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경 극복을 돕는 성인 한국인의 긍정성 탐색: 긍정적 태도 척도 개발과 타당화

        현경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3 No.2

        This study explored the components of positivity that help adult Koreans maintain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self and the society.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was conceptualized as a core characteristic of positivity that enables one to find meanings in and/or to create meanings for the self and the society in which one lives. Thus positive cognitive tendencies such as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were hypothesized to promote self-acceptance, self-belief, self-control, adaptation to and acceptance of the society. Based on these conceptualizations of individuals' positivity, preliminary scale items were constructed, an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ositive attitude scale was attempted, using 352 college students and 401 adults. As expected,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6 factors, which were named as multiple perspectives, self-acceptance, self-belief, self-control, social adaptation, and acceptance of society. Among these factors, however, self-belief factor was excluded because its items were found to be loaded with other factors as well, and becaus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upported 5 factors model better than the other one. The final 5 factor scale was found to be reliable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imilar positive traits of the self as well as with psychosocial well-being variables in an expected direction, suggesting that the scale has good construct and predictive validity. As for incremental validity, positive attitude scale augmented prediction of positive emotion and stress-related reactions beyond a self-esteem measure.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ture directions for this line of research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역경에서나 일상생활에서 도움이 되는 성인 한국인의 긍정성을 탐색하고 그 구성개념에 따라 긍정적 태도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긍정성을 자신과 자기가 속한 사회를 다각도로 살펴 긍정적 측면에 주목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인식성향과 그에 따른 긍정적 태도로 규정하였다. 한국인의 긍정성은 긍정적 관점, 자기긍정성, 사회긍정성으로 구분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긍정적 시각을 촉진하는 관점의 다각화, 자기수용, 자기소신, 자기조절, 사회적응, 사회수용과 같은 특성을 보일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론추출 방식과 경험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척도문항들을 선정하였으며, 서울과 대구지역의 대학생 373명과 일반 성인 401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론적 예측과 일관되게 6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하지만 이중 자기소신 요인은 해당 문항들에서 타 요인에 중복 부하된 것이 많이 있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5요인의 적합도가 6요인보다 우수하게 나타나 요인의 순수성과 척도의 간명성을 위해 제작과정에서 제외되었다. 최종적으로 긍정적 태도 척도는 긍정관점 요인 1개(다각화), 자기긍정성 요인 2개(자기수용, 자기조절), 사회긍정성 요인 2개(사회적응, 사회수용)로 구성되었다. 제작된 척도의 구성타당도, 내적합치도 및 구인, 예측, 증분 측면에서의 타당도는 적절하게 나타났다. 예측대로 이 척도는 자존감, 희망감 등의 긍정적인 자기특성 변수들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심리사회적 안녕 변수들과도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으며, 긍정적 정서 및 스트레스 관련 변수들에 대한 자존감의 효과를 통제하고도 긍정적 태도의 설명력이 유의미하게 증가됨을 보여주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따뜻함과 안전 초기기억이 자기비판, 자기공격, 자기위안에 미치는 영향: 긍정성 강화와 긍정정서 비수용의 매개효과

        김경희,이희경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시절의 온정적인 기억이 긍정성 강화, 긍정정서 비수용을 통해 자기비판, 자기공격 및 자기위안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 성인 317명을 대상으로 따뜻함과 안전 초기기억 척도(EMWSS), 긍정정서 반응 양식 척도(K-RSPAS), 자기비난/자기공격과 자기위안 형태 척도(FSCRS)를 실시하였다. IBM SPSS 23과 Mplus 7.4를 사용하여 변인간 상관관계와 구조모형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따뜻함과 안전 초기기억, 자기비판, 자기공격, 자기위안, 긍정성 강화, 긍정정서 비수용의 상관관계가 모두 유의하였다. 둘째, 따뜻함 안전 초기기억과 자기위안의 관계에서 긍정성 강화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따뜻함 안전 초기기억과 자기비판 및 자기공격의 관계에서는 긍정정서 비수용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어린시절 온정적 관계 경험과 자기비판, 자기공격 및 자기위안의 관계는 긍정정서 반응 양식에 의해 설명됨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및 연구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compassionate early memories affect self-criticism, self-attacking, and self-reassuring through enhanced positivity and nonacceptance of positive affect. The Early Memories of Warmth and Safeness Scale(EMWSS), Korean Responses Styles to Positive Affect Scale(K-RSPAS), and the Forms of Self-Criticism/attacking and Self-Reassuring Scale (FSCRS) were assessed to 317 adults. IBM SPSS 23 and Mplus 7.4 were used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the validity of the structural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rly memories of warmth and safeness, self-criticism, self-attacking, self-reassuring, enhanced positivity, and nonacceptance of positive affect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enhanced positivit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arm-safeness early memories and self-reassur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nonacceptance of positive affec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warm-safeness early memories and self-criticism and self-attacking.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ate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self-criticism, self-attacking, and self-reassuring is explained by the positive emotional response styl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자기기만적 고양의 방어성 논의

        최해연,구자숙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3 No.4

        Self-deceptive enhancement(SDE) has been foun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misleading research results. There also have been arguments on the psychometric validity of this construct.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SDE is measuring defensiveness distorting reality or positivity predicting psychological adaptiveness. In study 1, a questionnaire including self-report inventories on self-deceptive enhancement(BIDR-7; Paulhus, 1998a), defense mechanism, and adaptation index was administered to a group of 246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ed substantial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DE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dex, which replicated previous result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DE and adaptation(self-esteem) was moderated by defense mechanism(omnipotence). In study 2, in order to see if the SDE is related to distortion of reality, we compared two measures of self-enhancement: self-reported SDE vs. the discrepancy between self-rated and other-rated interpersonal problems(criterion-based self enhancement). A total of 105 pairs of respondents participated in study 2. The two measures of self enhancement were positively related. Self-reported SDE enhanced self perception of emotional capacity and interpersonal adaptation, but was not related to other perception of them. The result implies that people with high SDE evaluate themselves more highly in processing self-relevant information, positively distorting the reality. Also, the self-reported SDE reduced the negative psychological symptoms and improved self-esteem, while the criterion based self enhancement did not. The result also suggests that the self-reported SDE is related to defensiveness. 자기기만적 고양이 연구 변인들 간의 관계를 오도시킬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한국문화에서 자기기만적 고양 개념이 현실 왜곡과 관련된 방어성을 반영하는지 검토하였다. 연구 1에서 24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만적 고양(Paulhus, 1998a), 적응, 그리고 방어기제를 측정하는 자기보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기만적 고양’을 많이 할수록 보다 높은 자존감과 적은 심리증상 및 대인관계문제를 보고하였고, 이 중 자기기만적 고양과 자존감 간의 관계는 전능의 방어기제에 의해 조절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연구 2에서는 105쌍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지인이 보고한 대인 관계 문제 정도와 자기가 보고한 대인관계 문제 정도의 차이를 '준거 대비 자기고양'으로 정의하고 이를 자기보고 방식으로 측정한 자기기만적 고양과 비교하였다. 준거 대비 자기고양이 강할수록 자기기만적 고양 점수가 높고 자신의 심리적 어려움을 적게 보고하였다. 또한 자기기만적 고양은, 정서적 능력이나 대인관계 문제에 대해, 스스로를 평정한 점수와는 유의한 상관이 있지만 다른 사람이 그에 대해 평정한 점수와는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기기만적 고양이 자기 관련 정보의 인식과 보고에 영향을 미치는 방어적 속성을 가짐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한국문학 읽기를 통한 여성결혼이민자의 자기긍정성 증진 가능성 연구

        박지해,박종대 세계문학비교학회 2019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ner and outer conflicts which they experience in living in South Korea. Also, it proposes to read the Korean literature for them to promote the self positivity by living as the transnational existence. If we assume that their living spaces are in South Korea, they are given more than two cultural backgrounds regardless of their countries of origin. They could not no more assert the identify which is obtained from their countries of origin and cultures and live as the perfect Korean existence. They are enough diasporic in point of having the immigrant experiences and more than two cultural backgrounds. Therefore, it could be the perfect process of understanding their various distinct characteristics when all we try to figure out the way to have the self positivity for them as diasporic existence. It could be another alternative to establish their subjecthood in Korean society as well. 본 논문은 한국의 여성결혼이민자가 갖고 있는 존재적 특수성을 이해하고 그들이 이 땅에서 자기정체성 및 자기긍정성을 확보하고 살아가는 데 필요할 다양한 경험치들 중에 ‘한국문학 읽기’에 주목하였다. 자신이 살고 있는 땅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언어가 담긴 한국문학작품을 읽는 과정은 여성결혼이민자가 자신이 놓인 시공간을 다각적으로 사유하고 수용하게 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물론 한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로서 여타 세계문학 읽기 활동이 주는 이점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본고는 그들의 존재적 특수성에 직접 연관되는 한국문학 읽기가 한국에 살고 있는 자기 자신, 가족, 사회, 한국에 대한 사유를 구체화하여 여성결혼이민자로서의 자기긍정성을 확보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자기긍정성 확보에 유용할 한국문학을 선택,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과 긍정성, 자기조절능력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수정,문혁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positiv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on psychological burnout.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data from a survey of 360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public and public daycare centers and workplace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For the study,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positiv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appear. Second, childcare teachers' positivity, self-regulation a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were in order, and i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to prevent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contribute to positively affect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by enhancing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as a childcare teacher, and improving overall childcare quality.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과 긍정성, 자기조절능력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국공립어린이집과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SPSS 25.0을 이용하여 t-검증, 일원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과 긍정성, 자기조절능력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보육교사의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과 긍정성, 자기조절능력과 심리적 소진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긍정성과 자기조절능력,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 순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보육교사로서 자긍심과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전반적인 보육의 질을 향상시켜 영유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기여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장기복무 직업군인의 긍정성과 가족의사소통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정은(Jung-E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2

        본 연구는 직업군인의 긍정성과 가족의사소통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5년 국방부의 승인을 거친 직업군인들에 대한 연구에 대해 육‧해‧공‧해병대 부대의 협조를 구하여 장기복무 직업군인 241명에게 설문조사를 거쳤으며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장기복무 직업군인의 조직몰입은 긍정성, 가족의사소통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군인의 조직몰입에 대해 긍정성과 가족의사소통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기복무 직업군인의 조직몰입을 위한 효과적인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heck the effects of positivity and family communic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long-term professional soldiers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them.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241 long-term professional soldiers after getting an approval for cooperation from army, navy, air force, and marine units for research on professional soldiers from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 2015. Collected data were treated with the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to analyze the relation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long-term professional soldier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positivity, family communication, and self-efficacy. Secondly, the study conducted analysi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all the variables affecting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ound that the fitness of measuring and structural models was good, that their positivity and family communication had positive impacts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at their self-efficacy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m.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effective implications fo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rofessional soldiers.

      • ‘불성사상’에 함의된 심리치료요인

        전여정(Jun, Yeo-Jung) 한국불교상담학회 2019 불교상담학연구 Vol.13 No.-

        본 연구는 불성 사상에 내재된 주요 치료기제가 무엇인지를 검토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과정은 불성사상을 치료영역에 도입시켜 활용하고자 할 때 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접근방향성에 대한 탐색이라고도 할 수 있다. 지금껏 불성사상의 치료요인은 개인의 긍정성을 증대시켜 주는데 있다고 주로 이해되어 왔다. 개인의 부정성(번뇌)에 대한 분명한 인식 또한 불성사상의 중요한 치료요인이라는 점을 드러내기 위해 노력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jor therapeutic mechanisms inherent in Buddhahood. This process can also be referred to as an exploration of the approach direction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when introducing the Buddha s statue into the treatment area. Until now, the main cause of the treatment of immortality has been understood to be to increase the affirmation of the individual. Efforts have been made to reveal that the clear perception of individual negativity is also an important therapeutic factor in immortality.

      • KCI등재

        파괴성을 활용한 연극치료적 개입

        정은선 ( Eun Sun Jung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5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5

        본 연구는 연극과 심리학적 이론에 내포된 파괴성의 의미를 바탕으로, 연극치료 치료적 과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파괴성의 치료적 의의와 파괴성을 활용한 개입으로 참여자의 긍정적 변형을 가져오는 작동 방식을 자기파괴성향 참여자의 연극치료사례를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간은 사회적 관계와 적응상의 문제로 인하여 발생한 파괴성의 결과인 갈등, 고통의 원인과 책임 소재를 외부에서 찾게 되면 그 대상에 대하여 의심하고 분노하는 등의 감정적 역동이 일어나며, 그 결과 외부의 대상에 대하여 심리적이거나 물리적인 공격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파괴의 방향이 자기 내부를 향하는 경우는 여러 가지 심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수치심과 죄책감을 동반하는 우울이나자해, 자살시도, 극심한 불안에 의한 강박행동, 약물 과다복용, 섭식 장애 등에서 볼 수 있는 자기파괴적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멜라니 클라인의 이론을 비롯한 대상관계 심리학 이론은 초기유아기에 경험하는 대상과의 관계불안을 기초로 이러한 병리적 현상즉, 과도한 공격성과 관계적 회피를 포함한 자기파괴적 성향의 발생근거를 잘 설명해준다. 선과 악이 고정되어 있거나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이며, 사회에 의해 조건화된 것과 마찬가지로 ‘파괴성’ 또한 개인의 도덕적 완고함, 비타협성, 관계의 회복과 변화의 여지를 외면하는 경직된 비합리적사고를 무너뜨리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견고함이 주는 억압적 ‘폭력성’을 ‘파괴’한다거나 상징적으로 ‘죽음’을 ‘죽이는’ 행동을 통하여 결과적으로 파국으로의 방향에서 돌이켜 ‘삶’과 ‘자유’를 향한 가치의 전도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가치의 전도 즉, 파괴성의 긍정적활용성은 인간의 심리적 건강과 사회적 적응을 지향하는 연극치료의 작업과정에서도 치료적 개입으로 작동할 수 있다. 연극치료 작업 과정중에 나타나는 ‘파괴성’은 현실 생활 속에서 파괴의 결과가 야기할지도 모르는 두려움과 고통스러운 결과의 실제적 감내 없이, 극적 공간에서 필요성(치료적 목표)에 따라 계획된 의도적인 과정으로 충분히 경험함으로써 참여자로 하여금 이러한 파괴가 주는 긍정적 측면을 안전하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한다. 자기 파괴 성향의 변형을 위한 치료적 과정은 자기 안에 억압되어있던 파괴적 감정과 그 대상에 대한 파괴적 욕구의 명확한 인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참여자는 자기 안의 파괴성을 인정할수 있게 되고 파괴적 에너지가 의식 안에 허용되며, 통제되고, 변형될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대부분의 경우 행동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파괴적 행동화 과정은 대상과 감정을 명확히 인식할 수있도록 돕는 것과 더불어 행동을 통하여 파괴의 방향을 내부에서 외부로 바꾸어 내는 기능을 한다. 극적 공간은 마치 유아가 엄마에게 의존해 있는 공간처럼 우리가 무엇을 하거나 성취해서가 아니라 우리 자신으로서 수용 받는 공간이다. 파괴적인 힘을, 다른 사람이나 우리 자신에게 미치게 될 부정적 영향(처벌이나 완전한 파괴)을 걱정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추구하는 충분한 욕망으로 경험한다. 그 과정을통해서 문제적 감정과의 지나친 밀착에서 벗어나 문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그 해결 방법을 모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파괴 욕구의 충분한 성취는 비로소 자기와 타인사이의 욕망의 간극을 인정할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하며, 참여자로 하여금 자신과 타인의 감정적 진실에 눈을뜨게 하고 과잉 불안에서 벗어나 실존적 대상과의 신뢰에 기초를 둔건강한 관계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요컨대 연극치료 과정 안에서의 파괴성은 물리적 폭력에 관련된 측면보다는 견고한 이미지의 고착과 억압을 흐트러뜨려 재구성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데 초점이 있다. 이는 특히 경직된 신체 움직임과 투사적 이미지, 고착된 역할 인식에 구체적으로 개입하여 변화를 이끌어내고 파괴성의 방향을 바꾸어 냄으로서, 참여자로 하여금 유동적인 사회적 갈등 안에서 자기 안에 잠재된 파괴적 에너지를 통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하여 적대적 관계를 공감과 소통이 가능한 관계로 재인식하게 하고, 불필요한 방어와 부정적 파괴에 낭비되었던 에너지를 창조와 재건 에너지로 바꾸어 사용하여 참여자가 보다 건강한 삶을 살 수있도록 돕는다. Based on the meaning of the destructiveness implicit in theatre and psychological theory,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on the therapeutic significance of the destructiveness made within the therapeutic process of dramatherapy and works to bring positive variation of the participants in utilizing the destructiveness through the dramatherapy cases of the participants having self-destructive tendencies. Once searching for the caus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conflict and pain arising from the destructiveness from the outside, the emotional dynamics of doubt and anger against a subject occurs, and, as a result, it can be subjected to psychological or physical attack against it. Furthermore, if the direction of the destruction turns inwards, it can be caused severe psychological problems. Also, it can be appeared in a self-destructive behaviors seen in various somatoform disorders, including obsessive-compulsive behavior, drug overdose, eating disorders caused by depression or self-harm, suicide attempts, severe anxiety accompanied by shame and guilt.. Like good and evil are relative and conditioned, the destructiveness can provid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break down the individual moral stubbornness, flatfootedness, rigid and irrational thinking evading the recovery of the relationship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 The positive utilization of the destructiveness can work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in the course of the dramatherapy aiming treatment of human mental health and social adjustment. That is, destructiveness may make the participants securely integrate the positive side of destruction by experiencing the planned process for the treatment purpose. Treatment process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self-destructive tendencies start from a clear recognition of the destructive emotions repressed in own``s inner and the destructive desire against it. Through this process, participants are able to recognize the self-destructiveness, allow the destructive energy to stay in their consciousness, control and modify it. Therefore, the destructive process of action helps to clearly recognize the target and emotions and functions as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destruction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Dramatic space is the place where we can be accepted as our own like where an infant is received by his/her mother. Thus, without worrying about negative affect of destructive power, the participants can experience sufficient desire to pursue what they want. Through this process, away from excessive adhesion, they can understand objectively their problems and seek their solutions. Furthermore, sufficient fulfillment of the destructive desire can provide room to admit the gap between the desire of themselves and others, and it helps them open their eyes to the emotional truth of themselves and others, escape from excessive anxiety, and encourage to recover a healthy relationship based on trust with real person. In brief, the destructiveness in the process of dramatherapy can act to reconstruct by breaking up suppression and sticking of solid images. Consequently, it makes the participants recognize by switching over from the hostile relationship to the empathic and communicational and helps them healthily live by changing over from the energy wasted on unnecessary defenses and the negative destruction to the energy of the creation and reconstruction.

      • KCI등재

        수ㆍ과학영재선발을 위한 회복탄력성의 활용 가능성

        류형선(Ryu Hyung s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3 창의력교육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resilience as an important evaluation factor to select gifted students, and the subjects were 129 students of Science High School and 133 students of General High School. This study compared the resilience between the subjects of both schools using Resilienc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self-regulation ability and positiv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score of resilience, however, interpersonal relations ability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sub-factors. Second, self-regulation ability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sub-factors, however, positivity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of living satisfaction. Therefore, resilience needs to be actively applied in selecting gifted students in terms of long-term growth by actively applying self-regulation and positivity factors and passively applying interpersonal relations ability and positivity factors.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이 영재를 선발하는 데 있어 중요한 평가요소로서 활용가능한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과학고 학생 129명과 일반고 학생 133명의 회복탄력성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의 총점과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능력과 긍정성 요인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인관계능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기조절능력은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긍정성요인은 생활만족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영재 선발에 있어 자기조절능력은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대인관계능력과 긍정성요인은 소극적으로 반영하여 장기적인 성장가능성 측면에서 회복탄력성을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함을 설명하였다.

      • KCI등재

        소셜 비디오 플랫폼 상에서 ‘나’의 개성과 ‘다른 사람’의 개성이 사용자의 긍정성과 소속감에 미치는 영향

        김보명(Bomyeong Kim),김현영(HyunYoung Kim),김진욱(Jinwook Kim),신현식(Hyunsik Shin),김진우(Jinwo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2

        최근 들어 사회적인 상호작용 방식이 동영상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변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나’와 ‘다른 사람’의 영상을 구성요소로 하는 새로운 소셜 비디오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른 사람’의 개성(Personality)과 ‘나’의 개성이 ‘나’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2가지 요소를 어떻게 나타내주어야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회적 영향 이론(Social Impact Theory)과 자기 점검 이론(Self-Monitoring Theory)을 적용하여 영상을 시청하는 ‘나’의 개성과 ‘다른 사람’의 개성이 사용자의 긍정성과 소속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실제 소셜 비디오 플랫폼을 구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들은 자신의 영상이 화면에 제시되었을 때, 긍정성을 더 많이 느끼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자신의 영상이 함께 제시되면서, 주변영상에 나타난 다른 사람들의 모습이 여성성이 높아질수록 오히려 느끼는 긍정성은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다른 사람들의 모습이 남성성이 높을 때, 사용자는 소속감을 더 크게 느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새로운 소셜 비디오 플랫폼의 구성과 형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Recently, the method of social interaction is transforming into a method that utilizes videos. We are suggesting a new social video platform that contains a video of ‘I’ and ‘the other’. We studied how the appearance of ‘the other’ and ‘I’ affected the user. So we applied the Social Impact Theory and Self-Monitoring Theory. The platforms were then used to investigate how the user’s positive attitude and sense of community were affected by having the user view his/her and ‘the other’s appearance watching the same video. As the result, users felt more positive attitude when their own appearance was shown on the screen. However, the positive attitude decreased when there were more femininity in the surrounding videos along with their own appearance. Also, when there were more masculinity in the surrounding video, the users felt a stronger sense of community. We believe this research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h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a new social video plat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