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실향민의식과 현실인식: 박태순론

        배경열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1 No.-

        Park, Tae-Soon is important writer in 1960s literary world with writer Kim, Soong-ok, or lee, Chung-Jun and so on. The first in his work activity, he also wrote works of modernism tendency like Kim, Soong-Ok and so Forth. But gradually he changed his modernism tendency to realism tendency Its basic moment is disillusion to Seoul. Seoul to him is Asura of petty bourgeois. So he begins seeking a nomadic life. In his nomadic life, he at last discovered the people. In that place, he gains the nutrition capable of surmounting a limit of perty bourgeois. Consequently he was able to write his Woi-Chon-Dong series. However, Woi-Chon-Dong in him was merely a method to retrospect his life of petty bourgeois. So, in his works, narrator as spectator comes out frequently. The people in him was not motive power of history but method for his freedom. Nevertheless, in history of literature, his works is profound in meaning for being capable of some limit of an intellectual literature.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direct appearance of 4·19 in korean modern novels. 4·19 affected very deeply and continuously to the comtemporary. However, it was not common to write about the revolution directly because of the social condition.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4·19 is necessary to expand the perspective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e three novels which this paper studies tell about the effection of 4·19 through the reaction and the attitude of characters. In the destroyed theater and about the fantasy, the main characters are shocked by the death of their friend which was caused by revolution. They recognized that the revolution is not only glorious and hopeful, but also fearful and uneasy. For them, the revolution is not completed. They think that they have to start to fight against social problems from the revolution. Their resolution is symbolized as a bohemian life to find the way of demonstration. On the other hand, in Hwangakui tari , the meaning of 4·19 is expanded into the human. The demonstrator, Hyun-Soo meets Sa-Mi, and he realizes he has forgotten the real aim of his struggle. He joined to the revolution to improve the unfairness of society, but after meeting Sa-Mi, he learns that the revolution is the way of love for the human being. Sa-Mi is the symbol of the happiness of humankind. Through this relationship, 4·19 becomes a living start point for the critical attitude, not just an complicated event. In these novels, 4·19 motivates characters the critical will to fight against the unfairness. This process is expressed by the reaction of characters about the revolution. 1960년대에 한국 사회는 산업사회의 초기에 이르게 된다. 1962년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시작됨에 따라 근대화의 물결이 국토를 뒤덮기 시작했다. 하지만 한국전쟁의 상처는 아직 완전히 극복되지 못한 채 상처로 남아 있었고, 건설의 이면에는 소외된 삶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었다. 또한 5·16 군사 쿠테타에 의한 4·19 시민 혁명의 좌절은 민주 사회 건설의 좌절을 의미하는 것이었고, 그것은 정신적 억압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었지만 도시, 그 중에서도 ‘서울’이라는 공간은 지속적으로 비대해져 갔다. 여러 산업과 인구가 집중되고, 그곳에서는 누구나 성공의 신화를 일으킬 것만 같은 동경의 대상이 되었다. 토지를 버리고 무작정 서울로 상경한 이 시대의 부모님들, 학교만큼은 서울에서 다녀야 인텔리가 될 수 있다는 일념 하에 올라온 유학생들 등 서울은 겉보기에 꿈과 희망의 공간이자, 시대의 등불이었다. 이러한 시대적, 사회적 배경 속에서 소설적 지형도를 감안하여 당대 소설의 구도를 요약한다면, 모더니즘의 분화와 리얼리즘의 심화로 정리된다. 이러한 구도는 1960년대 소설이 1930년대 소설 이후 현실 상황의 불구성으로 인하여 파괴 혹은 위축되었던 근대 문학의 서사적 지형을 복원하면서 그것을 새롭게 심화시키고 확장시켰음을 말해준다. 또한 반공주의 성격의 일색을 보였던 1950년대의 소설과도 이별을 고하는 새로운 지평의 시대임을 암시한다. 이제 이 토대 위에 작가들은 내용과 형식에 있어 자기 나름대로의 개성 있는 모습을 나타내기에 이른다. 필자가 주목한 작가는 리얼리즘 계열의 박태순이다. 처음에는 내성적인 작풍(作風)에서 출발했던 그의 작품세계는 70년을 전후로 현실비판적인 외향성을 지향했다고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변모는 ‘작가자신이 말했듯이 <대학졸업생의 문학>을 집어던지고 사회현실이라는 객관적 세계 속에 문학정신을 투묘(投錨) 하겠다는 태도의 결연함을 나타낸 것이다. 그는 당대의 현실을 바라보고 자신의 사유세계와 접목하여 나름대로의 색깔을 나타내고 있다고 본다. 특히 이 작가의 수렴점은 서두에서 언급한 서울을 바라보는 시각이라고 할 수 있다. 서울의 중심에서 그가 독자에게 제시하는 서울의 모습은 현재 우리에게도 피할 수 없는 연민으로 다가온다. 그 당시 서울의 문제점과 도시화, 근대화의 잔재는 쌓이고 쌓여 현대인들의 도시병으로까지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 당시부터 ‘황금만능주의’는 말할 것도 없고, ‘향락적 삶’, ‘개인적 시각’, ‘다름이 아닌 틀림으로 나누는 사회적 잣대’ 등은 우리 도시가 극복해야 할 주요 과제이다.

      • KCI등재

        윤흥길의 『장마』에 나타난 샤머니즘의 의미 고찰

        배경열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9 No.-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1970’s division novel is that most of the novels were written through the vision of child`s point of view. This is possible due to the fact that the author, who experienced war in his childhood, was able to retrospect on war with a rather subdued point of view as grew older.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these novels also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novels. And such characteristic is also carried in The Rainy Season. The author is insinuating that, as the damaging rainy season, war was also a pass through for the growth of the nation although it is an ordeal at the time. Therefore, we are able to recognize that the title The Rainy Season carries the author`s deepest desire for the growth of the nation through the overcome of the pain of war. So many words have been used to indicate Korean shamanism. In English, of course, shamanism can be used. But, in Korean, it is very difficult to choose a right one. Each scholar has his own term, which is a result of his conception of Korean shamanism constructed through his own approach.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we can see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shamanism studies in Korea by examining the variety of terms in the light of relation between conceptions and approaches. And then we could find and propose more useful term to help us understand Korean shamanism as a religious phenomenon. The suggested solutions, that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realising the problems, will help to establish the nation's identity and apply the strength of nation's pride into globalisation that developed even further, especially for Korean people who generally have folk and primitive minds. The Rainy Season presents shamanism and accordingly the irrational view of the world as the solution that can stand against ideology. this results from the notion that ideology and also the reasoning-centered rational view of the world is of the West. Therefore, through a Korean subject matter, such as the yellow brownish serpent, the author emphasized the homogeneity of the nation and at the same time wished to overcome the tragedy of war the ideology brought about. 1970년대는 민중의식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고 사회 각 분야에서 민중의 시각으로 문제를 파악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대내적으로 일어났던 시기이다. 이런 시대 분위기와 더불어 분단 현실에 대한 민중들의 관심을 수용하고 그들의 입장에서 분단극복의 의지를 피력한 작품들이 다양하게 쓰여졌다. 윤흥길의 『장마』는 이념과 분단현실이 민중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가를 묻는 진지한 성찰의 산물이다. 더 나아가 이데올로기로 가족이 파괴된 상황을 민족이 처한 상황으로 환유하고, 반목질시하는 두 세계를 봉합하는 길을 제시한 것이 『장마』이다. 윤흥길은 한국전쟁이라는 국가적 위기상황에 대처하는 방식으로 민족적인 것을 쓰려고 했으며 서양의 합리주의가 낳은 폐단을 극복하기 위해 동양적 한국적 전통 세계인 무속을 통하여 새로운 가능성에 대처할 문학적 혈로를 찾았다. 이것은 무속 가운데 우리 민족 고유의 정신적 가치의 핵심이 되는 그 무엇이 내재해 있을 것으로 파악하고 이것을 현대의 정신세계와 연결하여, 현대사회의 제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을 시도했다고 볼 수 있다. 즉 한국소설을 통하여 한국인의 저변에 흐르고 있는 민족적이고 가장 원초적인 감성과 세계관의 확인 작업을 통해 서구화를 말미암아 무의식 속에 자리한 과학적이고 타산적인 비인간화로 치닫고 있는 현대의 사회병리를 극복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현대에 소설이 핵심장르로 떠오른 이유는 왜소해지고 분편화된 사회에서 소설의 인간화에 대한 필연적인 시대적 요청에서 기인한 것으로 문학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동일한 인식에서 나온 결론이라 할 수 있다. 자본주의/사회주의의 대립은 그 대립 너머에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외래적인 것의 부정과 본래적인 것으로의 회귀가 그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제 남는 대립은 외래적인 것/ 본래적인 것의 대립인데, 이는 전자에 대한 부정과 후자에 대한 긍정이라는 가치판단이 분명하게 전제되어 있는 대립이라는 점에서 자본주의/사회주의의 대립과 구조적으로 다르다. 여기서 우리는 이의를 제기해볼 필요가 있겠다. 본래적인 것을 전통적인 것에서 찾는다며 지금 우리가 전통적인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과거에는 외래적인 것이었다는 반론에 부딪친다. 유교가 그렇고 불교가 그렇다. 뒤집어 말하면 지금 외래적인 것이 미래에는 전통적인 것이 될 수도 있다는 말이 된다. 그래서 윤흥길이 찾은 본래적인 것은 유교와 불교 이전의 고대로부터 계승되어온 샤머니즘이다. 따라서 『장마』에서 비합리적인 세계관인 샤머니즘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합리주의는 서양의 것이라는 인식의 결과이다. 서구라는 주인의 입장에 있는 합리주의로 문제를 해결하는 일은 또 다른 서구의 노예가 되는 일이기 때문에 윤흥길은 비합리주의적 세계관인 샤머니즘은 이데올로기라는 합리주의에 의한 폐단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동원되었다.

      • KCI등재후보

        장용학 소설의 창작방법론 고찰

        배경열 배달말학회 2002 배달말 Vol.31 No.-

        싸르트르가 소설 속의 인물들에게 완전한 자유를 부여하고 상황의 설정 또한 리얼리티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장용학의 경우는 인물과 상황의 설정에서 리얼리티를 잃고 있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장용학이 실존주의를 수용하여 작품으로 형상화하는데 있어 충분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싸르트르와 비교하여 장용학이 미학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있음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싸르트르와 장용학을 비교해 볼 때 두 작가가 모두 무신론적(無神論的) 입장에서 서서 신을 부정하고 있으나 그 강도에 있어서는 장용학의 경우가 싸르트르를 능가하고 있다고 보이는데, 이는 강한 휴머니티에서 기인한 것이다. 두 작가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의 하나는 정치적인 인식에 있을 것이다. 싸르트르는 정치 참여 혹은 현실 참여를 강력히 주장하고 있어 개인은 모든 인류에 대해서 책임이 있다고 까지 말하고 있다. 그러나 장용학의 경우, 어찌 보면 아나키스트처럼 보이는데, 이런 일면은 「요한시집」을 비롯한 그의 소설에 잘 드러나 있다. 그의 소설은 또한 니체의 저작들·신구약의 성서·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등의 영향을 받았음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렇지만 장용학의 작품 세계가 다양한 원천들의 단순한 모자이크는 아니다. 다양한 글쓰기의 원천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품에는 장용학 텍스트의 고유성이 내재되어 있으며, 그의 서구 문학 수용 역시 매우 선택적이고 자각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장용학의 소설이 우리의 소설사에서 남긴 큰 의의 중의 하나는 그가 소설 양식의 영역을 넓혀 주었다는 데에 있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소설 양식에서의 에세이즘과 아포리즘의 활용으로 규정지을 수 있다. 이는 1950년대의 장용학에서 비롯되어 60년대의 최인훈과 이청준에게 이어짐으로써 한국 현대 소설의 새로운 가능성을 개척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신경숙의 고백체소설 『엄마를 부탁해』 고찰

        배경열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4 No.-

        In this paper, published in 2008, Shin's "Take Care of Mom," a 'confession' attention to the format and discussed. Modern literature is characterized by an individual's inner quest, if all of the modern novel kind of "confessional element that can have. But here in the form of Shin's novel, this is a confession, a fictional character (the speaker) directly to another person or their own when exposed to the inner surface, determines that testimony by an attitude that is maintained. People who profess that (the speaker) is simply expressed his state of mind rather than servant to maintain self-reflection and repentance eye, confess that this attitude is the result of conscious and overly celadon. In other words, how their story will be interpreted to support fretted constantly in doubt, it will attitude directly to those who confess. In addition, direct harsh criticism of the novel in the audience by attracting readers to the understanding of interference and such an attitude was the product of doubt and nervousness. Shin's "Take Care of Mom," her mother at the time of the first person to grant, and is a mother's confession and close the reader's sympathy that makes the device can be said. Because of its readers first-person narrator in this conflict and crack her memory and remember the same date increased. For these, I think this works, 'she remembers that comprise a variety of voices and that can be managed to put. To seal cracks customary conservative reading of this work are leading to maternal love is sentimental. In a word, my mom works for the family's desperate confession can be said. Where 'desperate' narrative is not at all common. Is to some extent, the two told Shin confession of a single family to the fault of the first sentence, 'You, he, you know, my mother never treat him on the dignity of human beings with the thought never' is driving them to the point. How could this be. A lifetime of caring for a family commitment and exhausting labor filled with mother. But really, is not it. Me, you, and our sins, we endlessly confessional era is bound to. Love to see in the novel 'You' and finally Michelangelo's Pieta, how to phase coincidence to meet in front of him who can kneel. This over sin and salvation distant abyss, the abyss between the human based story of a long sigh. Yet this is "The Potato Eaters" and "Rremote-Room" author of" ten thousand and two can play that Shin ardent and earnest story of this place now. 이 논문에서는 2008년에 발표된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를‘고백’이라는 형식에 주목하며 고찰하였다. 현대문학이 개인의 내면탐구를 그 특징으로 한다면, 현대의 모든 소설은 일종의 ‘고백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신경숙의 소설을 고백의 형식으로 본 것은, 소설 속의 인물(화자)이 다른 인물이나 독자에게 직접 자신의 내면을 드러낼 때, 고백하는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해서이다. 즉 고백하는 인물(화자)은 단순히 자신의 심경을 토로하는 것이 아니라 시종 자기반성과 회오(悔悟)의 시선을 유지하는데, 이러한 태도는 고백을 하면서 청자를 의식한 결과이다. 다시 말해 자신의 이야기가 어떻게 해석될 지 끊임없이 의심하면서 초조해 하는 것, 그것이 바로 고백하는 자의 태도인 것이다. 게다가 청자의 가혹한 비판을 직접 소설 속에 끌어들임으로써 독자의 이해에 간섭하는 태도 역시 그러한 의심과 초조함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는 엄마의 시점에 일인칭을 부여하고 있는데, 이것은 엄마의 고백과 독자의 공감을 긴밀하게 만들어주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독자들은 이 충돌과 균열 속에서 일인칭 화자인 엄마의 기억과 동일시한 기억이 더욱 생생하게 전달된다. 이렇게 본다면 이 작품은 ‘엄마’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기억과 목소리를 담아내는데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이 균열을 봉합하려는 보수적인 독서관습이 이 작품을 감상적 모성애로 끌고 가고 있는 것이다. 이 작품은 한 마디로 엄마에 대한 가족들의 처절한 고해성사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처절한’은 전혀 흔한 서사가 아니다. 어느 정도인가 하면, 신경숙이 들려주는 한 가족의 고해성사는 첫 문장의 잘못을 ‘너는, 그는, 당신은, 엄마를 한 번도 그이가 지닌 인간의 존엄 위에서 대하고 생각한 적이 없다’는 지경까지 몰고 간다. 평생을 가족에 대한 헌신과 배려의 고단하고 고단한 노동으로 채워온 엄마를 어떻게 그럴 수가 있을까. 그러나 정말 그러고 있는 것이 가족들의 행동이나 언사들이다. 나도, 당신도, 우리는 한없이 자책하며 우리의 죄를 고해할 수밖에 없다. 그러고 보면 소설 속 ‘너’가 마침내 미켈란젤로의 피에타상과 만나고 그 앞에 무릎 꿇는 것이 우연일 수 없다. 이것은 죄와 구원을 둘러싼 아득한 심연, 그 심연을 사이에 둔 인류의 오랜 탄식의 이야기다. 그러면서 이것은 「감자 먹는 사람들」과 『외딴방』의 작가 신경숙만이 들려줄 수 있는 간절하고 간곡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행동적 휴머니즘 : 선우휘론 The discuss of Son Woo - Whee

        배경열 현대문학이론학회 200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15 No.-

        Son Woo Whee took an important in 50's Korean literary world as a representative and the most adnanced writer of post war novels peculiar to literary trend of the fifties. His novels mostly deal with the epochal situation of 6·25 and war conditions. Thus there are many kinds of descriptions about desperate positions of humankind represented in the contemporary period and society, and they also express certain moral problems of society, or conflicting appearances caused by realities of national breach and ideological(docrinal) problems. Son's works air concentrated on what makes him to take so called, Situation Literature which urges him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y. Since his achievements of Situation Literature made a tremendous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Korean novel, it is important that we should examine them closely. It is not by the wrter's own choice but by the urgent historical necessities of the nation that his works are appeared as a seriousSituation Literature. Therefore, we find that Son has not taken writer's way through the shock of culture experience so much as through the shock of life experience. His novels demonstrate a pulling force by the large scale and weightsof experience, rather than by grasping delicate sensibility or textur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