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 행동데이터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해외 학습분석 연구를 중심으로

        이성혜 ( Sunghye Lee ),이유경 ( You-kyung Lee ),박소영 ( So-young Park ),함은혜 ( Eun Hye Ham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분석 기반의 자기조절학습 연구의 해외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자기조절학습의 하위전략과 전략별 분석데이터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발표된 해외 학술지 논문 및 학술대회 발표자료이면서, 자기조절학습 또는 자기조절학습의 하위요인을 학습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논문 50편을 분석하였다. 학습분석 기반 자기조절학습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연도별, 연구맥락별, 데이터 수집 환경별, 연구목적별, 자기조절학습 전략 및 하위요인별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 연구 중 자기조절학습의 하위요인을 명시한 연구를 바탕으로 이들이 분석한 요인과 이러한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활용된 분석데이터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2012년 이후 꾸준히 연구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대학 맥락에서 수행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데이터가 수집된 학습환경은 MOOC를 포함한 학습관리시스템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연구목적별로는 자기조절학습 행동을 기반으로 학습자 및 학습 행동 모델링, 행동데이터를 활용하여 성취도 등 수행결과 예측, 수행결과와의 관계 분석, 자기보고식 자기조절학습 설문 결과와 행동데이터 비교 또는 그 관계를 살펴본 연구 등으로 분류되었다. 자기조절학습 전략별로는 메타인지전략, 행동조절전략, 인지전략, 환경조절전략, 학습전략 순으로 논문 수가 많았으며, 가장 많은 연구에서 분석된 하위요인은 시간관리, 자기평가 및 성찰이었다. 또한 이와 같은 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조절학습 행동 분석데이터의 특징과 학습분석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rends in overseas research on self-regulated learning based on learning analytics, and to analyze sub-strateg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lists of data. For the analysis, 50 papers from overseas journals and conference proceedings prior to 2020 were screened. Frequency analyses are calculated by year, research context, data collection environment, research purpos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sub-factor. Sub-factors and analyzed data are then described in light of previous studies that specify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The results indicated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ies since 2012, most of which wer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universities. In over half of these studies, data was collected on Learning Management Systems (LMS) and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 With respect to research purpose, studies may be classified as learners and learning behaviors modeling, performance prediction, relationship analysis with performance results, and behavior comparison between survey and behavioral data. With respect to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the greatest number of papers concern metacognitive strategy, followed by behavior control strategy, cognitive control strategy, environmental control strategy, and learning strategy. Time management and self-evaluation and reflection are the most frequently analyzed sub-factors. Analyzed data were also collected to measure these f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above, analysis of data on the features of self-regulating learning behavior is presented and the implications for learning analysis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아웃도어 의류를 이용한 소비 자기조절초점 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박성용(Park, Seong Yong),나준희(Na, June-Hee),이용기(Lee, Yong-Ki)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4

        자기조절초점의 구성요인인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은 조절요인 또는 직접적으로 소비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동된다. 목표를 달성하려는 동기요인으로서 자기조절초점에 대한 많은 연구는 대부분 성격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웃도어의류의 선택과 같이, 소비선택과 관련된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과연 성격적인 측면에서의 자기조절초점척도가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쇼핑 측면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개발하여 성격조절초점 척도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소비관련 자기조절초점 척도 문항은 소비자구매행동과정이론을 이용하여 구매 전, 구매 시, 구매 후 과정과 소비관련 개인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47 항목이 개발되었으며, 판별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정제하여 내적 일관성을 높이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성격적인 자기조절초점과 비교하여 내적 일관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척도개발 및 관련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최근의 문화적 트렌드를 반영하는 아웃도어의류가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되지만, 이들의 신뢰도는 성격자기조절초점의 신뢰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관련성은 존재하지만 강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사용한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개발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차원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문제점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Self-regu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toward goal-achieving activities or it sometimes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directly. Self-regulation scale for the most research studies reflects the asp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s personali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cale could be used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mechanism for shopping environment or consumption. Self-regulation scale may explain some aspects but we can infer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dynamic aspects of shopping. Accordingly, we develop consumption-shopping related self-regulation scale for promotion-focused and prevention-focused regulation. In order to develop scale, we employ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emphasizes pre-purchase, purchase, post-purchase process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We developed 47 items and refined those item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us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urthermore, we considered the differences in scales in personality-based vs. consumption-based scale in which we developed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s. Outdoor cloth is us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sca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based and consumption-based scale to reflect the recent trend in cultur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based scale has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but it has a lower internal consistency than personality-based scale has. Personality-based scale and consumption-based scale has some relations in terms of correlation. Also, consumption-based scale using factor analysi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produce rather fails to show clear differences between promotion and prevention, and it has multi-dimensional aspects too. 자기조절초점의 구성요인인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은 조절요인 또는 직접적으로 소비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동된다. 목표를 달성하려는 동기요인으로서 자기조절초점에 대한 많은 연구는 대부분 성격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웃도어의류의 선택과 같이, 소비선택과 관련된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과연 성격적인 측면에서의 자기조절초점척도가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쇼핑 측면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개발하여 성격조절초점 척도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소비관련 자기조절초점 척도 문항은 소비자구매행동과정이론을 이용하여 구매 전, 구매 시, 구매 후 과정과 소비관련 개인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47 항목이 개발되었으며, 판별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정제하여 내적 일관성을 높이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성격적인 자기조절초점과 비교하여 내적 일관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척도개발 및 관련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최근의 문화적 트렌드를 반영하는 아웃도어의류가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되지만, 이들의 신뢰도는 성격자기조절초점의 신뢰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관련성은 존재하지만 강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사용한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개발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차원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문제점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Self-regu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toward goal-achieving activities or it sometimes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directly. Self-regulation scale for the most research studies reflects the asp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s personali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cale could be used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mechanism for shopping environment or consumption. Self-regulation scale may explain some aspects but we can infer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dynamic aspects of shopping. Accordingly, we develop consumption-shopping related self-regulation scale for promotion-focused and prevention-focused regulation. In order to develop scale, we employ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emphasizes pre-purchase, purchase, post-purchase process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We developed 47 items and refined those item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us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urthermore, we considered the differences in scales in personality-based vs. consumption-based scale in which we developed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s. Outdoor cloth is us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sca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based and consumption-based scale to reflect the recent trend in cultur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based scale has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but it has a lower internal consistency than personality-based scale has. Personality-based scale and consumption-based scale has some relations in terms of correlation. Also, consumption-based scale using factor analysi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produce rather fails to show clear differences between promotion and prevention, and it has multi-dimensional aspects too.

      • KCI등재

        프로젝트 기반 협력학습이 의대생의 자기조절 학습능력개발에 미친 효과

        시지현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1

        The study of designing learning contexts where learners can train and develop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project-based collaborative learning context on self-regulated learning development of medical students in one medical school. In this learning context, the students worked in a mixed group composed of the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igh, medium and low). It also explored the relationship among co-regulation that occurred during collaboration, their pre and pos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s well.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the relationship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pr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s well. For this, 50 second-year medical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scientific thinking and medical research’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n mixed groups were composed, each group with 5 students, one from the high level, two from the medium level, and two from the low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questionnaire implemented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In the class, the students in a mixed group conducted authentic research for ten weeks. After finishing their research, they filled out the same self-regulated learning questionnaire and co-regulation questionnaire online.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collaborative learning context is effective to develop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addition, the learners with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a similar level of co-regulated activities to the learners with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this co-regulated activities had the corre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uch connection was particularly strong for the students with the medium level of pr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se results can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for development of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최근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습자가 자기조절학습을 훈련할 수 있는 학습맥락설계에 관한 연구가 주목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 의과대학에서 실제적인 의학연구를 진행하는 프로젝트 기반 협력학습에서 소그룹 구성을 자기조절학습능력 상중하 수준의 학습자를 모두 포함하는 혼합그룹으로 구성하여 이러한 학습맥락이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개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상이한 학습자로 구성된 소그룹에서 발생하는 협력조절이 학습자의 사전 사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전 자기조절 학습능력 수준별 자기조절 학습능력 개발 및 협력조절과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는 한 의과대학에서 프로젝트 기반 협력학습으로 설계된 ‘과학적 사고와 의학연구’과목을 수강한 의예과 2학년 학생 50명이 참여하였고 이들은 학기 초에 실시된 사전 자기조절학습검사 점수에 따라 상 중 하 세 집단으로 나누어져 상위집단에서 한명, 나머지 중 하위 집단에서 각각 두 명씩 5명씩 한조를 이루어 10주 동안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프로젝트를 끝낸 후 사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협력조절에 관한 데이터는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상이한 학습자로 구성된 소그룹에서 복잡한 과제를 수행하는 협력학습맥락은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 개발에 효과적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와 함께 협력조절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보다 낮은 학습자들도 조절활동에 비슷한 수준으로 참여하게 하며 이러한 협력조절은 자기조절 학습능력개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중간 수준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가진 집단에서 이러한 관계가 가장 크게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개발시킬 수 있는 여러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개발을 위한 교수설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과 자기효능감 연구의 교육적 함의

        방선욱(Bang, Sun-Wo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2

        이 연구는 그 동안 우리나라의 연구에서 비교적 소홀했던 성인 대상 중심의 자기조절학습 및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를 개관하고, 다양한 학습동기 변인 가운데 자기조절학습에 가장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 구인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유사 구인과의 차이점을 정리하고,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자기효능감 증진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적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회인지이론에 토대를 두고 있는 자기조절학습 모형은 자기조절학습을 목표지향적 과정으로 그리고 순환적인 과정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자기조절 단계를 설정하고 있으며, 각 단계별로 자기조절 영역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기조절 단계와 자기조절 영역의 개념과 구조는 학습자의 자기조절과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아울러 각 단계별 수업전략 수립이나 학습내용 및 활동을 제시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과제특수적 상황에서 학습자의 수행역량에 초점을 맞추는 학습결과를 예측하는 데 있어 변별적인 타당성을 보여주며, 학생들의 과제 선택, 노력, 지속성, 그리고 정서적 반응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동기를 예측하는 데 있어서도 수렴적 타당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정확한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보다 전문화된 측정방법과 측정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자기조절학습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구인으로서, 자기조절과정의 모든 단계에 영향을 미친다. 학습과 동기의 유력한 매개자 역할을 수행하는 자기효능감은 학생들의 동기와 그에 따른 결과로서의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자기효능감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exploring the research on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is paper reviewed self-regulated learning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self-efficacy beliefs differ conceptually from closely related constru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belief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s results of the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gulated learning models by Pintrich and Zimmerman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define self-regulated learning as goal-oriented process, proceeding from a forethought phase through self-monitoring and self-control phase to self-reflection phase. For each phase, self-regulatory activities are listed in four separate areas, including cognitive, motivational and affective, behavioral and contextual areas. They also assume that self-regulation is cyclical in nature. Second, measures of self-efficacy are not only conceptually distinctive from closely associated constructs such as outcome expectations, self-concept, and perceived control, they have discriminant validity in predicting a variety of academic outcomes. Students’ self-perception of efficacy are distinctive from related motivational constructs because of their specificity and close correspondence to performance tasks. Third, self-efficacy beliefs provide students with a sense of agency to motivate their learning through use of such regulatory processes as goal setting, self-monitoring, self-evaluation, and strategy use. Therefore, self-efficacy beliefs of students are key variable affecting self-regulated learning activities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의 능력 개발을 위한 수업의 조건

        양용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5 사고개발 Vol.11 No.3

        Self-regulated learning(SRL) along with intelligence, motivation and previous knowledge has appeared as a major factor of academic achievements. Recently, it is known that whereas the variance of intelligence affect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takes a part about 10% point, the one of SRL does about 18% point. It suggests that SRL could be a new strategy to make the difference narrow amo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So,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pt, its components, and acquisition models of SRL to explore the conditions of instruction for developing SRL ability. The components of SRL have explored with a variety of factors by researchers, but in this study they are presented as included in the categories of cognition/meta-cognition, motivation/affection, and behavior/contexts. The acquisition models of SRL are examined with a circular phase model(forethought→ performance→ self-reflection) and a sequential developmental model (others-regulation→ co-regulation→ self-regulation). The conditions and strategies of instruction for developing and facilitating students’ SRL abilities are presented based upon those SRL’s components and acquisition models. And on the basis of conditions and strategies of instruction presented in this study, further research on SRL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re suggested. 자기조절학습은 지능, 동기, 선행지식과 함께 학업성취의 새로운 주요한 변인으로 등장하였다. 최근에 지능은 학업성취에 미치는 변량이 10% 정도인데 비해서 자기조절학습은 약 18%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Veenman. 2011). 이것은 자기조절학습이 학습자간 학업성취의 차이를 좁힐 수 있는 새로운 도전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래서 이 연구는 자기조절학습의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수업의 조건을 탐구하기 위하여 자기조절학습의 개념 및 구성요소와 습득모형을 탐색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을 구성하는 요인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인지/초인지, 동기/감정과 행동/맥락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로 정리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의 습득모형은 순환적 단계모형(전사고→수행→자기성찰)과 순차적 발달모형(타인조절→공동조절→자기조절)으로 검토되었다. 이러한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와 습득모형을 통해서 자기조절학습의 능력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주요한 수업의 조건과 전략이 제안되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의 조건과 전략을 바탕으로 장차 자기조절학습의 교수-학습전략을 탐구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의 관련성 : 변화추이 및 인과적 방향성 검토

        양명희,이경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2

        많은 연구들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가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보여주었으나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여 이들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학습장면에 나타나는 자기조절적 현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자기조절 수준에 따른 성취도 변화 추이와 이들 간의 인과적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조절 전략을 잘 활용하는 집단과 그렇지 못한 집단은 시간에 따라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자기조절학습 상위집단이 학업 성취도가 높고 성취도의 평균 성장률도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과 학업 성취의 두 변수간의 상호적 인과관계를 볼 때, 자기조절학습은 이후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학업성취도 또한 이후의 자기조절학습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영향력의 크기는 성취도가 이후의 자기조절학습에 주는 영향력이, 자기조절학습이 이후의 성취도에 주는 영향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단일 시점에서 설명할 수 없었던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련성에 대한 새로운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결과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제시되어 있다. Despite the extensive research on self-regulated learning, more studies are needed that use longitudinal designs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and change of relationship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major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KELS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ata of 6,224 students in KEL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Results indicated that both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table over time. Secondly, students who showed a higher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achieved more over time, compared to students who had a lower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Thirdly,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e of academic achievement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vice versa. The influence of academic achievement on self-regulated learning was greater than the other way around. Implications of findings in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자기결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2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자기결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2013년까지 이루어진 국내의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총 23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효과크기의 수는 295개이다. 자기결정성은 자기결정성 분류 형태인 내재적 동기, 확인/통합동기, 부과된 동기, 외적 동기, 무동기로 나누었다. 자기조절학습도 일반적인 분류 형태인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로 나누었다. 두 변인간의 관계에 관한 출판편의를 Orwin의 fail-safe N과 Egger의 회귀절편으로 분석한 결과 출판편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내재적 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486, 확인/통합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544, 부과된 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379, 외적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046, 무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395로 나타났다. 이 효과크기들은 모두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는 논문형태, 학교급별과 관련되는 독립변인들이 이질성의 원인이라고 판단하여 분석을 하였다. 논문형태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내재적 동기-자기조절학습, 외적동기-자기조절학습에서는 학위논문의 효과크기가 학술논문의 효과크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내재적 동기-자기조절학습, 확인/통합동기-자기조절학습, 부과된 동기-자기조절학습, 외적동기-자기조절학습, 무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s to synthesize the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by meta-analysis. For the study 295 effect sizes from 23 studies were analyzed by CMA2 Program. Self-determination was divided by intrinsic, identified/integrated, introjected, ex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along the self-determination continuum. Self-regulated learning was divided by cognition, motivation, and behavior regulation. Publication biases were analyzed by Orwin`s fail-safe N and Egger`s regression intercept. B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re were low possibilities of the publication bias.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size, intrinsic-SRL was .486, identified/integrated-SRL was .544, introjected-SRL was .379, external-SRL was -.046, and amotivation-SRL was -.395. There were heterogeneities in the effect sizes of subgroups, so the researcher thought these were attributed by the moderator variables such as published or unpublished studies and school classe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of the effect sizes between published and unpublished studies on intrinsic-SRL and extrinsic_SRL.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of the effect sizes of school classes on intrinsic-SRL, identified/integrated-SRL, introjected-SRL, external-SRL, and amotivation-SRL. The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무엇이 소비를 후회스럽게 하는가? : 자기조절능력과 비이성적 소비행동을 중심으로

        유현정,김수진,김영림,안보름,전현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2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8 No.2

        산업혁명 이후 경제적 풍요로움은 필수재 구매 중심의 소비에서 보다 다양한 욕구충족을 위한 재화 및 서비스 의 구매로 소비의 영역을 확대시켰고 아울러 인간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데 기여했다. 그러나 고도 산업사회를 지 나 정보사회로 진입하면서 소비자들은 넘쳐나는 재화와 정보 중 무엇이 소비자에게 진정으로 필요하고 유익한 것 인지를 평가하고 선택하는 데 점점 더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소비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은 약화되고 순간적인 소 비충동이나 과시적 욕구, 무분별한 타인의 모방 등과 같은 비이성적인 소비행동은 증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매 후 후회를 야기시키는 요인으로 자기조절능력 및 비이성적 소비행동에 주목하였다. 자기조 절능력 및 비이성적 소비행동이 후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청주시에 거주하는 성인 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이성적 소비행동 중 과시소비성향이 구매 후 후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즉, 과시소비를 많이 하는 소비자일수록 구매 후 후회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 변인이 구매 후 후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저학력 소비자일수록 구매 후 후회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이 높을수록 자기조절능력이 크고, 학생이 다른 직업인에 비해 자기조절능력 수준이 낮았으며, 학력 수준이 낮을수록 자기조절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특성에 따른 비이성적 구매행동 분석에서는, 여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비교적 충동소비를 많 이 하고, 소득이 높을수록, 학력수준이 낮을수록 충동소비, 모방소비, 과시소비, 보상소비가 많이 나타나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자기조절은 비이성적 소비행동 중 보상소비에만 영향을 미치고, 구매후 후회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 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기非조절은 충동소비와 모방소비, 과시소비, 보상소비의 모든 비이성적 소비행동에 영 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구매후 후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비이성적 소비행동에서는 과시소비가 구매후 후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자기조절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명진(Lee,Myung-Ji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39

        이 연구에서는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교육학 분야에서 다루어져야 할 자기조절 연구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자기조절 연구들의 문제점으로는 자기조절의 정의와 용어의 불명확성, 자기조절 과정에 대한 직접 측정도구의 낮은 사용성, 그리고 탈맥락적이고 통합적인 자기조절 훈련 프로그램의 희귀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 먼저 연구자들 간에 자기조절의 개념과 용어의 통일을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 또한 자기조절의 인지 및 행동의 과정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접근성이 높고 해석이 용이한 자기조절의 직접 측정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자기조절 역량향상을 위하여 탈맥락적이고 범주 통합적인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들은 학교장면 뿐 아니라 다양한 맥락에서 한 개인을 자기 조절적 인간으로 만들기 위한 실제적인 훈련 방안을 제공할 것이며, 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스스로 학습하는 인간을 만들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research on self-regulation,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discusses future challenges for self-regulation in education studies. The main problems with self-regulation research are diverse interchangeable terms and fuzzy definitions of self-regulation, absence of a direct measuring method of self-regulation, and absence of a self-regulation practice program and teaching guidelines. In order to solve three problems, firstly, researchers should consolidate the terms and definitions of self-regulation. Secondly, researchers need to develop a direct measuring method that is accessible and easy to interpret the results of. Lastly, researchers should develop embodied teaching guidelines for improving self-regulation. This research will lead people to self-regulate in learning and everyday life, and will be the basis of people learning, which is the eventual goal of education.

      • KCI등재후보

        아웃도어 의류를 이용한 소비 자기조절초점 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박성용,나준희,이용기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Self-regu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toward goal-achieving activities or it sometimes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directly. Self-regulation scale for the most research studies reflects the asp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s personali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cale could be used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mechanism for shopping environment or consumption. Self-regulation scale may explain some aspects but we can infer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dynamic aspects of shopping. Accordingly, we develop consumption-shopping related self-regulation scale for promotion-focused and prevention-focused regulation. In order to develop scale, we employ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emphasizes pre-purchase, purchase, post-purchase process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We developed 47 items and refined those item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us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urthermore, we considered the differences in scales in personality-based vs. consumption-based scale in which we developed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s. Outdoor cloth is us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sca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based and consumption-based scale to reflect the recent trend in cultur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based scale has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but it has a lower internal consistency than personality-based scale has. Personality-based scale and consumption-based scale has some relations in terms of correlation. Also, consumption-based scale using factor analysi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produce rather fails to show clear differences between promotion and prevention, and it has multi-dimensional aspects too. 자기조절초점의 구성요인인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은 조절요인 또는 직접적으로 소비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동된다. 목표를 달성하려는 동기요인으로서 자기조절초점에 대한 많은 연구는 대부분 성격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웃도어의류의 선택과 같이, 소비선택과 관련된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과연 성격적인 측면에서의 자기조절초점척도가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쇼핑 측면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개발하여 성격조절초점 척도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소비관련 자기조절초점 척도 문항은 소비자구매행동과정이론을 이용하여 구매 전, 구매 시, 구매 후 과정과 소비관련 개인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47 항목이 개발되었으며, 판별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정제하여 내적일관성을 높이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성격적인 자기조절초점과 비교하여 내적 일관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척도개발 및 관련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최근의 문화적 트렌드를 반영하는 아웃도어의류가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되지만, 이들의 신뢰도는 성격자기조절초점의 신뢰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관련성은 존재하지만 강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사용한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개발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차원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문제점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