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정신건강 수준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분석

        조준오(Jun Oh Jo),나정(Jung Na)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신건강 수준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시도한 것이다. 어머니의 정신건강은 불안과 우울 및 충동성과 공격성을 하위 변인으로 포함하여 조사하였으며, 유아의 문제행동은 외현화 및 내면화 문제행동으로 구성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4, 5세 유아 558명에 대한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정신건강 수준을 조사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아 어머니의 정신건강 수준은 우울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충동성, 공격성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불안 수준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정신건강의 하위 변인 중 불안 수준에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정신건강 하위 변인 중 우울, 충동성 및 공격성 수준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은 차이가 있었다. 사후분석에서 우울, 충동성 및 공격성수준이 고위험군이거나 잠재적 위험군에 속한 어머니를 둔 유아가 일반군 어머니를 둔 유아보다 문제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문제행동에 직접 접근하는 방법과 함께 유아 어머니의 정신건강, 특히 우울, 충동성 및 공격성 수준에도 관심을 두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도 함께 강구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tal health(levels of anxiety, depression, impulsiveness and aggressiveness) of mothers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their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58 three-, four- and five- year-old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preschoolers and the mental health(levels of anxiety, depression, impulsiveness and aggressiveness) of the mothers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was the most severe symptom among mothers, followed by impulsiveness, aggressiveness and anxiety.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preschoolers in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anxiety experienced by the mothers. Third, the problems behaviors of the young children varied with the levels of depression, impulsiveness and aggressiveness in mothers. When a post-hoc analysis was done, the children of mothers who were in the high risk group or in the potential risk group showed more problem behaviors than those of the mothers who were not at risk.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epth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xiety of mothers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and that when it comes to the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not only the preschoolers themselves but also the emotional, mental and psychological dispositions of mothers such as depression, impulsiveness and aggressiveness should all be taken into considerati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유아의 기질, 애착 및 미디어중독 간의 경로분석

        조준오(Jo, Jun-Oh),한동윤(Han, Dong-yun),홍광표(Hong, Kwang-pyo)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3

        연구목적: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유아의 기질과 애착이 어떠한 경로로 유아의 미디어 중독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B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 319명을 대상으로 유아 기질, 유아 애착 및 유아 미디어 중독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통하여 기술통계, Peason 상관계수, 경로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사회성, 활동성 기질은 애착을 높이지만 정서성 기질은 애착을 낮추었다. 둘째, 유아의 정서성 기질은 미디어중독을 높이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유아의 애착은 미디어 중독을 낮추었다. 넷째, 유아의 애착은 정서성, 활동성, 사회성 기질과 미디어중독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애착의 정도가 유아 미디어중독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유아교육기관 및 가정에서 유아의 미디어중독에 대한 대응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미디어중독을 떨어뜨리기 위한 각종 연구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infants temperament and attachment affect infant s media addiction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Method: For this purpose, the degree of infant temperament, infant attachment, and infant media addiction were measured for 319 children who are enrolled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B city.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Pea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SPSS and AMOS programs.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and active temperament of infants increased attachment, but emotional temperament lowered attachment. Second, the emotional temperament of infants showed the result of increasing media addiction. Third, attachment of infants lowered media addiction. Fourth, attachment of infant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emotionality, activity, social temperament, and media addictio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 of infant s temperament and degree of attachment on children s media addic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responding to media addic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at hom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data for various studies to reduce media addic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미디어중독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조준오(Jo Jun-oh),김은정(Kim E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유아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자녀 미디어중독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유아 미디어중독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와 어머니 399쌍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녀의 미디어중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미디어중독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미디어중독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미디어중독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은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evention of young children media addiction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hild s media addi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99 pairs of children and mothers in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city Busan.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the higher the child s media addiction. Second, the higher the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the lower the child s media addiction. Third, parenting efficac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parenting stress and infant media addiction. Fourth, parenting efficacy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hild s media addiction.

      • KCI등재

        유아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행동통제가 자녀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조준오(Jo, Jun Oh),김소향(Kim, So H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본 연구는 유아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행동통제가 자녀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자기조절력 개발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 226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심리통제, 행동통제, 그리고 자녀의 자기조절력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행동통제 그리고 자녀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통제 및 행동통제가 자녀의 자기조절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행동통제는 자기평가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어머니의 심리통제는 자기결정, 행동억제, 정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행동통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on children s self-regulation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preschooler self-regul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6 selected preschoolers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Busan. A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inventory, a maternal behavioral control inventory and a child self-regulation inventory were used to gather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to the children s self-regulation, the former two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been correlated with the latter. Secon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were found to have exercised an influence on the children s self- regulation. Thir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were found to have affected self-evaluation. Fourth,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was found to have had an impact on self- determination, behavioral inhibition and emotionality, and maternal behavioral control wasn t influential.

      • KCI등재

        유아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와 자녀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불안과 우울의 복수매개효과

        조준오(Jo Jun Oh),나 정(Na Jung),홍광표(Hong Kwang P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0

        본 연구는 유아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와 유아기 자녀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불안과 우울의 복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와 울산시 에 소재한 유치원 8곳에 재원중인 만 3, 4, 5세 유아 517명과 그들의 부모 51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어머니 삶의 만족도와 불안 및 우울 수준, 유아의 문 제행동 수준을 진단하고 수집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과 Amos 18.0 프로그 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측정모형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였다. 이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연구모형의 적절성을 검토한 후, 부트스 트래핑과 팬텀변수를 이용하여 복수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어머니 삶의 만족도는 자녀의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자신의 불안과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불안과 우울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우울과 불안은 어머니 자 신의 삶의 만족도와 유아기 자녀의 문제행동사이에서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 결과에서는 어머니의 우울이 불안보다 유아의 문제행동 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문제행동 유발에 어머니 의 감정적 측면이 보다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the anxiety and depression of mo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own life satisfaction and the behavior problems of their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17 preschoolers and 517 their mothers at eight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cities of Busan and Ulsan. The preschoolers were at the western ages of 3, 4 and 5.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others exercised no direct influence on the behavior problems of their children, and that had a direct impact on their own anxiety, depression and the behavior problems of their children. Whe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variables were analyzed,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mothers had perfec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own life satisfaction and the behavior problems of their children who were in early childhood. Specifically, it s found that the depression of the mothers exerted a relatively more influence on the behavior problems of the preschoolers, which implied that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s had a greater impact on provoking the behavior problems of the preschoolers.

      • KCI등재

        유아 미디어 중독 관찰자 척도 개발

        조준오(Jo, Jun-oh),황해익(Hwang, Hae-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미디어 중독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 및 선행 검사도구를 바탕으로 미디어중독의 하위요인을 집착 14문항, 내성 16문항, 금단 17문항, 통제불능 10문항, 장애 19문항, 총 76문항을 검사문항 개발 절차에 따라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중독 전문가와 유아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검사도구에 대한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둘째, 예비검사의 문항양호도 분석에서, 문항반응분포와 문항변별도 를 살펴보았다. 셋째, 본검사의 검사양호도 분석에서 구인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본검사에서 유아 483명을 대상으로 검사양호도를 확인하기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넷째, 총점과 하위영역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준거관련타 당도를 확인하였고, 기존의 표준화검사간의 공인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최종 연구 결과에서 일상생활장애 12문항, 내성 7문항, 금단 6문항, 집착 4문항, 총 29문항으로 완성되었다. 다섯째, 미디어중독 원점수를 표준점수(T점수)로 변환하여 중독위험군 분류 기준을 고위험군, 잠재적 위원군, 정상군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표준점수를 바탕으로 유아 484명을 대상으로 판별한 결과 고위험군은 12명(2.5%), 잠재적 위험군은 31명(6.4%), 정상군은 440명(91.1%)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reliable and valid scale that measures the media addiction for young children.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procedure and research result for this. First, based on a documentary consideration and a prior test tool, the sub-factors of media addiction were developed totally 76 questions such as obsession with 14 items, tolerance with 16 items, withdrawal with 17 items, out of control with 10 items, and difficulty with 19 items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developing test items. Based on this, it considered the appropriateness for test tool targeting media-addiction exper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 Second, in the item quality analysis of preliminary test, the item response distribution and the item discrimination were examined. Third, in the test appropriateness analysis of this test,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onfirmed. To verify the test appropriateness targeting 483 young children in this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identified. Fourth, to look at relationship between total score and sub-sphere,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confirmed. The concurrent validity among the existing standardized tests was identified. In the final research results, it was completed with totally 29 questions such as difficulty of daily living with 12 items, tolerance with 7 items, withdrawal with 6 items, and obsession with 4 items. Fifth, it changed the raw score of media addiction into the standard score(T score) and then established the standard of classifying an addiction-risk group into high-risk group, potential-risk group, and normal group. As a result of differentiation targeting 484 young children based on this standard score, it was indicated to be high-risk group with 12 people(2.5%), potential-risk group with 31 people(6.4%), and normal group with 440 people(91.1%).

      • KCI등재

        유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탐색

        조준오 ( Jun Oh Jo ),김영연 ( Young Yeon Kim ),나정 ( Jung Na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관련 변인 중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력을 선정하여 각 변인이 놀이성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탐색해보고자시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만 4, 5세 유아 172명을 대상으로 놀이성과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을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PASW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놀이성과 세 가지 자아관련 변인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자기조절력 보다 더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 가지 자아관련 변인의 놀이성 설명력은 58%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놀이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 가지 자아관련 변인의 하위 요소 중에서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놀이성에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는 동료수용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 자기조절력이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lf-related variables affecting the playfulness of preschoolers and the relationship of the influential variabl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2 selected preschoolers who were four and five year old. Observation by their class teacher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ir playfulness, self-regulat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PASW 18.0,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links between playfulness and the self-related variables, playfulness and its sub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elf-related variables and their sub facto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total scores in the self-related variables on playfulness, exerted 58 percent on that.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elf-related variables, physical self-efficacy, peer acceptance self-esteem, self-control had respectively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In conclusion, the playfulness of the preschoolers was under the larger influence of self-esteem related to physical ability and of self-efficacy than of self-regulation.

      • KCI등재

        유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기능성, 어머니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관계

        조준오(Jo Jun oh),탁정화(Tak Jeong 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기능성, 어머니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에 소재한 유치원 8곳과 어린이집 4곳에 재원중인 만 3, 4, 5세 유아 581명과 해당유아 어머니 581명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양육효능감의 경우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가족기능성과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완전매 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스트레스의 경우, 문제행동에 직접 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가족기능성과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의 영 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변인으로 양육스트레스가 유 아문제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of family functi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established and analyzed to estimate the path from family function to children’s behavior problems with mediating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As a result, family function had a direct effect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Family func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indic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 KCI등재

        유아 어머니의 부모유능감과 자녀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서표현성의 다중매개효과

        조준오 ( Jo Jun Oh ),김소향 ( Kim So Hya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부모유능감과 자녀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서표현성의 다중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개발을 위한 부모교육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와 어머니 226쌍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부모유능감 및 정서표현성, 그리고 유아의 창의적 인성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부모유능감이 자녀의 창의적 인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부모유능감은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은 부모유능감과 자녀의 창의적 인성사이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은 부모유능감과 자녀의 창의적 인성사이에서 매개역할을 나타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of moth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their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research into parent education toward developing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26 selected pairs of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Busan. The instruments that covered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emotional expressions of mothers and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were used to gather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of the mothers was found to have no direct impact on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Second, a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of mothers was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their ow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Third, a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of mothers was found to have affected the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rough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s(perfect mediating effects). Finally, a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of mothers was found not to have exerted an influence on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rough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no mediating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