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지발달의 구조와 과정에 대한 신-피아제적 해석

        강영하, 최건수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89 公州敎大論叢 Vol.25 No.-

        Case 의 신피아제 이론은 인지 발달연구의 구조적 접 근과 과정적 접 근을 통합하여 새롭게 제 기 된 “ 과정-구조 ” 이론이 다. Case 는 “ 실행 제어구조 ” 라는 개 념을 고안하여 인지 발달의 구 조와 과정을 기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단계이행의 과정을 설명하는 여러가지 가정을 제안 하였다. 여기서는 앞에서 고찰해 온 “과정一구조” 이론을 그 핵심적 가정을 중심으로 정리함 으로써 아동 교육과정개 발의 인지발달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1. 아동초기의 인지능력의 모형 1) 가장 초보적인 수준에서,어린이의 정신과정은 두가지로 분할해 블 수 있다. 즉,①자극 의 현재상태를 표상하는 것과 ② 이러한 형태를 어떤 다른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는 방법을 표상하는 것이다. 전자는 형태스키마 또는 상태표상으로 명명되며, 후자는 조작스키마 또는 조 작으로 명명된다. 2) 출생시부터-어린이들은 그들의 인지적 및 정의적 경험에 대해 어느정도 자발적인 통제를 실행할 수 있다. 3) 이런 실행제어를 허용하는 구조는 형태적 및 조막적 스키마가 일시적으로 조직되는 계열 을 이루며, 그것은 3 부분의 성분으로 구성된다. 그것은, 첫째, 어린이가 현재 발견하는 특정 상태를 표상하는 스키마 둘째, 더 상위의 정의적 가치가 있는 어떤 다른 상태를 표상하는 스키마. 그리고, 한 상태에 서 다른 상태로 가져 가는 조작계열을 표상하는 스키마 등이다. 이 세가지 성분은 각각 문제상황, 목표, 전략으로 명명된다. 2. 발달의 구조적 모형 1) 각 실행제어는 다른 구체적 문제상황을 다루는 장치를 나타낸다고 할지라도, 모든 실행 제어구조는 시간에 따라 일련의 유사한 변환을 거친다. 그리고 그것은 성인의 제어구조형식을 추구하는 일반적 및 보편적 단계의 계열로 통과된다. 2) 4개의 실행제어구조 발달의 대단계는 4개월에서 19세 사이에서 확인되는데, 그것은 감각운동기, 관계기, 차원 및 벡터조작 단계 등이다. 이러한 단계률 변별하게 하는 것은 어린 이가 표상하고 조작해야 하는 관계의 수준이다. 3) 각 대단계내에서는 세개의 보편적 하위단계의 계열이 또한 확인되는데, 그것들은 각각 1차, 2차, 3차 통합의 하위계열로 명명된다. 이 하위단계들을 변별케 하는 것은 그들이 표 상하는 요소의 수와 그들이 조직되는 방식이다. 4) 정상적인 양육조건하에서는, 발달단계와 하위단계는 광범한 내용영역에 걸쳐 특정 연령 동안 통과된다. 각 대단계 및 하위단계의 특정연령은 앞에서 제시된 바와 같다. 5) 어떤 주어진 문제영역에서 한 단계로부터 다음 단계로의 이행은 이전 단계동안 조립되 는 실행구조의 위계적 통합에 의해 초래된다. 그러나 그것의 형식과 기능은 서로 상당히 다르 다. 6) 어떤 영역에서 한 하위단계에서 다음 하위단계로의 이행도 통합와 과정에 의하여 일어 난다. 그렇지만 이 통합은 위계적일 필요가 없으며 수반되는 요소들도 서로 달라야 할 필요는 없다. 3 . 발달의 과정적 모형 1) 구조적 발달의 기저가 되는 네개의 초보적인 정보처리과정은 “스키마탐색, 평가, 재첨 가 및 착생 ”이다. 2) 이러한 과정은 대부분 어린이들의 일상생활의 행위의 한 부분을 형성한다. 그 일상생활 의 행위는 사회적 지향행위일 수도 있고 개인적인 독립된 행위일 수도 있다. 여기에는 어린이 의 탐색, 문제해결, 모방 및 상호조정 의 과정 등이 있다. 3) 상호조정 의 한 중요한 형식으로서 “ 수업 ’’은 아동의 각 연속적 발달단계에서 상위단계 의 사고로 나아감에 따라 점차 의의있는 역할을 한다. 4) 위계적 통합을 위한 어린이의 능력은 그것이 일어나는 일반적 과정과 관계없이 그들의 단기기억용량 (STSS) 의 규모에 의하여 한정된다. 가용용량은 각대단계동안 반복적으로 커 진다. 각 단계세서 획득되는 특정 값은 하위단계 0, 1, 2, 3의 각각에서 1, 2, 3, 4이 다. 5) 각 단계내의 단기기억용량의 성장은 조작능률의 증가에 파라 초래된다. 6) 조작능률의 증가는 상당한 정도로 신경학적 수소화와 같은 성숙요인에 달려 있다. 그렇 지만 어느 정도는 연습량도 또한 필요로 된다. 이 와 같은 Case 의 기 존의 “과정 -구조 ”이 론은 최 근에 수업 의 분야에 적 용되 어 연구되 어 옮에 따라 다소 미묘하게 변화되어 전개되고 있다. 즉, 중심개념구조의 개념이 새로이 도입되 었다. 이 중심개념구조의 아이디어는 기존의 “과정-구조”이론이 기능적인 관점에서 실행제어구 조가 분석 됨 에 따라 “ 절 차 ” 가 지 나치 게 강조되 고* 문제 표상의 구조적 요소가 덜 강조되 었 기 때문에 아제부터는 신피아제 이론에서 구조적 관점을 새롭게 부각시키는 것으로 간주된다.

      • KCI등재

        개인 문제해결 상황에서 인지양식과 메타인지가 비구조 문제해결 및 논증에 미치는 효과

        조규락 ( Kyoo Lak Cho ),김선연 ( Sun Yu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 문제해결 상황에서 시각형 대 언어형의 인지양식에 따라 비구조 문제해결 및 논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살펴보며, 메타인지를 메타인지지식과 메타인지조절로 구분하여 비구조 문제해결과 논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에 참여한 83명의 학부생들의 인지양식은 시각형 학습자가 63명, 언어형 학습자가 20명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언어형 학습자들이 시각형 학습자들보다 비구조 문제해결과 논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그러나 논증의 하위 영역별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구조 문제해결 성취도와 논증에서 메타인지지식 상위집단과 메타인지조절 상위집단의 비교 및 메타인지지식 하위집단과 메타인지조절 하위집단의 비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기에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한데, 한 해석은 메타인지 자체가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메타인지를 지식과 조절로 나누어 비교하여 검증하는 것이 무의미했을 것이라는 점이며, 또 하나의 해석은 처음부터 메타인지를 지식과 조절로 구분하여 비교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셋째, 비구조 문제해결과 논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구조 문제와 논증뿐만 아니라 논증의 하위영역에서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구조 문제해결과 논증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style (visualizers vs. verbalizers) and metacognition (knowledge of metacognition vs. regulation of metacognition) on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when students individually tried to solve ill-structured problems. Each subject was asked to complete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test after he or she completed both questionnaires that identify his or her cognitive style and the level of metacognition. Eighty-three students were identified as visualizers twenty as verbalize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as follows: First, verbalizers had higher score than visualizers i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This indicates that verbalizers performed better than visualizers i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However, no effects of cognitive styles were found on the sub-elements of argumentation. Second, no effects of both the knowledge of metacognition and the regulation of metacognition were found o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There are two possible explanations. One explanation is that because metacognition did not a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s, there would be no necessary to divide metacognition into the knowledge of metacognition and the regulation of metacognition and verify them. The other explanation is that from the first, there would be no necessary to divide metacognition into the knowledge of metacognition and the regulation of metacognition in comparing the scores of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Third, the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betwee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which indicates that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 KCI등재

        ‘예배는 신앙을 형성한다’ - 회중의 인지구조를 중심으로 -

        박관희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2

        현대 예배학은, 실천신학 연구방법론에서 볼 때에, 질적 연구 위주의 역사적 문헌연구와 예전 문서의 신학적 해석 등과 같은 해석자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이렇게 예배연구에서 해석자 중심은 예배의 전통과 구성요소에 대한 성서적·신학적·역사적 정당성을 확보하였지만, 문화의 다양성과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하여 왔다. 그 결과 현대 예배학은 예전에 관한 입장의 차이, 기독교 예배와 세상 문화 사이의 관계, 예배에서 회중의 능동적 참여 문제 등과 같은 예배 이슈들에 직면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공예배는 초대교회에서부터 신앙형성과 신앙강화의 강력한 수단이었지만(Ut legem credendi, lex statuat supplicandi), 회중이 어떻게 신앙이 형성되는지 그리고 공예배와 신앙형성의 상호작용 간에 어떤 메커니즘이 작동하는지를 다루지 못해 왔다. 본 논문은 신앙생활(lex agendi, lex vivendi)에서 믿음과 순종을 지향(lex credendi)하는데 바람직한 예배(lex orandi)가 무엇인지를 찾는 과정 중 ‘예전에 의한 신앙형성’의 핵심인 회중의 인지구조를 제시하고 실증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공예배에서 회중의 인지구조(지·정·의)는 4중 구조 예배의 전 영역에서 감정이 의지(행동)에 영향(또는 형성)을 줄 때 이성이 일정부분 조절역할을 하였고, 설교 영역에서는 이성이 의지에 영향을 줄 때 감정이 일정부분 조절역할을 하였다. 그래서 회중의 인지구조는 4중 구조 예배를 통해 신앙형성을 유발하였다. 본 논문의 시사점은 회중의 인지구조는, 4중 구조의 예배에서 설교를 강조하기 보다는 예배요소 그 자체를 강조하는 관점을 제공하고, 이것은 공예배를 통해 하나님의 임재경험 뿐 아니라, 생활예배를 통한 하나님의 임재의식을 갖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cognitive structures such as Reason, Emotion, and Will interact with worship situation for faith formation in the four-fold structure of worship. As a result, Reason moderated the Emotion between Will in all areas of worship. Emotion moderated the Reason between Will in preaching areas of worship. In other words, the four-fold structure of worship led to faith formation through cognitive structure of congregation. Specifically speaking, the congregation opened the door to the heart through intercession and praise in all areas of worship, yearning for God and feeling and experiencing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through the eyes of the heart. And so the congregation listens and realizes the Word more. Also the congregation reflection and enlightenment through the Word led to determination and practice through repentance and devotion, as well as praise and prayer of devo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field of preaching, when the word of God was transmitted through the congregation's reason in a spiritual atmosphere, it appeared to be an emotional reaction and volitional action. As such, the cognitive structure of congregation is a concept that emphasizes worship elements rather than preaching in worship. And it is a concept that not only brings God's presence through public worship, but also take God's presence through life worship.

      • KCI등재

        이상 <날개>의 인지론적 연구와 탈식민주의 문학교육

        김원희(Kim, Won-He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한국민족문화 Vol.41 No.-

        이 글은 이상의 <날개> 텍스트에 내재된 정보체계를 인지론적 관점으로 파악함으로써 1930년대 단편소설 텍스트를 중심으로 탈식민주의 교육의 단초를 제공하고자 쓰여졌다. 인지론적 관점으로 <날개> 텍스트의 정보체계를 파악하는 작업은 작가의 실천적 삶의 가치를 개념적 은유로 확장함으로써 우리의 주체적 삶을 반성하는 탈식민주의 문학 교육의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날개> 텍스트의 정보 전달체계를 분석하면 시간성의 복합적 인지구조를 통해 창조적 역사의식을, 공간성의 전환적 인지구조를 통해 주체적 타자의식을, 존재성의 유기적 인지구조를 통해 초월적 자유의식을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파악된 텍스트의 정보전달 체계는 아래와 같이 문학 교육에 적용될 수 있다. 첫째, 교수자는 시간성의 복합적 인지구조로 식민지의 부정적 현실을 고발하는 창조적 역사의식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주어진 삶에 순응하는 소극적인 삶이 아니라 역사를 창조할 수 있는 능동적인 삶의 의미를 각성하게끔 지도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수자는 공간성의 전환적 인지구조로 식민지 현실을 비판한 주체적 타자의식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다문화 시대 공동체 의식으로 문화의 상대성을 수용하게끔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수자는 존재성의 유기적 인지구조로 식민지 초월적 자유의식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21세기 미래지향적 삶을 추구하는 실천적 삶의 자유의지를 고취하게끔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창조적 역사의식, 주체적 타자의식, 그리고 초월적 자유의식으로 나타나는 <날개> 텍스트의 인지구조와 이에 대응하는 이상의 실천적 삶의 가치는 식민지 현실에 대한 비판을 넘어선 탈식민주의 가치로 21세기 우리의 삶을 다각적으로 반성할 수 있는 문학 교육의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grasp the information delivery structure of text in Sang Lee"s "The Wings", a 1930"s Korean short story by cognitive approach, and to provide educational clues of postcolonial education. Lee opened communication channel to suggest his postcolonial consciousness to readers by presenting consciousness of creational history denying reality through complicated structure of zeitlichkeit, subjective consciousness of the other criticising reality through transitive cognitive structure of space, and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of freedom overcoming the reality through organic cognitive structure of organism. These information delivery structure in his text can be applied to literacy education as follows; First, consciousness of creational history denying reality can help students awakening the meaning of active life creating history rather than following given life. Second, subjective consciousness of the other criticising reality can help students accepting cultural relativity with community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rather than being satisfied with self-centeredness. Third,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of freedom overcoming the reality can help students inspiring the freedom of the practical life seeking future life. In conclusion, he provided opportunity for readers to cultivate the value of postcolonial by suggesting consciousness of creational history, subjective consciousness of the other, and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of freedom through his text in "The Wings".

      • KCI등재

        소송구조신청과 소송절차의 중지 ― 대법원 2008. 6. 2. 자 2007무77 결정에 대한 평석 ―

        이무상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서울법학 Vol.27 No.1

        La Cour suprême a conclu que si une décision de rejet d’aide juridictionnelle déposée pendant la période de correction en vertu de l'ordonnance de révision du timbre par le juge est définitive, en tant que juge, il n'est pas nécessaire de redonner une ordonnance de révision du timbre, mais toute la période de correction décidée en l'ordonnance de révision précédente est reprise et une décision de non–recevoir ne peut être émise que jusque toute la période s'est écoulée. La Cour suprême a aussie conclu que en cas de demande d’aide juridictionnelle, l'exécution de l'obligation de timbrer est suspendue ou différée jusqu'à ce que la décision de rejet d’aide juridictionnelle soit finalisée; par conséquent, l'article 247 paragraphe 2 de code procédure civile(KCPC) sur effet de la suspension de la période est considéré comme analogue. À mon avis, la raison de la jurisprudence n’est pas raisonnable; c’est l’effet de la décision qui accepte la demande d’aide juridictionnelle, et non l’effet de la demande d’aide juridictionnelle, qui donne l’effet de suspendre ou de différer l’exécution des obligations de timbrer. Il peut être accepté comme une théorie d'interprétation de KCPC que si la demande d’aide juridictionnelle est déposée, l’instance soit suspendue. Par conséquent, si la demande d’aide juridictionnelle pour l’exemption de timbrer est élevée, l’instance sera suspendue et le déroulement de la période de correction de tembre sera aussie suspendu; lorsque la decision de rejet la demande d’aide juridictionnelle parvenu définitive, le juge ne peux déclarer non-recevoir de action jusque la période entière de correction est écoulée, en appliquant le deuxième paragraphe de KCPC art. 247 directement. 인지보정명령에 따른 보정기간 중에 제기된 소송구조신청에 대하여 기각결정이 확정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대법원은, ‘소송구조신청이 있으면 소송구조신청을 기각하는 재판이 확정될 때까지 인지첩부의무의 이행이 정지 또는 유예되므로, 기간의 정지에 관한 민사소송법 247조 2항을 유추적용하여 재판장으로서는 다시 인지보정명령을 할 필요는 없지만 종전의 인지보정명령에 따른 보정기간 전체가 다시 진행되어 그 기간이 경과한 때에 비로소 소장 등에 대한 각하명령을 할 수 있다’고 판시한다. 이러한 대법원의 판례는 결론에서는 타당하나, 그러한 결론에 이르는 법리의 전개에 문제가 있다. 우선, 인지첩부의무의 이행이 정지 또는 유예되는 것은 소송구조결정의 효과이지 구조신청의 효과가 아니므로 판례의 법리는 타당하지 않다. 나아가, 판례는 인지첩부의무의 이행이 정지 또는 유예되는 경우 민사소송법 247조 2항을 유추적용하여야 한다고 하면서도 그 이유에 대하여 아무런 법리를 제시하지 않고 있어 설득력이 없다. 필자의 견해에 의하면, ‘소송구조신청이 있으면 구조대상이 된 소송절차가 중지된다’는 것을 민사소송법의 해석론으로 인정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평석대상 사건과 같은 경우, 인지액에 대한 소송구조신청이 있으면 구조대상 소송절차가 중지되므로 인지보정명령에서 정한 인지보정기간의 진행도 정지가 되며, 소송구조신청기각결정이 확정되면 민사소송법 247조 2항을 직접적용하여 보정기간 전체가 다시 경과한 때에 비로소 소장 등에 대한 각하명령을 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 타당하다.

      • KCI등재

        문화인지구조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 체화이론과 발달적체계접근을 기초로

        신혜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8 No.3

        본 논문은 문화와 인지의 오래된 이분법을 넘어, 인간 인지와 문화를 둘러싼 다양한 현상 이해를 위한 새로운 틀로서 ‘문화인지’ 개념을 제안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새로운 융합개념인 ‘문화인지’ 개념을 기존의 인지와 문화의 이분법과 대비시킴으로서 ‘문화인지’ 개념 출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문화인지 개념 출현의 이론적 토대로서 ‘체화이론’ 개념과 ‘발달적 체계접근’을 도입하여 기존의 인지와 문화 각각의 개념으로는 설명되지 않았던 문화인지 현상의 구조와 기능의 독특성에 대해 면밀한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또 유기체내에 존재하지 않던 전혀 새로운 구조와 기능의 출현을 의미하는 ‘문화인지’ 구조가 어떠한 다양한 조건과 맥락 내에서 형성되고 구조화 되는지를 다양한 예들의 제시를 통해 문화인지 구조 개념의 가설적 타당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표상 양식에 따른 다양한 인지와 문화인지의 예를 가설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새로운 구성개념인 문화인지 개념의 출현과 구성이 지니는 다양한 함의를 발달과 교육, 그리고 예술과 치유의 측면에서 조망해 보았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concept of cultuĝnition as a new frame to overcome an old dichotomy between gene and environment and to explain various phenomena around human cognition and culture. For this purpose, there were firstly described the need of a new emergent construct cultuĝnition which is not a combination but a consilience. Two theoretical bases which are embodiment theory and developmental systems approach were implemented for constructing the concept of cultuĝnition. The embodiment theory is the fourth generation in cognitive science and profoundly accept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Embodiment paradigm has demonstrated that cognition is grounded in bodily interactions with the environment and that abstract concepts are tied to the body's sensory and motor systems. Developmental systems approach is also been considered as a promising model to explain emergent new structure and function in human ontogeny as well as phylogeny. Based on this embodiment and developmental systems approach, the process of formation cultuĝnitive structure were investigated. There were discussed some implications from developmental, educational, therapeutical aspects with various samples of cultuĝnitive phenomena. This cultuĝnitive account is useful in understanding and organizing accumulating discoveries of cultural variations in human mind and the body.

      • 인지구조 이론과 다문화 교육

        조태윤(Cho, Tae Yoon)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4 다문화와 인간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실효성 있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위해 인지구조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교육의 가능성에 대해 밝히는 것이다. 인지구조는 인간의 모든 측면, 즉 지적, 정서적, 행동적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가치와 태도는 인지적인 측면과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먼저 경험에 대한 인식론적 차원에서 이해가 되고, 의미가 부여 되어야만 개인에게 내면화 된다. 지금까지의 다문화 교육은 인간과 문화의 본질이라 할 수 있는 인식의 과정과 방법에 대한 논의 보다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일상화된 교육 방법을 통한 접근이 이루어졌다. 인지구조이론에 따르면 인간이 어떠한 행동을 하고 태도를 갖기 위해서는 먼저 인지구조의 변화가 진행되어야 한다. 인지구조의 변화는 다양한 정보와 가치, 문화를 접할 수 있는 새로운 환경에의 노출과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 나가려는 개인적 노력, 그리고 이를 촉진 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통해 일어나게 된다.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 한 평등과 정의의 보편적 가치와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은 인지 발달과 문화 정체성 발달 과정에서 최고의 단계에 속한다. 아직까지 자민족 중심주의 경향성을 지니고 있는 한국의 문화 속에서 갑자기 최고 단계의 의식수준과 태도를 요구하는 다문화 교육은 실효성을 거두기 힘들다. 따라서 지속적 다문화 교육의 성공을 위해서는 의식의 전환을 통한 단계별 사고의 확장을 도모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is based on 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in which realistic and effective methods of education in multiculture can be presented. Children’s perceptions, attitudes and values do reflect their cognitive stage. They connected with the knowledge that is learned through experience first, and then internalized in individual mind with the internal meaning. Therefore above all, to have the individual attitude and value is required the change in the structure of cognition. Sometimes a person’s Knowledge or schemes are not adequate to deal with a new situation, in which case the individual must learn new information in oder to be able to respond more appropriately. In social situation however, a tendency to hold on to old attituds may account for having biases in spite of new experiences. So to change the structure of cognition and get a upright attitudes and values must be required mental effort.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a idea that all students should have and equal opportunity to learn in school. This is not easy in ethno cultural centrism in Korea, thus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to try to change the thinking that can be extended gradationally and more flexible.

      • KCI등재

        Q행렬 오지정 및 인지요소 위계구조가 인지진단모형 추정 양호도에 미치는 영향

        양희원,이규민,강상진 한국교육평가학회 2019 교육평가연구 Vol.32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level in the estimation of cognitive diagnostic model when the Q-matrix was misspecified and/or the structure of attributes was hierarchical. The simulation data were generated under several conditions; the proportion of items containing missspecified attributes, the types of misspecifications, hierarchical and non-hierarchical structures of attributes. The effects of using different number of attributes and different number of examinees were also examined. The hierarchical structures of attribut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linear/divergent/convergent). The quality levels in the estimation of the cognitive diagnostic models were investigated via model data fit and the exact agreement rate of classification of attribute patterns. Based up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items containing misspecified attributes in Q-matrix, the worse the model data fit and the less exact agreement rate of classification of attribute patterns. Also, model with reflecting hierarchical structures of attributes would not produce better fit than that without reflecting hierarchical structure of attributes. The exact agreement rate of classification seemed decreased in the case without reflecting hierarchical structure of attributes compared to the case with reflecting hierarchical structure of attributes. 이 연구는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함에 있어 사용하는 Q행렬이 오지정되었을 때, 그리고 인지요소가 위계구조를 가지고 있을 때, 인지진단모형 추정 양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다. Q행렬에서 오지정된 요소를 포함하는 문항의 비율을 0%․10%․20%․30%, 오지정 종류는 과잉․과소․혼합, 인지요소의 위계구조는 선형․확산형․수렴형을 고려하였다. 인지진단모형 추정 양호도를 확인하기 위해 모의자료를 생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고, 모형적합도와 인지요소패턴 분류정확일치도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Q행렬에서 오지정된 요소를 포함하는 문항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모형적합도는 나빠지고, 인지요소패턴 분류정확도는 감소되었다. 자료의 인지요소 위계구조를 반영하여 분석한 경우에 비해 반영하지 않고 분석한 경우, 인지진단모형 적합도에서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지만, 인지요소패턴 분류정확일치도는 감소하였다.

      • KCI등재

        인간의 마음과 상호주체성:『댈러웨이 부인』에 대한 인지적 고찰

        박소영(Park, So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인문학 분야에 인지적 전환이 도입된 이래, 인간의 인지와 관련된 연구를 문학 분야에 적용하려는 시도는 문학비평에 대한 하나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 인지과학과 문학이 공통적으로 기반하는 부분이 있다면 그것은 인간의 마음에 대한 관심이라고 할 것이다. 인간의 마음과 신체가 갖는 이러한 상관성은 “체화된 마음”(embodied mind) 혹은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체화된 마음 혹은 체화된 인지 가설은 인간은 몸으로 생각한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한다. 인간의 인지구조가 갖는 특징은 그것이 하나의 단일한 경로나 출처를 통해 형성되고 소통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층위의 인지적 구조가 중첩된 상호-주체성의 구조를 갖는다는 것이다. 복잡한 감정의 문제와 관련된 주제를 인지적 관점에서 볼 때 인간의 정신 및 사고, 감정 등이 타인과의 교감 속에서 소통되는 방식은 ‘상호주체성’(intersubjectivity)을 구성한다. 하나의 서사 안에는 다수의 인물들이 등장하여 상호주체성을 형상화한다. 울프는 영미 소설의 전통에서 상호주체성을 잘 구현해낸 대표적인 작가 중 하나로 손꼽힌다. 특히 자신의 글쓰기 실험을 극대화한 소설 『댈러웨이 부인』에서 이러한 인지적 구조의 특성을 구현하고 확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복잡한 상호주체성들의 네트워크를 창조해내기 위해 울프는 상호주체성의 다양한 층위를 설명할 인지구조의 양상을 창출했다고 볼 수 있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cognitive shifts in the field of humanities, attempts to apply research on human cognition to literature have emerged as a new alternative to literary criticism. If there is an element on which cognitive science and literature are based in common, it is an interest in human m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uman mind and the body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embodied mind or embodied cognition . The embodied mind or the embodied cognitive hypothesis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human beings think in the body. The characteristic of the human cognitive structure is that it is not formed and communicated through one single path or source, but has a mutual-subject structure with overlapping cognitive structures at different levels. From a cognitive point of view, the subject related to complex emotional problems is a form of intersubjectivity in which human mind, thoughts, and feelings communicate with others. In a narrative, a large number of characters emerge to shape the subjectivity of each other. Virginia Wolf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prominent writers who have realized intersubjectivity in the tradition of English and American novels. In particular, Mrs. Dalloway, which maximizes Woolf’s writing experiment, can be seen as realizing and exp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cognitive structure. In order to create a network of complex interdependencies, Wolfe has created an aspect of the cognitive structure that explains the various layers of intersubjectivity.

      • KCI등재

        분수의 나눗셈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구조

        이영주,이광호,이효진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분수의 나눗셈 학습 전에 어떠한 인지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학습 후, 분수의 나눗셈 문제를 해결할 때 사전 인지구조에서 개념을 어떻게 연결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3명을 대상으로 임상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자료를 개념도로 구조화시켜서 분수의 나눗셈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학생들의 사고 기제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분수의 나눗셈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