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 3~5세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요인에 대한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상대적 영향력

        이유진 ( Yoo Jin L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만 3~5세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요인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인터넷 게임을 하는만 3~5세 유아 156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은 낮은 편이었다.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 유형에 있어서는 일반군이 81.4%로 가장 많았고, 환경개선군(16%), 잠재군(1.3%), 위험군(1.3%)의 순으로 비율이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애정성, 한계설정, 합리적 지도, 반응성은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전체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고,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 중 충동성 감소와 자기통제와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전체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어머니 양육태도 중 한계설정, 합리적 지도, 애정성, 반응성은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환경특성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합리적 지도와 애정성이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행동특성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고, 유아의 자기조절력 전체와도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전체에 대해서는 애정성, 한계설정, 충동성 감소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환경특성에 대해서는 한계설정과 애정성이,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행동특성에 대해서는 애정성과 충동성 감소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경향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에서 애정성이 높아야하고,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증진되어야 함을 시사해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nfluence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child’s self-regulation on 3-to 5-year-old preschooler’s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factors. Participants were 156 3- to-5-year-old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The survey tools were Internet Game Addiction Scales(IGAS),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IPBI), and Self-Control Rating Scale(SCR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81.4% of children were classified as the user in general, but the rest of subjects were classified as the user who needs environmental improvement(16%), the potential addictive user(1.3%), and the user at high risk(1.3%).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hird, limit setting i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preschooler’s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followed by affection; impulsivity reduction was third. This study provided useful information that mother should be more affective with their children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should be enhanced in order to prevent preschoolers’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 KCI등재

        유아의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준오 ( Jun Oh Jo ),김영연 ( Youn Gyeon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인터넷 이용동기와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성별 및 연령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울산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4곳에 재원중인 만 3~5세 유아 143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동기와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터넷 이용동기는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을 3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때 인터넷 이용동기의 하위변인인 오락 및 휴식이 36%, 이해 및 인지가 3%를 설명력을 나타냈다. 둘째, 유아의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에 있어 유아 성별에 의해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에 있어 유아 연령에 의해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Internet-use motivation of preschoolers on their Internet game addiction pron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ir gender and 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Internet us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pronen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43 preschoolers in four different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city of Ulsan. They were at the Western ages of three, four and five. Their motivation for Internet us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proneness were tes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ak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ivation for Internet use made a 39% prediction of Internet game addiction proneness. Among the subfactors of Motivation for Internet use, amusement and rest made a 36 prediction of it, and understanding and cognition made a 3% prediction of it. Second, the gender of the preschoolers produced moderating effects when their motivation for Internet use affected Internet game addiction proneness. Third, the age of the preschoolers produced moderating effects when their motivation for Internet use impacted on Internet game addiction proneness.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용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척도 개발

        정연홍(Jeong, YeanHong),유형근(Yu, HyungK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위한 자기보고식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척도를 개발하고 그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 및 인터넷 게임중독 관련 척도와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인터넷 게임중독 관련 연구에서 드러난 아동의 게임중독 특성을 바탕으로 3개의 하위요인을 구성하고 서울, 경기, 강원지역의 초등학교 2학년 학생 97명 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게임몰입 5문항, 게임환경 2문항, 게임습관 2문항의 총 3요인 9문항이 최종 선정되었다. 신뢰도 검증을 위한 전체 신뢰도, 하위 요인간 신뢰도, 각 문항 및 전체 문항 간 상관은 적절하였다. 또한 요인 분석을 통해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의 구인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게임몰입, 게임 환경, 게임습관에 대한 3요인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보고식 척도의 개발이라는 것과 인터넷 게임중독문제에 있어 중독의 뚜렷한 증상을 드러내지 않는 시기인 초등 저학년 아동의 특징을 반영한 문항을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planned to develop an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Scale for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stablished scale, the concept of the internet game addiction was defined. This study selected key elements of the sub factors by drawing the implications from a previous study of internet game addiction and the factor of internet game addiction scale, which had been used previousl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was examined by 7 professionals. Then, the survey of 97 2nd grade students was made. The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a self-reporting Likert 5-point scaled questionnaire containing 35 questions after minutely reviewing the appropriateness and content validity of the first 90 questions selected. The results of study are : First,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Scale consists of 3 factors with 9 items : overindulgence in internet games (5 items), accessibility to internet games (2 items), and experience during the internet game (2 items). Second, a 3-factor structure confirmed through factorial analysis. Appropriateness of the scale confirmed through construc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reliability. In conclusio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scale appears to be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to identify the children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which is significant because the scale is self-reported. Overall, this scale will be a great help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internet game addiction for lower grade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유아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조준오(Jun Oh Jo),황해익(Hae Ik Hw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체계변인 중 유기체 변인(자기조절력)과 가정환경 변인(아버 지 양육태도, 어머니 양육태도, 인터넷 허용동기), 유아 정보윤리의식, 유아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고 이를 검증함으로써, 생태체계 변인이 정보윤리의식을 통해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와 울산시에 소재한 9개의 사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444명(남아 225명, 여아 219명)과 그들의 부모(아버지와 어머니) 444쌍을 대상으로, 2012년 7월 2주에서 8월4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 허용동기는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조절력 및 부모의 자율적 양육태도와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간의 관계에서 정보윤리의식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을 낮추기 위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터넷 허용동기를 감소시키거나, 정보윤리의식을 높여 간접적으로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을 낮춰야 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ecological variables(organism variables and family environments variables) affecting the inclination of preschoolers for Internet game addiction and the selected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information ethics awareness and Internet game addiction inclination of preschoolers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ecological variables on Internet game addiction inclination through information ethics awareness. In conclusion, Whe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influence of motivation of allowing Internet use, self-regulation, autonomous paternal attitude and information ethics awareness that affected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clination of the preschoolers were analyzed, motivation of allowing Internet use had a direct impact on Internet game addiction inclination. But information ethics awareness had a perfec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among self-regulation, autonomous paternal attitud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inclination.

      • KCI등재

        생태체계 변인이 유아 인터넷 게임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조준오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유아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힘으로써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문제를 근원적으로 막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와 울산시에 소재한 9개의 사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444명(남아 225명, 여아 219명)과 그들의 부모(아버지와 어머니) 444쌍이고, 중요하게 나타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유기체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은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때, 가정환경 변인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가정환경 변인을 다루는 것이 더 중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유기체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 중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변인은 인터넷 허용동기 오락 및 휴식이 가장 큰 설명력이 나타났고, 다음으로 자기조절력, 어머니 자율적 양육태도, 인터넷 허용동기 이해 및 인지, 아버지 자율적 양육태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모가 유아의 인터넷 게임을 허용할 때, 오락 및 휴식의 동기보다는 이해 및 인지를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어야 하고, 아버지와 어머니는 자율적 양육태도를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fluential ecological variables for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clination of preschoolers, in an effort to ensure the successful prevention of Internet game addiction among preschool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44 preschoolers and 444 married couples across nine different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cities of Busan and Ulsan. The preschoolers were between the ages of four and five, and divided into 225 boys and 219 girls. The married couples were their fathers and mother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Organism variables and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had an impact on Internet game addiction inclination at the same time, and the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were more influential at that time.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weake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clination of preschoolers, it's more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When looking at th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the organism variables and the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on Internet game addiction inclination, entertainment and relaxation were one of the primary motivations to allow Internet access. Autonomous maternal and paternal attitudes fostered self-regulation of both the type of Internet activity and usage with the preschool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y that parents should allow their preschool children to play games over the Internet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cognition rather than for the purpose of entertainment and relaxation, and that both fathers and mothers should try to raise their children in a less autonomous manner. Another important finding was that it is necessary to foster the self-regulation of preschoolers.

      • KCI등재

        재한 중국유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게임중독 경향성 및 SNS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마언타오(En-Tao Ma),김춘경(Choon-Ky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재한 중국유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게임중독 경향성 및 SNS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여 재한 중국유학생의 게임중독 경향성 및 SNS중독 경향성 감소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구⋅경북 소재 재한 중국유학생 42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다중공선성 진단을 위한 Pearson의 상관관계를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절변수인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재한 중국유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게임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적응유연성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났다. 둘째, 재한 중국유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SNS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적응유연성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났다. 결론 재한 중국유학생이 학업 수행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그로 인한 게임중독 경향성 및 SNS중독 경향성이 발생할 경우 그들의 적응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면 학업스트레스 문제, 게임중독 경향성 및 SNS중독 경향성 문제 모두 감소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academic stress on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and sns addiction tendenc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adaptive flexibility. Method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Baron & Kenny model, Sobel test was appli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adaptive flexi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421 chinese students in korea enrolled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Kyungpook. Results First, the moderating effect of adaptive flexibility i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of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adaptive flexibility i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sns addiction tendency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adaptive flexibility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or preventing academic stress,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and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 KCI등재

        청소년 우울이 인터넷 게임중독과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곽효정,강상준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환경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스트레스의 경로분석을 통해 청소년 우울이 인터넷 게임중독과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을 보유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환경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며 인터넷 게임중독과 SNS 집착 및 금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가족환경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우울을 매개로 하여 SNS 집착 및 금단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가족환경 스트레스보다 우울, 인터넷 게임중독, SNS 집착 및 금단에 있어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트레스, 우울, 인터넷 중독 간 영향요인에 대해 경로분석을 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pathways of stres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youth depression on Internet game addiction and SNS addiction tendenc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owned smartphon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the SEM are as follows. First, both stress affect depression, and it directly affects Internet game addiction and SNS obsession. Second, both stress have indirect effect SNS obsession with depression as a medication. Third, school life stress has a greater effect on depression, Internet game addiction and SNS obsession than family environment stress. The difference of study is path analysis.

      • KCI등재

        인터넷 게임 중독 경향성과 불안장애: 태아기 성호르몬의 조절 효과

        심경옥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gaming addiction tendency and anxiety disorder and moderating effect of fetal sex hormon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moderating effect in 126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internet gaming addiction tendency related to anxiety disorders and whether this relationship was moderated by fetal sex hormones (measured by 2D:4D ratio). The result showed that internet gaming addiction tendency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nxiety symptoms and moderating effects of fetal sex hormones on this relationship was also significant. Specifically, when fetal estrogen levels were higher than testosterone (high 2D:4D ratio), anxiety levels also increased with internet gaming addiction tendency. However, when the fetal testosterone level was higher than estrogen, the anxiety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ternet gaming addiction tende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 estrogen relative to testosterone in utero may preprograme anxiety sensitivity, which in turn may increase the cormobidity rate of internet gaming addiction and anxiety disorder.

      • KCI등재

        유아의 인터넷 게임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조절

        김지현 ( Ji Hyun Kim ) 대한가정학회 201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8 No.8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on their internet-game addictive inclination. The participants were 129 mothers of 5 and 6 year-old preschoolers and their teachers from two day dare centers and one kindergarten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by SPSS program (12.0 ver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Boys showed higher score of internet-game addictive inclination than that of girls. (2) mother`s consistent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other-regulation behaviors significantly explained preschooler`s internet-game addictive inclination. In conclusi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have influenced on preschooler`s internet-game addictive inclination.

      • KCI등재

        유아의 인터넷 게임 중독 경향성에 따른 유아의 공격성과 사회적 기술, 어머니의 또래관계 관리전략과 양육행동의 차이

        정지나(Chung, Jee-Nha),김지현(Kim, Jihyun) 한국생활과학회 2012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er’s aggression and social skills, maternal managemen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 and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internet-game addictive inclination. Participants included seventy-seven (77) 5 to 6-year-old preschoolers (44 boys, 33 girls) and their mothers. The Aggressive Behavior Scale (Lee & Choi, 2001), the Social Skill Rating Scale (Suh, 2004), the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Scale (Rhu & Lee, 2007) and the Parental Involvement Checklist (Park, 2001) were used in this study. The Internet Game Addiction Scale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6) was used to identify higher and lower addictive level of internet-game inclina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Major findings revealed that preschooler’s social skills, maternal managemen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 and parenting behaviors showed a predictable correlation to preschooler’s internet-game addictive incl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