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입체적 도시기반시설로서 완충녹지의 공원화 계획 -대구광역시 신매시장 완충녹지 공원화 계획을 사례로-

        김미연,민병욱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2

        In Korea, efforts have been made continuously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traditional markets concerning the issues of urban regeneration. In particular, many old cities and traditional markets face a lack of parking spaces. As a solution to this, attempts are being made to prepare underground parking spaces by designing urban planning facilities in three-dimensional ways and utilizing the upper part as a more meaningful space. This study is about the master plan to use the upper green area while creat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at 571 Sinmae-dong, Suseong-gu, Daegu. This green area was defined as a space with dual values, ‘defensive green space’ that needs to be ecologically protected, and ‘active cultural space’ where walking flows to the market and various events are concentrated. Three specific design strategies to balance these values were presented. First, to prevent indiscriminate occupation and damage by people and maintain a healthy green environment, securing the maximum amount of undivided green space in the site was suggested. Second, a space layout and a topography and planting patterns that can overcom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rrow and long-shaped sites enable the experience of abundant green spaces. Third, providing space to strengthen the connections with nearby urban facilities such as Sinmae Market and Gosan Library can also intensively accommodate cultural activities in various cities.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providing implication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ith similar contexts in the future. 도시재생이라는 화두와 관련하여 전통시장에 대한 환경개선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주차공간의 미비는 많은 구도시와 재래시장이 겪고 있는 문제이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 기존 도시계획시설을 입체화하여 지하 주차공간을 마련하고, 그 상부를 더 의미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어지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매동 571번지 완충녹지에 지하 주차장을 조성하면서 상부의 완충녹지를 공원화하는 기본계획안에 대한 기록이다. 대상지를 도심녹지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며 생태적으로 보존되어야 할 ‘방어적인 녹지’와 시장으로의 보행 흐름과 이벤트가 집중되는 ‘적극적인 활동 공간’이라는 이중적인 가치를 지닌 공간으로 정의하고, 이 가치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구체적인 설계전략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사람의 무분별한 점용과 훼손을 방지하고, 건강한 식생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분절되지 않은 최대한의 녹지면적을 확보한다. 둘째, 좁고 긴 대상지의 형태적 특성을 극복할 수 있는 공간배치와 지형 및 식재계획으로, 풍부한 녹색공간의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셋째, 다양한 도시의 문화활동을 집중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신매시장, 고산도서관 등 인근 도시 시설과의 연결을 강화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도시기반시설의 입체화 계획시 조경적 접근방법의 담론을 확장하는 데 목적을 두며, 향후 유사한 맥락을 가진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학술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입체화상으로부터 3차원 마이크로계의 효과적인 깊이측정

        황진우(J.-W. Hwang),이중(J. Lee),윤도영(D.-Y. Yoon) 한국생산제조학회 2007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16 No.5

        This study represents the efficient depth measurement for 3-dimensional microsystems using the disparity histogram from stereo images. Implementation of user-friendly Windows program written in C++ involves the various methods for the stereo-image processing in which the minimization of matching-pixel error upon the unique point for stereo images was carried out as a pre-processing method. Even though MPC among various methods was adopted in the present measurement, the resulting measurements seem to require optimizations of the windows sizes and corrections of post-manipulation for stereo images. The present work using Windows program is promising to measure the 3-dimensional depth of micro-system efficiently in implementing the 3-dimensional structure of micro-systems.

      • KCI등재

        1930년대 한국 모던 걸(Modern Girl)의 화장문화(化粧文化)에 관한 연구

        이숙연 ( Sook Yeon Lee ),정연자 ( Jung Yeon Ja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동양예술 Vol.21 No.-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서구와의 문화적 교류를 통해 한국식화장이 세계로 뻗어 나갈 수 있게 밑바탕이 되었던 1930년대의 化粧文化를 연구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1930년대 일제의 억압과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면서 미용문화가 위축이 되었지만, 근대 교육을 받은 모던 걸이나 모던 보이가 유행할 정도로 미용 문화에 있어서 최고점을 이루었던 시대를 살펴봄으로써 1930년대 한국 모던 걸의 화장문화를 분석하고 한국뷰티 문화연구의 기초적인 토대마련을 하고자 하는 것이목적이다. 화장 문화와 사회질서 사이 화장의 경향과 유행의 변화속도는 사회적 영향력에 의해서 좌우된다. 특히 교육기회의 증가와 대중화는 화장의 변화를 가속화 시키고 화장 문화의 다양성을 가져오는데 영향을 미쳤다. 1930년대의 경성에서 최고로 세련된 여성인 모던 걸의 형상을 구축하는 요소들, 그들이 이상으로 추구한 개념이나, 화장의 형태는 새로운 관념의 등장이라 할 수 있다. 모던 걸은 근대의 상징이었다. 새로운 감각적인 멋과 지식의 소유자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스타일(화장, 의상, 두발, 장식, 의식, 등)을 통해서 근대적 주체로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찾아 가고자 한것이다. 본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여 고찰하였고 문헌연구는 각종 논문, 서적, 잡지 등을 참고로 살펴보았고 실증적 고찰을 위해서는 1930년대 발간된 여성지를 중심으로 사진을 수집, 조사, 분석, 평가 하여 사용하였다. 사진은 120개의 사진에 정은 뷰티관련 교수 10명의 집중적인 분석에서 모던 걸에 해당하는 사진이라고 공통적으로 평가한 사진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던 걸들은 특히 서구 여성 스타에 열광적인 반응을 보였다. 여성 스타의 브로마이드를 사고 패션과 화장, 머리스타일과 같은 스타의 외양을 따라하거나 제스처나 말투, 걸음걸이와 같은 행동 양식들을 미메시스 하였다. 둘째 淡粧文化의 중요요소인 외형을 가꾸는 일은 곧 내면의 미를 표현하는 것으로, 이러한 미덕을 바탕으로 온화하고 우아한 화장 문화를 이루었다. 셋째 모더니즘은 근대적 감각을 나타내는 현상으로 모더니즘이라는 풍습과 유행을 따르고 그것을 체험한 사상을 신속하게 받아들이는 선두주자인 모던 걸들은 서양 여배우의 아름다움이 근대여성의 아름다움의 척도가 되어 코를 높이고 눈매를 깊고크게 보이기 위해 입체 화장법이 시작되었다. Korean makeup to be spread out into the world in modern society, the makeup of the 1930s culture to study the significance that this study tried to feed this study. Era was the oppression of the Japanese and World War II in the 1930s due to the atrophy of Beauty Culture, despite a peak in trained men and women from fashion to beauty culture had achieved. The 1930s, the modern Girl make of makeup culture analysis and Korea Beauty Culture laid the basic foundation of the research that you want to aim. Between the rate of change of trends and fashion makeup, makeup cultural and social order is influenced by the social influence. In particular, an increase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accelerate changes in the makeup popularized and influenced the makeup to bring cultural diversity. It may be the emergence of new ideas and elements to build the most stylish women in the rigid shape of the modern girl of the 1930s, and they pursue more than one concept, in the form of makeup. Modern girl was a symbol of modernity. New sensual style and knowledge of the owner, showed through the style of these (costumes, hair, decoration, language, rituals, etc.) will go to find their identity as a modern subject. Professor of beauty ten intensive analysis in the modern girl that corresponds to the 120 photos from the Western and South Korea``s modern walk to work compared to the feasibility of the selected photos and pictures are commonly rated targets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dern girl, especially Western women, was an enthusiastic response to the Star. Mimesis bromide thinking of the female star like fashion, makeup, hair style and according to the star``s appearance or behavior such as gestures or speech, gait. Second traditional Damjang important elements of culture to cultivate the appearance of things soon to express the inner beauty of these virtues, culture became gentle and elegant makeup. Third modernism, I experience it follows the fashion phenomenon as representing the modern sense of modernism that customs and ideas quickly accept the forerunner of modern western actress beauty of your eyes to the nose of the modern woman``s beauty is the measure of the deep greatly to show the three-dimensional makeup began.

      • KCI등재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을 통한 평면적 재입체화의 전략 및 조형특성 연구

        유재원 ( You Jae Won ),안성모 ( Ahn Seong M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디지털 조형의 생성 및 제작에 있어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을 통한 평면적 재입체화의 프로세스가 단순히 보조적인 재현 수단을 넘어 주체적으로 최종 결과물의 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언어로서의 가능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재입체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의 특성과 그로부터 발현되는 조형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면화의 원리에 따라 분류하고 그로부터 생성되는 조형성을 도출하고 사례를 통해 검증하였다. 평면적 재입체화는 평면부재가 지닌 가공의 효율성으로 파라메트릭 디자인과 같은 현대의 복잡한 디자인의 재현에 있어서도 적극적으로 활용되며 CAD와 CNC기술의 발달과 컴퓨터라이제이션, 컴퓨테이션 개념의 도입으로 디자인 프로세스가 데이터로 융합되며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을 통한 재입체화의 가치는 충실한 재현을 넘어서 새로운 조형성의 발현이 될 수 있다.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을 통한 재입체화의 전략을 그래스호퍼와 같은 파라메트릭 디자인 툴을 이용해 평면화의 원리에 따라 전략을 정리해 조형성을 도출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되는 조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작품에 적용되어 구현된 사례를 선정해 검증하고 정리하여 보았다. 평면화 원리에 따른 전략은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첫 번째는 ‘표면적 구현방법’으로 곡면의 재현이 충실하고 형태를 명백히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복합성, 단일성, 표면성 등의 조형성이 발현된다. 두 번째는 ‘해체적 구현방법’으로 적은 부재 사용으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해상도의 조절로 추상적 표현이 가능하고 조형적으로 강한 공간성과 연결성, 단면성이 나타난다. 사례를 통해 검증 해 본 결과 디자인 프로세스에 통합된 평면적 재입체화는 복합성, 단일성, 표면성, 공간성, 연결성, 단면성을 발현하는 잠재적 디자인 언어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ossibility of planar reconstruction process through the digital fabrication as a design language which affects the formativeness of the final product, rather than an auxiliary reproduction means in digital shape creation and production.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strategies for the reconstruction and the formativeness expressed from them, this study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lanarization, and the formativeness generated from them are derived and verified through case studies. Planar reconstruction is actively utilized in the reproduction of modern and complex designs such as parametric design due to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of planar material. With the development of CAD and CNC technology and the introduction of computerization and computation concepts, the value of reconstruction through digital fabrication can be a revelation of new formativeness beyond complete reproduction. Using the parametric design tool such as Grasshopper, this study formulated the strateg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lanarization and derived the formativeness. In order to confirm the formativeness derived from the analysis, this study selected and verified the implemented cases applied to the actual works. The strategy based on the principle of planarization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rst type is 'Superficial Implementation Metho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learly recognize the shape and complete representation of the curved surface. It has the formativeness of complexity, unity, and surface. The second is 'Deconstructive implementation method', which is structurally stable even with the use of fewer material. It can be abstracted by adjusting the resolution and exhibits strong spatiality, connectivity, and cross - section.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lanar reconstruction integrated into the design process can be a potential design language that expresses formativeness of use one space complexity, unity, surface, spatiality, connectivity, and cross - section.

      • KCI등재

        복합환승센터 권역을 중심으로 살펴본 3기 신도시의 복합화ㆍ입체화 공간계획 특성 연구 - 인천 계양,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이지은,주혜린,전아현,김홍기,김벽연 한국도시설계학회 202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대중교통 거점시설 권역을 중심으로 3기 신도시의 복합화ㆍ입체화 공간계획 특성을 파악하여 이에 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설계공모 지침서에서 강조된 3기 신도시의 복합화ㆍ입체화 설계방향과 과제를 이해하고 네 가지 분석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인천 계양, 남양주 왕숙 1, 하남 교산 신도시의 설계공모 당선작에 실린 계획안과 토지이용계획도를 분석하고,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계획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대중교통 거점시설 및 이를 중심으로 형성된 보행권 안에 주거와 직장뿐만 아니라 문화여가와첨단산업까지 용도복합의 대상을 확대하였다. 둘째, 수평방향에서의 적극적인 용도혼합을 통해단일용도의 지역과 블록 구획을 지양하였으나, 대중교통 거점시설 내에서 수직방향으로의 용도혼합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하층에서 지상2층까지 이동수단별로 분리된 대중교통망과 녹지 중심의 공중보행로를 구축하고, 이를 대중교통 거점시설로부터 도시 전체로 연계ㆍ 확장하였다.

      • 1930년대 한국 무대미술 고찰

        박성희 ( Park Seong-hui ) 한양대학교 공연예술연구소 2015 공연예술연구 Vol.1 No.-

        본 연구의 일차적 목포는 193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 근대극에 나타나는 극장식 무대미술의 족적을 정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시기의 무대미술 전개 양상을 시대적 배경의 이해와 공연 상황에 대한 방증자료, 그리고 시각적 자료에 의한 유추와 대임으로 검증하는 방법을 활용했다. 1930년대는 극예술에 대한 일반의 이해를 넓히고 진정한 의미의 신극을 수림하는데 앞장섰던 ‘극예술연구회’가 사실적이고 입체적인무대를 추구했고, 대중연극의 산실이기도 한 ‘동양극장’은 다양한 무대기구를 활용한 입체화 무대로 거듭나는 계기를 마려했고 발전시켰다. 근래 발표되고 있는 한국의 극장사 및 무대미술사에 관련한 단행본 및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 등은 전반적으로 한국연극사의 큰 맥락에서 무대미술의 흐름을 정리하고 있을 뿐 다양한 공연양식과 그에 따른 조명, 의상, 분장 등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1930년대 실제 공연에서 표현된 무대미술을 정립하고자 했다. 그러나 한극의 근대극이 희곡과 배우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데다생성과 정착 과정에서 무대미술에 대한 인식이 희박했으므로 안타깝게도 공연의 무대미술을 파악할 수 있는 상세한 자료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 개인소장 자료 및 당시 신문의 기사와 광고, 그리고 서적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진자료 및 기사내용, 증언 등을 토대로 당시 공연상황에 대해 기술했고, 정확히 기술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당시의 공연 양상 및 자료를 대입해 본 연구자의 주관적인 시각으로 공연을 추측하여 재구성하고자 했다. 극장은 제한적 공간의 무대를 제공하고, 그 무대를 구체적으로 형상화시키며 시각적 효과를 전달하는 무대미술은 공연에 있어 절대적으로 중요한 기능 및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그만큼 한국 근대극 무대미술은 공연예술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며 시대적 흐름 속에 융합되어 발전을 거듭해 왔다. 때로는 혹독한 관극평으로 공연예술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했고, 무대미술에 대한 칭찬과 독려로 그 발전 가능성에 대해 주목받기도 했다. 현재에 이르키까지 한국 무대미술의 흐름이 이어져 올 수 있었던 것은 선구자들의 무수한 도전과 실패를 극복한 결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의 노력에 부응하기 위해 이제부터라도 무대미술에 관한 정리 작업이 이루어져 후학들에게 무대미술의 비전을 제시해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제는 현대 사회에서 공연예술이 가지는 문화적 의미를 알아보는 것으로 확대될 것이며 그에 따른 무대미술적 대응에 대해 고찰해 보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settle down the development of scenography of the Korean modern theatre. Therefore. It has utilized the method of verifying the development pattern of scenography through analogy and substitution by corroborations data and visual material, actually photos, which can cover the periodic backgrounds and situations. A couple of books, academic studies and degree papers on the history of scenography in Korea are just arranging the situations of the stage design from the large context of the Korean theatre history as a whole. They did not mention the major constituents of the stage design in detail, i.e. lighting, costume and makeup, etc. But as we know, the early Korean modern theatre was mainly focused on the written plays and acting, there are not much available material which shouw the detailed scenography of each performance. Therefore, I relied on the material owned by me, articles of the newspapers and photos in them, which can be confirmed in a couple of books on the modern Korean theatre history, It was necessary for me to reconstruc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theatre provides the space for performances and the scenography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function to give the audience the concrete pictiures and the visual effects of the play. It is at least strange that the scenography has developed with the evolution of the theatre itself. In some critics wd can read favorable comments and also unfavorable ones about the scenography of the performances. It proves that scenography plays an important role in performances, in theatrical art. Until now the overcoming of the forerunners’ numerous challenges and failures has brought the evolution of the scenography of our theatre. In order to take over their farsighted efforts, it would be our obligation to arrange the history of scenography, suggesting its bright future to the practitioners, designers and junior scholars. And this kind of work would enlarge the cultural meaning the theatrical art in our contemporary in performances, it would be necessary to continue the study of it in the future.

      • KCI등재

        디지털 문학의 텍스트성과 입체화 전략

        장창영 ( Jang Chang You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2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one of various ways to teach college students how to read literary texts in the digital age. This study intended to show how to integrate Korean language with digital culture around literary texts through digital media. The point of this trial is that, although digital texts for literature belong to an independent area in the digital culture, it can not help being integrated in real activity and our life. On this aspect, I consider the character of digital media as interactivity, visualization, making text, overcome of difference time and space and new self-creation. Texts have potential for meaning in communication and mass media. This potential can be realiz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between text and reader. In other words, meaning can be understood during the processes of reading using his own linguistic and schematic knowledge in Analogue age. But digital age is different of the Analogue age's style. digital environment stimulate netizen’ emotion and their's life style. The nature of netizen's literature is reviewed six facets(self-increase, approximate, crossing, speed, collection, ideological) in content and form. On this paper, some implications of those researches are discussed in digital literary text. According to our discussion, the conclusion will be that such a Literary text gives som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writing process and to recognized of digital culture.

      • KCI등재

        교육시설계획의 다차원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김우영(Kimm Woo-Young)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9

        The approach for physical reconstruction of the Educational Facility is not only to consolidate what was anticipated from social consensus but also to identify the coherence between location-based participants and a geographical information environment. To verify the coalition, the two subdivisions such as physical aspects of spatial units, circulation systems, and urban environments as well as social aspects of social code, layout, and representation has been paralleled in order to optimize the Educational Facility according to those variables so that the results can provide a set of feasible guideline of the networked information space and draw a social consensus such as private investment initiatives and life-long information law. In addition to the public strategy of the Educational Facility, there seem to be more feasible findings addressed by 1)a metaphorical surface of the information network as a landmark, 2)an open system accommodating the tele-presence of information participants, 3)a homogeneous distribution of the information units clustering against the digital divide, 4)a synchronous representation of socio-physical behavior patterns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 5)a re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as a part of the Educational Facility, and 6)a standardization of an information space unit belong to the Educational Facility as a socio-physical entity responding to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 KCI등재

        Typography 의 디자인요소를 활용한 의자디자인 작품연구 : 자피노 서체의 가구 디자인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서명원(Suh Myoungw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21 조형디자인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요소를 의자디자인에 적용하는 방식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작품제작의 과정을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디자인 분야의 세분화는 더 많은 발전을 이룰 수 있었으며, 한 분야의 발전된 디자인 요소는 타 분야에 주요 디자인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타이포그래피는 디지털화 과정으로 체계화 되었고 일부 단순화 되는 과정을 거쳤다. 그러나 필기체는 다양한 곡선의 조화로 이루어져 있어 디지털화 과정을 거치면서도 그것만의 특징을 담기 위해 다양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다른 분야의 소재가 될 수 있는 풍부한 요소를 품고 있다. 반면 의자는 입체의 오브제로 기능성과 심미성의 두 가지를 담고 있다. 심미성의 표현은 곡선의 조화로 만들어지는 입체의 모습이고, 기능성은 그 조화로 만들어지는 구조라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포그래피를 사용하여 가구를 제작한 사례를 분석하고 방향성을 설정한다. 연구자는 타이포그래피 자체를 디자인에 활용하는 방식을 지양하고 요소의 조합으로 의자 디자인을 완성하는 방식으로 설계를 진행한다. 따라서 타이포그래피의 직접적인 표현이 아닌 곡선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구조와 아름다움이 표현된 의자를 디자인하고 제작한다. 작품제작 과정에서는 실물 프로토타입으로 기능성과 심미성을 확인하고, 수정 보완하여 최종 작품을 제작한다. 이는 의자디자인에 타이포그래피의 요소를 결합한 새로운 디자인 방법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으며 이론에서 탈피한 작품제작으로 확인하고 있다. 향후 후학들에게 방식의 제안과 더불어 제작 기술 및 정보의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ypography design elements to chair design and to explore the process of making works. The subdivision of the design field could be further developed, and the developed design element in one field can be used as a major design material in other fields. It was systematized as a digitization process of typography and went through some simplification processes. However, calligraphy is made up of a harmony of various curves, so while going through the digitization process, diversity is included in order to contain its unique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has abundant elements that can be used as materials for other fields. On the other hand, a chair is a three-dimensional object, containing both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It can be said that the expression of aesthetics is a three-dimensional figure created by the harmony of curves, and functionality is the structure created by the harmony. Therefore, the researcher analyze cases of furniture making using typography and set the direction. The researcher avoids using typography in design and proceeds with designing in a way that completes the design of the chair by combining elements. Therefore, the researcher design and produce a chair that expresses the structure and beauty made by a combination of curves rather than a direct expression of typography.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 actual prototype is used to check the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and to make corrections and supplements to produce the final work.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new design method that combines elements of typography with chair design, and it is confirmed as a work production by breaking away from theor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for production technology and information along with suggestions of methods to futur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