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허수진 梨花女子大學校 師範大學 社會生活科 2000 綠友硏究論集 Vol.39 No.-
본 연구는 강남구의 의료시설의 분포를 살펴보고, 형평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적지를 선정하고 그것을 현재 입지한 의료시설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의료시설에 대해 입자-배분(Location-allocation)모델을 사용하여 입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수요자의 입장을 고려하여 총이동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P-median 모델과 Minimize total powered distance모델에 의해 선정된 적지는 강남구의 전 지역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다. 둘째, 공급자의 입장을 고려하여 수요자를 최대로 커버할 수 있는 적지로 선정한 Attendance maximizing 모델에 의해 선정된 적지는 강남구중 소득수준이 높은 역삼동과 논현동 일대에 집중하며, 실례로 이 지역에 분포한 병원의 수도 많다. 셋째, 수요자의 입장을 고려한 Maximal covering 모델이 선정한 적지는 일부지역에서는 모델이 선정한 적지에 실제 병원이 입지하지 않고 있어서 응급의료서비스를 적절히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고 보인다. 이처럼 입자-배분 모델이 선정한 적지와 실제 병원의 입지는 어느 정도 유사점을 보이고 있으나, 향후 신규의료시설입지 시 위의 모델이 선정한 적지를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 to find optimal location of medical facilities using location-allocation model. For finding the optimal location, population, the amount of property tax per person, road, landuse were consider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ptimal location which is proposed by minimizing total distance model (P-median, Minimize total powered distance model) are distributed regularly in Kangnam-gu. Second, the optimal location proposed by attendance maximizing model are centered in high property tax area (like Yeoksam-dong, Nonhyun-dong). And there are many facilities in such area so the actual location satisfy efficiency. Third, the optimal location proposed by maximal covering location model is distributed regularly. But the medical facilities are aggregated in some area so some area is disadvantage in emergency services. In conclusion , the real location is similar to the ideal location proposed by location-allocation model, generally. But in some area no medical facilities are found, so if we consider location-allocation model for moving or establishing medical facilities.
김상균,원종석,편용범,조민경 한국재난정보학회 2024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20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서울시 10개 수소충전소의 공간적 접근성 분석을 실시하고, 접근이 어려운 지역을 식 별하였다. 입지의 형평성과 안전성 측면에서 신규 입지를 추가하여 접근성을 분석을 다시 수행한 후, 개선 효과 비교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ArcGIS 프로그램의 네트워크 분석 기 반의 입지배분(Location-Allocation) 모형과 이용권역(Service Area) 모형을 적용하여 접근이 취약한 지역 을 식별하였다. 입지선정 방분석 기반의 입지배분(Location-Allocation) 모형과 이용권역(Service Area) 모 형을 적용하여 접근이 취약한 지역을 식별하였다. 입지선정 방법은 부족한 수소충전소에 신속한 도착이 필요한 점을 고려하여 ‘최소시설 수로 최대수요를 확보하도록 함(Minimize Facilities)’ 방법을 적용하였다. 특정한 시간 내의 도착을 위한 한계 거리는 서울시 2022년 평균 차량통행속도(23.1km/h, 서울시 열린데이 터 광장)를 적용하여 10분 이동가능 거리인 3,850m과 5,775m(15분) 그리고 7,700m(20분)의 세 가지로 분하여 분석하였다. 신규 입지는 수소충전소 설치에 대한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산업통상자원부의 특례기준1)을 적용하여 기존의 주유소, LPG/CNG 충전소 중에서 수소충전소 추가 설치가 가능한 후보지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상세 현황 검토를 통해 추가 후보지 5개소가 도출되었다. 기존 10개의 수소충전소에 20분 이내 접근이 취약한 지역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안전한 기존 주유소와 LPG/CNG 충전소에 신규 수소충전소 5개소를 설치하면 접근성이 크게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접근이 어려운 지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입지배분모형을 이용하여 수소충전소 접근이 어려운 지역을 식별하고, 설치의 우선순위를 부여한다면 과학적 근거 기반 수소충전소 입지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s accessibility of 10 hydrogen charging stations in Seoul and identifies areas that were difficult to access. The purpose is to re-analyze accessibility by adding a new location in terms of equity and safety of location placement, and then draw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 improvement effects. Method: By applying the location-allocation model and the service area model based on network analysis of the ArcGIS program, areas with weak access were identified. The location selection method applied the 'Minimize Facilities'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need for rapid arrival to insufficient hydrogen charging stations. The limit distance for arrival within a specific time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average vehicle traffic speed(23.1km/h, Seoul Open Data Square) in 2022 to three categories: 3,850m(10minutes), 5,775m(15minutes), 7,700m(20minutes). In order to minimize conflicts over the installation of hydrogen charging stations, special standards of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pplied to derive candidate sites for additional installation of hydrogen charging stations among existing gas stations and LPG/CNG charging stations. Resul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ccessi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installing 5 new hydrogen charging stations at relatively safe gas stations and LPG/CNG charging stations in areas where access to the existing 10 hydrogen charging stations is weak within 20 minutes. Nevertheles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till areas where access remains difficult. Conclusion: The location allocation model is used to identify areas where access to hydrogen charging stations is difficult and prioritize installation, decision-making to select locations for hydrogen charging stations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can be supported.
김민 한국공간정보학회 200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les area of gas stations to see the quality and the efficiencies of spatial distribution structure for petroleum products in Tae-jeon City. Location pattern of gas station is classified by factors of competitive facilities, transportation, population and landuse in Tae-jeon City. As a result, High profit pattern and low profit pattern is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pattern of gas station are that the while densely populated has a small sales area, the thinly populated region has huge ones. Location-allocation model is used in order to minimize the travel distance from consumer location to gas station and balanc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gas station in case studies. The result reveals that the model-based locations of gas stations are more dispersed and balanced in the whole Tae-jeon City compared with the actual location of gas stations. This study shows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sales area and location in petroleum products distribution facilities. 본 연구는 대전시를 사례로 하여 주유소의 입지적 특성과 판매권역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과 면접 조사, 그리고 GIS의 그리드 분석을 활용하였다. 주유소의 입지적 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 고수익 입지유형은 인구밀도와 1일 통행량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배후 상주인구와 통행인구가 많아 고수익이 예상되었고, 반면에 저수익 입지유형은 토지이용상 녹지와 개발제한구역 등으로 통행량도 낮아서 높은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대전시 인구수에 기반하여 판매권역의 공간분포 패턴을 살펴본 결과, 주유소 판매권역의 크기는 인구밀도가 조밀한 중심지역에서 인구밀도가 낮은 외곽지역으로 갈수록 확대되었다. 또한 인구수에 대비하여 주유소가 과다한 주유소 과밀지역과 과소 지역이 분포하는 불균형적 주유소 분포패턴을 보여주었다. 입지-배분모델을 적용한 결과 주유소 과밀 지역에서는 주유소의 수가 줄어들었고, 과소한 지역에서는 신규로 주유소가 입지하여 보다 균형적인 분포패턴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석유제품 유통기관별로 최소 배후지 규모를 만족시키면서 균형적 공간 분포패턴을 가질 수 있도록 배치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간분석 기법을 활용한 카쉐어링(Car-sharing) 서비스 위치선정
노윤승,도명식,이상혁,변완희,이정범 한국도로학회 2013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3 No.09
카쉐어링 시스템은 여러 나라에서 활성화 되어있고 이용하는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현재 서울을 중심으로 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국내의 카쉐어링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선 우선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를 대상으로 카쉐어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 선정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카쉐어링의 입지 분석을 위해 GIS Arc/Info 10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였고 GIS그리드 분석을 수행하여 주요 지점의 입지선호도를 순위별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주요지점을 바탕으로 GIS Arc/Info의 네트워크 분석 (Network Analysis)모듈에 내장되어있는 입지배분모델(Location-allocation Model)을 이용하여 주요지점의 입지를 선정하였다. 먼저 카쉐어링 입지분석을 위한 특성으로 교통적 요인, 인구요인, 잠재 수요력, 외부접근 성, 내부접근성으로 나누었고 각각의 특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공간데이터와 속성데이터를 구축하였다. GIS공간데이터를 얻기 위해 우선 KTDB의 전국 행정구역 및 도로망 자료를 바탕으로 카쉐어링 대상지역인 대전지역의 행정구역과 도로망 GIS공간데이터를 얻었다. 그리고 위성지도를 이용하여 분석에 필요한 대전지역 대학교, 기차역, 버스터미널, 지하철 위치를 각각 추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주요지점 93곳을 선정하였다(주요 교차로 50개, 대학교 13개, 기차역 및 버스터미널8개, 지하철역 22개) 그리고 공간데이터에 들어갈 속성데이터로써 교통적 요인으로는 대전광역시 교통조사 및 분석보고서(2012)의 첨두시간 교통량데이터(대/시)를 이용하였고, 인구요인으론 행정동별 인구밀도(명)와 대학교 재학생(명) 수를 이용하였다. 잠재 수요력으로는 전국 여객 기종점 통행량 조사(2011) 자료의 동 별 자동차 보유대수를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각각의 레이어를 5x5셀 크기의 래스터 자료로 변환 한 후 서로 다른 요인들의 측정치를 통일시키기 위해 각 요인들의 측정단위 들을 퍼지논리에 의해 0과 1사이 의 실수로 분류(S형 증감형태)하여 표준화 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레이어에 가 중치를 부여한 후 각각의 레이어 중첩을 통한 셀 별 연산을 수행하여 주요지점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마지 막으로 주요지점 93곳을 공급 후보지로 정하고 각 동 별 중심지를 수요지점으로 선정하여 GIS프로그램내의 입 지배분 모델 중 min-distance model을 적용하여 주요지점의 입지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카쉐어링 서비스 도입 시 위치선정에 있어 주요지점의 우선순위는 물론 수요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서비스지역을 선정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GIS와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한 카쉐어링(Car-sharing) 서비스 위치선정
노윤승(No, Yun-Seung),도명식(Do, Myung-Sik),이상혁(Lee, Sang Hyuk),변완희(BYUN, Wan Hee),이정범(LEE, Jung Beom) 대한교통학회 2013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69 No.-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를 대상으로 카쉐어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 선정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카쉐어링이 란 차량을 예약하고 자신의 위치와 가까운 주차장에서 차를 빌린 후 반납하는 제도로써 국내의 카쉐어링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선 우선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GIS Arc/Info 10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선정된 대안지점 93곳의 입지선호도를 순위별로 선정하였으며 GIS Arc/Info의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모듈에 내장되어있는 입지배분모델(Location-allocation Model)을 이용하여 서비스 시설의 위치를 선정한 후 비교하였다.
공간 입지-배분(Spatial Location-Allocation) 모형기반의 충청남도 화재 출동거점 선정 연구
최돈정(Choi, Don-Jeong),박정환(Park, Jeong-Hwa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2
충남소방본부는 ‘제 10차 소방력 보강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2022년까지 소방인력 증원과 출동거점 신설에 관한 정책과 근거를 마련하는 과정에 있으며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의사결정 근거를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체 구축한 1:5,000 도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공간 입지-배분모형(spatial location-allocation)을 통해 충남도내 화재 취약 집계구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 입지 배분모형의 Minimum Impedance(p-median)와 Maximum Coverage 기준에 의거하여 주거인구, 건축물, 실제 화재사고 발생지점, 등록 소방대상물, 실제 화재사고발생건수의 다섯 가지 입지문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입지배분 분석결과를 토대로 인덱스 오버레이(index overay)기법을 활용하여 인자별 화재 취약집계구를 선정 하였다. 최종적으로 현지조사 및 거점지 신청 소방관서 현황분석을 충남소방본부와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21개 화재 출동거점 입지 후보지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후보지를 포함한 입지배분모형의 재분석을 통해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 10차 소방력 보강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2022년까지 소방인력 증원과 출동거점 신설에 관한 정책과 근거를 마련하는 과정에 있는 충남소방본부의 의사결정과정에 긍정적인 정책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충청남도 소방 행정 분야를 데이터 기반의 과학행정 체계로 전환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hunnam fire defense department is aiming at the establishment of the policy for the increase of related human resources and the foundation of new staging bases by 2022 according to the 10th Five-year Plan on the Reinforcement of Five defense service. For this, the policy decision-making should be scientific, or data-based. Therefore, we used the spatial location-allocation model, and discerned census areas vulnerable to fires in Chungnam.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self-built minute road network. For the achievement, we considered Minimeum Impedance(p-median) and Maximum Coverage of the spatial-allocation model and conducted the locational analysis on the following five variables: the number of residential, the buildings, the physical location of fire accidents, the registered fire facilities, and the number of fires. And then, we used index overlay technique and found individual vulnerable census area patten of each variable. Finally, we examined the results of field surveys and current situation analysis with the fire defense department and selected 21 proposed sites of new firefighting staging bases. These sites were geographically improved through reanalysis. This research can give considerable helping han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Five-year Plan on the Reinforcement of Fire defense service and this plan will be the base of the pertinent policy-making. This can be an important turning point for the data-based scientific administration system.
임윤택,김갑성,유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2 國土計劃 Vol.3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ptimal location model for obnoxious facilities in attempt to minimize the total social cost. So far, in most models concerning obnoxious facilities, transport cost is only considered. Recently, with more concerns with environmental quality the location decision of environmentally hazardous facilities have been often experienced serious conflicts with residents. An optimal location model is developed in the sense of considering transport costs as well as environmental costs simultaneously. The transport cost tends to increase while the environmental cost decrease as they are further from the facility. The model is derived from Koopmans and Beckmann's quadratic location-allocation model. As a result, this model can be applied to a single obnoxious facility as well as more than one facility problem. The result of example study shows trade-off relationships between transport cost and environmental cost. Zones near CBD are selected as the optimal locations of obnoxious facilities when transport cost is relatively higher than environmental cost while suburban zones were selected in reverse case. The methods for calculating precise environmental cost and combining this model with GIS applications have to be developed
비용최소화를 고려한 공공기관의 입지모형- 충남도청의 이전사례를 중심으로 -
김범수,김갑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7 國土計劃 Vol.42 No.4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optimal location model for a pubminimize the total social cost. The model is developed by a modification of Koopmans-Beckmann's quadratic location-allocation model. In the model, an accessibility for the public facility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services of the provincial office are mainly concerned. For an application, the ng to the property of the model, the optimal location of the public facility is the place where the total transport cost is minimized. Consequently, if accessibility only is considered, the optimal location of Chungnam Provincial office is Cheon-an. If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ervices are conspopulation and business entities are counted in the model, the optimal location of Chungnam provincial office is Cheon-an. Since the administrative city of Korea wil be located in Chungnam province near future, we developed a model which explains the efects of the location of this city. Chungnam provincial ofice would be changed as the weights of the location of the administrative city. If the weights of the location of this city is concerned, Ye-san is the optimal location of Chungnam provincial ofice.
엄상근,조창제,황경수,최영국 국토연구원 2008 국토연구 Vol.56 No.-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ervice area of greenspace on the subject of avaliable greenspace of wide areas in part of citizens’ accessibility and construct total greenspace system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Assuming that the greenspace area per person is 6㎡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by the scenario 1, the total greenspace is estimated at 3,993.55㎢ and would be needed the 42.62㎢ more than 3,950.93㎢ at the present, and 10㎡ by the scenario 2, needed the 110.96㎢ more and 16㎡ by the scenario 3, needed the 225.02㎢ more. The method of measurement to service area of greenspace and calculation of amount of planning greenspace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make pleasant living environment because they can prescribe the location and quantity of new planning greenspace for several development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