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용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연구

        김선영(Kim Sun Young),김유미(Kim Yu mi)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60 No.-

        본 연구는 자신의 삶을 스스로 주도하고 관리할 줄 아는 능동적인 자기주도적 학습자를 양성해야한다는 기본적인 전제 하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점을 상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이미 다양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자료나 프로그램이 난무한 현 상황에서 '교사'가 활용하기에 유용하고, '초등학생'의 능력향상에 실질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보다 의미 있는 학습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닦고, 예시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자기주도적 학습의 구성요소인 '인지전략'에 중점을 두고 그것의 하위 6가지 영역을 파악한 뒤, 이들을 6가지 모듈로 구성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개발 과정을 바탕으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얻은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은 교과나 또는 다른 특정 학습내용과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실제 학습에 유용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형태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셋째, 자기주도적 학습 방법이 교과나 해당 교과의 모학문 분야마다 똑같은 것이 아니라, 각각의 교과나 학문 분야에 따라 특성화된 방법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이것을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해야 한다. 넷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은 그 자체가 메타적이고 초인지적인 학습프로그램의 형태여야 한다. 다섯째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실제 '교수 · 학습 과정'의 진행과정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This research centers around the premise that focusing cognitive domain is perhaps the most effective way for us to produce active self-directed learners who lead and manage one's own life for a future. Therefore researchers developed program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s program is comprised of six 'learning Module' that six cognitive strategies could be the key. In order to check the effect of the this program, application of this Program in education setting is requisite. Afterward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ur classrooms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to apply the program. Modifies this program many times as directed by teachers or students. Throug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were able to find the undertone of the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irst of all, the program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uld not treat students superficially with variety of learning materials, but it requires repeated and systemized learning to progress with the use of concrete and intensive module programs. Especially, it was found out that by applying the cognitive strategies, which is a definite and actual medium, sufficiently with the situation or context is very effective. Also, we were able to find that self-directed programs do not pursuit only 'method' without any 'content', but it is a process of learning the 'method' through the 'content'. And since the effective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can be increased when it is developed and applied by grafting students experience or livlihood onto the formal education subject, there needs to be a serious consideration about integration of the program development. Lastly, being accustomed to self-directed learning, by using the cognitive strategies, can be a burden to the students. Therefore, when applying these kind of programs the teachers shouldn't leave the matter to students, but they should lead the direction in a way that teachers and students learn together about the process and steps of self-directed learning.

      • KCI등재

        고등학생의 메타인지와 학습몰입과의 관계 :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매개효과

        이재신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몰입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메타인지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 및 이론에 근거하여 메타인지는 외생변수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몰입을 구성하는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은 내생변수로 설정하였고 내생변수 중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매개변수로 구조방정식에 포함되었다. 분석대상은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이었으며, 자료는 AMOS 7.0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메타인지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에 유의한 직접영향을 미쳤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또한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메타인지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유의한 간접효과를 통해 매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메타인지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메타인지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etacognition on learning flow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total of 216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buk were sampled.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Metacognition Scale, Self-Directed Learning Scale, and Learning Flow Sca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AMOS 7.0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tical model was fitted to the empirical data(χ2=195.642, df=83, p=.000, RMSEA=.079, GFI=.896, TLI= .936, CFI=.949, NFI=.916). Second, metacognition had direct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In addition, metacogni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using a mediating variable(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metacognition development program to facilitat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arning flow.

      • KCI등재

        NIE 경험과 중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김경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3

        사회변화와 학습자 중심의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이를 함양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NIE 경험과 중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과의 관련성에 대한 조사 연구를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함양을 위한 방안으로서의 NIE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도권의 중학생 568명을 대상으로 NIE 경험(신문 읽기 경험, 가정 및 학교에서의 NIE 경험)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문 읽기 경험은 중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신문을 매일 읽는 집단과 읽어 온 기간이 긴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정에서의 NIE 경험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학교에서의 NIE 경험은 몇 개의 하위 요소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NIE 경험 유형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은 고차적인 활동을 한 집단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함양 방안으로서의 NIE의 가능성을 전반적으로 확인시켜 주었지만 한편으로는 이를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시사점 또한 제공해 준다. NIE 경험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련성에 대한 특징 및 분석을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되는데 기여하는 학교 NIE 활동을 개발하고 교사 대상의 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등 NIE 활동을 위한 제반 환경을 조성하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ossibility of NIE for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middle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aim, First I identified the meaning of Newspaper In Educ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xamined articles on this theme. Second, I performed a survey about influence of NIE up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68 of second grad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s of capital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turns out that the more the rates of reading on newspaper of the students are the higher the level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are. Second, the NIE in the home turns out posi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The NIE in the school only turns out positive effect on some elemen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On the other hand, type of NIE doesn't turn out posi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both home and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possibility of NIE as scheme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KCI등재

        자기주도학습 증진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기효능감과 임파워먼트,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창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In this paper's purpose was to approve the effects of Enhancement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on self-directed learning, self-efficacy, empowerment,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The nursing students of 40 participated the Enhancement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of 16 hours. The questionnaire survey on self-directed learning, self-efficacy, empowerment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test were conducted 2 time (before program, after program) to the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21.0 progra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self-directed learning(t=-4.52, p<.0001), self-efficacy(t=-7.17,p<.0001), empowerment(t=-5.60, p<.0001), clinical practice competency(t=-2.68,p=0.018). This study found that Enhancement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may increase self-directed learning, self-efficacy, empowerment,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현대의 의료환경에서 자기주도적인 간호를 수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자기주도적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 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함으로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된 동일집단의 사전, 사후 비교설계연구이다. 자기주도학습 증진 프로그램은 총 16시간으로 40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 임상수행능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의 결과를 살펴보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t=-4.52, p<.0001)과 자기효능감(t=-7.17,p<.0001), 임파워먼트(t=-5.60, p<.0001), 임상수행능력(t=-2.68, p=0.018)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자기주도학습증진 프로그램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임상현장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2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현장실습 전에 자기주도학습 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함으로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 및 임상수행능력이 향상되고 이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이 임상현장실습의 두려움을 극복하고 임상현장실습 교육의 만족도와 효과를 높이며 더 나아가 간호사로서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영재들의 메타인지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이지혜 ( Ji Hye Lee ),이재신 ( Jae Shin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9 중등교육연구 Vol.5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들의 메타인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더 나아가 메타인지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를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매개하는지에 대해서도 확인하여, 메타인지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과학 고등학교와 외국어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212명(남학생 70명, 여학생 142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메타인지가 높은 영재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뛰어났고, 둘째, 영재들은 더 자기결정적인 동기 집단일수록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메타인지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유형 중 무동기, 외적 조절, 동일시 조절, 내재적 동기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메타인지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 아니라 무동기, 외적 조절, 동일시 조절, 내재적 동기를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metacognition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of gifted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of gifted students. A total of 212 first grade gifted students in Chungbuk and Daejeon were sampled.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Metacognition Scale, Self-Determined Motivation Scal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es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high group of metacogni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an low group of metacognition. Second, higher group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an low group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Finally,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of gifted student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as partially mediated by self-determined motivation, particularly by subfactors such as amotivation, extrinsic regulation,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This results indicated that gifted student`s metacognition might contribute to changes in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in the types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metacognition development program to facilitat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of gifted stud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은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확인하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개 대학의 3, 4학년 간호대학생 2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에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성격성향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68%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자기주도 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통해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교수학습법과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를 높인다면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eck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o understand th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68 nursing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two univers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wer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ademic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and personality disposition, which accounted for 68%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t will be improved if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an be improved through the curriculum,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are increased by apply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rogram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학습태도, 학업성취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련성

        문미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arning attitude,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learning type of nursing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strengthening learning ability by establishing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he research data were analysed t-test, one-way ANOVA using SPSS 21.0. Specific exper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flection and abstract concept, academic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attitude of learn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wa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learning attitud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 - 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attitude of learning explained 21.8%, grade, nursing major satisfaction, lecture class preference, self - 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xplained 13.2%, confidence of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 to use as an index to evaluate various learning abil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learning for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학업태도와 학습성취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파악하므로써 효과적인 교수학습전략을 수립하여 학습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s,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구체적 경험은 반성적 관찰, 추상적 개념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반성적 관찰은 활동적 실험,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학습태도는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학업성취도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습태도, 학업성취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습태도는 학년, 간호학 전공만족도, 강의식 수업 선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습태도를 21.8% 설명하였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학업성취도의 자신감, 학습태도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13.2%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을 위한 교육방법과 교수학습전략을 위해서는 학습유형에 따른 다양한 학습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하기 위한 교육적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학습기술 훈련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학습기술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계향(Park, Kyeh-Hya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기술 훈련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에게 실시하여 이 두 프로그램이 학습부진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학습기술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강원도 소재의 H초등학교 5, 6 학년 아동중 검사를 통해 선정된 학습부진학생 6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씩 배치하고 실험집단에게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과 학습전략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학습기술능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 둘째, 학습전략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학습기술능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학습기술 훈련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에게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학습기술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 of Learning Skill Training Program and Learning Strategies Program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kills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s. For this purpose, the subject this study were 60 student of the 5th and 6th grade students at H Elementary School in Kangwon and selected 60 children whose Underachievers. Assing 20 of them to the experimental two group and another 20 to the control group, we tested the effect of Learning Skill Training Program and Learning Strategies Program through a pre-test and a pos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Learning Skill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changing Underachiever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kills ability by improving their Learning Skill. Second, the Learning Strategies Program was effective in changing Underachiever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kills ability by improving their Learning Strategies. In conclusion, the Learning Skill Training Program and Learning Strategies Program had the posi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kills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원미라(Mi-ra Won),김연희(Yeon-hee Kim),주현실(Hyun-sil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 유형 즉, 오프라인 실습, 온라인 실습, 온오프라인 병행 실습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간호대학생 1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활용하여 오프라인 실습, 온라인 실습 및 온오프라인 병행실습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차이를 비모수 분석인 Kruskal-Wallis 검정을 시행하였고, Mann-Whitney 검정으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확산적 사고(χ²=8.09, p=.006)와 문제해결능력(χ²=3.48, p=.033)은 온라인 실습군이 오프라인 실습군과 온오프라인 병행실습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주도적 의사소통(χ²=4.45, p=.037)과 타인관점 이해(χ²=4.92, p=.029)는 온라인 실습군의 점수가 오프라인과 온오프라인 병행실습군보다 높았으며, 학습욕구진단(χ²=5.78, p=.045), 학습을 위한 자원파악(χ²=4.45, p=.037), 자기주도적 학습능력(χ²=3.70, p=.027)은 온라인 실습 군이 오프라인 실습군과 온오프라인 병행실습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양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온라인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학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온라인 임상실습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problem-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clinical practice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that is, offline practice, online practice, and online/offline concurrent practic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159 nursing studen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problem-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offline practice, online practice, and online/offline concurrent practice. Analysis, the Kruskal-Wallis test, was perform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analyzed using the Mann-Whitney test. Results Nursing students' divergent thinking (χ²=8.09, p=.006) and problem-solving ability (χ²=3.48, p=.033)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nline practice group than the offline practice group and online/offline concurrent practice group, and the leading For communication (χ²=4.45, p=.037) and understanding others' point of view (χ²=4.92, p=.029), the scores of the online practice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ffline and online/offline concurrent practice groups, and the learning needs diagnosis (χ²=5.78, p=.045), resource identification for learning (χ²=4.45, p=.037),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χ²=3.70, p=.027) showed that the online practice group had both offline practice group and online/offlin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ractice group. In addition, problem-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Conclusions Online practice is effective in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사례기반학습이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진아(Jin-A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3

        본 연구는 사례기반학습의 적용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변화 정도를 분석하고 보건계열 학생들과 비보건계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J시 I대학교의 총 17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수집하였다. 사전설문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설문하였고, 사례기반학습 12주 수업을 진행하였다. 12주 수업 후 기말고사 전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설문을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각 계열에서의 자기주도적학습능력 하위영역 중 세부항목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사용하였고, 각 계열의 사례기반학습 전 · 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례기반학습 후 보건계열 학생들이 비보건계열 학생들보다 전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보건계열 학생들은 하위영역 중 솔선수범, 자기평가력, 학습열정, 개방성, 자아개념, 창의성 영역과 비보건계열 학생들의 학습열정 영역을 향상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사례기반학습은 보건계열 학생들이 비보건계열 학생들보다 전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보건계열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례기반학습 적용이 효과적인 교육 중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rough application of case-based learning on health and non–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or students at J city I university. To conduct 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surveyed on pre-poll, and Applying a case based study, 12 weeks proceeded. After 12 weeks of class, the post survey was proceeded before the final exam. The survey using same method was completed in the prior to the final exam.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In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to improving the overall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health and non-health department students after the case-based learning. Significant effects were shown to enhance the initiative, self-evaluation, passion for learning, experience inventory, self-conception and creativity among the health department students. And equally shown to enhance the passion for learning among the non-health department students. In comparison, it showed that the health department students has improved the initiative, self-evaluation, passion for learning, self-understanding, experience inventory, self-conception and creativity more than non-health department students. Therefore,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health department students. So, to improv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case-based learning methods could be used as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