 먼저 ‘어떤 종류의 색’인지를 본다면 {빛}은 ‘어떤 대상의 빛’인지를 먼저 인지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확장 의미를 살펴보면, {색}은 대표적으로 [특성]을 의미하며 [수]와 결합하여 {색} 자체가 [종류]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를 통해서 한국어 화자가 {색}을 ‘구체적인 개체’이면서 가장 주요한 ‘변별적 자질’로 인지하는 것을 알수 있다. 반면에 {빛}은 추상적 대상인 [가치]와 [희망]을 의미하고, {색}과는 달리 [양]이나 [크기/ 세기] 등과 결합하여 나타나는데, 이는 {빛}이 {색}에 비해서 ‘추상적 개체’이면서 가장 최상의 ‘긍정적 가치’로 인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교 연구를 통해서 {색}과 {빛}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체적이고 명시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The goal of the present paper is to compare the meaning of {color} and {light} and to show the cognitive process. To undertake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n Broadcasting System News 9’ for the six years. In Korean, the meaning of {color} is similar to {light}, especially in the field of [COLOR]. But [COLOR], the basic meaning of {color}, expands into [EMOTION], [KIND], [PROPERTY] etc. The other side [LIGHT], the basic meaning of {light}, expands into [EMOTION], [HOPE], [VALUE] etc. This represents that Korean language users recognize 'what kind of color' at [COLOR], and 'what object is radiating light' at [LIGHT]. Also [COLOR] is recognized a core feature of the object, [LIGHT] is recognized ideal value. In conclusion, we can find that [COLOR] is visible and concrete better than [LIGHT], while [LIGHT] is positive and abstract better than [COLOR].

      • KCI등재

        효과적인 의견 자질 결합을 위한 실험적 연구

        한경수 한국정보관리학회 2010 정보관리학회지 Vol.27 No.3

        Opinion retrieval is to retrieve items which are relevant to the user information need topically and include opinion about the topic. This paper aims to find a method to represent user information need for effective opinion retrieval and to analyze the combination methods for opinion features through various experiments. The experiments are carried out in the inference network framework using the Blogs06 collection and 100 TREC test topics. The results show that our suggested representation method based on hidden ‘opinion’ concept is effective, and the compact model with very small opinion lexicon shows the comparable performance to the previous model on the same test data set. 의견 검색은 사용자의 정보 요구에 주제적으로 연관되면서도 의견이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검색하는 태스크이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의견 검색을 위해 사용자 정보 요구를 표현하는 방법과 이 요구를 만족시킬만한 여러 의견 자질들을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추론 네트워크 모델을 기본 검색 모델로 사용하였고, Blogs06 컬렉션과 100개의 TREC 토픽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가상의 ‘의견’ 개념을 설정하여 효과적으로 의견 검색의 정보 요구를 표현할 수 있었으며, 극히 소량의 일반 의견 단어집만을 사용했는데도 동일한 환경에서 기존 모델과 견줄 만한 의견 검색 성능을 달성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중 ‘명(明)’ 구성 어휘의 의미 특성 연구

        이선희 중국인문학회 2023 中國人文科學 Vol.- No.83

        본 연구는 ‘밝다’의 의미를 가진 한자어 ‘명(明)’과 중국어 ‘明’으로 구성된 어휘를 대상으로 내포된 의미성분분석을 통해 明의 의미 확장 양상을 살피고 그 기제를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자문화권인 한국과 중국에서 동일한 한자가 어떻게 개념화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明’은 빛, 시간, 방향, 위치 및 장소, 방식, 내용, 상황, 이유, 말, 밝히다, 나타내다, 시각 및 청각, 학문, 식견, 지혜, 감정, 태도, 눈동자, 사물, 천체, 색채, 날씨 및 계절, 물, 경치, 지위, 신, 삶, 물질, 기술, 사회, 정신, 가치 영역으로 의미가 확장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공통적으로 ‘명’과 ‘明’은 긍정적 의미자질로 발현된다. 사람은 기본적으로 낮에 살아가는 주행성 동물로, 밤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위험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어렵다. 이러한 경험으로 인해 빛, 밝음을 긍정적인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반면, 양국의 인식 차이로 인해 색채, 날씨, 방향 및 위치, 장소, 태도, 가치, 지위, 삶, 시간, 방식, 물체, 감각 영역에서 다른 양상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국어 접속문의 통사적 표상에 대한 연구

        최웅환(Ung Hwan Choi) 언어과학회 2002 언어과학연구 Vol.23 No.-

        Korean conjoined sentences are related to various components of Korean grammar. This study, considering the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in Korean conjunction, tries to propose Syntactic representation of Korean conjoined sentences as a New approaching. Conjunction endings acts as functional head(&), according to Reductionist approach. Conjunction endings have feature-neutral properties to the effect that they can have grammatical features. Proposition or Inflection phrase(IP) are realized in the complement position, and Topic may be realized in the specifier position of functional head(&). &`s feature are activated by agreement-check with endings of the following sentence in the Externally Extended Sentence, consequently, preceding sentences have internal completeness in Korean conjunction despite their superficial incompleteness.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the grammatical meanings of endings in preceding sentences are based on the agreement with those of following sentences.

      • KCI등재

        Non-canonical Ending Systems in Jeju Korean

        김지홍 한국방언학회 2017 방언학 Vol.0 No.26

        There have been observed (and listed) a plenty of non-canonical endings in Jeju Korean without any explanation. This paper claims that they be ascribed at least to three systems; firstly, derived endings through truncation process (table 4), secondly, amalgamated forms adopting nominal constructions (table 5) and, lastly, merged construction of two final endings (table 6) in terms of their intrinsic characteristics. All of them, needless to say, deserve the frame to classify canonical or typical endings with registers and moods (table 1) which fact implies they are no more idiosyncratic at all. All the morphemes used and the way to transfer relevant functions to target forms are typically Korean rudimentary elements (all the same but different applications). It is presumed that these non-canonical forms must be superior to canonical ending in daily informal conversation style. Once their distribution is fully proved with ‘big data’ support, they never be secondary status at all, regardless of later development. This means that both must have been necessarily required to fulfill pragmatic uses in daily lives. The derived forms of non-canonical endings (table 4) can be explained with omission phenomena pragmatically in which interlocutors share the context in common. Although the second form of nominal constructions (table 5) needs further research to interpretate, the vacant ‘N/A’ columns allow us to read ‘formative noun forms’ and other two forms as complimentary in way of composite features such as [± publicity, ± formality]. It requires modality to be expanded to cover endings with nominal construction, because only small number of special formative nouns are adopted. The last form (table 6) keeps some principle to have the only host ‘-ə’ (-어) which form is the default ending without any content added in spoken Korean. The fused form of consecutive endings is parallel to the so-called ‘emphatic’ constructions with ‘it~ that ~’ in English whose overall function asks more attention from hearer primarily. This may explain why there is no application in imperative mode except declaration and interrogation in table 6. A full description on Jeju Korean endings and its systematic explanation in Kim (2014 and 2016) says that all the grammatical forms used are Korean but uniquely different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