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승휴(1224~1300)의 정치참여와 정치관

        김형수(Kim Hyeong Su)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2

        이승휴는 13세기를 살았던 고려의 역사가로 지금까지 이승휴가 저술한 『제왕운기』는 지금까지 한국의 초기 역사서로 많은 역사가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본고에서는 이승휴와 『제왕운기』를 역사가와 역사서로 이해하기 보다는 정치사적 맥락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승휴는 고종 39년(1252)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몽고의 침임으로 인해 10여 년간 삼척에 거주하게 되었다. 원종 4년(1263) 안집사 이심의 권유로 삼척 생활을 접고 강화로 가서 관직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승휴는 이장용․유경 등의 추천으로 관직에 입문하였다. 그러나 이승휴의 관직생활은 순탄치 못했다. 이승휴를 추천한 문신들은 군주인 원종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은 인물들은 아니었고 오히려 국왕인 원종과 충열왕의 견제의 대상이었다. 이들의 후원으로 관직에 나간 이승휴 또한 국왕의 견제의 대상이었다. 당시 원종과 충열왕은 원의 지원을 배경으로 친위세력을 양성하고 강력한 신료들을 제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군주들의 정치 방향은 유교적 군주론을 지향한 이승휴의 입장과는 배치되는 것이었다. 이승휴는 잘못된 인사행정․국왕 측근 인사들의 발호 등을 비판하다가 결국 충열왕 6년(1280) 감찰사 상소 건으로 인하여 심양 등과 함께 파직 되었다. 이승휴는 이를 계기로 삼척으로 귀향하였다. 귀향 후 그는 『제왕운기』를 찬술하기 시작했다. 이승휴는 자신의 저술 작업을 통해 당대에 대한 인식과 정치관을 정리하였다. 이 저술의 목적은 국왕인 충열왕에게 읽히기 위한 것이었다. 이승휴가 영사시(詠史詩)라는 방법을 택한 것도 방대한 역사를 축약하여 쉽게 읽게 하기 위함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승휴는 나라의 흥망에 대하여 지대한 관심을 기울여 서술하였다. 이승휴는 『제왕운기』를 통하여 치란(治亂)의 전형적인 모습을 제시하였다. 군주가 한의 애제․평제와 같이 너무 나약하여 신하를 제어하지 못하여도 나라가 망하고, 항우와 같이 신하를 믿지 못하고 군주가 독단에 빠지는 것은 나라를 망치는 길이었다. 반면 당 태종과 같이 이미 승평을 이루었어도 항상 어진 선비를 구하고 간언을 용납하여야 했다. 당 태종이 그러했기 때문에 방현령․두 여회와 같은 현상들이 군주를 보필하고 위징과 같은 간신(諫臣)들이 정치의 잘못과 군주의 잘못을 바로잡아 태평성대를 이룰 수 있었다. 이러한 정치는 단순히 군주의 노력만으로는 되는 것은 아니었다. 정치를 올바르게 하기 위해서는 어진 재상과 강직한 언론의 존재가 필수적이었다. 어진 재상과 언론을 나오도록 하는 것은 군주의 몫이었다. 군주의 권한을 신하에게 넘긴다던가, 군주가 신하에게 제어되면 군주는 군주의 도를 잃는 것이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교육을 장려하여야만 했다. Lee Seunghyu was an historian in the 13th century of the Goryeo Dynasty. His book, 『Jyeowangungi』 had brought him to the attention of many historians.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Lee Seunghyu in the political contexts rather than a simple historian. Generally, Confucian scholars in the pre-modern period aspired to go into politics in order to achieve reign of peace through aiding Monarch. Lee Seunghyu followed the same way. Lee Seunghyu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the 39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1252). However, the following year, he had went to Samcheog to visit his mother and stayed there for ten years with the invasion of Yuan Dynasty. After that, Lee Seunghyu stated an official position in Gangwha after ending life in Samcheong by Lee Sim’s suggestion in the 4th of King Wonjong’s Reign(1263). Lee Seunghyu entered politics on the recommendation of Lee Jangyong(李藏用) and Yu Kyung(柳璥). However, He had maintained critical position against political direction of King Wonjong and King Chungyoul. King Wonjong and King Chungyoul intended to foster palace guards and control powerful courtiers. Lee Seunghyu supported Confucian monarch which Kings opposed at that time. Lee was dismissed from political position in the 6th year of King Chungyoul because he had criticized wrong personnel administrations and dominance of King’s closest aids. Finally, Lee Seunghyu returned to Samchuk(三陟). After rerurning to Samchuk, he begain to write 『Jyeowangungi』. He wanted to organize political views and thought of the time through his writing work. The writing was intended primarily for King Chungyoul. For this purpose, Lee used the way of Youngsasi(詠史詩). In particular, Lee Seunghyu gave considerable attention in writing the rise and fall of King’s reign. He described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se and fall of King’s reign in the 『Jyeowangungi』. That is, the regime falls if Monarch does not control his courtiers like Emperor Ae(哀帝) and Emperor Fing(平帝) for his weakness. On the contrary, if Monarch ruled arbitrarily for distrust on courtiers, the regime also falls. God does not protect and care the country if Monarch as Mujong of Tang Dynasty accepted false charges against innocent people and lost his good judgement. On the other hands, Monarch should have accepted good remonstrance and have appointed upright scholars like Emperor Taijong of Tang Dynasty. This politics was not realized only by efforts of Monarch. Righteous courtiers and upstanding journalists are essentially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Ritual system(禮制) and perform impartial politics. The produce of those courtiers and journalists would be possible by Monarch’s role. If Monarch transfers his authority to countries or Monarch was controled by his courtiers, Monarch would lose his royal authority and duty.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to prevent these situations.

      • 동안 이승휴의 불교 인식과 看藏寺

        김도현 한국이사부학회 2015 이사부와 동해 Vol.10 No.-

        이 글은 이승휴의 불교 인식 변화과정과 그 성격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서, 이승휴의 불교관을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의 불교관이 정치·역사 인식과 어떤 관계성을 지녔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논지 전개과정에서 정리한 고려후기 거사 불교, 즉 在家佛敎信者들의 활동이 내포한 사회적 의미를 바탕으로 이승휴의 불교관이 어떤 모습으로 표출되었는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시대에 불교 의례가 개설되었던 목적은 불교가 관념적으로 이해되는 점에서 벗어나 인간사의 구체적 관심사에 대응되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승휴의 동안거사집에 수록된 「간장사기」에 실린 불교에 대한 인식은 당시 거사 불교가 지닌 사회적 의미를 이승휴도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수용하였음을 잘 보여준다. 둘째, 국가ㆍ사회적인 면에서 在家佛敎信者들은 財施 활동을 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보편적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이승휴가 약 10년간 삼화사에서 1,000상자의 불경을 빌려 읽은 후 71세인 충렬왕 20년(1294)되던 해에 홀연히 容安堂 간판을 看藏寺로 개칭하고 승려가 주석할 밭을 희사하였다는 내용이 실린 「看藏寺記」 내용은 이와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용안당을 간장사로 바꾸면서 이승휴는 왕실이 평안하고 번성하는 가운데 또한 국왕이 성세를 누리며 승평의 곡조가 연주되는 것을 길이 즐기도록 축원하였다는 기록은 그가 국가ㆍ사회적인 면에서 財施 활동을 하였음을 잘 보여준다. 셋째, 이승휴는 삼화사 불경 열람을 마친 후 간장사를 만들고, 그가 읽은 불경 내용 또는 불서 해제와 자신의 생각을 기록한 내전록을 충렬왕 24년(1289년) 무렵에 저술하였다. 內典은 불교서적 목록을 정리한 서적으로 여겨지며, 저술한 배경은 재가불교신자로서 하여야할 사회·문화적 책무라 여기고, 국가와 백성들을 위한 실천적 과제로 여겨서이다. 넷째, 「간장사기」를 작성할 당시에는 현실 문제 해결과 역사 인식에서 불교에 의탁한 측면이 강하게 표출되었으나, 몽산덕이가 법어를 내려준 것에 대하여 이에 대한 감사의 표시를 전한 시, 주로 참선, 자기 수양과 관련한 내용을 통해 몽산덕 이와 교류한 이승휴는 그와의 교류 이후 참선과 화두를 기저로 한 불교 인식의 모습이 많이 나타난다. 이승휴는 적극적으로 현실을 이해하고자 하는 태도에 기반하여 종교적인 실천을 통하여 국가와 사회에 봉사하였고, 이를 통해 그의 불교관은 고려 후기 在家佛 敎信者들의 불교에 대한 인식과 맥을 같이 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erspectives on Buddhism and Ganjang-Sa(看藏寺) of Dongan Yi Seung-hyu(李承休 : 1224-1300) ince Buddhism happened, Secular Buddhists(在家佛敎信者) have increased steadily and were understood to give an economic help to Buddhist priest. But They were emphasized the features of accomplishment in Buddhist Sutra. The existence of Believers kept special meaning in later Koryo society. First of all, It managed a various buddhism ceremony which overcame numerous difficulties. At once, Buddhist thought it will be able to solve all problems of nation and society. Yi Seung-hyu also believed that it will bring a lot of peace and happiness. Second, It was an economic support activity. Yi Seung-hyu also donated Yyongandang(容安堂) which was renamed as Ganjang -Sa(看藏寺) Third, The Buddhism believers led the culture of that times. The secular Buddhists of later Koryo society led religion practice together and they served to nation and the society. When he was old. Yi Seung-hyu wanted to put his long-cherished hope on record with a view to recollecting and arranging his life own. The Forth, ever since his exchange with Mongsandeokyi(夢山德異) about Buddhism, Yi Sung-hyu understood the Buddhism as Zen meditation(參禪) and “Hwadu(話頭)”.

      • KCI등재

        大元 使行을 통해 본 李承休의 현실 인식

        윤은숙(Yoon, Eun-S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6

        李承休가 활동했던 때는 무신정권이 종말을 고하고 王政이 복고되는 격변의 시기이다. 아울러 동아시아에서는 기존의 다원체제가 종결되고 몽골 중심의 일원적인 지배가 구축되던 때이기도 하다. 林衍으로부터 폐위를 당한 적이 있던 元宗은 복위 후에 왕권을 확고히 하고자, 쿠빌라이 카안에게 통혼을 요청했다. 그러나 폐쇄적인 황금씨족의 혼례 특성상 매우 이례적인 경우였기에 쿠빌라이 카안의 입장에서는 수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결국 쿠빌라이 카안은 혼인을 허락하기는 했지만, 실행에 옮기지 않고 추이를 관망하고 있었다. 반면, 양국통혼을 통해 고려에서 왕권을 강화하고자 했던 원종은 혼인 성사를 위해 계속해서 쿠빌라이 카안을 압박하였고 이승휴 일행의 1273년 大元 使行은 이러한 민감한 정치 변동 속에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대원 사행은 표면적으로 황후 차부이와 황태자 진김의 冊寶禮에 참가한다는 명분이지만, 근본적인 목적은 정세를 파악해 가능한 한 빨리 쿠빌라이 카안에게 혼인을 실행에 옮기게 하는 일이었다. 1273년 대원 사행에서 원종은 고심 끝에 이승휴를 書狀官에 임명했다. 이승휴가 서장관에 발탁될 수 있었던 이유는 실익 없는 對蒙항쟁 보다는 대원 중심의 세계 질서를 인정하고 그 속에서 고려의 위상을 재정립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양국 통혼을 통해 왕권 강화를 꾀하고자했던 원종의 정치적 견해와 일치한다. 여기에 원종은 이승휴가 강직하고 올곧은 성품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뛰어난 문장력을 소유한 인물임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자신의 목적을 실행 시켜 줄 적합한 인물이라고 믿고 있었다. 이승휴는 대원 사행을 통해 직접 大元의 문물을 접하고 그 실체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대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강화했다. 기존의 고려 지식인들 사이에 회자되던 華夷觀에 입각한 부정적인 몽골 인식은 이승휴의 대원사행을 계기로 화이가 순종하는 정통이라는 인식으로 변모하였다. 이것은 몽골에 항복한 국가의 위기의식이 내재된 것이기는 하지만, 무엇보다 대원 중심의 국제 질서를 인정하고 고려가 혼인 관계를 통해 대원의 상층 질서 안에 편입해야만 고려의 社稷을 보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지극히 현실적 이해관계에 기반하고 있다. 한편, 이승휴가 대원사행을 다녀와서 쓴 賓王錄은 한국사에서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使行錄이다. 賓王錄은 이승휴가 직접 경험한 사행 여정의 어려움은 물론이고 고려 지식인의 시각에서 대원의 정세와 大都의 사정을 살피고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Lee Seung-hyu worked in the end of military regime and recovery of imperial rule. In East Asia, plural systems were terminated to let Mongolia only govern the region. King Wonjong(元宗) who once lost crown by Lim Yeon asked Khubilai Khan to get married in order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However, the marriage was very much exceptional from point of view of Altan urug(黃金氏族) wedding so that Khubilai Khan was difficult to accept the request. At last, Khubilai Khan permitted the marriage and did not put it into practice and watched progress. On the other hand, King Wonjong who attempted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by the marriage between both countries pressed Khubilai Khan continuously to get married, and sent Lee Seung-hyu envoy to Yuan Empire at rapid political change in 1273. King Wonjong sent the envoy to join appointment of empress and prince superficially, and he actually made the envoy inspect political situation to let Khubilai Khan put marriage into practice as soon as possible. In 1273, King Wonjong appointed Seojanggwan(書狀官), Lee Seung-hyu(李承休), upon mature consideration. Lee Seung-hyu was nominated to be Seojanggwan because he gave up useless fighting against Mongolia and instead admitted of Yuan oriented world order to reestablish status of Koryo Kingdom. Lee"s idea coincided with political opinion of King Wonjong who made effort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by marriage between both countries. King Wonjong admitted that Lee Seung-hyu had upright and honest nature as well as excellent writing skill enough to put king"s purpose into practice. Lee Seung-hyu experienced culture of Yuan at marching of the envoy by himself to cognize Yuan in affirmative way. At that time, intellectuals of Koryo Kingdom cognized Mongolia in negative way based on Hwaeegwan(華夷觀) to make change of Hwaee(華夷) by taking opportunity of Lee"s marching of the envoy. The intellectuals cognized consciousness of national crisis that the kingdom surrendered to Yuan Empire: First of all, the intellectuals admitted of international order based on Yuan and thought that Koryo kingdom should be incorporated into Yuan"s order by marriage relation to preserve base of the dynasty that was based on practical interests. And, Lee wrote down "Binwangrok(賓王錄)" after marching of the envoy that was the longest record of marching of the envoy in the Korean history, and that was valuable to have difficulties at marching of the envoy and to investigate situation of capital city of Yuan from point of view of intellectuals of the kingdom.

      • KCI등재

        투고논문 : 이승휴의 『빈왕록(賓王錄)』 연구

        명평자 ( Pyung Ja Myung ) 근역한문학회 2009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28 No.-

        이승휴의 사행은 원나라가 황후와 태자를 책봉하고 賀進使를 요청함에 따른 것이다. 고려는 무신들의 전횡으로부터 실추된 왕권을 회복하고 고려의 정통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 원나라 공주와의 혼사를 추진하여 원의 허락을 얻어낸 상태였다. 이승휴는 원의 정치적 힘을 실감하면서 고려의 자생책은 왕권의 독립이라고 믿고 사대를 무릅쓰고서라도 무신정권으로부터 고려왕조를 안정적으로 지켜내려 하였다. 이승휴 일행은 사행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겠다는 강한 의지와 자신감으로 사행길을 떠났으나 악천후와 병고가 겹쳐 일정에 차질을 빚게 되었다. 그러나 원종의 신임에 감격한 충정은 이승휴로 하여금 죽음을 무릅쓰고 고난을 이겨내게 하였다. 이승휴가 연경에 머무는 동안에 지은 여러 편의 시들에서는 이국의 경관과 문물에 감탄하며 원의 정치적 힘과 문화적 힘을 실감하고 인정하는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이승휴가 원 황실에 올렸던 표문 중 황후와 황태자의 책봉을 하례한 표문이 원 세조를 만족하게 하고 중국인들을 감복시키면서 이승휴는 문장으로 중국과 고려에 알려지게 되었다. 이점에서 그는 문장을 통해 하진사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고 할 수 있다. 이승휴는 후우현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원과 고려 사이에 추진되고 있는 통혼이 차질없이 진행되어 왕조의 번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했다. 후우현과의 인간적 교유가 외교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이승휴의 사행은 麗元의 우호적 관계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賓王錄』은 현전하는 최초의 사행록이라는 의미와 함께 항몽에서 사대로 정책을 전환할 수밖에 없었던 고려왕조의 입장과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여 왕권회복과 왕조의 안정을 위해 애쓰는 고려 지식인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 하겠다. Lee Seung Hue`s envoy was a result of the Won dynasty`s crowning of its Queen and Crown prince as well as the dynasty`s request for the Ha jin sa(賀進使). Koryo hoped to restore the royal prestige and power that had been disgraced by the militia`s uprising. The Koryo dynasty therefore attempted and received Won dynasty`s approval to preserve the legitimate bloodline by wedding the Won dynasty`s princess to Koryo`s crown prince. Lee Seung Hue was well aware of Won dynasty`s political prowess and therefore believed that Koryo needed autonomy in order to truly restore the kingdom`s power. Thus Lee tried to protect Koryo`s royal line from the military power. Lee Seung Hue and his envoy showed strong determination to successfully complete its route when embarking on their travel. However, the envoy was delayed due to bad weather and suffered many illnesses simultaneously. However, Choong Jung who was deeply moved by Won Jong`s loyalty had Lee Seung Hue overcome the challenges despite the life threatening events. The many poems that Lee Seung Hue wrote while resting in Yeon-gyung reveals his admiration towards the foreign land`s civilization as well as the recognition of the Won dynasty`s political power and cultural power. Among the many diplomatic documents that Lee Seung Hue offered to the Won`s imperial household, the document that congratulated the appointment of the Queen and Crown Prince of the dynasty pleased King of Won and impressed the Chinese citizens. This was how Lee Seung Hue became a renowned writer in China and Koryo. It if from this aspect that he can be said to have diligently performed his role as the Ha jin sa through the widespread recognition for his writings. Lee Seung Hue maintained a close acquaintance with Hoo Woo Hyun through which he expected that the intermarriage would proceed without any problems and eventually lead to the Koryo dynasty`s gaining political power and stability. The personal friendshipwith Hoo Woo Hyun also led to a friendly diplomatic relationship and therefore Lee Seung Hue`s envoy allowed a chance to confirm Ryo won(麗元)`s amiable relationship. Bin Wang Rok (賓王錄) is the first envoy journal (Sa Heng Rok) that exists until today and reveals why the Koryo dynasty had to convert its political structure. Furthermore, the scripture is a invaluable resource that reveals how a Koryo elite effectively implemented diplomatic strategies in order to restore the royal power as well as stabilize the dynasty.

      • KCI등재

        고려 중, 후기 역사 서술문체의 다변화와 이승휴의 선택

        심경호 ( Sim Kyung H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0 선도문화 Vol.28 No.-

        이승휴(李承休, 1224~1300)의 『제왕운기(帝王韻紀)』는 몽고 침략과 친원 정권의 수립 이후 민족의 자주성과 주체성을 선양하려는 의도에서 제작된 영사시(詠史詩)로서 역사학이나 국문학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시 속에 담긴 문화적 위기의식과 저항정신은 일연(一然)이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던 동기와 같아서, 단군을 한국사체계 속에 편입시켰다는 점도 주목된다. 『제왕운기』는 세 번에 걸쳐 편집되었다. 초고본을 수정할 때 이승휴는 원과 고려 왕조를 찬양하고 당시의 국왕 충렬왕의 왕권을 공고히 하려는 의식을 담아내었다. 고려 중엽, 후기에는 자국의 역사를 정리하려는 의식이 강하여 여러 다양한 형식의 역사서들이 편찬되었다. 1286년(충렬왕 12) 11월에는 원나라에 보낼 국사를 사관(史館)의 오양우(吳良遇) 등에게 편수하게 한 일도 있다. 원나라의 요구에 의한 역사서 편찬도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때에 이승휴는 독자적인 역사관과 정통관, 문명의식을 지니고 『제왕운기』를 편찬했다. 이승휴는 시양식의 선별에 각별한 의식을 지니고, 『제왕운기』를 시의 형식으로 제시하면서, 오언시와 칠언시를 구별하고, 오언시로 맨 마지막의 「본조군왕세계연대(本朝君王世系年代)」를 작성했다. 이승휴는 『제왕운기』를 통해 ‘본의 일’을 서술하고자 하여, 본 조의 역사를 노래할 때 특별히 오언시를 사용했다. Yi, Seung Hyu(李承休, 1224-1300)’s Jewang Un’gi (Songs of Emperors and Kings) is a historical poem (詠史詩) that was composed to promote ethnic identity and independence after the Mongolian invasion and the establishment of pro-Yuan regime. The poem is highly appreciated in history and Korean literature. Spirit of crisis and resistance in the poem is identical to a motivation for creation of Samguk Yusa by Iryeon, incorporating Dangun in history of Korea. Jewang Un’gi was edited three times. When Yi Seung-hyu edited the first manuscript edition, he praised Yuan and Goryeo, and expressed an intention to strengthen the sovereign power of King Chungnyeol. In the middle and late Goryeo period, historical books in various format were published with a will to organize the history of own country. In November 1286 (12th year of Chungnyeol), a court historian O Yangwu was ordered to edit a Korean history for Yuan dynasty. This shows that there was a case of publishing a history book by demand of Yuan. However at the time, Yi Seung-hyu published Jewang Un’gi, with his own historical view and an idea of authenticity and civilization. Yi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selection of poetic style, thus he present Jewang Un’gi in a format of poetry. Yi distinguished five-words poetry from seven-words poetry in his work, composing Bonjo Gunwang Segye Yondae (The Chronicle and Genealogy of Our Sovereign) in a five-words poem in the last part. In Jewang Un’gi, Yi Seung-hyu wanted to describe ‘events of our country,’ and he used five-words poetry when he narrated the history of the country in particular.

      • KCI등재

        이승휴(李承休) 빈왕록(賓王錄)의 특징과 문학적 형상화

        박용만(Park, Yong-Man) 포은학회 2018 포은학연구 Vol.21 No.-

        1273년 원나라 세조(世祖)가 황태자를 책봉하자 고려에서는 왕종(王悰) 을 하진사(賀進使)로 파견하여 축하하였다. 이승휴(李承休)가 1273년 윤6 월 9일부터 10월 3일까지 남긴 ≷빈왕록(賓王錄)≸은 현재 남아있는 사행기록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의미가 있다. 원종(元宗)은 철저하게 고려의 현실 적인 이익을 취하기 위해 세 차례의 추천을 물리치고 이승휴를 서장관으로 발탁하였다. 이승휴는 사행의 기록을 상세하게 남김으로써 서장관의 책무를 수행하였고, 그 과정에서 모든 것을 기록하는 방식보다 유의미한 것을 상세 하게 기록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원나라 인사와의 수창은 관반사인 후우현(侯友賢)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이승휴와 후우현의 관계는 사신과 관반사의 공적 관계를 넘어 친밀한 인간적 관계가 형성되었다. 당시 사행은 시기적으로 장마철과 겹쳐 열흘 이상 지체될 만큼 험난한 여정이었다. 원나라에 대도(大都)에 이르기까지의 기록은 지체된 사행의 일정은 물론 그 과정의 피곤과 배고픔 등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대도에 도착한 뒤 세조 배알 장면, 황태자 책봉 장면, 연회 장면 등 원나라의 의식에 관해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특히 대도에서의 기록은 이국(異國)의 문물과 경관에 대한 감탄이 주를 이룬다. ≷빈왕록≸은 당시 원나라의 모습은 물론 초창기 고려와 원나라의 관계를 보여주는 기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현재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사행기록으로 이후 사행기록 연구의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In 1273, as King Sejo of the Yuan Dynasty was proclaimed heir to the throne, Wang jong was dispatched to the Hajin-sa to congratulate him in Goryeo. The 「Binwang-rok」 by Yi seung-hyu contains envoy duty from June 9 to October 3, 1273 and it is considered to be the oldest of the remaining private life records. Wonjong chose Yi seung-hyu as the chief recorder, defeating the three recommendations, in order to record the realistic interests of Goryeo thoroughly. Yi seung-hyu carried out the duty of the chief recorder by recording the details of the envoy duty, and in that process, he chose the method of recording the meaning more than the information when recording everything. The work with the famous person of Yuan Dynasty was limited to the foreign messenger, Hu Wu-hyun.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Yi seung-hyu and Hu Wu-hyun formed an intimate human relationship beyond the public relations of the ambassadors and foreign messengers. At that time, envoy duty was a difficult journey that took more than ten days, overlapping with the rainy season. The records from the Yuan Dynasty to the Dae-do depicted not only the schedule of delayed envoy duty but also the tiredness and hunger of the process. After arriving in Dae-do, he recorded in detail the ceremony of the Yuan Dynasty including the scenes of Sejo’s rite, heir to the throne. In particular, the record of Dae-do is made up of the admiration of foreign culture and landscapes. 「Binheongg-rok」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record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the Yuan Dynasty in the early days as well as the appearance of Yuan Dynasty at that time. It is also noteworthy that it is the oldest envoy duty record that remains to the present and is the standard of envoy duty record study.

      • KCI등재

        『제왕운기』의 후고구려 인식- ‘수용’과 ‘배제’의 논리에 주목하여 -

        홍창우 전북사학회 2022 전북사학 Vol.- No.64

        Lee Seunghyu’s Jewang-Ungi included Later-Goguryeo as the subject of narrative. This is a big difference from the fact Ilyeon’s Samguk-Yusa turned a blind eye to history of Later-Goguryeo. Ilyeon revealed one of the negative perceptions of Later-Goguryeo and Gungye ‘by not describing them’. Therefore, this article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Jewang-Ungi tried to express something ‘by describing them’. Looking at the related records of Jewang-Ungi, it was basically confirmed that Lee Seunghyu was greatly influenced by Samguk-Sagi. In particular, Jewang-Ungi was following Samguk-Sagi’s information about history of Later-Goguryeo and its perception. Except for the fact that Lee Seunghyu introduced information to the local people while touring the former territory of Later-Goguryeo, most of history of Gungye and Later-Goguryeo is not meaningfully separated from the contents of Gungye’s Biography in Samguk-Sagi. On top of that,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was no different from perception of Samguk-Sagi. In other words, Lee Seunghyu also negatively recognized Later-Goguryeo and Gungye. In fact, as long as the Goryeo Dynasty continues, it is almost impossible to expect a friendly gaze on Later-Goguryeo and Gungye. However, there is a primary point in that the formation or expression of the negative perception is not the sam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Lee Seunghyu ‘accepted’ Later-Goguryeo in order to show unwavering loyalty to his country by emphasizing the uniqueness of Goryeo achieved by King Taejo above.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ed paying attention to the ‘double-sidedness’ in a way that expresses such hostility or negative perception of Later-Goguryeo at almost the same time. 이승휴의 제왕운기 는 고려 전대의 역사를 일원적으로 정돈한 동국군왕개국연대에서 후고구려를 서술 대상으로 포함시켰다. 이는 같은 시대의 산물인 일연의 삼국유사 가 기이편에서 후고구려사의 기술을 끝내 외면한 것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삼국유사 의 찬자 일연은 후고구려와 궁예를 ‘서술하지 않음으로써’ 이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의 일단을 드러내었다. 그러므로 제왕운기 가 이들을 ‘서술함으로써’ 무엇인가를 표출하고자 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에서 이 글은 시작되었다. 제왕운기 의 해당 기록들을 살펴보니, 기본적으로 이승휴는 삼국사기 의 영향을 크게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나 제왕운기 는 삼국사기 가 전하는 후고구려사와 그에 대한 인식을 고스란히 답습하고 있었다. 이승휴가 옛 후고구려의 영역을 유람하면서 지역민에게 전해들은 정보를 소개한 점 정도를 제외하면, 궁예와 후고구려의 자취 대부분이 삼국사기 궁예전의 내용으로부터 의미 있게 벗어나있지 않다. 여기에 이들의 역사적 의의를, 신생 왕조의 창업을 위해 백성들을 잘 갈무리하여 태조에게 온전히 바친 것으로 귀결한 점은 삼국사기 의 인식과 다를 바가 없었다. 즉, 이승휴 역시 후고구려와 궁예를 부정적으로 인식했던 것이다. 사실 고려 왕조가 지속되는 한 고려의 토대이지만 동시에 극복의 대상이기도 했던 후고구려와 궁예에 대한 우호적 시선의 출현을 기대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나 그 부정적 인식의 형성 혹은 표출 계기마저 같은 것은 아니라는 점에 일차적인 논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생각해보기 위해, 이승휴의 생애를 짚어보았으며 특히 몽골[원] 사행을 앞뒤로 한 인식 변화에 주목해보았다. 그 결과 일연이 몽골[원]의 침략에 당해 그 적대감을 후고구려의 과거 행적에 투영해 민족사의 전체 줄기에서 후고구려를 ‘배제’했다면, 이승휴는 몽골[원]의 힘을 인정한 위에서 태조가 이룩한 고려만의 독자성을 강조하여 조국을 향한 흔들리지 않는 충절을 내보이기 위해 후고구려를 ‘수용’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글은 거의 같은 시기, 후고구려에 대해 그와 같은 적대감이나 부정적 인식을 표출하는 방식의 ‘양면성(이중성)’에 주목할 것을 제안한 것이다.

      • KCI등재

        이승휴(李承休)「빈왕록(賓王錄)」시의 시공성(時空性) 연구

        엄경흠(Eom, Gyeong Hum) 동남어문학회 2015 동남어문논집 Vol.1 No.39

        Lee Seung-hyu arrived at Khanbaliq, the capital of the Yuan Dynasty in 1273(the 14th year of Wonjong) as Seojanggwan(書狀官) of Hajinsa(賀進使) Sunanhu Wangjong(順安侯 王悰), the son of Wonjong(元宗) with the mission of congratulating the empress and the crown prince on their installation. Though the Jungseo Munha Seong(中書門下省) and Jungchuwon(中樞院) did not interview him as he had no official position, he asked three times to be considered again and was finally appointed as Seojanggwan, With Wonjong's absolute confidence, he started on June 9, 1273 and returned to Wanggyong(王京 : capital) on October 3, 1273. Binwanglok was created in this period and was completed in 1290, 17 years after he returned from his diplomatic mission. This paper aims at grasping Lee Seung-hyu's agonies as a human being and his diplomatic intentions that scholars discussed previously by investigating how the changes of chronotope(time and space) in the poems of Binwanglok reflected on the narrator's thought and behavior. Lee Seung-hyu's political ideal and purpose of writing the work as well as his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the Yuan Dynasty were thoroughly concentrated on raising present situations and overcoming them, not on the issues of the past and the future. 이승휴는 1273년(원종 14) 황후와 황태자의 책봉을 축하하는 하진사(賀進使) 원종(元宗)의 아들 순안후(順安侯) 왕종(王悰)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원(元)나라 수도 대도(大都)에 도착한다. 관직이 없다는 이유로 중서문하성과 중추원이 점망(點望)하지 않은 것을 세 번이나 개망(改望)한 후 서장관으로 임명된 그는 원종의 절대적인 신임을 업고 1273년 6월 9일 출발하였다가 10월 3일 왕경(王京)으로 돌아왔다. 「빈왕록(賓王錄)」은 이때의 기록으로 이를 완전히 정리한 것은 사행에서 돌아온 지 17년이 지난 1290년이다. 본고는 「빈왕록」 시에 제시되어 있는 시공성(時空性)의 변화가 어떻게 작중 화자의 사고와 행위로 나타나고 있는지 고찰하여, 앞선 논자들이 논의하였던 이승휴의 인간적 고뇌와 정치 외교적 지향의 실체를 파악하는 근거로 삼고자 하였다. 이승휴의 역사와 원에 대한 인식 및 정치적 이상과 저술의 목적은 과거와 미래의 어떠한 것보다 현재 상황의 제시와 극복에 철저히 집중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이승휴의 학술사상과 원나라 중국 이해

        이경룡 ( Lee Kyeng Lyo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0 선도문화 Vol.28 No.-

        이승휴는 고려말기 문인이며 관원이었으며 『동안거사집』을 남겼다. 본 논문은 문집에 실린 그의 학술사상과 원나라 중국의 이해를 살펴보았다. 젊었을 때 유불도 삼교합일에 따라 삶과 학술을 설계하고 훌륭한 문인이 되려고 하였다. 삼교합일은 불교의 마음수양, 도교의 양생술, 유학의 경세 각기 다른 역할을 병행한다는 것이다. 경세는 현대의 사회과학에 해당하며 마음수양과 양생술은 인문학과 의학에 가깝다. 따라서 삼교합일은 인문학과 사회과학을 병행하는 것을 말한다. 그는 40대 이후부터 경세 관료가 되려고 역대왕조의 계승과 국가의 흥망성쇠를 연구하였다. 단군조선의 역사를 이해하고 『제왕운기』를 편찬하였다. 중요한 것은 인류세상을 경세하였다는 단군에 그치지 않고 우주의 창조주와 주재자로서 종교적 영군(靈君)이라고 승격시켰다. 영군은 경세뿐만 아니라 심신 수련의 최종 목표로서 종교적 주재자이다. 따라서 영군은 삼교합일의 종교적 정점이라고 볼 수 있다. 영군은 심신 수련에서 유가의 도심과 불교의 영명에 해당하기 때문에 한국 심학의 철학적 근원이 되었다. 그는 원나라에 사신 가서 원나라의 학술변화를 보았고 문인들과 교유하여 그의 시문은 높은 평가를 받았다. 당시 원나라 학계는 성리학이 개인 수양의 도학에서 경세학으로 전환되고 있었다. 그의 경세학은 동아시아 성리학의 변화를 반영하였다. 그는 평생 동안의 수양공부 결과로 만년에는 이신(怡神)에 경지에 이르고 외적으로는 사사무애의 원만한 경지에 이르렀다. Lee, Seung Hui(李承休) was a notable scholar and official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left a collection of works. This paper make clear his scholarly thoughts and his understanding of the Yuan Dynasty China in the literature book. When he was young, he planed to join together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三敎合一) in his life and learning and tried to become a great literary official. The three school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mind-building in Buddhism, curing in Taoism, and administration of state affairs in Confucianism. After his 40s, he studied the succession of previous dynasties and the rise and fall of the states in order to become a competent government official. Therefore, he understood the history of Dangun-Joseon(檀君朝鮮) and compiled the “Jewangungi(帝王韻紀)” and understood Dangun(檀君) as Yeon-gun(靈君) of Spiritual Creator and Dominator of the whole universe and all human being. Young-gun has laid a foundation as the dominator of every human souls and all things in Korean metaphysical philosophy, which is equivalent to the moral mind(道心) of Confucianism and the watchful spirit(靈明) of Buddhism. He lived in the capital of the Yuan Dynasty and be aware of the New Confucianism(性理學) in Yuan Dynasty and associated with the literati, so his poems received high praise. At that time, the New Confucianism traditions of the Yuan Dynasty was shifting from individual-discipline(個人修養) to administration of state affairs(經世). His thought of state affairs(經世思想) reflected some of the change in the New Confucianism. In his later years, he rose to the status of calm happiness in mind(怡神) and externally to the full mature level of amicable love to everybody.

      • KCI등재

        이승휴의 『제왕운기』에 대한 연구 현황과 쟁점

        박인호(朴仁鎬)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8

        이 논문은 이승휴와 『제왕운기』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일별하면서 연구 성과를 점검해보고 쟁점을 드러내어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제까지 연구 상황을 보면 이승휴의 역사관에 대해 연구자마다 각기 다른 개념 속에서 유교사관ㆍ신이사관ㆍ천도사관 등을 그 특징으로 거론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이승휴가 가지고 있었던 역사관에 대해 그 정체성이 모호해지는 양상까지 보이고 있다. 역사적인 내용을 서술하는 데 자유롭지 못하였던 무인정권과 이어지는 원간섭시기 문인 지식인들에 의해 새로운 역사서술의 형태로 나타난 것이 외형적으로 시문의 형태를 지닌 역사서이다. 그런데 이러한 시문들은유교적인 역사서술을 문학적 형태로 나타낸 것이며, 내용에서는 유교적 역사관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시기의 시문들을 신이사관이나 혹은 천도사관으로 표현하는 것은 이 시기의 주도적인 사상 흐름과는 배치된다고 하겠다. 서술에서도 사실에 대한 고증을 강조한 점, 가능한 한 문헌자료를 전거로 제시하여 서술에서의 객관성을 강조한 점 등은 김부식이 확립한 유교사관이 진전되어 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승휴는 원 지배 하의 고려 현실을 긍정하고 원을 찬양하는 친원적인 입장에 서고 있었으며, 군주권을 강조함으로써 현 국왕 중심의 정치체제를 공고히 하려는 현실의식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제왕운기』는 고려라는 국가의 번영과 계승에 주의하는 국가주의적 측면에서 집필을 시작하였다. 다만 국왕의 위엄과 왕조의 계통성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서술에서는 적지 않게 신이적인 측면을 용인하였다. 또한 폭압적인 환경속에 있었기 때문에 제도적인 개혁을 통해 새로운 문명을 창출하려는 의식도 부족하였다. 『제왕운기』는 역사상에 나타나는 정통과 군주권을 강조하고 파행적 정치상을 비판함으로써 군신이 각기 제 역할을 다하는 정치의 달성을 위해 군주에게는 경계를, 신하들에게는 경고를 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중국과 우리나라의 과거 역사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되어 나간 것이다. 중국사에서는 사마광의 공업적 정통논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면서도 고려가 처한 현실적 입장에서의 정통론을 적용하고 있다. 한국사에서는 단군후예론을 바탕으로 기자를 거쳐 삼한-삼국으로 전개되는 것으로 보았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established researches relating to Lee seung hyu(1224~1300) and Jewangun-gi and to investigate some points of dispute and finally to offer an another direction of the research about those. According to up to the present products, each researcher has been asserted these themes based on various historical views such as confucianism and the Sineesagwan-a historical view that approved some narrative tales and myths as historical facts and the Cheondosagwan-a historical perspective emphasizing the might of Heaven. At the result, their researches brought a essential historical view of Lee seung hyu into being equivocal. There were proses and poetries as a new historiography written by clerisy in a regime of military officers that couldn’t describe at liberty about the current of times and a period of interfering by won dynasty. Their proses and poetries were the literature form of historiography based on confucianism. Their proses and poetries which based on the Sineesagwan and the Cheondosagwan were contrary to the main stream of ideas and morals at that times. The way of his describing which the way of historical investigation was adapted and many of documents were selected as evidence meaned that the historical view of the confucianism established by Kim-Busik(1075~1151) was getting to settle. Lee seung hyu stood in the pro-Won dynasty by accepting to reality of the Goryeo dynasty interfered by the Won dynasty and then he admired the Won dynasty and more over he had a real recognition that the King had to be focus of the governing and politics by emphasizing the right of the King. Lee seung hyu tried to write Jewangun-gi in focus on the prosperity and succession of the Goryeo dynasty. But As he tried to emphasize the dignify of the king and lineage of dynasty, he adopted to describe the way of the Sineesagwan a little bit. It can be appraised that Jewangun-gi offered the instruction of alert to the King by emphasizing the legitimacy of dynasty and the right of the King and suggested the warning toward the official subjects by criticizing the abnormal politics and then guided that the king and subjects could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their place. In the process of seeking his intention, Lee seung hyu attempted to extend his description to the histories of Chinese dynasties and Korean dynasties before the Goryeo in Jewangun-gi. In the part of Chinese history, he tried to accept the legitimacy principle by appraising achievements which Samagwang adapted. In the part of Korean history, he adapted to develop from Gijajoseon to Samhan-Samguk based on the theory of considering Dangun as the founding father of the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