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민국임시정부 두 대통령 이승만과 박은식의 관계

        오영섭 숭실사학회 2014 숭실사학 Vol.0 No.32

        이승만과 박은식은 한국의 독립을 위해 싸운 독립운동가들이다. 이들은 개화기에 위정척사론을 벗어나 개화사상을 수용하고 대한제국의 국권회복과 인민계몽을 위해 노력했고, 대한제국 멸망 후에 독립운동을 벌였고, 1919년 9월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임시대통령을 맡았다. 이러한 공통된 경력과 활약 때문에 이들은 한국 독립운동의 지도자로 인정받고 있다. 이승만과 박은식은 해외 망명 이전에 서울에서 친밀한 관계는 아니었다. 이들은 국내에서 언론활 동과 계몽활동을 벌일 때에 접촉했을 가능성은 있다. 이들은 1919년 9월 임시정부 성립 후에 임시 정부에서 함께 활동하였다. 1920년 12월 이승만이 상해에 부임했을 때 박은식은 이승만 대통령을 극진히 환영했다. 이는 박은식이 이승만의 성공을 기원한 것이다. 이승만과 박은식은 정치 성향, 학문과 종교, 독립노선, 지지세력의 성향 등에서 매우 달랐다. 이승 만은 기독교와 서양사상을 받아들인 후 미국에서 외교독립운동을 벌였다. 박은식은 양명학을 수 용한 후 중국에서 언론­출판 활동을 벌였다. 특히 박은식은 한국민의 통일을 강조하며 독립운동 계의 정신적 대부가 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독립운동을 할 때에 이들이 서로 반대되는 관계였음을 보여준다. 한국 독립운동가들이 임시정부의 유지와 개혁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을 벌일 때 이승만과 박은식 은 양측을 대표하였다. 박은식은 1920년 12월 대통령의 상해 부임 환영회장에서 이승만을 공화제 를 실천할 인물이라고 칭송하였다. 그러나 그의 이승만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는 이승만이 임시정 부의 혼란을 해결하지 못하면서 철회되었다. 박은식은 1921년 2월 임시정부 개혁운동의 전면에 나서서 국민대표회의의 소집을 요구하였다. 1923년 여름 국민대표회의가 끝난 후에 임시정부의 헌법 개정과 대통령 탄핵 문제가 시작되었다. 1924년 12월 박은식은 임시정부 내 평안도출신 개혁파 인사들의 후원을 받아 임시대통령 대리에 올랐다. 그는 임시대통령 명령 제1호로 이승만이 지휘하는 외교독립운동 기관인 구미위원부(Korean Commission)에 대한 해산 명령을 내렸다. 또한 임시국회가 이승만 대통령에 대해 탄핵 조치를 내리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승만이 대통령에서 쫓겨난 후 박은식은 이승만을 강하게 비판했다. 박은식은 이승만이 임시정 부 최고 지도자로서의 실정을 범했음을 지적했다. 나아가 박은식은 이승만이 상해를 떠나 미국에 머물렀기 때문에 임시정부의 업무가 제대로 처리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이승만세력 은 박은식이 대통령대리에 뽑히는 과정이 임시정부 헌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이승 만세력은 박은식이 임시정부 대통령이 된 것은 무효라고 주장하였다. 박은식이 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에 오르는 과정에서 안창호는 큰 역할을 하였다. 안창호는 박은 식을 후원한 임시정부의 청년층 인사들에게 임시정부 개혁 방법을 자세하게 지시하였다. 이는 박 은식의 반이승만활동의 모든 방법이 안창호세력으로부터 나온 것임을 보여준다. Rhee Syngman and Park Eunsik were the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Apart from the Theory to Defend and Reject Heterodoxy, they adopted the Perception of Enlightenment Thought about Modern World and sought to attain the national rights of the Great Han Empire, recovering the its national rights and trying to popular enlightenment. After the collapse of its empire, they carried on an independence movement and were inaugurated as president in September 1919. Because of these similar careers and activities, they were recognized as the leaders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efore exiled, Rhee Syngman and Park Eunsik had not close relationship. It was likely to contact each other when they carried on the media activity and enlightenment movement. They acted together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fter the establishment of its government in December 1920. In December 1920, when Rhee Syngman appointed to Shanghai, Park Eunsik gave him an enthusiastic welcome. This meant that Park Eunsik prayed for success of Rhee Syngma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hee Syngman and Park Eunsik, such as inclination of politics, studying and religion, direction of independence, the tendency of supporters. Rhee Syngman believed in Christianity and adopted the western thought and conducted the diplomatic independent movement in U.S.A. After the adoption of Yang-Ming Philosophy, Park Eunsik carried on the activity of media and publishment in China. Especially, he stressed on Korean national independence and became the spiritual leader of the party of independence. Because of such differences, they opposed to each other in independent movement. When the problem of maintain and reform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caused conflicts among the Korean independent activities, Rhee and Park represented both sides. Park acclaimed Rhee as a personage practiced the republic in the welcome party of him arrived at Shanghai in December 1920. But Park Eunsik’s friendly manner to Rhee was dropped, as Rhee Syngman could not solve nothing about confus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February 1921, Park Eunsik asked the National Representative Conference, coming to the front of reform move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the summer of 1923, after the National Representative Conference, the problem of constitutional reform and presidential impeachment became serious. In December 1924, Park Eunsik acted for president receiving the support from those who were reformation party from Pyongan-do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Park Eunsik ordered the breakup of Korean Commission as the first Order of provisional president, which was the diplomatic institution for independence leaded by Rhee Syngman. Moreover, Park played the vital role that allowed the provisional assembly to introduce a bill to impeach the president. After the impeachment of Rhee Syngman, Park criticized him heavily. Park pointed out his misrule as the best leader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other reason for his criticism was that the task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was not handled correctly because Rhee stayed in the U.S.A. leaving from Shanghai. About this, Rhee claimed that there was a breach of the constitution in the course of election of Park as the provisional president, and so claimed the invalidity of his election. Ahn Chang-ho played the crucial role in the course of election of Park as the Second Present in Provisional Government. Ahn instructed in detailed the method of reform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to the young men who supported Park. This meant that the all measures of anti- Rhee movement of Park were drawn from the party of Ahn.

      • KCI등재

        이승만의 상해 체류 활동

        오영섭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7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1

        1919년 9월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통령에 오른 이승만은 임정 소재지인 상해에 부임하지 않았다. 그 대신 그는 미국에서 구미위원부를 중심으로 외교독립운동에 전념하며 전보와 서신을 통해 임정을 원격 통치해나갔다. 중요 정무가 지체되고 적체되는 폐단이 발생하자 임시의정원은 대통령의 상해 부임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이승만은 상해행을 결행하였다. 이승만은 1920년 12월 5일부터 1921년 5월 28까지 약 6개월간 상해에 머물렀다. 그런데 이승만의 상해 체류에 대한 기왕의 평가는 부정적 평가 일색이다. 그가 대정략과 대자금을 준비하지 않고 상해에 부임하여 임정의 난맥상을 해소하지 못했으며, 임정 내외에서 반임정ㆍ반이승만 운동이 벌어지는 상황에서 반대세력을 포용하지 못하였고, 적대세력이 테러위협을 가하자 워싱턴회의 참가를 핑계로 밤중에 몰래 상해를 떠나 하와이로 돌아감으로써 임정의 분란과 분열을 촉진시켰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승만의 상해 체류 활동에 대한 기왕의 부정적 평가는 재고의 여지가 있다. 첫째, 임정의 침체와 분열 원인을 분석함에 있어 임정의 태생적 약점인 재정곤란ㆍ노선차이ㆍ지방파쟁ㆍ조직의 비효율성 등의 문제를 제쳐두고 오로지 이승만 개인의 지도력 부재 문제만을 추궁하였다. 둘째, 이승만이 상해에서 임정 유지를 위해 또 독립운동의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그 나름의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주목하지 않거나 비판적으로만 파악하려 하였다. 이런 문제들로 말미암아 이승만의 상해 체류 활동에 대해서는 새롭게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이승만의 상해 부임 직전 임정은 재정과 운영 면에서 심각한 어려움에 처해 있었다. 당시 임정 요인들은 이승만이 대정략과 대자금을 가지고 상해에 부임하여 임정의 갈등과 분란을 해결해주기를 기대하였다. 그러나 상해에서 이승만은 임정의 현황을 관찰한 결과 여러 세력들의 노선차이로 인해 대사가 이뤄질 가능성이 적다고 판단하고 임정 문제에 대해 소극적인 자세로 일관하였다. 그는 반임정ㆍ반이승만 세력의 임정 개조 및 창조 운동에 대해 완강히 반대하며 임정의 현상유지정책만을 힘써 행하였다. 이승만이 상해에서 추진한 임정의 현상유지정책은 여러 방향으로 펼쳐졌다. 이는 임정의 제도와 골격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독립운동을 벌이자는 것이었고, 기호파 인사들이 주축을 이룬 정부옹호파의 후원을 등에 업고 추진된 것이었다. 첫째, 이승만은 임정의 통치제도 개조 논쟁에서 대통령제의 유지를 주장하였다. 그는 이동휘 국무총리의 사퇴 요구를 민의가 아니라며 반대했고, 국무위원제도를 공산당식 위원제라며 극력 반대하였다. 둘째, 이승만은 독립전쟁론이나 의열투쟁론 등 급진적 독립노선을 되풀이하여 질타하였다. 이는 외교독립노선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그에 대한 지지를 얻으려는 것이었다. 셋째, 이승만은 임정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려 하였다. 그는 임정의 기구와 인원을 축소하여 인건비와 경상비를 절감함으로써 임정을 유지하려 하였다. 넷째, 이승만은 친위단체를 조직하여 임정 옹호 활동을 벌이도록 하였다. 그는 반임정ㆍ반이승만 운동이 거세지자 지지자들에게 협성회란 단체를 조직하여 임정 및 대통령을 보호하게 하였다. 이승만이 대통령 중심제로 짜여진 임정을 유지하려 애썼던 것은 몇 가지 이유 때문일 것이다. 우선, 미국식... Syngman Rhee stayed in Shanghai about 6 month from 5th December 1920 to 28th May 1921. However, the evaluation of his activities in Shanghai was very negative. It was because he assigned to Shanghai without great-political strategy and great-funds, and he could not tolerate the counterforce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KPG), and he promoted the dissolution and confusion in the KPG as he return to Hawaii on the pretext of attend in Washington Conference. However, there is room to reconsider the negative evaluation of Syngman Rhee’s activities in Shanghai. First, we should consider simultaneously the viviparous weak point of KPG of financial difficulties, difference in ideological orientation, regional strife and inefficiency of organization and his own’s absence of leadership in related with the cause of depression and division of KPG. Second, we also consider that Syngman Rhee tried to overcome the recession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maintain of KPG in Shanghai in his own way. The KPG was in serious financial and management trouble just before Syngman Rhee’s assignment. The leading figures of the KPG expected that Syngman Rhee assigned to Shanghai with great-political strategy and great-funds and resolved the conflict and confusion of KPG. However, Rhee concluded that the KPG could not be easily united because of the ideological orientation of various parties, so he maintained a passive attitude in current issues of KPG. He carried out a policy of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opposing the remodeling and creative movement of the government of anti-KPG and anti-Syngman Rhee parties. The policy of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developed by Syngman Rhee in Shanghai ran in several directions. This meant to develop the independent movement in the condition of maintaining the institution and framework of KPG. It was also promoted by the support of advocative parties of government constituted the mainstay of Giho Party. First, Syngman Rhee asserted to maintain the presidential system in the dispute over the ruling system of KPG. He opposed the request for resignation of president because it is not the will of the people, and also refused the system of Cabinet as it is the Communist committee system. Second, he criticized the radical methods for independence such as theory of independent campaign and theory of patriotic struggle. This was to emphasize the ideological orientation for diplomatic independence movement and sought to receive support. Third, Rhee tried to improve efficiency of management of KPG. He sought to reduce the personal and operation expenses through the decrease in numbers and organization in KPG. Fourth, he organized the Guards and made them advocate the KPG. As the movement for anti-KPG and anti-Syngman Rhee was grew more powerful, he organized the Hyupsunghui with his supporters and made them advocate the KPG and president. There were several reasons that Syngman Rhee strived to maintain the KPG. Frist, he became the president of KPG for the first time, which adapt the American-styled republicanism, through the Governor of Council of Hanseong Provisional Government. Second, only if he maintained the position of president, it could be possible to push forward the diplomatic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with great powers of Europe and America. Moreover, as Rhee maintained the position of president, he thought that he could easily raised the independent funds for Korean-American, and through this he had hegemony over the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

        태평양전쟁 시기의 이승만의 대미 외교활동에 미친 제랄딘 피치(Geraldine T. Fitch)의 역할

        박명수 한국교회사학회 2018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1 No.-

        이승만은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자 본격적으로 임시정부 승인외교를 펼쳤다. 이런 과정에서 많은 미국 기독교인이 그를 도왔고, 그 중에 주목할 만한 사람이 바로 임시정부와 미국의 언론인들을 잘 알고 있는 여자 선교사 제랄딘 피치(Geraldine T. Fitch)였다. 이승만과 제랄딘 피치는 미국이 한국을 승인하고, 무기를 대여해주어 한국의 독립을 돕는 것이 태평양전쟁에서 이길 수 있는 길이라고 주장하였다. 제랄딘 피치는 다음 몇 가지 점에서 이승만과 한국의 독립운동을 도왔다. 첫째, 제랄딘 피치는 자신의 중국과 미국의 인맥을 통하여 한국의 독립운동을 도왔다. 특별히 그는 장제스의 부인 쑹에이링을 통하여 임정 승인운동을 도왔다. 둘째, 제랄딘은 이승만의 주요 조직인 한미협회와 기독교 인친한회에 다같이 참여하여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뿐만이 아니라 이승만과 입장을 달리하는 사람들과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서 단합된 독립운동을 이루려고 노력하였다. 셋째, 제랄딘은 한국의 독립운동과 임시정부 승인운동을 미국언론에 널리 알리고, 자신이 직접 TIMES을 비롯한 유수한 언론에 직접 기고함으로서 이승만과 독립운동을 도왔다. 넷째, 제랄딘은 이승만을 지지하여 미국의 독립운동이 이승만을 중심으로 단합할 것을 호소하였다. 그는 김구와도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었지만 이승만이 한국의 독립운동의 상징적인 인물이며, 앞으로도 이승만이 대한민국을 이끌고 나 갈 사람이라고 보았다. 접 When the Pacific War broke out, Rhee Syngman aggressively engaged in international diplomacy on behalf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the process, many American Christians came to his support; notable among them was Geraldine T. Fitch, a female missionary who knew the provisional government’s situation and was well-connected to American journalists. Syngman Rhee and Geraldine Fitch argued America’s approval of provisional government and provision of arms through the Lend Lease Policy would help Korea's independence and would win the Allies the Pacific War. Geraldine Fitch helped Rhee and Korean independence movements in several ways. First, Geraldine helped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her Chinese and American contacts. In particular, she leveraged her connection with Chiang Kai-shek’s wife Soong Mei Ring to support the movement to recognize the provisional government. Second, Geraldin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Korean American Council and the Christian Friends of Korea which are Rhee’s main organizations. To achieve a unified independence movement, she made efforts to retain good relationships with people who held different positions than Rhee’s. Third, Geraldine supported Rhee by publicizing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need to recognize the provisional government to the American press. She directly published articles in leading media outlets, including the New York Times. Fourth, Geraldine supported Rhee by insisting that the independent movement should organize around Rhee. Though Geraldine had a deep relationship with Kim Ku, she viewed Rhee as the central figure to lead the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

        이승만정권 후반기의 사회정치적 상황과 노동운동

        유혜경(Yu, Hea-Kyung) 경희법학연구소 2018 경희법학 Vol.53 No.3

        미국의 대외원조체계의 변화를통한 정치적위기감, 기층운동의세력진전, 미국의 대한반도 대외정책의 변화, 이승만정권 자체의 반민중적 폭력적 본질을 원인으로 하여 이승만의 정치권력은 붕괴된다. 이승만정권 하에서 전평타도의 목적하에 우익반공투쟁의 도구로서 이승만의 정치부대화 된대한노총은각각의파벌투쟁에서이승만및자유당의개입속에파벌투쟁을반복하는과정을 거친다. 각각의 파벌투쟁은 파벌투쟁에 이승만이 외부에서 개입하여 파벌을 종식시키는 과정을 취함으로써 비자주성 을 본질로 하고 있고, 수많은 무자격대의원의 문제가 항시 논란이 되어 파벌투쟁이 확산되는 등 진정한 조합원의 결의에 기초하지 않은 노동조합의 비민주성 을 본질로 하고 있다. 특히 수없이 이합집산되는 파벌투쟁의 양상은 특별한 이념이나 정치적 입장을 전개하여 이루어진 것이 아니였고 혁신파의 흐름도 단절적이었던 만큼 대한노총지도체제의 파벌투쟁은 노동조합으로서의 본질을 가지는 것이 아닌 어용적 반공우익단체로서개인권력의야욕이그본질을이루고있다. 즉, 대한노총지도체제의구성원개인이가지는권력욕구가이승만의일인독재지배체제의구축이라는목적과결합되어자유당간부로서 귀착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대한노총의 비자주성 비민주성 이란 본질의 속성하에서 이승만정권 후반기의 노동운동은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첫째, 미군정시기의노동운동이정치투쟁을본질로하고있는것에반하여이승만정권후반기의 노동운동은 쟁의의 45%가 임금과 관련하여 전개되고근로자의 생존과 관련된 안건이 63%에 이르러 노동운동이 노동조합주의의 형식으로 전개된다. 둘째, 사용자에 의한 부당노동행위나 어용조합의 육성 등에 의해 노동운동이 탄압되었던 현실이나 정부측의 사용자의 이익을 우선으로 한 노동정책으로 인해 노동운동이 전반적으로 탄압받는 상황이었다. 셋째, 대한노총과 그 산하의 산별연맹 등은 노동법제정 이후 노조에 대해 효율적인 지원을 하는데 실패하였는데 그 실패의 원인은 ①이승만정권과 상급노조간부의 정치적 결탁이 각노조단위차원의 쟁의에좋지 않은영향을 미쳐서노조의쟁의에 한계로 나타났고②이승만정권하에서는산별연맹이조직되기보다는지역연맹체제를주로하였는데이는지역을 넘어서는 분쟁에 소극적인 반응으로 나타나 전국단위로의 투쟁에 한계로 나타났으며 ③상급체제의분파투쟁이고질적인문제로되어기업별노조에대한효과적인지원을하는데있어 한계로 나타났다. 그러나 1959년 전국노동조합협의회 가 발족되는데, 전국노동조합협의회는 그 동안의 대한노총이이승만의정치부대화하여비자주성을고착시켰던것에대해비판하고노동조합이 그자주성을표방하여제반정치세력으로부터독립하여근로자들에의한자주적노동운동을 구축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결국 이승만정권 후반기의 노동운동은 이승만정권의 몰락속에서 노동조합주의적 노동운동의 본질에 입각하여 전개되었으며, 비자주적이고 비민주적인 대한노총체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모든 정치정당으로부터 독립하려는 자주적 노동운동의 기반확보로서 그 의미가 있다. The regime of Syngman Rhee collapsed mainly due to the following four causes. Among the four causes, the first was the change in the foreign aid policy of the United States. Secondly, progress was made by main political forces connected with people’s movement. Third, there was a change in the foreign policy of the United States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forth reason was the anti-democratic and violent nature of Syngman Rhee’s regime itself.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KCTU), which acted as a tool for the anti-communist struggle of the right-wing was based on the essentials of non-independence and non-democracy. The factional strife among the upper leadership system of KCTU was developed without any special ideology or political stance. Only, the factional strife was essentially a power struggle involving the Liberal Party. Meanwhile, the labor movement in the second half of Syngman Rhee’s regime bore three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the protection of the right to live, such as obtaining wage increases, was an essential characteristic. Therefore, it demonstrated the characteristics of a cooperative labor movement in comparison with how the labor movement at the time of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was characterized by political struggle. Secondly, the labor movement was limited due to the systematization of the employer’s company-dominated union, strengthening unfair labor practices and the non-neutral labor policies of the executive branch. Thirdly, the expansion of the labor movement was prevented due to the negative effect that the factional strife among the upper leadership system of the KCTU had on local labor unions. However, in 1959, the [Whole nation-Trade Unions Conference] was established. It criticized the non-independence of KCTU and primarily emphasized how trade unions should stand independent from all political forces. Finally, the organization of the〔Whole nation-Trade Unions Conference〕 has a special significance as it signifies the foundation of the independent labor movement.

      • KCI등재

        이상재와 이승만 : 개화・선교・독립을 위한 협력과 후원 관계

        오영섭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1

        This paper aimed to research into cooperative and patronage relations between Yi Sangchai and Syngman Rhee who evaluated the Christian fighters for independence. At first, Yi Sangchai and Syngman Rhee entered into a relation in the movement of Independence Club. They made an alliance in February 1898 when the Independence Club was active in anti-Russian movement. In the autumn of 1898, when Yi Sangchai was sent to prison because of introduce movement of constitutional monarchy, Syngman Rhee released him through holding an all-night demonstration to government. Secondly, Yi and Rhee accepted the Christian democracy in Hansung Prison. Rhee embraced Christianity with a confession to save the nation. In the future, He propagated his religion and made political prisoners such as Lee Christians Thirdly, Yi and Rhee asserted the constitutional monarchy with national reality in mind. Yi maintained that we could secure the liberty of the people and national independence only if the constitution restrict the rights of emperor. Rhee also agreed that constitutional monarchy is a proper political institution in the modern world. Fourthly, Yi and Rhee made ad effort to achieve the national independence and prosperity in Seoul YMCA. Lee prepared the ground of Seoul YMCA’s youth movement, and Rhee spread the movement all over the country. So, Yi emerged as a leader of Christian community, and Rhee grew into a nest leader. Fifthly, Yi supported the Rhee's independent movem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e helped Rhee in financial, spiritual, and political ways. Yi frequently sent independent funds and absolute belief to Rhee. And Lee encouraged Rhee with letters and organized pro-Rhee independent association in Korea. 이 논문은 한국근대사의 주역으로 평가받는 이상재와 이승만이 어떠한 협력-후원 관계를 맺고 활동했는가를 연구한 것이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사실들을 밝혀냈다. 첫째, 이상재와 이승만은 독립협회운동을 매개로 협력-후원 관계를 맺었다. 이상재는 중견관료로서 독립협회 창설 당시부터 관여했고, 이승만은 청년인사로서 언론활동을 벌이다가 뒤늦게 독립협회에 가담했다. 양인은 1898년 2월 독립협회가 반러자주운동을 벌일 때 독립협회의 요구 및 건의 사항들을 정부에 전달하는 총대를 자주 맡아 활동하였다. 1898년 가을 이상재가 ‘헌의6조’를 통해 입헌군주제적 정치체제를 도입하고자 민주화투쟁을 벌이다가 투옥되자 이승만은 반정부 철야농성을 전개하여 이상재를 석방시켰다. 둘째, 이상재와 이승만은 한성감옥에서 기독교 민족주의를 정립했다. 박영효파의 반정부 음모에 가담한 혐의로 체포된 이승만은 자신과 나라를 구해달라는 신앙고백과 함께 기독교를 수용했다. 이후 그는 활발한 전도활동을 통해 정치범 동료들에게 기독교를 전파했다. 국체개혁운동에 가담했다는 혐의로 체포된 이상재는 한성감옥에서 이승만의 인도로 기독교를 수용했다. 이로써 양인의 관계는 독립협회운동 당시 운동의 동지에서 사상과 신앙의 동지로 발전하였다. 셋째, 이상재와 이승만은 대한제국기에 입헌군주제적 정치개혁론을 주장했다. 이상재는 서양과 일본처럼 헌법으로 전제황제의 권한을 제약해야만 인민의 자유와 국가의 자주를 확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승만은 영국과 일본이 입헌군주제 덕분에 종사와 황실이 복락을 누리며 신민들도 덕화를 입고 있다며 입헌군주제가 현시대에 가장 합당한 정치제도라고 하였다. 양인은 종국적으로는 한국이 미국식 민주공화제를 지향해야 한다고 보았지만, 한국의 정치현실과 민도수준을 감안하여 차선의 방책으로서 입헌군주제를 주장하였다. 넷째, 이상재와 이승만은 황성기독교청년회(서울YMCA)에서 기독교 민족주의의 실현을 위해 분투했다. 두 사람은 기독교에서 한국의 독립과 번영의 방안을 찾고자 노력했다. 이상재는 서울YMCA의 교육부․종교부 위원장을 맡아 서울YMCA 청년운동의 토대를 마련하였고, 이승만은 서울YMCA 청년운동을 고착화시키고 전국으로 확산시키는 공을 세웠다. 이 과정에서 이상재는 서울YMCA의 지도자에서 한국 기독교계의 지도자로 부상했고, 이승만은 전국적 지명도를 가진 차세대 지도자로 성장했다. 다섯째, 이상재와 이승만은 대한민국임시정부를 매개로 다시금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이후 이상재는 재정적․정신적․정치적인 방면에서 이승만을 극진하게 도왔다. 우선 이상재는 개신교계 최고지도자로서 자신이 수합한 독립자금을 이승만에게 선교사들과 지인들을 통해 수시로 보냈다. 또한 이상재는 이승만의 반대파들이 이승만을 비판하고 비방할 때에도 끝까지 변치 않고 이승만에 대한 굳건한 신뢰를 보냈다. 나아가 이상재는 수시로 서한과 문건을 보내 이승만의 독립운동을 측면에서 후원하였고, 국내에서 친이승만 독립단체를 결성하여 이승만의 독립운동을 후원했다. 요컨대 이상재와 이승만은 기독교, 친미성향의 경력과 개혁사상, 강렬한 독립사상을 삼위일체로 결합시킨 기독교 개혁운동가 내지 독립운동가로서의 면모를 공통적으로 갖고 있었다는 점에서 정치적․사상 ...

      • KCI등재

        4월혁명과 이승만 정권의 붕괴 과정

        홍석률(Hong, Seuk-ryule)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6 No.-

        The resistance against rigged presidential election in March 15, 1960, started from student demonstrations in Daegu city on February 28 of 1960 and spreaded throughout the cities in South Korea. Then, Student demonstrations did not show concrete political programs to correct rigged election. During the early stage of student demonstrations, there were no requests for resignations of specific officials, including President, who had responsibility on rigged election. The request for resignation of President Rhee appeared at first during the second uprising in Masan city on April 11 but some of demonstrators shouted resignation request only sporadically. Some Democratic Party members had requested resignation of President Rhee since March 15 election but it was no more than offensive rhetoric against government rather than real and practical objective of opposition party activity. The situation of April 19 was similar. On the day, demonstrators went ahead to Kyungmudae. Presidential residence, for delivering their requests to President rather than for expelling President. However, Rhee government shot demonstrators and huge casualty occurred. After it, the objective of mass struggle for democracy developed to ask responsibility of government which conducted cruel violence to the citizen and to request the resignation of President Rhee. From April 25, 1960, the struggle for democracy converted into the struggle for overthrowing of Rhee government and finally next day, on April 26, President Rhee informed people his resignation from presidency. The intervention of the United States into political affairs in South Korea and passive attitude of Korean troops in repressing demonstrations influenced President Rhee to resign. United States had showed non-intervention policy on political affairs in South Korea at the early stage of resistance. However, the leaders of the US government decided to intervene Korean affairs because they worried possibility that the political unrest in South Korea worsened into the stage of radical political change or revolution. Namely, the US intervened into internal politics in South Korea by way of prevention of revolution. Of course, passive attitude of Korean troops against demonstrators came from the US intervention but it also stemmed from Korean Military leaders themselves. Korean troops had maintained some autonomy from Rhee Regime because the United Nations Commander had operational control of Korean troops. But this kind of autonomy of Korean troops from political power also made people worry about the possibility that Korean Army took over political power by the coup at the time. While people's struggle for democracy was main cause for the fall of Syngman Rhee regime, intervention of the US and Korean troops also influenced on the collapse of Rhee regime. Therefore, substantial political change in South Korea after April Revolution occurred in the way that exiting political system maintained and conservative politician kept their political power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US and Korean troops, basically status quo powers in Korean Peninsular. 대중항쟁 과정에서 그 목표와 주체들이 바뀌어가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다. 4월혁명은 이승만 정권의 붕괴라는 결과를 발생시켰지만 이승만 대통령의 퇴진이 항쟁의 시작부터 주장된 것은 물론 아니었다. 1960년 2월 28일 대구지역 고등학생시위로부터 시작된 학생 시위는 노골적인 부정선거에 대한 반발이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시위 구호와 요구사항은 구체적인 정치적 개선사항을 담지는 못했다.특정 기관 또는 특정 책임자를 거명하며, 타도하거나 사퇴를 요구하는 구호 같은 것은 없었다. 3.15 부정선거가 자행된 이후 일부 학생과 시민들은 정부통령 선거의 재선거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이때에도 “이승만 물러가라”는 구호는 나오지 않았다. 학생과 시민의 민주항쟁 과정에서 이러한 구호가 처음 나온 것은 1960년 4월 11일 제2차 마산봉기 때부터였다. 그러나 이는 시위대 일부가 특정한 국면에서 외친 구호였지 대다수의 시위대가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외치는 구호는 아니었다. 제2차 마산봉기 이후 학생시위가 계속되었지만 이러한 시위에서도 이승만 퇴진 구호는 나오지 않았다. 반면 민주당 일부 간부들과 지방당원들은 3.15 부정선거 이후 간헐적으로 이승만 퇴진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이때부터 민주당이 정권타도에 나선 것은 아니었다. 민주당은 기존 정치제도 안에서, 또한 합법적인 틀안에서의 대정부 투쟁을 고수했다.대규모 시위 및 희생자가 발생한 1960년 4월 19일에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4.19 봉기의 과정에서 일부 시위대가 이승만 퇴진구호를 외쳤지만 이러한 구호는 1987년 6월항쟁 때 외쳐진 “호헌철폐”, “직선쟁취” 같이 대부분의 시위대가 공유하면서 반복적으로 외쳐지며 항쟁의 목표를 집약해주는 구호는 아니었다.당시 학생들이 경무대로 간 것도 여러 정황을 볼 때 이승만 대통령을 몰아내기 위해 간 것이 아니라 그에게 항의하고 대화하기 위해 간 것이었다. 그러나 이승만 정부는 경무대 앞에서 시위대에 총을 쏘았고, 대규모 유혈상태가 발생하였다.이에 민주항쟁은 부정선거 문제보다는 시민들에게 무자비한 폭력을 행사한 정부와 집권자의 책임을 묻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4월 23일 민주당의 지도자 장면도 부통령직을 사퇴하고, 이승만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였다. 장면의 부통령직 사퇴론은 3.15 부정선거 때부터 있어왔던 것이었다. 때문에 장면의 입장 표명은 당시에는 뒤늦은 것으로 받아들여졌다.4월 25일부터 민주항쟁은 정권타도 운동으로 전환되는 양상이 뚜렷해졌다. 25일 오후 마산에서는 이승만 대통령의 실명까지 거론하며 그 퇴진을 요구하는 할머니들의 시위가 발생하였다. 한편 같은 날 오후 서울에서는 교수단이 대통령의 퇴진 요구가 포함된 성명서를 발표하고, 시위를 전개하였다. 여기에 몰려든 학생과 시민들은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이승만 대통령의 퇴진 구호를 외쳤다. 이 날의 시위는 사실상 철야시위로 이어졌고, 26일 이른 아침부터 서울 시내에 집결한 군중들은 3.15 부정선거의 재선거, 이승만 퇴진, 경찰 책임자의 처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4월 26일 오전 이승만 대통령은 물러가겠다는 성명서를 발표하였다. 민주항쟁이 정권퇴진운동으로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하루도 지나지 않아 이승만 퇴진이라는 결과가 발생한 것이었다. 이렇게 급속한 사태전환이 발생한 이면에는 미국과 한국 군부의 작용이 있었다. 미국은 3.15 부정선거의 진행과정에서 이른바 내정불간섭을 명분으로 여기에 개입하지 않는 정책을 취하였다. 그러다가 4월 11일 2차 마산봉기를 계기로 상황의 심각성을 느끼고 여기에 적극 개입하는 정책으로 전환하였다. 미국이 여기에 개입하게된 것은 민주항쟁이 사회혼란을 발생시키고 급진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였다. 즉 일종의 예방혁명적인 조치였다. 이에 미국정부는 4월 19일 대규모 봉기와 유혈사태가 발생하자 이승만 정부에게 타협을 촉구하는 방향으로 개입하였다. 또한 4월 25일과 26일 대규모 시위가 재발하자 한국 정부요인을 압박하여 이승만 대통령의 퇴진을 실질적으로 촉구하기도 했다. 이승만 정부는 비상계엄령을 발동하고 군을 투입하여 시위를 막으려 했지만,한국군은 중립적인 태도를 보였다. 당시 한국군의 중립적 태도는 물론 미국의 영향력과 관련이 있다. 이승만 정부는 비상계엄령을 발동하고 군을 투입하여 시위를 막으려 했지만, 한국군은 중립적인 태도를 보였다. 당시 한국군의 중립적 태도는 물론 미국의 영향력과 관련이 있다. 미국 정부와 주한미군 지도자들은 시위 진압을 위해 이승만정부가 한국군을 동원하는 것을 승인하였지만, 군이 시민들과 직접적으로 충돌하지 않도록 거듭 당부하였다.

      • KCI등재

        장제스의 친중정부 수립 구상과 이승만(1945~1947)

        정형아(Jung Hyungah),정창원(Jung Changwon) 동북아역사재단 202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0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장제스와 이승만은 냉전 초기 동아시아 반공의 파트너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인사들이 중국에서 독립운동을 하며 장제스와 관계를 유지해 온 것에 비해 주로 미국에서 활동했던 이승만은 장제스와 교류할 기회가 거의 없었다. 이승만은 1945년 유엔창립총회 기간 샌프란시스코에서 주미대사 구웨이 쥔, 주한 대표를 지낸 샤오위린과 접촉하였다. 당시 이승만은 한국 대표단의 유엔창립총회 참석을 거부한 미 국무부 인사들이 친공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비난하였다. 또한 그는 얄타에서 미국이 한반도를 소련에 넘기기로 했다는 등의 직설적이고 저돌적인 발언으로 미 국무부와 마찰을 빚었다. 당시 중국 측 인사들은 미국과도 마찰을 빚고, 또한 재미 한인 단체들과도 갈등을 보이는 이승만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갖지 못하였고, 그를 반공주의자라고 장제스에게 보고하였다. 한국에서 미군정의 수장 하지와 갈등을 빚던 이승만은 한국정부의 조속한 승인을 연합국에 호소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하였다. 그러나 이승만의 방미는 성과가 없었을 뿐 아니라 미국 측과 더 깊은 갈등의 골을 만들었다. 귀국길에 이승만은 중국의 장제스를 방문하겠다는 뜻을 전하였다. 방문 목적은 한국 독립에 대한 장제스의 지지를 통해 정치적 기반을 구축하려는 것이었다. 이승만의 방문을 앞두고 중국 측 인사들은 이승만이 고집스러운 반공주의자라고 보고하였고, 미국과 오해가 생기지 않기 위해서라도 이승만을 멀리해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그러나 직접 이승만을 만난 장제스는 이승만의 기백과 반공의지를 높이 평가하였다. 그래서 김구에게 약속한 20만 달러 중 10만 달러는 임시정부 주중 대표단에 지급하고 남은 10만 달러를 이승만에게 제공하라고 지시하였다. 이 돈이 최종적으로 이승만에게 전달되었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장제스의 이러한 지시와 더불어 이승만과 협력하라고 김구에게 조언하는 모습을 보면, 장제스는 꼭 김구가 아니더라도 이승만을 통한 친중정부를 수립할 수 있다고 생각했고, 더 나아가 이승만을 이후 동아시아의 반공 파트너로 받아들이기 시작한 것 같다. 1947년 이승만과 장제스의 짧은 만남은 이후 냉전 초기의 혈맹관계로 나아가는 첫 단추가 되었다.

      • KCI등재

        대한민국 초대 정부의 기독교적 성격

        강인철(Kang In-Cheol),박명수(토론자)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0 No.-

        이 글은 ‘종교정치’가 대단히 활발했던 이승만 정부 전반기의 종교적 성격과 국가-교회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자는 이 글에서 (1) 이승만 정부 핵심 구성원들의 종교적 구성과 개신교적 색채, (2) 이승만 정부 정책의 친개신교적 성격이라는 두 가지 쟁점에 집중했다. 먼저, 이승만 정부가 정치지형의 역동적인 재편을 통해 ‘개신교 정권’의 성격을 강화해가는 과정이 이승만이 구사한 종교적 동맹 혹은 배제 전략을 통해 분석되었다. 필자는 (1) 거국내각과 여당의 형성(1948.8∼1950.6), (2) 전시체제를 위한 야당과의 일시적 제휴 및 배제(1950.7∼1951.5), (3) 야당과의 대립, 장면과의 갈등 심화와 배제(1951.6∼1952.4), (4) 족청계와의 제휴와 배제, 이승만 일인지배체제의 확립(1952.5∼1953.12)라는 네 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정치지형 재편의 종교적 측면’을 추적했다. 이 시기에 이승만 정부를 중심으로 대종교-개신교-천주교의 관계, 개신교 내 흥사단계와 동지회계의 관계가 빠르게 변화되어갔다. 요컨대, 이승만 정부 전반기에 걸쳐 정권 핵심부로부터 대종교, 천주교, 불교계 인사들 그리고 흥사단계 개신교 인사들이 차례로 축출됨으로써, ‘개신교(특히 동지회계) 중심의 권력구조’가 뚜렷하게 모습을 드러냈던 것이다. 결국 이승만의 독자적 권력기반 구축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이승만 정부의 ‘개신교적’ 성격은 정부 출범 직후보다는 집권 전반기의 끝 무렵인 1953∼1954년경에 더욱 선명하게 나타났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승만 정부가 내세운 다양한 정책들의 친개신교적 성격이 분석되었다. 무엇보다, 이승만 정부 전반기의 지배이데올로기였던 ‘일민주의’가 기독교적 성격을 갖고 있었다. 또 이승만은 대통령이 되기 이전과 이후에 기독교를 나라의 기초로 삼아야 한다는 확신을 거듭 표명해왔다. 이승만 대통령은 미군정기에 도입된 형목제도, 성탄절 공휴일제도, 국영방송을 통한 선교 활동을 유지함으로써 개신교에 큰 혜택을 제공했다. 국회의원 취임선서, 국회개원식, 대통령 취임식, 국가적인 장례식 등의 주요한 국가의례들이 기독교식으로 제정되거나 거행되었다. 이밖에도, 개신교 교회의 요청에 의해 국기에 대한 경례 방식을 주목례로 바꾼 점, 군종제도를 도입한 점, 교회가 한국 최초의 민영방송국을 설립하고 이후 운영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던 점, 이른바 ‘주일성수’를 가능하게 해준 점, 첩을 둔 자가공무원이 될 수 없도록 한 조치, 미신타파운동이나 사이비종교 추방운동 등도 이승만 정부가 교회에 제공한 특권들에 포함된다. 교회 인사에게 훈장이나 감사장 등을 수여하는 것과 같은 상징적인 도움, 그리고 재정지원이나 면세 혜택 혹은 적산불하와 같은 물질적인 도움도 물론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반민특위 피의자 중 개신교계 인사들이 다른 종교에 비해 월등하게 많았다는 점에서, 이승만에 의한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무력화 조치는 교회가 공신력에 치명적 상처를 입을 수 있는 상황을 모면하도록 도와주었다. 급격한 정치지형 변동을 거치면서 정치영역 내에서 ‘개신교의 독주체제’가 형성 되었다. 다시 말해, 정치지형 변동의 종교적 결과는 “기독교 중심 사회로의 급속한 전환”으로 나타났다. 정치지형 변동과 맞물린 종교지형의 변동은 평면적으로도, 또한 입체적으로도 진행되었다. 종교지형의 ‘평면적’ 변화는 “개신교의 급팽창” 내지 “종교시장 내 개신교의 점유율 확대”로, 종교지형의 ‘입체적’ 변화는 “개신교를 정점으로 한 종교지형의 위계적 재편”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hurch-state relationships in the period of 1948∼1954, the first half of Syngman Rhee’s presidency. Religious politics was highly activated in this period. More concretely, in this paper I concentrated on two issues: (1) religious composition of key members in the Rhee government and ruling party, (2) pro-Protestantism of the Rhee government policies. During the period of 1948∼1954, president Rhee skillfully used the strategies of religious alliance and opposition. His first cabinet was composed of members from various religions, but non-Protestant politicians belonging to Daejonggyo(대종교), Catholicism, Buddhism were gradually excluded from the cabinet and ruling party. Among the Protestant politicians,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Young Korean Academy(Heungsadan) were also the target to be excluded. The Young Korean Academy was founded and led by Ahn Chang-Ho, who has long been the Syngman Rhee’s chief antagonist among the Korean Protestant activist groups. Instead, those who participated in Dongjihwe(동지회) founded and led by Syngman Rhee had became the key members in Rhee’s government and ruling party. By the year of 1953 or 1954,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Rhee’s government as a Protestant regime were even more apparent than the beginning of the his government. Pro-Protestantism of Rhee’s government was also displayed and strengthened by the various government policies which unfairly favored the Protestant Churches. Surely, these policies were the benefits in return for the strong support for president Rhee and his government in the part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Above all, dominant ideology initiated by Syngman Rhee during the first half of his presidency, Ilminjui(일민주의), was colored by Christian ethics. Moreover Syngman Rhee himself has often said the need and hope to found new nation on the Christian ground. Besides, pro-Protestant policies of Rhee’s government includes the introduction of prison and military chaplainship, of Christmas as a national holiday, changing the way of salute to the national flag, evangelization through the national broadcasting system, etc. President Rhee’s unwillingness to punish the pro-Japanese collaborators would have been a great relief for the Protestant Churches, for there were much more pro-Japanese suspects in the Protestant Churches than in any other religions.

      • KCI등재

        한국 중립화론의 역사와 이승만의 중립화론 -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 -

        정태욱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26 No.2

        Due to Korea's geopolitical position, the idea of Korea's neutrality has a long history. Syngman Rhee also considered the neutralization of Korea and claimed it as a strategy for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Syngman Rhee's idea of Korean neutrality.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meaning and development process of Syngman Rhee's perspective of neutralization in the context of his independence movement. Early in the crises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several proposals of neutrality for Korean were raised. In particular,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Emperor Gojong of the Korean Empire was very active for realizing neutrality. Syngman Rhee's interest in neutrality also originated from that situation. Syngman Rhee was very negative about Emperor Gojong's attempts to neutralize the country. However, while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Syngman Rhee obtained a Ph.D. degree on wartime neutrality. Here, Syngman Rhee says that the neutrality law was a blessing for human peace and freedom of commerce. Later, in 1919, Syngman Rhee officially proposed the neutral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a petition for mandate to the League of Nations as a measure of Korean independence. This invited much criticism from the camp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t the time. However, although the part of the mandate was later deleted, the fundamental idea of neutralization was not changed. Syngman Rhee regarded neutralization of Korea, a buffer state, and freedom of commerce as the basis for the independence strategy of the Korean people at the Washington Conference 1921 and at the General Assembly of the League of Nations 1933 after the Japanese Manchurian Aggression.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와 함께 한국의 중립화론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승만도 한국의 중립화를 주된 독립운동 방략으로 삼았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글은 한국 중립화론의 계보 속에서 이승만의 중립화론의 의의를 찾아보았다. 이승만 이전에 제출된 한국 중립화론을 간단히 살펴보고, 이어서 이승만 중립화론의 전개과정을 서술하였다. 이승만의 중립화론이 초기 <독립정신> 저술 시기, 박사 논문 작성 시기, <태평양잡지> 운영 시기, 위임통치 청원 시기, 워싱턴 회의 및 국제연맹 외교 시기에걸쳐서 어떻게 진행되었고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추적하였다. 그리고 이승만 중립화론의변화의 이유에 대하여 논하였다. 이승만의 중립화론은 러일전쟁 시기 고종의 중립화 시도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한다. 이승만은 고종의 중립화 시도가 권력을 부지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였으며, 더욱이 러시아에 의존하였다는 점에서 해로운 것이었다고 평가한다. 이후 이승만은 박사 논문에서 전시중립과 중립통상에 대한 연구를 하고, 미국 식민지 필리핀의 독립 방안으로서 점진적 자치와 영세중립의 방안을 접하게 된다. 그리하여 마침내 1919년 위임통치 청원에서 한국 독립의 방략으로 통상의 자유와 영세중립을 연결한완충국가의 상을 제시하였다. 이승만의 위임통치 청원은 독립운동 진영에서 많은 비판을받았다. 이후 이승만은 위임통치는 더이상 거론하지 않았으나, 영세중립 독립방략은 계속 견지하였다. 1920년대 워싱턴 회의, 1930년 국제연맹 외교에서 이승만은 한결같이 통상의 자유와 영세중립을 결합한 완충국가 안을 주창하였다. 중립 완충국 그리고 통상에개방된 한국의 독립은 바로 동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의 평화의 열쇠임을 주장하였다. 요컨대 이승만은 구한말 그리고 일제 강점기 한국 중립화론의 대표자였으며 그 선구자인유길준의 중립론에 이어 한국 중립화론의 계보를 이은 계승자였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대한민국 초대 정부의 기독교적 성격

        강인철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9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0 No.-

        이 글은 ‘종교정치’가 대단히 활발했던 이승만 정부 전반기의 종교적 성격과 국가-교회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자는 이 글에서 (1) 이승만 정부 핵심 구성원들의 종교적 구성과 개신교적 색채, (2) 이승만 정부 정책의 친개신교적 성격이라는 두 가지 쟁점에 집중했다. 먼저, 이승만 정부가 정치지형의 역동적인 재편을 통해 ‘개신교 정권’의 성격을 강화해가는 과정이 이승만이 구사한 종교적 동맹 혹은 배제 전략을 통해 분석되었다. 필자는 (1) 거국내각과 여당의 형성(1948.8∼1950.6), (2) 전시체제를 위한 야당과의 일시적 제휴 및 배제(1950.7∼1951.5), (3) 야당과의 대립, 장면과의 갈등 심화와 배제(1951.6∼1952.4), (4) 족청계와의 제휴와 배제, 이승만 일인지배체제의 확립(1952.5∼1953.12)라는 네 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정치지형 재편의 종교적 측면’을 추적했다. 이 시기에 이승만 정부를 중심으로 대종교-개신교-천주교의 관계, 개신교 내 흥사단계와 동지회계의 관계가 빠르게 변화되어갔다. 요컨대, 이승만 정부 전반기에 걸쳐 정권 핵심부로부터 대종교, 천주교, 불교계 인사들 그리고 흥사단계 개신교 인사들이 차례로 축출됨으로써, ‘개신교(특히 동지회계) 중심의 권력구조’가 뚜렷하게 모습을 드러냈던 것이다. 결국 이승만의 독자적 권력기반 구축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이승만 정부의 ‘개신교적’ 성격은 정부 출범 직후보다는 집권 전반기의 끝 무렵인 1953∼1954년경에 더욱 선명하게 나타났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승만 정부가 내세운 다양한 정책들의 친개신교적 성격이 분석되었다. 무엇보다, 이승만 정부 전반기의 지배이데올로기였던 ‘일민주의’가 기독교적 성격을 갖고 있었다. 또 이승만은 대통령이 되기 이전과 이후에 기독교를 나라의 기초로 삼아야 한다는 확신을 거듭 표명해왔다. 이승만 대통령은 미군정기에 도입된 형목제도, 성탄절 공휴일제도, 국영방송을 통한 선교 활동을 유지함으로써 개신교에 큰 혜택을 제공했다. 국회의원 취임선서, 국회개원식, 대통령 취임식, 국가적인 장례식 등의 주요한 국가의례들이 기독교식으로 제정되거나 거행되었다. 이밖에도, 개신교 교회의 요청에 의해 국기에 대한 경례 방식을 주목례로 바꾼 점, 군종제도를 도입한 점, 교회가 한국 최초의 민영방송국을 설립하고 이후 운영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던 점, 이른바 ‘주일성수’를 가능하게 해준 점, 첩을 둔 자가 공무원이 될 수 없도록 한 조치, 미신타파운동이나 사이비종교 추방운동 등도 이승만 정부가 교회에 제공한 특권들에 포함된다. 교회 인사에게 훈장이나 감사장 등을 수여하는 것과 같은 상징적인 도움, 그리고 재정지원이나 면세 혜택 혹은 적산불하와 같은 물질적인 도움도 물론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반민특위 피의자 중 개신교계 인사들이 다른 종교에 비해 월등하게 많았다는 점에서, 이승만에 의한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무력화 조치는 교회가 공신력에 치명적 상처를 입을 수 있는 상황을 모면하도록 도와주었다. 급격한 정치지형 변동을 거치면서 정치영역 내에서 ‘개신교의 독주체제’가 형성되었다. 다시 말해, 정치지형 변동의 종교적 결과는 “기독교 중심 사회로의 급속한 전환”으로 나타났다. 정치지형 변동과 맞물린 종교지형의 변동은 평면적으로도, 또한 입체적으로도 진행되었다. 종교지형의 ‘ ...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hurch-state relationships in the period of 1948∼1954, the first half of Syngman Rhee’s presidency. Religious politics was highly activated in this period. More concretely, in this paper I concentrated on two issues: (1) religious composition of key members in the Rhee government and ruling party, (2) pro-Protestantism of the Rhee government policies. During the period of 1948∼1954, president Rhee skillfully used the strategies of religious alliance and opposition. His first cabinet was composed of members from various religions, but non-Protestant politicians belonging to Daejonggyo(대종교), Catholicism, Buddhism were gradually excluded from the cabinet and ruling party. Among the Protestant politicians,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Young Korean Academy(Heungsadan) were also the target to be excluded. The Young Korean Academy was founded and led by Ahn Chang-Ho, who has long been the Syngman Rhee’s chief antagonist among the Korean Protestant activist groups. Instead, those who participated in Dongjihwe(동지회) founded and led by Syngman Rhee had became the key members in Rhee’s government and ruling party. By the year of 1953 or 1954,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Rhee’s government as a Protestant regime were even more apparent than the beginning of the his government. Pro-Protestantism of Rhee’s government was also displayed and strengthened by the various government policies which unfairly favored the Protestant Churches. Surely, these policies were the benefits in return for the strong support for president Rhee and his government in the part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Above all, dominant ideology initiated by Syngman Rhee during the first half of his presidency, Ilminjui(일민주의), was colored by Christian ethics. Moreover Syngman Rhee himself has often said the need and hope to found new nation on the Christian ground. Besides, pro-Protestant policies of Rhee’s government includes the introduction of prison and military chaplainship, of Christmas as a national holiday, changing the way of salute to the national flag, evangelization through the national broadcasting system, etc. President Rhee’s unwillingness to punish the pro-Japanese collaborators would have been a great relief for the Protestant Churches, for there were much more pro-Japanese suspects in the Protestant Churches than in any other relig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