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자(莊子)의 천인합일(天人合一)사상 연구

        조원일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9 동양문화연구 Vol.30 No.-

        장자의 자연유기체론은 우주생성론을 기반으로 수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우주생성론은 존재적 경로와 가치적 경로라고 하는 양자의 변증적 통일성을 총괄하는데, 그 주요한 함의는 천지만물은 일체라고 하는 자연유기체의 전체적인 측면을 나타낸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존재물의 본성에 의거하여 만물의 내재적 가치를 증명하는 것으로, 이러한 양자는 한 사물의 두 측면으로 존재에 즉하면서 가치에 즉하는 전체적인 관점이다. 또한 장자가 언급한 도는 만물의 근원이며 만물은 도의 구체적인 드러남이기 때문에 도는 만물이 드러내고 있는 보편성과 영속성에서 체현되어, 천지만물이 하나의 자연유기체라고 하는 존재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자연유기체의 생동감 있는 의미는 만물이 갖추고 있는 내재적 가치에 대한 가장 좋은 설명이라고 할 수 있다. 장자는 인간은 자아실현을 통해서만이 인간은 자신에게 복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부단히 생명의 한계를 초월할 수 있게 되어 그 생명의 총체성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러한 총체성은 인간이 천지 사이에서 및 천지와의 상호관계를 묘사하는 것이 되는 것이다. 즉 생명의 총체성은 곧 천인합일이 되는 것이며, 이러한 천인합일의 경지는 진인의 경지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인간이 자연과 환경의 상호관계 아래서 표현되어지는 진·선·미라고 하는 세 측면의 조화와 통일의 경지 역시 천인합일의 경지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장자는 정신상에 있어서 도의 본체에 들어맞고 자연에 부합될 수 있어서, 주관과 객관이 합일 되고 만물과 내가 합일되고 천인합일이 되는 커다란 조화를 실현할 때 비로소 정신주체의 절대자유를 체험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진정으로 천지의 커다란 아름다움의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고 생각했다. 莊子的自然有機體論之理論建構, 乃是以宇宙生成論爲基礎, 宇宙生成論統攝了存有的進路與價値的進路二者辯證的統一性, 其主要內涵一方面展現了天地萬物乃爲一自然有機之整體; 另一方面則依存有的本性證成了萬物之內在價値, 二者乃一體兩面, 說明了卽存有卽價値的整全觀點。而莊子所謂的道是萬物的根源, 而萬物是道的具體展現, 所以道體現於萬物所展現之普遍性及永恒性, 乃呈露出天地萬物是一個自然有機體的存有狀態, 而此自然有機體的生生之意, 正是萬物具備內在價値的最好說明。 莊子認爲唯有透過自我實現, 人才能返回自身幷且不斷的超越生命的限制,以完善其生命的整體性, 而此整體性才是人在天地之間及其相互關係的徹底描述, 換言之, 生命的整體性卽爲天人合一。而天人合一的境界實可以眞人的境界來表述, 亦可理解爲人之自然與環境之相互關係下所表現之眞、善、美三個層面之和諧統一的境界。 莊子認爲在心靈上能勾契入道體、合乎自然, 實現主客合一、物我合一、天人合一的大和諧, 才能體驗主體精神之絶對自由幷眞正享受到天地大美的快樂。而莊子又認爲在自然交往中能徹底融入豊盈多元的自然萬象中, 而天地萬物得以回歸自身幷且其無窮的生命力充分地開展出美的形態, 此時物我交融、無所分際, 整個生命的存在與物同化。

      • 간(間) 장르적 문학 읽기 : 이효석 소설과 수필에 나타난 인간과 자연의 합일 양상

        이영조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8 대학교양교육연구 Vol.3 No.1

        As a part of expanding the work of Lee Hyo - seok, who is known only as a novelist, this study examined human and nature which he showed in his novels as returning to nature, human and nature which appeared in essay as a living person‘s view. Through the novel, nature recognized by Lee Hyo - seok was a refuge for the characters who escaped from reality, and it was the healing ground for human conflicts, and gradually leads to reconciliation and transforms into a living and assimilated space. Nature in his work promotes harmony and fusion while advocating human beings and their lives. In this way, Lee Hyo-seok was aiming at a fundamental unity through reconciliation with nature rather than with an artificial person. In contrast, Lee Hyo - seok showed that he lived a nature - friendly life by incarnating himself with nature through an essay. The political and social realities of Lee Hyo - seok, the reality of his life, and the future space he intended were the outcome of Mother Nature. Lee dragged his life into nature, spreading his world and revealing himself. In conclusion, he could confirm that he tried to unite with nature by warmly accepting those who hid in the nature from the cliff of life, whether novel or essay, evasion or incarnation. 본 연구는 소설가로만 알려진 이효석의 작품 세계를 확장하는 일환으로 그가 소설에서 보여준 인간과 자연의 모습을 자연으로의 귀향 양상으로, 수필에서 나타난 인간과 자연의 모습을 생활인의 시각으로 살펴보았다. 소설을 통해 이효석이 인식한 자연은 현실에서 도피한 인물들의 도피처였다가 인간의 갈등을 위무해 주는 치유의 터전이었으며, 점차 화해로 이끌어 주며 삶과 동화된 공간으로 전이된다. 그의 작품 속 자연은 인간과 그들의 삶을 옹호하면서 조화와 융합을 도모한다. 이렇게 이효석은 인위적인 사람과의 관계보다는 자연과의 화해를 통해 이루어지는 원초적 합일을 지향했다. 이에 비해 이효석은 수필을 통해 스스로 자연과 육화함으로써 자연 친화적인 삶을 살았는지를 보여주었다. 이효석이 처해 있던 정치 사회적 현실, 그리고 그가 누렸던 생활의 현실, 그가 지향했던 미래의 공간은 바로 대자연의 품이었다. 이효석은 자신의 삶 자체를 자연 속으로 끌어들여와 자신의 세계를 펼치고 또 자신을 드러냈다. 결론적으로 이효석은 소설이든 수필이든, 회피든 육화든 결국 삶의 벼랑에서 자연 속으로 숨어들은 자들을 따뜻하게 수용하여 그 자연과의 합일을 시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정우기(閑情偶寄)』 중 조원(造園)공간의 생태미(生態美)

        조정원 인문예술학회 2022 인문과 예술 Vol.- No.12

        The human beings, nature, and society have mutually beneficial aspects and are intricately linked in ecological aesthetics.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demonstrating that ecosystems’ ecological aesthetics of coexisting living environments are influenced by the voluntary changes people make to their lifestyles. a practical aesthetics book ‘Xianqingouji’ 閑情偶寄 was examined in this regard. Liyu’s (李漁) method of building the Landscaping space in the ‘Xianqingouji’ suggests a specific approach to harmoniz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with human life and expressing ecological aesthetics. as such, this method utilizes the ecological beauty of life in real life, as well as practicing the Tao (道) through the artificially create space. All things and humans in an ecological aesthetic. Liyu’s (李漁) suggested a balanced relationship between human activity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based on the Confucian doctrine of The synthesis between people and nature through voluntary changes in human activities for natural reproduction in the ‘Xianqingouji’. Consequently, this suggests an ecological aesthetics in the living world based on natural ecology that prevents the destru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is is an alternative to the human-centered world view, which is a mechanistic perspective, which has implications for present-day society. in the book ‘Xianqingouji’s record of garden space, humans are considered a part of nature, and it proposes a method in which ecological beauty can be experienced by everyone without discrimination based on Taoist principles that everything is equal. This is a plan of evoking human activity and the environment using a combination of personal warmth and natural mood in daily life in order to create an ecological and aesthetic art space at the edge of voluntary change. 생태미학 속에는 인간과 자연이 사회의 여러 생활과 서로 호혜적 양상을 띠며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어(李漁)의 한정우기(閒情偶寄)에 녹아 있는 자연 친화적이고 생활밀착형의 심미관에 천착하여 생태미학적 특징을 뽑아서 그에 대한 의미를 해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정우기의 조원 공간에 대한 기록은 인간은 자연의 일부분이며 만물제동(萬物齊同)의 차별 없는 조화를 강조한다. 또한 자연형상(自然形 狀)은 자연과 인간이 합일하는 정취로 우주의 운치를 구현해 내는 것이며 무위자연의도(道)의 표현이다. 즉, 자연을 닮은 조원공간을 통해 인간은 생태환경과 균형을 이루며도법자연을 실천한다. 이어는 도법자연을 실천하는 생태미학적 조원공간을 조성하는원칙으로 인지제의(因地制宜)를 제안한다. 인지제의는 천인합일의 원리에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다. 자연생태 그대로의 소박함을 따르는 인지제의의 원칙은 개인의 정감이 자연의 정취와 결합하여 조화를 이루며 생태미를 배태한다. 천인합일의 원리에 따르는 조원 공간의 생태미학은 인간 활동의 자발적인 변화의 경계에서 생성된다. 이처럼 인지제의 라는 조원의 원칙은 도법자연의 생태 체계와 인간이 상생 공존하며 지구 생명을 지키는 생활생태(生活生態)적 예술공간을 조성하는 방안이라 하겠다.

      • KCI등재

        김환기 회화에 나타난 도가(道家)의 자연성 연구

        마승재 ( Ma Seung-ja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1 한국 철학논집 Vol.0 No.71

        자연(自然)은 도가(道家)의 가장 핵심적인 사유이며, 도가미학에서 예술은 자연의 조화와 원리를 체득한 후에 대상의 형상 너머의 경지로서의 본질적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을 지향한다. 이러한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자연(自然)을 인식하고 체득하는 것이다. 자연을 인식하는 것이란 단순히 자연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자연성을 이해하고, 있는 그대로의 자연스러움을 내재화(內在化)하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이해를 근거로 김환기 회화에 나타난 도가의 자연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자연은 김환기 회화의 일관된 기조로 회화에는 산, 강, 구름, 달, 새, 나무 등의 자연의 풍경이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회화는 소재적 측면에서 자연을 출발점으로 삼고 있을 뿐만 아니라, 표현방식에 있어서도 대상(자연)의 외형과 그에 대한 주관적인 해석을 구분하지 않는 주객일치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후기에는 전면점화(全面點畵)의 방식으로 자연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와 같이 김환기 회화는 자연에서 출발하여 자연을 담고, 자연의 본질을 내재화하여 추상적 화면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도가의 자연과 상관성을 갖는다. 본고에서는 도가의 자연성을 밝히고, 자연의 개념이 김환기 회화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철학적 개념을 통하여 회화를 분석하는 과정은 철학과 예술의 통합적 사고를 통해 폭넓은 미학적 연구로 이어지는데 일조할 수 있다고 본다. 동시에 이는 김환기의 예술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에 있어 심층적인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Nature i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aoist, and in Taoist aesthetics, art aims to learn the harmony and principles of nature and express its essential image as a state beyond the shape of the object. What must be preceded to reach this level is to recognize and acquire nature. Recognizing nature is not just looking at nature, but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object and internalizing it as i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aoist naturalness in Kim Whanki’s paintings. Nature is the consistent basis of Kim Whanki’s paintings, where natural landscapes such as mountains, rivers, clouds, moons, birds, and trees repeatedly appear. His paintings not only take nature as a starting point in terms of material, but also approaches it from the perspective of uniting the subject (nature) and not separating its subjective interpretation in terms of expression. Thus, Kim Whanki’s later paintings reveal naturalness in the all-over dot painting method. Kim Whanki’s paintings have a correlation with the Taoist nature in that it starts from nature, contains nature, internalizes its essence, and expresses it on an abstract screen. This paper revealed the Taoist nature and how the concept of nature is demonstrated in Kim Whanki’s paintings. The process of analyzing paintings through philosophical concepts can help lead to a wide range of aesthetic studies by integrating philosophy and art. At the same time, this will secure an in-depth perspective on Kim Whanki’s view of the art world.

      • 투고논문 : 퇴계 이황의 자연미 수용과 산수미학

        이종호 ( Jong Ho Lee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7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1 No.-

        퇴계 이황은 자연과 산수를 사랑한 학자이다. 자연은 인간이 마주하는 철학적 탐구대상이거나 ‘모든 존재가 스스로 그렇게 되어감’을 의미한다. 산수는 인간의 간섭이 배제된 채 자연법칙으로 이루어진 미학적인 공간이다. 퇴계는 철학적으로 자연의 이치를 천리로 파악한다. 그리고 그 천리가 인간의 본성 안에서 구현된다고 믿었다. 이것이 그의 천일합일 정신이다. 이 정신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그의 산수미학이 전개된다. 퇴계는 산수를 통해 하늘의 이치가 드러남을 느낀다. 때문에 산수는 사악하지 않은 착한 존재다. 퇴계는 선한 존재로부터 가치 있는 무엇을 찾으려 한다. 미는 가치의 또 다른 표현일 뿐이다. 산에서 높음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물에서 맑음의 아름다움을 발견한다. 높고 맑은 산과 물의 아름다움 속에서 인간이 지향해야 할 가치를 찾는다. 산수의 높고 맑은 품성을 수용하여 인간의 고상하고 순결한 품성을 함양하려 한다. 공자는 산의 덕성이 어질고 물의 덕성이 지혜롭다고 한다. 주자는 덕성은 유사성의 원리에 따라 서로 통할 수 있다고 본다. 퇴계는 주자의 해석을 받아들여 산수로부터 어질고 지혜로운 덕성을 배우라고 한다. 만일 산수로부터 그 같은 덕성을 배우지 않는 산수 놀이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요컨대 퇴계의 산수미학은 철저히 인간중심적이다. 이는 서구에서 말하는 인간중심적인 자연관과는 다르다. 그들은 자연과 인간을 대립적인 관계로 이해하고, 인간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수단으로 자연을 생각한다. 퇴계는 자연을 개발의 대상으로 보지 않는다. 인간이 서로 대화할 수 있는 상대로 자연을 보고 늘 가깝게 지내고자 한다. 자연이 인간의 이웃인 것이다. 자연에서 배우지 않는 인간은 불행해진다. 서구의 인간중심적인 자연관은 오늘날 생태론자들의 비판에 직면해 있다. 반면에 자연친화를 강조하는 퇴계의 인간중심적 자연미 인식은 친생태적인 요소가 풍부하다. Toegye Lee Hwang is a scholar who loved nature and san-su. Nature is the object of the philosophical research which human being faces or means everything becomes so itself. San-su is an aesthetic space created by the natural laws to the exclusion of human interference. Taegye regards natural laws as Cheollie, which he believes is embodied in the human nature. This is his spirit of the Unity between Heaven and Man. His Aesthetics of San-su is developed in the process of pursuing this spirit. Toegye feels that Chollie is embodied through San-su. Therefore, San-su is a virtuous being, not vicious being. Toegye tries to search for something valuable from a virtuous being. This is another representation of value. He discovers the beauty of height from a mountain and the beauty of limpidity from water. He discovers the value that a human being pursues in the beauty of a high mountain and limpid water. He tries to cultivate a noble and pure character of human being by recei- ving the high and limpid character of a mountain and water. Confucius says the character of a mountain is virtuous and that of water is wise. Juja(Chuxi) says virtues can be communicated to one another in accor- dance with the principle of similarity. Toegye tells us to learn a virtuous and wise virtue from San-su by adopting the translation of Juja(Chuxi). According to him, San-su play is meaningless, if we do not learn such virtues from San-su. In short, Toegyes Aesthetics of San-su is thoroughly human centric. It is different from a human centric view of nature of Western Europe. They regar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 as antagonistic one, and consider nature as a means for survival and prosperity of human being. Toegye does not consider nature as the object of development. He considers it as a partner to communicate with and always tries to become an intimate friend. Nature is a neighbor of a human being. A Human being who does not learn from nature becomes unhappy. Today a human centric view of nature in Western Europe faces ecologists criticism. However, pro-ecological elements abound in Toegyes recognition of human centric beauty of nature stressing affinity for nature.

      • KCI등재

        W. B. 예이츠와 한국근대시의 자연 : 정지용과 현대 시인들의 시

        곽효환 한국예이츠학회 2011 한국예이츠 저널 Vol.36 No.-

        예이츠의 시세계, 특히 초기시에는 낭만주의와 상징주의가 자리잡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자연’이 자리해 있다. 예이츠에게 있어 자연은 ‘자연에 대한 동경과 모사’와 ‘자연과의 대립 및 의식의 우위’, 즉 자연 친화적 세계와 자연부정의 세계라는 진폭 안에서 인식되었으며 그의 시는 이를 형상화하거나 극복하려는 긴장의 궤적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같은 예이츠의 자연에 대한 인식과 시세계를 한 축으로 놓고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자연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근대시의 완성에 가장 큰 역할을 한 대표적인 시인인 정지용의 시세계에 나타난 자연을 먼저 검토하였다. 그리고 현재 왕성히 활동하고 있는 시인들의 시세계에 나타나 자연을 각각 고찰하였다. In Yeats’s early poetry, the nature imagery is central in his poetic language, which also belongs to the tradition of Romanticism and symbolism. Yeats perceives nature to lie between Nature-friendliness and Nature-denial−“the admiration and imitation of Nature” and “the alienation from Nature and the superiority of consciousness”−and his poetry has followed the trace of embodying and overcoming the tension between the two modes of perception. Thus, the paper discusses nature in modern Korean poetry on an axis of Yeats’s perception of nature. First, it reviews nature in the work of Jeong Ji-yong, who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completing modern Korean poetry and further discusses concepts of nature in the poetry of contemporary Korean poet.

      • KCI등재

        道教生態思想的現代意義

        신진식(申鎭植) 한국도교문화학회 2012 道敎文化硏究 Vol.36 No.-

        도교에는 비록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는 생태문제에 대한 전문적 논의는 없지만, 자연계의 복잡한 관계에 대해 형성해온 도교의 인식으로부터 환경에 관한 매우 광범위하고 심오한 생태 사상을 추출해 낼 수 있다. 도교의 풍부한 생태 사상은 크게 두 가지 방면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생태자연관이고 두 번째는 그 생태자연관을 바탕으로 하는 생태보호사상이 그것이다. 도교의 생태관은 체계화되고 이론화된 세계관으로, 한마디로 자연 법칙에 순응하여 생태 환경을 보호 하자는 적극적 내용을 담고 있다. 본문에서는 도교의 생태사상을 크게 전체유기체관(天人合一 사상) 생태평등관(道法自然 사상) 생명가치관(?生戒? 원칙) 그리고 변증기술관(我命在我 사상) 네 방면으로 나누어 논의한다. 도교는 “道生萬物”의 본체론의 각도에서 사람과 자연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천일합일론”과 “도법자연”의 자연생태관 그리고 ‘도’와 ‘덕’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이론을 건립하였다. 도교는 천지자연을 부모로 여기고 존중하는 생태 가치관의 정서를 담고 있다. 또한 “생명을 귀하게 여기고 살생을 금하는” 생태 윤리적 규범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도법자연” 생태 이론 원칙과 “자연무위”의 구체적 생태적 행위 방식에 대한 이론들을 포함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도가적 자연관을 중심으로 고찰한 이문구의 『관촌수필』

        배경렬 ( Kyeong Yeol Ba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5 No.-

        장자는 「인간세(人間世)」(『내편』) 편에서 인간 사회의 인위적 요소들을 배척하면서도, 심산유곡(深山幽谷)에 은거(隱居)하기를 바라지 않고 오히려 사람과 사람이 모여 사는 인간 생활을 인정하였다. 그런데 그가 인정하는 인간생활이란 현대적 개념의 인간 사회가 아니라 인위적 요소가 일체 배제된 집단 사회 즉 원시 공동체 사회를 가리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원시 공동체 사회와 그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 혹은 원시 공동체 사회 속의 사람들처럼 순박함과 무욕을 대표하는 사람들은 모두 자연의 하나로서 ‘자연적 본성’의 대상이며, 선(善)하고 완전한 세계의 주체이다. 이러한 도가적 자연관에 비추어 보면 자연 법칙은 비의지적인 무위의 성질을 갖 고 있으며, 아무 것도 하지 않음으로 해서 자연의 본성에 가까워지는 것이 곧 도(道)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인간 세계에는 자연의 본성에 역행하는 인위적 요소들이 있는데, 이러한 것은 인간의 순박한 인성(人性)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계해야 한다. 인간이 자연의 본성으로 활동하려면 무위의 행동 즉 무욕, 무지, 순박함으로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것들이 가장 활성화될 수 있는 인간 세계는 원시 공동체 사회이다. 그러므로 원시 공동체 사회와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인간은 자연과 합일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말은 다시 말해 욕심 없이 생명 활동만을 하는 인간일수록 ‘자연적 본성’에 가깝고, 그러한 인간일수록 선하고 완전하다는 말이다. 또한 ‘자연적 본성’을 실천하는 무욕, 무지, 소박의 인간은 천인합일(天人合一)에 의해 곧 하나의 자연과 같다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이문구의 『관촌수필』에서도 이와 같은 도가적 자연관을 엿볼 수 있다. Chuang Tzu thinks nature as Tao itself and find the dynamic movement in every living things. Acknowledgement of the dynamic moment and life in each living thing within the wholeness is the philosophical basis of ecology centralism. Taoism is the nature-oriented thought because it suggests that man should live with nature not without. Lee mun-goo`s Guan-chon essay is an autobiograpic novel written by the experience of his childhood as an essay. And it is consist of 8 storiettes. Also, as each of them has completed subject, its distinction is to keep an independent character itself. We can see one side of a moral view of nature though the writer`s view of life about the world. This is also ideology that fall over the whole work. It made us aware of how important they are by appearing plenty of figures with natural real characters. On the contrary, he describes the hard life after modernization by showing up artificial real characters. Like this, Guan-chon essay is a work that shows how important natural real character is though an artificial real character. And above all,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is to show an aim of life that live like man, keeping, true human relationship. We can estimate that another artistic result of this work is to reemerge properly the appearance of a rural community before modernization by taking over Korean, traditional literary mode.

      • KCI등재

        艸丁 金相沃 時調에 나타난 自然觀

        崔興烈(Chi Heung-yeol)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0 No.-

        이 글은 艸丁의 초기 時調集인 『草笛』에서 마지막 시조집인 『느티나무의 말』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發現되는 自然觀을形式主義的 方法과構造主義的 方法을 참고로 하여 自然觀을 探索하는데 目的을 두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은 時調詩人의 自然을 認識하는 ,思惟體系로서 旣存의 成果들을 수용하면서 思想的 背景으로古時調에 나타나는 傳統的 自然觀의 同質性이나 類似性을 염두에 두면서 異質性도 살피려 한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 수행은 艸丁 시조의 內的 감정의 指向性을 自然의 형태를 빌어서 살펴봄으로서 傳統의 계승과 發展的 측변을 확인하는 것이 될 것이다. 따라서 艸丁 時調에 나타나는 담然觀의 考察은 나름의 의의를 지닌다할 것이다. 傳統的인 東洋의 自然觀과 맥을 같이하는 古時調에 나타나는 自然觀의 흐름과 그 전통에 주목하면서 古時調와 艸丁 시조에 나타는 自然觀을 穿鑿한 결과 古時調에서 抽出되는 自然觀은 첫째, 心性修養의 自然觀으로 16세기의 자연관은 混濁한 정치현실과 대립되는 心性修養의 자연관, 둘째, 閑居ㆍ勞動의 자연관으로 17세기에 이르면 道學的 宇宙論的인 典範性이 哀退하고 天人合一의 自然觀에서 약화되고 江湖 閑居의 감홍이나 田園生活의 具體的 노동 공간으로 시적 關心事가 나타난다. 셋째, 隱逸的 隔離 공간의 自然觀으로 19세기에 오면 중앙정치에서 소외된 士族들은 정권에 참여하려는 꿈을 접고 旣村에서 旣得權 보전에 나 힘쓰면서 勢道家門의 政局主導權을 현실로 받아들이게 된다. 넷째, 自由奔放의 自然觀으로 조선 후기로 넘어 오면서 都市 商業文明의 발달과 中間層의 社會的 浮上으로 사조의 享有層이 士大夫의 독무대에서 中問層이 새로운 시조의 享有層으로 부상하는데 歌客의 등장이다. 文化的으로 성장한 中間層 지식인들은 시조를 자신의藝術的 敎養物로서 愛好하며 創作한 그룹이다. 20세기에 이르러 초정의 시조에서 發現되는 자연관은 첫째, 傳統的인 觀念論的 自然인식으로 꽃을 빌어 思親을 연역하여 내는 데 있어 人生論的 의미는 배제되고 그 대신 客觀的 事物性으로 置換하여 間接的으로 表現하고 있다. 둘째, 抒情的 思鄕과 憧憬 의 대상이다. 초정의 抒情의 指向性과 모더니즘적 技巧가 보여 視學的 이미지로 고향의 그림이 보이고 있다. 셋째, 根源的 思親의 認識을 보인다. 넷째, 有機體的 生命性을 보인다. 다섯째, 老莊的 靜淑美를 表出하고 있다. 靜淑美의 인식 대상은 구름ㆍ달ㆍ눈ㆍ낙수ㆍ산ㆍ낙엽ㆍ숲ㆍ하늘ㆍ봄ㆍ뒷뫼ㆍ꽃ㆍ강남ㆍ강ㆍ바다ㆍ바람과 같은 原初的 自然으로서 事物化하고 이것을 다시 계절 감각으로 捕捉하는 二元的 表現 構造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自學과 觀照의 인식이 발현되는 『草笛』 제3부 「노을빛 구름」에는 文化的 ,遺物 혹은 歷史的 遺跡을 소재로 한 시조가 집중적으로 수록되어 있다. <靑磁賦>, <白磁賦>, <玉笛>, <十日面 觀音>, 〈多寶塔>, <矗石樓>, <武烈王陵>, <鮑石亭>, <財買>, <艅?山城〉등의 작품이 실려 있다. 『草笛』에서 보여준 古典的 文化遺産에 대한 깊은 自學과 觀照는 그 이후의 시조집인 『三行時六十五篇』에 이르기까지 변함없이 이어져 「항아리」, 「李朝의 흙」, 「내가 네 房에 있는가」, 「關係」, 「葡萄印影歌」, 「착한 魔法」, 「金을 넝마로 하는 術士」 등의 작품이 陶磁를 詩的 대상으로 하고 있다. 艸丁 김상옥의 시조에서 나타나는 自然觀은 自然과 順應하는 古時調의 傳統을 繼承하고 나아가 觀念論的 自然 認識이 自然 相關物을 통하여 구체화된 事物化로 나타나 表現의 間接性을 드러낸다. 이러한 표현의 複合的 中層構造는 古時調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實用論的 自然觀을 보인다. Adoration for nature constitutes one of the primary subjects that literature has tackled since the origin of human history. Nature expressed through a poet's subjective imagination is the internalized and reorganized nature. This study examines the view on nature enacted in Ch'o-Jung' s three-verse poems (sijo) in light of the traditional views on nature implicated in the ancient three-verse poems(koshijo), which is in line with the long-established Oriental view on nature. To dignitaris(sadaebu) in the Chosun Dynasty, nature appeared as the idealistic subject for moral culture (shims?ngsuyang), which also becomes the literary space where the purity and justice of the world view of Neo-Confucianism (Sungrihak) is contained in the form of the three-verse poem, the lyrical poetic space where the "I" is united with nature by way of "enjoying of wind and moon"(umpungnongw?i) and "living in quiet retirement"(yuyuchaj?k), and the object for the poetical perception of the surrounding world. Ch'o-Jung's three-verse odes are found in Reed Pipe (Ch'oj?k), Sixty Five Pieces of Three-Verse Odes (Samhaengshi-yukshipopy?nJ, Autumn Fragrance (Hyangginam?n-ga?), and The Words of Zelkova Tree (N?tinamu?i-mal), This study analyzes 212 pieces of Ch'o-Jung's three-verse poems chosen from theses books. In Ch'o-Juns's poems, the traditional view on nature expressed in the ancient three-verse poems is rendered in such a way that metaphysical understanding of nature is indirectly transmitted through the objective correlatives found nature. Nature is no longer the object of straightforward utterance, but transformed, displaced, and removed: that way, nature gets objectified to form a complicated and multi-layered structure. In conclusion, the view on nature manifested in Ch'o-Jung's three-verse poems is based on traditional metaphysics. Second, nature is the object of lyrical nostalgia and adoration. Third, nature is imbued with the fundamental affection for parents. Fourth, nature is associated with organic life. Fifth, the nature in Ch'o-Jung's poems reveals the beauty of stillness endorsed in Lao-tee's and Chung-tze's philosophy. And last, nature is the agent for self-realization and meditation.

      • KCI등재

        도가적 자연관을 중심으로 고찰한 이문구의 「관촌수필」

        배경열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5 No.-

        Chuang Tzu thinks nature as Tao itself and find the dynamic movement in every living things. Acknowledgement of the dynamic moment and life in each living thing within the wholeness is the philosophical basis of ecology centralism. Taoism is the nature-oriented thought because it suggests that man should live with nature not without. Lee mun-goo's Guan-chon essay is an autobiograpic novel written by the experience of his childhood as an essay. And it is consist of 8 storiettes. Also, as each of them has completed subject, its distinction is to keep an independent character itself. We can see one side of a moral view of nature though the writer's view of life about the world. This is also ideology that fall over the whole work. It made us aware of how important they are by appearing plenty of figures with natural real characters. On the contrary, he describes the hard life after modernization by showing up artificial real characters. Like this, Guan-chon essay is a work that shows how important natural real character is though an artificial real character. And above all,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is to show an aim of life that live like man, keeping, true human relationship. We can estimate that another artistic result of this work is to reemerge properly the appearance of a rural community before modernization by taking over Korean, traditional literary mode. 장자는 「인간세(人間世)」(「내편」) 편에서 인간 사회의 인위적 요소들을 배척하면서도, 심산유곡(深山幽谷)에 은거(隱居)하기를 바라지 않고 오히려 사람과 사람이 모여 사는 인간 생활을 인정하였다. 그런데 그가 인정하는 인간생활이란 현대적 개념의 인간 사회가 아니라 인위적 요소가 일체 배제된 집단 사회 즉 원시 공동체 사회를 가리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원시 공동체 사회와 그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 혹은 원시 공동체 사회 속의 사람들처럼 순박함과 무욕을 대표하는 사람들은 모두 자연의 하나로서 ‘자연적 본성’의 대상이며, 선(善)하고 완전한 세계의 주체이다. 이러한 도가적 자연관에 비추어 보면 자연 법칙은 비의지적인 무위의 성질을 갖 고 있으며, 아무 것도 하지 않음으로 해서 자연의 본성에 가까워지는 것이 곧 도(道)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인간 세계에는 자연의 본성에 역행하는 인위적 요소들이 있는데, 이러한 것은 인간의 순박한 인성(人性)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계해야 한다. 인간이 자연의 본성으로 활동하려면 무위의 행동 즉 무욕, 무지, 순박함으로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것들이 가장 활성화될 수 있는 인간 세계는 원시 공동체 사회이다. 그러므로 원시 공동체 사회와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인간은 자연과 합일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말은 다시 말해 욕심 없이 생명 활동만을 하는 인간일수록 ‘자연적 본성’에 가깝고, 그러한 인간일수록 선하고 완전하다는 말이다. 또한 ‘자연적 본성’을 실천하는 무욕, 무지, 소박의 인간은 천인합일(天人合一)에 의해 곧 하나의 자연과 같다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이문구의 「관촌수필」에서도 이와 같은 도가적 자연관을 엿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