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자원과 커뮤니티 개발을 기반으로 한 농산촌 발전 프로세스도입 방안 연구 : 충청북도 괴산군 사례를 중심으로

        장주연,김재현,박정윤,최현선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7 No.1

        본 논문은 지역자원(territorial resources)과 커뮤니티 발전(community development)을 기반으로 한 농 산촌 발전 프로세스(Asset Based Community Development Process)를 현장에 적용하고, 국내에 효율 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2년 6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충북 괴 산군을 대상으로 총 3단계 프로세스를 적용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괴산 내 지역자원조사를 실시하고 대표자원을 발굴하는 과정이다. 지역자원조사 결과, 대표자원으로 ‘산림’과 ‘귀농귀촌인’이 도출되었다. 두 번째는 지역자원과 커뮤니티발전에 대한 지역민들의 인식을 유도하는 단계로, 괴산의 대표자원으로 도출된 산림자원을 활용한 비즈니스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하였다. 산림자원을 활용한 지역주민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한 방법으로, 약 1개월간 모집·선발하였다. 3명 이상으로 조직된 팀별 지원을 원칙으로 했으며, 구성원으로 귀농귀촌인들을 반드시 포함할 것을 명시하여 원주민과 귀농귀촌 인의 연계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공모전 결과, 대부분의 아이디어는 임산물 생산판매와 산림휴양활동 에 집중되어 있었고, 최종 5개 커뮤니티가 선발되었다. 세 번째는 지역자원을 활용한 전략적 계획을 수 립하는 단계로 선발된 5개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산림자원을 활용한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사업모델로 발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2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그 결과 4개 커뮤니티의 사업모델을 도출하 였다. 괴산에 적용한 3단계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지역자원과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농산촌 발전 모델을 효 과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필요한 4가지 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반 영한 지역발전의 가이드라인과 핵심요소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는 지역주민들이 스스로가 조직을 구성하고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는 지역의 인적자원을 발굴하고 양성하기 위한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중간 지원조직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농산촌 지역개발에 있어 소홀히 되었던 지역자원과 커뮤니티 발굴 및 교육을 강조한 연구로 지역자원과 커뮤니티를 연계한 농산촌 지역발전모델을 만들어 내기 위한 새로운 시도로 볼 수 있다. 향 후 ABCD 프로세스 도입을 통한 지역발전의 효과성과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실증적인 연구가 추가적으 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processes of rural development based on territorial resources and community development to Korean rural areas and provide suggestions on implementing the processes effectively in Korea. From June 2012 to February 2014, 3 step-processes were applied to Goesan, in Chung-buk. The first step was to investigate territorial resources in Goesan and find representative resource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representative resources are categorized as “forest” and “migrants from urban cities”. The second step was to increase local people’s awareness of territorial resources and community development. To do so, this study proposed a contest among businesses to develop ideas for using forest in Goesan. Most ideas focused on making and selling forest products or on recreational activities that involve the forest. Consequently, 5 communities were selected. The last was to discuss strategies and plans for businesses using territorial resources. Through the education program, 4 communities set up such strategies and plans for about two month. Based on the application processes in Goesan, four factors are needed to implement the process effectively in Korea. First are guidelines and key factors for rural development. Second is a system through which local people are able to participate in and organize communities. This necessitates a third factor: an education system that identifies and cultivates human resources in rural area. Finally, an intermediary organization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ystem.

      • KCI등재

        Mobilizing Community Assets in Tikapur, Nepal

        Shin, Sun-Young(신선영),Han, Sang-Il(한상일),Chung, So-Yoon(정소윤)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4 남아시아연구 Vol.20 No.2

        남아시아의 내륙국가 네팔은 200 년 왕정에서 민주주의 정치체제로 이행하였다. 민주주의로의 이행 이후 네팔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빈곤, 실업, 보건의료서비스의 부족, 낮은 교육수준 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과정에서 국제기구 및 국제 NGO 등과의 협력 하에 하향식 개발 사업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역사회가 상향식 경제 및 사회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인적자원과 공공기관, 공공장소 등의 지역자산을 동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자산기반지역 동체개발(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로 불리며 1990 년대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해왔으나 최근 개발도상 가에서도 적용가능 하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 이 논문은 지역 공동체 내의 인적자원과 공공자원 등 지역자산을 활용한 지역공동체 발전모형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자산기반 지역공동체 개발관점에서 지역에 속한 인력, 기관, 장소 등 다양한 자산의 활용여부를 진단하였다. 특히 인구사회학적 집단 별로 지역자산의 활용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향후 지역자산 동원을 극대화하기 위한 교훈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저자들은 현지에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해 띠까뿔 지역의 지역자산 활용 정도를 파악하고 집단 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띠까뿔 지역에서 지역자산은 충분히 활용되고 있지 않지만 은행, 협동조합 등의 기관의 활용도는 집단에 따라서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띠까뿔 지역의 지역자산 활용도 극대화 방안과 지속 가능한 미래의 지역발전모델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in Nepal have grappled with problems of poverty, unemployment, lack of health care, inadequate food supplies and substandar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response to these intense problems, national development agendas have tended to experiment with various top-down plans in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ikapur, the most well-planned city in western Nepal, has become the site of several development projects following such top-down approach. Recently, however, local and regional communities have been asked to play a frontline role in mobilizing human resource, public institutions, and space assets to help establish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nitiatives from the bottom-up. This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 approach emphasizes that development depends on finding and mobilizing hidden and under-utilized capabilities and assets already on the ground to discover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paper argues that this approach is applicable to the developing countries due to their significantly larger proportion of underdeveloped places and institutions. In this sense, the authors analyze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local asse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asset utilization based on empirical data collected in the Tikapur region of Nepal. The findings reveal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assets such as bank and cooperative, and income group. Based on the findings from a questionnaire survey, this paper offers recommendations for greater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in Nepal.

      • 사회적 기업과 지역공동체 발전

        한상일(Sang-Il Han)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0 창조와 혁신 Vol.3 No.1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social enterprise and to indic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terprise and community development.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social enterprise can be defined in a variety of ways generally refer to any private activity conducted in the public interest, organized with an entrepreneurial strategy and shose main purpose is not the maximization of profit, but the attainment of certain economic and social goals, and which, through the production of goods and services, brings innovative solutions to problems such as social exclusion and unemployment. These types of organizations can make contribution to community development because of their organic, versatile and hybrid characteristics. The present study brings in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ABCD) method to link social enterprise and community development. ABCD suggests strategies and methods to induce proactive participation from the community settings. In implication and conclusion, lesson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 and local community are pointed out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study of social enterprise a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소개하면서 지역공동체 발전에 사회적 기업이 중요한 이유와 사회적 기업을 통한 지역공동체 발전의 방식을제시하는 것이다. 현실적 배경에서 사회적 기업이 중시되는 이유와 사회적 기업의유형과 목적 등을 설명하였고 지역공동체의 자생적 발전 모형이 강조되는 환경적변화를 설명하였다. 지역공동체의 자생적인 발전을 위해서 사회적 기업의 역할이중요하다는 관점을 제시하였고 사회적 기업중심의 지역공동체 발전전략을 설명하기 위하여 자산기반지역공동체 발전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 전략에 따르면 사회적기업은 조직적 역량뿐만 아니라 소속된 지역공동체의 자산을 개념화하는 지도를 작성하고 특히 다른 기관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지도를 토대로 사회적 기업과 지역공동체 자산의 연계를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의 함의와 결론에서 사회적 기업은 지역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사회경제적인 목적의 달성에 용이하고 지역인적자원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향후 특정 지역공동체에 대한 실증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지역의 발전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을 설명하였다.

      • 주민 중심의 자산을 활용한 지역 발전 방안 연구: 행촌 마을 도시농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창묵 한국정책학회 2018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지역발전에 있어 발전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본 연구는 낙후된 주거지 재생 사업의 사례를 분석하여 지역자산에기반한공동체발전 방법에서 도시농업이 갖는 유용성에 대해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행촌권 도시농업 특화마을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커뮤니티, 자산기반지역공동체발전방법, 도시텃밭과 관련된 문헌연구 및 심층인터뷰(지역 주민, 전문가)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층주거지의 경우 자투리 지역이 많기 때문에 도시농업을 시작하기 좋은 환경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로 초기에 높은 인적 자원이 필요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자생력을 갖추는데 있어 도시농업은 지역 주민들의 수요에 기반한 상품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강점을 지닌다. 행촌권 도시농업 특화마을의 사례는 낙후된 저층주거지에 대한 주거 재생 사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지역 내 자산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제시했다는 점에서 향후 관련 정책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Is a Place-Based Approach the Key to Development? : Evidence from Korea and Ghana

        John Nunya Agbemenu 한국정부회계학회 2015 정부회계연구 Vol.13 No.1

        본 논문은 개발에 관한 지역기반 접근의 효용성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해 자산기반 지역개발(Asset Based Community Development, ABCD)의 기본 내용을 살펴보고 가나 와 한국 양국이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ABCD의 원칙들을 어떻게 적용시켰는지 비교한 다. 지역경제발전을 촉진하는 ABCD 접근방식은 민간과 공공 섹터 사이의 제3섹터로 분 류되며, 물리적 재정적 자산뿐만 아니라 사회적 자본과 같은 무형의 자산 등 다양한 지역 자산의 활용 을 강조한다. 본 논문은 가나와 한국의 농촌 개발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국민국가 (nation-state)에서 정부가 지역사회를 발전의 파트너로서 참여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빠 른 발전을 위해 지역 자산을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접근방식 은 발전에 관여하는 사회 전 부문의 포용적 발전을 촉진한다. 본 논문은 1970년대 한국의 발전 양상에 ABCD 접근방식이 내재되어 있는 반면 가나는 이 점이 부족했기 때문에 양국의 발전의 차이를 가져왔다는 점을 강조한다. This paper demonstrates the relevance of a place-based approach to development. By the outlining the basic principle the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 (ABCD) and comparing how the two countries, Korea and Ghana, have adopted this principle in development of their communities. The ABCD development approach adopts the principle that enhances the Local Economic Development (LED) and is categorized as a part of the third sector which falls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as seen on a continuum. The ABCD strongly emphasizes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assets in development, and is not only limited to physical and financial assets but also includes such assets as social capital. Using the case of rural development programs in Korea and Ghana, this paper establishes that governments have a role in community development within the nation-state, and that involving the beneficiary communities as the partners of development is vital, and approaches that harnessing community assets as key to rapid development. These approaches enhance inclusive growth bringing all segments of society on board for development. We conclude that the difference in the rate of development between Korea and Ghana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ABCD principles were embedded in the development of Korea, whereas they principles were not included in that of Ghana during the 1970s.

      • KCI등재

        외환위기 이후 지역별 주거이력 유형 비교 - 배열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

        남춘호(Nahm, Choon-Ho)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자료를 활용하여 주거이력에 대한 KLIPS(1998~2017) 배열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지역별로 주거이력의 주된 유형을 살펴보고, 지역불균등발전과 주택의 금융화라는 사회구조적 기회의 제약이 개인들의 주거선택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주거이력 유형들은 임차형주거이력과 자가형 주거이력으로 크게 나뉘어졌으며, 전지역적으로 발견된 저소득층의 임차형 주거이력유형은 주거면적이나 이주빈도 등에서 주거의 불안정성을 보여주었다. 이들 하위계층은 소득대비 높은 주택가격이 진입장벽으로 작용한데다 주택금융에 접근하는 데도 제한을 받아 자가부문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자산증식의 기회에서도 배제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자가형 주거이력 유형들 중에서는 주택가격면에서는 저가형, 주택형태상으로는 단독주택형이 비수도권 지방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자가고가/대형아파트형 주거이력패턴이나 자가고가/대형연립형 주거이력 패턴은 수도권이나 서울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그런데 비수도권에 주로 나타나는 주거이력 유형들에 비하여 수도권이나 서울형 주거이력패턴들이 자산절대액도 크고 자산증가도 많았다. 그중에서도 특히 수도권 청년코호트 대졸 전문직에서 자주 보이는 자가고가/대형아파트형 주거이력 패턴의 경우 순자산과 부동산 자산은 물론 금융자산과 부채도 많아서 주택금융화 체제하에서 저금리대출에 기반한 주택기반 자산 증식의 주도 집단이었음을 보여준다. 한편 서울이나 수도권에 비해서 비수도권이 금융화시기 주택기반 자산증식 기회에서는 배제되었으나, 소비재로서의 주거가 가지는 특성을 보여주는 주거면적 측면에서는 비수도권이 배제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주거불평등은 이제 임차가구와 자가소유가구 간의 불평등을 넘어서 자가소유가구들 사이에서도 주택기반 자산증식을 주도하는 집단과 거기서 배제된 집단 사이의 자산불평등 심화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주거영역의 불평등은 경제적 불평등이 재생산과 교육 및 소비영역의 다중격차로 전환되는 매개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보듯이 이와 같은 새로운 주거의 불평등이 ‘지역’을 경계로 진행되어 왔다는 사실은 지역간 불평등이 다중격차 사회의 불평등을 가르는 주된 경계선으로 고착화될 위험성을 경고하고있다. In this study, the author analyzed the housing careers using KLIPS (1998~2017) data, and I found the main types of residential trajectories by region. The author analyzed the effect of social structural variables such as unequal regional development and housing financialization on individual choice of housing. According to the results, housing career types are mainly divided into rented housing careers and owned housing careers. The low-income rented housing career pattern found in all regions revealed low housing quality and housing instability. The lower classes were not able to enter the homeowners sector and were excluded from the opportunity for asset proliferation. Low-income households could not afford to access mortgage finance and high housing prices served as a barrier to buying homes for them. Among the housing career types of homeowners, the housing career patterns that appear mainly in Seoul a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ve larger asset value than the housing career patterns that appear mostly in the non-capital area. The results show that non-capital region was excluded from the opportunity to increase housing-based assets compared to Seoul or the capital region. Housing inequality now extends beyond the inequalities between leased and home-owned households, and even among home-owners households, the inequality between wealthy and unsuccessful households is growing. The region serves as a demarcation line of housing inequality. The inequality of housing inequality acts as a key inequality mechanism for multiple disparities.

      • KCI등재

        자산기반 지역사회 발전(ABCD) 모델을 적용한 주민자치회 활성화 방안 연구: 안산 일동을 중심으로

        신수경,이상헌 (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3 地方行政硏究 Vol.37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the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 (ABCD) model to determine a plan to rejuvenate the Residents’ Autonomy Board (the Board). The ABCD model emphasizes that every community has assets and that identifying and effectively utilizing the community’s asset characteristics is critical, with the community taking the initiative. The study classified the level of local assets analysis into the personal, network, and physical assets, and analyzed how these assets were discovered, linked, and utilized.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successful cases of the Ildong Residents’ Autonomy Board in Sangnoksu-gu, Ansan-si, and Gyeonggi-do,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y establishing a safety ne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nsan Ildong Residents’ Autonomy Board actively discovered and comprehensively linked individual, network, and physical assets, in combination with various network organizations such as resident organizations, institutions, and schools, thus contributing to the activation of the Residents’ Autonomy Board. The study’s policy implications include the applicability of the ABCD model to community development, particularly as a methodology for revitalizing the Board.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ABCD model can contribute to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by focusing on the community’s internal capacity and is valuable as an educational tool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community members. 본 연구는 주민자치회를 활성화하기 위해 자산기반 지역사회 발전(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 이하 ABCD) 모델을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BCD 모델은 모든 지역사회가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지역사회의 자산의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때 지역사회가 주도권을 쥐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이 연구는 개인, 네트워크, 물리적 자산 수준으로 분류하고, 이러한 자산이 어떻게 발굴, 연계, 활용되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동안 경기도 안산시 상록수구 일동 주민자치회의 성공적인 안전망 구축 사례에 주목하였다. 결과적으로, 안산 일동 주민자치회는 다양한 네트워크 조직과 결합하여 개인, 네트워크, 물리적 자산을 적극적으로 발견하고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활용함으로써 주민자치회의 활성화에 기여하였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ABCD 모델의 적용 가능성, 특히 주민자치회 활성화를 위한 방법론으로서의 가치이다. 본 연구는 지역 내부 역량에 집중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ABCD 모델이 지역 주민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적 도구로서 가치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서비스-러닝과 장소 기반 지역 협력을 통한 대학교육의 변화 지향

        권상철(Kwon, Sangcheol),오정훈(Oh, Johnny)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23 No.4

        대학은 교육과 연구 그리고 비교적 늦게 미국 주립대학의 공공서비스 전통에서 시작한 봉사를 핵심 이념으로 하고 있다. 세계화와 더불어 경쟁 심화와 경제 변화 상황에서 대학은 순위와 취업 경쟁에 치중하며 본연의 역할과 거리를 두었다. 그러나 대학은 최근 교육의 내실을 기하며 사회 공헌도 확대하는 서비스-러닝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서비스-러닝은 1990년대 미국에서 대학교육이 사회 문제에는 무관심한 체 학생들의 개인 역량에만 주력하는 상황에서 대학의 자성적 노력과 정부, 사회기관의 지원으로 확대 되었다. 대학의 사회적 책무와 관련하여 서비스-러닝은 사회문제에 대해 비판적 안목으로 지역사회와의 호혜적 관계를 강조하고, 한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대학과 지역사회가 종합적인 협업을 강조하는 장소 기반의 지역 협력으로 발전하고 있다. 한국도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봉사활동을 강조하며 최근 일부 대학에서 서비스-러닝을 현장과 연계한 지역기반학습으로 진행하는데 아직 특정 지역, 학과에 한정되어 있다. 대학은 보편적으로 지역사회와 특정 문제를 중심으로 협력하는데, 지역사회의 협회, 기관, 기반시설 등 자산에서 잠재력을 찾는 새로운 안목과 시도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대학의 서비스-러닝과 연계한 지역의 수요와 자산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학습 효과를 높이고 지역 변화를 이끌어 내는 또 다른 방법이 될 수 있다. 서비스-러닝과 대학-지역 협력은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한 대학의 변화 노력이다. Universities pursue teaching, research and service as central roles in which the service was added lately from the public service tradition in US state university. As university education became popular, students devoted their time to individual capacity building, and increased competition with globalization put universities into ranking and employment pressure. In the 1990s, universities distanced from social issues began service-learning and community engagement to emphasize practical experience and service to communities. Governments and social organizations supported such change to take place in numerous universities. With regard to the university social responsibility, service-learning emphasizes critical approach to social issues and reciprocal relationships with community. Place-based community engagement is another approach university cooperates with specified place diverse activities with long-term commitment. Korea has emphasized volunteering activities for education, but service-learning has been adopted by only a few universities and majors. Community engagement often has taken problem-focused approach. New perspectives and efforts are needed to find the potential in the assets of the community such as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A research activity of local assets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the service-learning would increase the effects of learning and regional change. Service-learning with university-community collaboration is a transformational efforts at universities for a better world.

      • KCI등재

        Mobilizing Community Assets in Tikapur, Nepal: Applying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 Strategy

        신선영,한상일,정소윤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4 남아시아연구 Vol.20 No.2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in Nepal have grappled with problems of poverty, unemployment, lack of health care, inadequate food supplies and substandar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response to these intense problems, national development agendas have tended to experiment with various top-down plans in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ikapur, the most well-planned city in western Nepal, has become the site of several development projects following such top-down approach. Recently, however, local and regional communities have been asked to play a front-line role in mobilizing human resource, public institutions, and space assets to help establish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nitiatives from the bottom-up. This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 approach emphasizes that development depends on finding and mobilizing hidden and under-utilized capabilities and assets already on the ground to discover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paper argues that this approach is applicable to the developing countries due to their significantly larger proportion of underdeveloped places and institutions. In this sense, the authors analyze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local asse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asset utilization based on empirical data collected in the Tikapur region of Nepal. The findings reveal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assets such as bank and cooperative, and income group. Based on the findings from a questionnaire survey, this paper offers recommendations for greater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in Nep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