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와 기독교 수사학

        문영식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4

        본 논문의 목적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수사학적 논쟁을 살펴보는 데 있다. 먼저 아우구스티누스 당시 자유학예를 살펴볼 것이다. 바람직한 인간의 구현을 위한 그리스의 자유학예를 아우구스티누스가 기독교로 수용하는 과정을 살필 것이다. 당시 수사학은 이교문화로 치부되어 많은 교회 지도자들에게 거부되었다. 기독교는 그리스와 로마의 교육 문화인 지유학예를 전적으로 거부하든지 아니면 수용하여 제 것으로 만들어낼 것인지를 결정해야만 하는 시기에 도달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유학예 중 수사학을 기독교 수사학 장르인 설교로 활용하는 단초를 제공했다. 중세 초기 수사학은 성서의 해석과 주석, 그리고 교리의 가르침이라는 영역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아우구스티누스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수사학의 사용을 정당화했다. 중세 초기 수사학은 수사학의 기독교화를 통해 기독교와 이교도 사이의 논쟁이라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기독교가 로마제국 내에 신흥종교로 유입되어 성장하면서 외부적으로는 다른 종교와의 갈등을 겪게 되었고, 내부적으로는 기독교 내에서 교리에 대한 분쟁에 시달리게 되었다. 더 나아가 기독교도들에게 교리를 확립하고 가르쳐야 하는 문제가 당면과제로 부상하게 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기독교 지도자들이 봉착한 내·외적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수사학을 활용했다. 본 논문에서 아우구스티누스가 기독교의 진리를 왜곡하는 마니교도들, 도나투스주의자들, 그리고 펠라기우스주의자들과 논쟁하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이단들과 논쟁을 한 이유는 무엇이며 이 과정에서 수사학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수사학이 기독교로 정착하게 됨을 드러낼 것이다. 또한 진리를 변증하고 설득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세우고 실행하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아우구스티누스가 수사학의 원리들을 어떻게 적용시키는지를 드러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Augustine’s argument of rhetoric. First, I’m going to take a look into liberal arts at the time of Augustine. I’ll examine the process of Augustine’s having accepted liberal arts of Greek into Christianity so that he might embody desirable human. In those days, rhetoric was rejected by lots of leaders in the church because they regarded it as the culture of pagan. Christianity confronted the time that they had to decide whether they would entirely reject or accept the culture of education of Greek and Roman, liberal arts. Augustine provided a start of applying rhetoric of liberal arts in Christian sermon. During the early Middle Ages, rhetoric became developed into interpretation and comments on the Bible and the areas teaching Christian doctrines, and for this purpose, Augustine justified the application of rhetoric. And rhetoric got occupied an important part of an argument between Christianity and pagan through Christianization of rhetoric. Christianity got into the conflict externally with other religions, after being introduced to the Roman Empire as a new religion, as developing, and internally got bothered by disputes on doctrine in Christianity. Further, many questions about establishment of Christian doctrines and the problems teaching them to Christians were raised. Augustine made use of rhetoric to resolve the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leaders in the church had been faced with. In this paper, I will look into the precess of arguments with Manichaeism, Donatism, and Pelagianism that distorted Christian truth. I will show why Augustine struggled against pagans, in the process of such debate how rhetoric was used, and how it was taken root in Christianity. I’ll, also, prove how Augustine worked out the strategy and put it into action to demonstrate and persuade Christian truth, and how he applied rhetorical principles to Christianity.

      • KCI등재

        국어교과의 자유교육적 성격 고찰

        천경록 국어교육학회 2022 國語敎育學硏究 Vol.57 No.3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liberal education( 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rts(Kla) as LE. Plato-originated philosophical LE evolved into Aristotle’s Schole, the Seven Liberal Arts, formal discipline, the “Great Books” of perennialism, and P. Hurst’s “forms of knowledge” theory. In this tradition, Kla could partially be confirmed as LE. However Isocrates-originated orators’ LE was more aligned with the nature of today’s Kla, and the problem of missing rhetoric in the “forms of knowledge” could be explained. Considering the nature of LE that puts emphasis on the immanent value of the subject, Kla should be referred to as a “formal subject” rather than a “tool subject”. To realize the ideal of LE, students’ interests and choices must be respected in the process of Kla. 이 연구에서는 학교교육에서 국어교과의 교육과정적 위치를 확인하기위해 자유교육 이론의 역사적 전개를 살펴보고, 국어교과의 자유교육적 성격을 고찰하였다. 자유교육은 고대 그리스에서 플라톤에 의한 철학자적 전통과 이소크라테스에 의한 연설가적 전통으로 시작하였다. 철학자적 자유교육 전통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콜레, 중세의 7자유학과, 르네상스 시기의 형식도야론, 20세기 ‘위대한 저서’ 프로그램, 허스트의 ‘지식의 형식’ 이론으로 발전해 왔다. 이 전통에서도 현재의 국어교과의 자유교육적 모습을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에 비해 이소크라테스에 기원한 연설가적 자유교육 전통은 오늘날 국어교과의 성격과 더 잘 부합하였고, ‘지식의 형식’에서수사학이 빠진 문제를 설명할 수 있었다. 그동안 국어과를 도구교과로 불러왔으나 교과의 내재적 가치를 중시하는 자유교육의 본질을 고려할 때는 ‘형식교과’로 부르는 것이 좋다. 자유교육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어 수업의 과정에서 학생의 관심, 흥미, 선택을 존중해야 한다.

      • KCI등재

        경계넘기의 다양성과 젠더수사학: 이제하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오은엽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8 No.-

        This study analyses that the rhetorical strategy of Jeha Lee’s texts created by interaction of literature and painting in the view of gender rhetoric. The deviation from taboo showed by Jeha Lee relates to prejudice about the contemporary women and defiance against gender ideology. 「A Yellowy Dog」 and 「Hand」 are Jeha Lee`s Early Novels, which are also texts to communicate with a few pictures that gave Jeha Lee a particular inspiration. Both of works have the subject about the absurd life after Korean War. In addition, those two texts describe an aspect in which problems of violence condenses as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and male, which makes female character a ‘foreground’ and cracks patriarchal male characters’ identities. Overlapping the motive brought from pictures with the surreal female character’s image makes the readers illustrates their own thoughts, which encourage postwar literature to overcome the literary abstraction. Jeha Lee has mainly obtained his rhetorical strategy by writing pictorial things. In 「A Diary of Sisters」 and 「Yu-ja Yak Jeon」, the writer reveals that the purpose lets the texts overcome the limit of language using his own pictorial features of rhetoric. Those two works embodies the structure of power to oppress human-being’s freedom and artistic imagination as the issues of love, violence and sex between female and male. Creating their own inner space ‘background’, the female characters deviate from gender ideology fixed by patriarchal rules and try to change gender hierarchy by piling self-examination and reflection. The surreal image created by the female character Yu-Ja erases borders of the visible/invisible world, the idea/material, and depth/living. In this way, Jeha Lee shows the expand process of imagination which makes human-beings communicate with society. In his early novels, overthrown gender rhetoric features don’t aim the emancipation of women against patriarchal suppression. The female image and scenery in Jeha Lee’s texts empowers him to expand border of his self-consciousness and reveals his will that can change lives and world through process of creation where he has sought esthetic freedom. 본 연구는 이제하가 문학과 미술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내는 텍스트의 수사학적 전략을 젠더수사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제하가 보여주는 금기로부터의 일탈은 당대의 여성인식과 젠더이데올로기 대한 도전과도 관련된다. 이제하의 초기 소설 중 「황색의 개」와 「손」은 작가에게 영감을 주었던 화가들의 그림과 상호텍스트적인 특성을 보인다. 두 작품은 전후의 부조리한 삶에 대한 의식을 주제로 하고 있다. 또한 폭력의 문제를 남성/여성의 관계로 압축하여 ‘전경’화된 여성의 모습과 가부장제적인 남성성에 균열이 가해지는 양상을 보여준다. 회화에서 차용한 모티프와 초현실적인 여성 이미지의 중첩은 독자들의 사고를 육화시켜 전후문학의 추상성을 극복하게 한다. 이제하는 주로 회화적인 것의 글쓰기를 통해 수사학적 전략을 획득해간다. 「자매일기」, 「유자약전」에서는 미술의 수사학적 특징을 전유하여 언어의 한계를 초월하고자 하는 작가의 욕망을 엿볼 수 있다. 두 작품에서도 개인의 자유와 예술적 상상력을 억압하는 권력 구조는 남성/여성 간의 사랑, 폭력, 성의 문제로 구체화된다. 여성인물들은 남성 지배적인 규범에 의해 고착된 젠더 이데올로기로부터 일탈하여 내면의 공간인 ‘배경’을 만들고 이에서 축적된 자기 반성력과 성찰의 힘을 통해 젠더 위계를 바꾸어가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유자’라는 여성 인물과 관련된 초현실적 이미지는 가시적/비가시적인 세계, 사고/물질, 죽음/삶의 경계를 지운다. 이로써 이제하는 인간과 세계를 자유롭게 소통시키려는 상상력의 확대 과정을 보여준다. 초기 소설에서 보이는 젠더 수사의 전복적 특징은 가부장제 질서의 억압으로부터의 여성 해방 자체를 목표로 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이제하가 창조해낸 여성 이미지와 ‘배경’의 힘은 자아의식의 경계를 확대하고, 심미적 자유를 추구하는 창작 과정을 통해 삶과 세계를 변화시키려는 작가의 의지를 보여준다.

      • KCI등재

        ‘키메라 되기’와 여성혐오로서의 포르노그래피

        곽차섭(Kwak, Cha-seop)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코기토 Vol.- No.87

        글의 목적은 17세기 자유사상가 페란테 팔라비치노의 포르노그래피적 저작 『창녀의 수사학』을 통해 여성에 대한 그의 섹슈얼리티가 어떤 방식으로 표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는 특히 인코뉘티 학회를 중심으로 번성한 자유사상가 집단의 일인으로서 시종일관 강력한 반교황적, 반 예수회적 정치 풍자를 가했던 인물이었다. 그의 『창녀의 수사학』은 당시 예수회가 애용한 ‘설득의 기술’을 창녀의 ‘기만술’로 바꾸어 놓았을 뿐 아니라, 나아가서 양자를 사실상 동등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한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동시에, 창녀란, ‘키메라 되기’라는 방식으로 오직 자신만의 이익을 위해 남성 고객을 철저히 기만하고 종국에는 그들 스스로가 키메라로 전락하고 마는 존재로 규정함으로써, 그는 창녀로서의 여성에 대한 지독한 혐오의 감정을 우회적이지만 가감 없이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7세기 자유사상가들 대부분이 공유한 이러한 여성혐오는 그들이 표방한 정치적 사회적 ‘진보’ 의식과 극명한 대조를 보이고 있으며, 당시의 ‘원(原) 페미니스트’ 아르칸젤라 타라보티의 강력한 비판에 직면하였다. This essay is aiming at examining how in his pornographic writing La Retorica delle Puttane, Ferrante Pallavicino represents his sexuality or sexual attitude to woman. He, one of 17th-century Italian libertines in particular flourishing in the Academy of the Incogniti, wrote continuously a series of novellas of biting anti-papal and anti-Jesuit political satire. His Retorica delle Puttane, without doubt, has the same ideological messages as his other writings in that it changes the then popular Jesuit ‘art of persuasion’ into the whore’s ‘art of deception,’ and in that actually identifies the Jesuit with the whore. In the same time, by defining whore as the being who only for her own interest completely deceive her male lovers through the mode of chimerizare or giving illusions, and finally herself leads to a chimera or a monster, he, indirectly but clearly, shows a viperous sense of hatred and contempt to woman as whore. Such misogyny held in common by most of 17th-century libertines is in marked contrast to the cause of political and social ‘progress’ they advocated, and faced severe criticism by Arcangela Tarabotti, a contemporary ‘proto-Feminist.’

      • KCI등재

        <그리스도교 교양> Ⅳ권에 나타난 교사의 윤리

        신경수 한국종교교육학회 2019 宗敎敎育學硏究 Vol.61 No.-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도교 교양』에서 수사학의 목적을 진리에 대한 가르침에 둠으로써 수사학을 교수법으로 전환시켰다. 아우구스티누스 수사학에서 연설가는 교사의 역할 중에서 일부분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에게 있어 연설가는 교사와 다름이 없다. 그런데 아우구스티누스는 교사의 성품이 수사적 기법보다 우선한다고 주장한다. 고전 수사학과 아우구스티누스 수사학은 모두 연설가의 윤리를 강조한다. 그러나 고전 수사학이 연설가의 윤리를 설득을 목표로 신뢰할만한 인물로 보이는 데 치중하는데 반해, 아우구스티누스는 선한 삶 자체의 가치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아우구스티누스가 교사의 윤리를 강조한 이유는 진리교육이라는 새로운 수사학적 환경에 의한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수사학을 진리라는 목적과 신적 사랑의 질서에 의해 구조화한다. 그는 플라톤의 위계적인 세계관을 수용하여 인간의 삶의 목적과 교육의 올바른 목적을 행복 자체로 규정한다. 그는 모든 것들이 사랑의 질서(ordo amoris) 안에서 행복에 접근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고대의 도덕 철학 전통인 사주덕을 사랑의 네 가지 형식으로 재해석한다. 그는 사주덕의 순서를 바꾸어 주요한 덕, 즉 절제와 용기, 정의와 지혜를 사랑의 네 가지 형식으로 전환한다. 그에 따르면, 행복이라는 교육 목적은 사랑의 질서에 자유교과가 순응할 때만 도달할 수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에게 가르침은 신의 진리와 신적 행복, 사랑의 질서와 연관된 것이기 때문에 교사는 절대로 거짓을 말해서는 안 된다.

      • KCI등재

        분열분석 비평의 수사학적 탐구

        오형엽(Oh Hyung-Yup) 국어국문학회 2009 국어국문학 Vol.- No.151

        This writing tries to attain critical theorization, investigating ‘schizoanalysis’ on the viewpoint of ‘synthetic rhetoric’ to establish its footing that can progress literature study and criticism deeply. For this, we try to propose the standard of literature criticism by investigating schizoanalysis laying stress on Gilles Deleuze?Fe'lis Guattari's theory on viewpoint of rhetoric. This writing is progressed laying stress on language philosophy, special quality of art, special quality of literary language, minority literature, schizoanalytic criticism. Gilles Deleuze?Fe'lis Guattari sees base unit of speech act as ‘enuniciation’, and enuniciation's base unit as ‘imperative’. They understands correlating sign with ‘assemblage’, introduce concept of ‘remainder’ that have called ‘frequency’ and ‘resonance’ for this. Gilles Deleuze?Fe'lis Guattari call ‘mechanical assemblage’ and ‘collective assemblage of enuniciation’ that these are detected within literary field ‘content’ and ‘expression’. They regards that problem of language is involved internally with politic problem, and system of signifiance and subjectivation are decided ‘system of signs’. Gilles Deleuze?Fe'lis Guattari explains special quality of ‘plateau’ regarding ‘rhizome’. They sees special quality of art that create ‘affects' and ‘percepts’, and sees special quality of signs ‘intensive’. Gilles Deleuze seeks plan that philosophy solves problems that was absorbed with ‘affects’ and ‘percepts’ through ‘Proust's semiogy’ and ‘Kafka's expression theory’. They wishes to think language in side of ‘peculiarity’ ‘continuous variation’. ‘Collective assemblage of enuniciation’ wears form of ‘free-indirect narration’. ‘Vision’ and ‘audition’ compose suitable picture and music in writing like effect of color and sound that forms external surface of language. The minority litreature is one of the language deterritorialization. It progresses through collective assemblage of enuniciation something to use minority of language, and functions by political behavior pattern. They think a subject of language or literary as ‘impersonal self’. Gilles Deleuze?Fe'lis Guattari handles interpretation by form of ‘symptomology’ or semiogy. When symptom discoverer or writer designates achieve activity that is semiotics. Gilles Deleuze refers to about ‘line of flight’ under proposition that literature seeks possibility of new life. Line of flight is line of creation and experiment of life. ‘Hallucination’ counts as symptoms of schizophrenia that schizoanalysis makes by main object. Gilles Deleuze?Fe'lis Guattari explain hallucination regarding ‘simulacre’. Immanent unfolding of hallucination is expressed in play of grammatical modifications. This is a hint that schizoanalysis is gone by grammatical reductions of expressed language also.

      • <사고와 표현> 과목의 정체성과 방향성

        이진남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08 사고와표현 Vol.1 No.1

        In this essay, I explicate the identity of “Thinking and Expression”and its kinds, and I discuss its problems and solutions. For these, inchapter two, I call the core curriculum covering writing, presentation,debate and critical thinking by “Thinking and Expression”, and Idefine it as a collegiate compulsory course which takes charge ofacquisition, process and exchange of knowledge or information invarious fields such as reading, thinking and expression. I also explainthe history of Thinking and Expression. In chapter three, I discuss the kinds and identity of Thinking andExpression. I define the course as an independent and self-sufficientcore curriculum which is a kind of liberal education while I proposethree kinds or perspectives of Thinking and Expression. Consideringthis course as ‘Korean for everyone’ would degrade college education,and considering it as ‘critical thinking and effective expression’ wouldnot be appropriate because it restricts itself to its instrumental aspects. It therefore should be a kind of core curriculum, but it should takepart of the role as general education. I suggest thinking, expression,reading and interdisciplinary seminar as its four areas. In chapter four, as the problems or tasks, I propose theestablishment of exclusive department for liberal education in college,guarantee of faculty members’ status, minimization of class members,change in college members’ understanding. As alternatives, I suggestthe development of flexible curricula, connection with job-seekingactivities and with secondary education, globalization, residentialcollege and honors program. It would be possible to establish idealforms of interdisciplinary seminar course after the quantitative andqualitative development of this course. 이 글은 <사고와 표현> 과목이 어떤 과목인지 하는 정체성과 역사를 밝히고그 과목이 가지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2절에서 글쓰기, 발표, 토론, 비판적 사고 등을 담당하는 핵심교양교육을 <사고와 표현>으로 부르기로 약속하고 그 과목을 독서, 사고, 표현 등여러 분야에 걸쳐 지식과 정보의 획득과 처리, 소통 과정을 익히게 하는 대학의학제적 교양필수과목으로 정의한다. 또한 <사고와 표현> 과목의 발전과정에 대한 흐름을 설명한다. 제3절에서는 <사고와 표현> 과목의 종류와 정체성에 대해 논의한다. <사고와표현> 과목에 대한 세 가지 종류 혹은 관점을 제시하면서 자유교양과목의 일종인 독립적이고 자기 완결적인 핵심교양과정으로 규정한다. 즉, ‘교양국어’로서의규정은 대학을 중등교육 수준으로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고, ‘비판적 사고와효과적 표현’을 가르치는 과목으로 성격 규정하는 경우는 과목의 도구적 성격을과장해서 전공과목을 뒷받침하고 취업에 도움이 되는 정도의 과목으로 제한하게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부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사고와 표현> 과목은 본질적으로는 대학 본연의 사명에 봉사하는 자유교양교육에 속하지만 도구적 성격을 지닌 일반교양교육의 부분도 담당해야 하고 현재로서는 특히 그러한 유연한 자세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사고와 표현>이 담당하는 네 영역으로사고, 표현, 독서, 학술적 세미나를 제시한다. 제4절에서는 그 과목들의 문제점 및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들로서 독립적 교양전담기구 설치, 안정적 교원의 신분 보장, 한 반 인원의 축소, 전공교수들의인식 변화를 제시한다. 또한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신축성 있는 교과과목 개발,취업, 중등교육과의 연계, 국제화, 기숙대학, 우등과정과의 연계를 제시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모색을 통해 <사고와 표현> 과목의 양적, 질적 발전을 꾀한후에는 자유교양과정으로서의 통년, 학제간 과목인 이상적 형태의 학술적 세미나의 정착이 가능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분열분석 비평의 수사학적 탐구 - 들뢰즈․가타리 이론의 문학비평적 재구성

        국어국문학회 2009 국어국문학 Vol.151 No.-

        <P>This writing tries to attain critical theorization, investigating ‘schizoanalysis’ on the viewpoint of ‘synthetic rhetoric’ to establish its footing that can progress literature study and criticism deeply. For this, we try to propose the standard of literature criticism by investigating schizoanalysis laying stress on Gilles Deleuze․Fe"lis Guattari"s theory on viewpoint of rhetoric. This writing is progressed laying stress on language philosophy, special quality of art, special quality of literary language, minority literature, schizoanalytic criticism.</P><P> Gilles Deleuze․Fe"lis Guattari sees base unit of speech act as ‘enuniciation’, and enuniciation"s base unit as ‘imperative’. They understands correlating sign with ‘assemblage’, introduce concept of ‘remainder’ that have called ‘frequency’ and ‘resonance’ for this. Gilles Deleuze․Fe"lis Guattari call ‘mechanical assemblage’ and ‘collective assemblage of enuniciation’ that these are detected within literary field ‘content’ and ‘expression’. They regards that problem of language is involved internally with politic problem, and system of signifiance and subjectivation are decided ‘system of signs’.</P><P> Gilles Deleuze․Fe"lis Guattari explains special quality of ‘plateau’ regarding ‘rhizome’. They sees special quality of art that create ‘affects" and ‘percepts’, and sees special quality of signs ‘intensive’. Gilles Deleuze seeks plan that philosophy solves problems that was absorbed with ‘affects’ and ‘percepts’ through ‘Proust"s semiogy’ and ‘Kafka"s expression theory’. They wishes to think language in side of ‘peculiarity’ ‘continuous variation’. ‘Collective assemblage of enuniciation’ wears form of ‘free-indirect narration’. ‘Vision’ and ‘audition’ compose suitable picture and music in writing like effect of color and sound that forms external surface of language. The minority litreature is one of the language deterritorialization. It progresses through collective assemblage of enuniciation something to use minority of language, and functions by political behavior pattern. They think a subject of language or literary as ‘impersonal self’.</P><P> Gilles Deleuze․Fe"lis Guattari handles interpretation by form of ‘symptomology’ or semiogy. When symptom discoverer or writer designates achieve activity that is semiotics. Gilles Deleuze refers to about ‘line of flight’ under proposition that literature seeks possibility of new life. Line of flight is line of creation and experiment of life. ‘Hallucination’ counts as symptoms of schizophrenia that schizoanalysis makes by main object. Gilles Deleuze․Fe"lis Guattari explain hallucination regarding ‘simulacre’. Immanent unfolding of hallucination is expressed in play of grammatical modifications. This is a hint that schizoanalysis is gone by grammatical reductions of expressed language also.</P>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