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단 이전 북한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의 유형과 <이성계 신화>로서의 인식체계

        권도경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동방학 Vol.21 No.-

        본 연구는 분단 이전 시기에 북한 지역에서 채록된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의 하위 유형을 이성계 조상⋅여진족 대결담과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으로 나누어서, 해당 텍스트의 전 개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은 이성계 조상 대에서부터 시작되어 이성계 당대에 서 비로소 마무리 되며, 여진족에 대한 대결 승리로 완결되는 전개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은 <주몽신화>나 <왕건신화> 속에서 전형적으로 등장하는 신화소들을 다양하 게 동원하고 있는 바, 여진족과의 궁극적인 대결 승리가 이성계의 조선 창업을 정당화 하는 논리로 귀결되고 있다는 점에서 일종의 <이성계 신화>의 전설화 된 텍스트로서의 성격을 띄고 있다고 보았다. 이처럼 <이성계 신화>의 설화화 된 텍스트가 하필이면 여진족을 그 대결의 대상으로 하여 대결담의 형태로 형상화 되어 있는 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이성계 집단이 한반도 동북방의 전통적인 여진족 거주 지역에서 여진족과의 정치적 ⋅군사적 헤게모니 다툼 속에서 성장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조선 창업의 기반을 확보할 수 있었던 역사적 맥 락을 통해 설명할 수 있었다. <이성계 신화>의 설화적 정착 형태로서의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에 내재된 향유층의 신화적 인식 체계는 두 가지 관점으로 정리하였다. 첫 번째는 이성계 조선 건국의 대외적인 정당성 확보이고, 두 번째는 조선 건국의 신화적 합리화이다. 이상과 같은 작업을 통해 북한 지역 전승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성계 신화로서의 북한 지역민의 인식체계를 분석할 수 있었다. This paper studied on the category of the confrontation legend between Yiseonggye(李成桂) and the Jurchen(女眞) before division of territory and it's pattern recognition as <Yiseonggye mith>. The time background of the confrontation legend between Yiseonggye and the Jurchen is started from ancestor and is ended as the victory over the Jurchen in Yiseonggye's lifetime. This the confrontation legend between Yiseonggye and the Jurchen is composed by mythical motives seen typically in <Jumong mith(朱蒙神話)>⋅<Wang Geon myth(王建神話)>. In that the victory over the Jurchen is ended in the theory justifing Yiseonggye's foundation, it seems that the confrontation legend between Yiseonggye and the Jurchen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Yiseonggye mith> gets to be the legend. It based on the historical context that Yiseonggye group grew up through the political⋅military hegemony fight with the Jurchen in the tradithional residence and could found the Chosun Dynasty on this base. The mythical recognition system inhered in the confrontation legend between Yiseonggye and the Jurchen can be organized as two point. The first is the secure of the public justification. The second is the mythical raditionalization of founding the Chosun dynasty.

      • KCI등재

        문학과 문화 : 분단 이전 북한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의 유형과 <이성계 신화>로서의 인식체계

        권도경 ( Do Kyung Kwo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동방학 Vol.21 No.-

        본 연구는 분단 이전 시기에 북한 지역에서 채록된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의 하위 유형을 이성계 조상·여진족 대결담과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으로 나누어서, 해당 텍스트의 전개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은 이성계 조상 대에서부터 시작되어 이성계 당대에서 비로소 마무리 되며, 여진족에 대한 대결 승리로 완결되는 전개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은 <주몽신화>나 <왕건신화> 속에서 전형적으로 등장하는 신화소들을 다양하게 동원하고 있는 바, 여진족과의 궁극적인 대결 승리가 이성계의 조선 창업을 정당화 하는 논리로 귀결되고 있다는 점에서 일종의 <이성계 신화>의 전설화 된 텍스트로서의 성격을 띄고 있다고 보았다. 이처럼 <이성계 신화>의 설화화 된 텍스트가 하필이면 여진족을 그 대결의 대상으로 하여 대결담의 형태로 형상화 되어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이성계 집단이 한반도 동북방의 전통적인 여진족 거주 지역에서 여진족과의 정치적·군사적 헤게모니 다툼 속에서 성장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조선 창업의 기반을 확보할 수 있었던역사적 맥락을 통해 설명할 수 있었다. <이성계 신화>의 설화적 정착 형태로서의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에 내재된 향유층의 신화적 인식 체계는 두 가지 관점으로 정리하였다. 첫번째는 이성계 조선 건국의 대외적인 정당성 확보이고, 두 번째는 조선건국의 신화적 합리화이다. 이상과 같은 작업을 통해 북한 지역 전승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성계 신화로서의 북한 지역민의 인식체계를 분석할 수 있었다. This paper studied on the category of the confrontation legend between Yiseonggye(李成桂) and the Jurchen(女眞) before division of territory and it`s pattern recognition as <Yiseonggye mith>. The time background of the confrontation legend between Yiseonggye and the Jurchen is started from ancestor and is ended as the victory over the Jurchen in Yiseonggye`s lifetime. This the confrontation legend between Yiseonggye and the Jurchen is composed by mythical motives seen typically in <Jumong mith(朱蒙神話)>·<Wang Geon myth(王建神話)>. In that the victory over the Jurchen is ended in the theory justifing Yiseonggye`s foundation, it seems that the confrontation legend between Yiseonggye and the Jurchen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Yiseonggye mith> gets to be the legend. It based on the historical context that Yiseonggye group grew up through the political·military hegemony fight with the Jurchen in the tradithional residence and could found the Chosun Dynasty on this base. The mythical recognition system inhered in the confrontation legend between Yiseonggye and the Jurchen can be organized as two point. The first is the secure of the public justification. The second is the mythical raditionalization of founding the Chosun dynasty.

      • KCI등재후보

        조선 건국과 이성계 설화의 정치적 함의

        문재윤(Mun Jae You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1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0 No.1

        조선정치사에 대한 연구를 보다 면밀히 진행하기 위해서는 조선의 전통사상과 그 문화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할 것이다. 전통의 힘이 강력하게 작용했던 왕조시대의 정치를 분석하는 작업은 특히 그러할 것이다. 이와 같은 측면을 유념하면서 본 연구는 조선의 건국과 그 건국주인 이성계에 관한 설화를 현대정치학의 상징조작이라는 개념과 유기적으로 관련시켜 분석해봄으로써 건국기에 있어서 조선의 정치사와 조선인의 정치의식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무엇보다 먼저 조선의 건국과 이성계 설화에 관한 문헌 기록, 특히 『조선왕조실록』의 각종 기록은 무엇보다 먼저 이성계에 의한 새로운 왕조개창의 천명성을 강조하였고, 또 그렇게 함으로써 이성계와 그 추종세력에 의한 정치적 지배를 정당화하는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곧 조선 왕실의 개창은 천명에 의한 것이었음을 강조하였는데, 일반 백성들의 복종과 지지 속에서 새로운 왕실이 성립하고, 존재하기 위해서는 천(天)과의 연계성을 확보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하였던 것이다. 이에 따라 이성계에 관한 설화에는 새로운 군주의 탄생과 등극을 예고해 주는 신이한 징조와 꿈들이 문헌 속에서 계속해서 나타났던 것이다. 문맥적 상황으로 볼 때, 하늘(天), 용, 꿈, 상서(祥瑞), 신이(神異) 등을 바탕으로 하는 이성계 설화 설화의 현세지향은 건국의 신성화와 왕통의 정통성을 목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군주 꿈’ 설화는 단순히 권력의 정당화 과정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천명의 대행자로서 군주를 신성화시킴으로써 국가통합의 상징으로 만들고자 했다. 다른 한 편 일반민중들 사이에 구비전승된 이성계 설화에는 그에 대한 비판적 내용이 다수 등장하고 있다. 명태조 주원장에 비해 용렬한 인간으로 묘사되는 이성계의 모습, 최대의 정적이었던 최영 장군이 일반백성들 사이에 무속신앙화되었던 점, 그리고 민중영웅인 우뚜리의 등장과 제거 등에 관한 설화의 성립 등에서 이성계에 대한 반대자와 비판자들의 정치심리가 뚜렷이 나타나 있었다. 이와 같이 조선의 건국과정에서 이성계 설화가 담고 있는 정치적 의미를 분석하는 작업은 당대의 정치사와 당대인들의 정치의식을 이해하는데 하나의 방법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ales in political process of Choseon Dynasty and its political significance. The founder of Choseon Dynasty, Yi Seong-gye was supreme power men. And the Korean tale of ancient times in general described lives of kings : their birth, growth, marriage, and death. In other words, it was a biographical description of the mysterious experiences of kings. Especially part in which they get divinity from their birth was common to all. Such a way of description resulted from the idea that the founder of nation should look divine. So Heaven planned to place a person as a founder of nation. Yi Seong-gye was selected by Heaven, too. Korean people believed Yi was the existence of divine nature. And it offered political legitimacy to Yi. In this sense we can guess that Korean tale of political ma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political process.

      • KCI등재

        조선 이성계 세력과 명과의 관계

        조민 ( Min Cho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07 동북아연구 Vol.22 No.1

        이 글은 고려말 이성계가 1388 년 요동정벌을 위해 출병하여 ‘위화도 회군’이후 1392 년 새로운 국가 조선을 창건하기까지 나타난 정치세력갈등과 이성계의 대명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 논문이다. 고려말 정치권력은 실권자 최영 세력에 의해 정국이 주도되고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우왕 14년 2월 명(明)의 철령 이북지역에 대한 명의 ‘철령위’설치문제는 고려와 명(明)과의 관계에서 새로운 외교적 문제로 부상했다. 이 문제 해결에 대해 최영 중심의 강경파와 평화적 해결을 주장하는 이성계 중심의 온건파 간의 입장변화는 결국 요동정벌이라는 최영 강경파 주장이 관철되어 결국 이성계가 군대를 지휘하게 되었다. 명(明)‘철령위’설치문제는 최영과 이성계 세력간의 세력싸움으로 발전하여 요동정벌에 나선이성계가 결국 위화도에서 회군을 감행하여 고려말 정국 주도권을 장악함으로써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이성계가 1392 년 조선을 창건하기까지는 고려말 이성계 반대세력의 저항으로 말미암아4년이라는 시간이 경과될 수밖에 없었다. 이성계의 조선건국으로 조선과 명(明)새로운 친선관계로 발전하게 되었고, 이후 조선 이성계는 고려말 강경한 대명정책보다는 온건한 대명정책을 추진했다. This study analyses conflicts of political powers until Lee Sung-Gye sent troops to conquest Yodong in 1388 at the late Goryeo period and founded a nation named Joseon in 1392 through ``Weehwado Withdrawal`` and the relations between him and Ming. Political power of the late Goryeo was dominated by Choi Young. a person in political authority and his powers. On the 14 years and two months of King Woo``s reign. an issue of `` Cheolryungwi`` establishment became a new diplomatic problem to be taken care of in the relations between two nations. As positions between the hard-line faction led by Choi Young and the moderate faction led by Lee Sung-Gye who insisted its peaceful solution changed. Choi Young``s opinion of ``Yodong Conquest`` was carried through. which brought Lee Sung-Gye to become a leader of the army. As the issue of ``Cheolryungwi`` establishment progressed to be a struggle between the two factions and Lee Sung-Gye who led the conquest dared to withdraw the army at Weehwado and dominated the political power. However, until Lee Sung-Gye founded Joseon in 1392, four years passed because of resistance of the opposite power. Based on the Joseon foundation, Joseon and Ming developed friendship and maintained the peaceful policy against Ming rather than hard-line policy.

      • KCI등재

        고려말 정치적 추이와 김저 사건

        이형우(Lee Hyoung Woo) 포은학회 2015 포은학연구 Vol.16 No.-

        조선 건국에 대한 역사적 의의를 강조하다 보니 그 과정에서 무시된 사실들이 많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고려말의 치열한 권력 다툼 속에서 무고하게 희생된 인물들에 대한 올바른 평가다. '김저 사건'은 이성계 일파가 권력을 본격적으로 장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된 사건이었다. 이 사건으로 15년 동안 왕위에 있었던 우왕과 그 뒤를 이어 2년 동안 왕을 하고 있던 창왕이 신돈의 아들과 손자로 몰려 죽임을 당하였다. 아울러 사건 주모자로 몰린 김저는 물론이고 당대 외적의 침입에서 많은 공을 세웠던 변안열 등 여러 인물들이 재판도 받지 못하고 억울한 죽임을 당하였다. 이 글은 그런 '김저 사건'에 대한 미시적인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김저 사건'은 여러 이유로 이성계 일파에 의하여 조작된 사건으로 판단하였다. 그 이유는 첫째, 첫째 사건 관련 1차 사료인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기록의 사건 발생일 관련 날짜 분석 결과 여러 모순점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그런 사건 관련 날짜의 모순은 이성계 세력이 억지로 미리 짜놓은 틀에 맞춰 기재하려고 하였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되었다. 둘째, 드러난 자료 분석을 통해서 볼 때 우왕이 이성계를 해치도록 부탁한 곽충보는 이성계를 암살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곽충보는 오히려 이성계가 오랫동안 자신의 휘하에 있었다고 하는 등 이성계 세력의 일원이었다. 셋째, 사건 관련자 숙청을 처음 우왕의 인척부터 시작해 정지 등 무인, 그리고 이색, 이숭인 등 '신진사류'까지 확대해가면서 3단계에 걸쳐 진행하였지만, 그들 숙청자가 김저 사건에 공모한 명백한 증거를 제시한 바도 없이 숙청하였기 때문이다. '김저 사건' 내용과 그 이후 관련자 숙청 과정 분석을 통해서 알 수 있었던 것은 이성계 세력이 자신들의 권력 장악에 장애가 될 수 있는 인물들은 무장과 '신진사류'을 가리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이렇게 무리한 숙청을 감행하였지만, 반대하는 세력이 여전히 많아서 이성계 세력은 이후 '윤이ㆍ이초 사건', 정몽주 살해 등의 과정을 거치고 나서야 조선을 건국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 사건만을 가지고 조선 건국 자체에 대한 평가를 말할 수는 없지만, 이제라도 억울한 죽음을 당한 이들과 그런 사건을 자행한 조선 건국 세력에 대한 평가는 일정 부분 다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올바른 역사를 연구하는 길이라고 판단된다. Historical significance of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is stressed very much, and due to that reason, many other facts were neglected in the process. A typical example is the true evaluation of innocently sacrificed figures in the late Goryeo Dynasty due to fierce power struggle. 'The Incident of Kim Jeo' was an event that greatly helped the Yi Seong-gye(李成桂)'s party gain power in earnest. Due to this incident, King U, who was in the throne for 15 years, and King Chang, who was in the throne for 2 years succeeding King U, were accused of being each son and grandson of Shin Don and therefore killed. Moreover, not only Kim Jeo, who was blamed for being mastermind behind the incident, but also Byeon An-yeol(邊安烈) and others, who distinguished themselves in the foreign invasion during that period, were all killed under a false accusation without even being brought to trial. This Study made a microscopic analysis on such 'The Incident of Kim Jeo'. As a result, it is judged that Yi Seong-gye's party fabricated 'The Incident of Kim Jeo' for several reasons. First of all, there is inconsistency regarding the date of occurrence of the incident in 『Goryeosa 高麗史』 and 『Goryeosajeoryo 高麗史節要』, which are primary historical sources in relation to the first incident. Secondly, it is unlikely under historical facts that King U asked Gwak Chung-bo(郭忠輔) to kill Yi Seong-gye. Thirdly, there was no clear evidence about punishing the people involved in the incident. After 'The Incident of Kim Jeo', as to their intent, Yi Seong-gye's party grasped power by purging the opposition forces. And not long after, the Joseon Dynasty was founded.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cannot be evaluated with only this incident. However, I believe that revaluation of the wrongful deaths and the ones blamed for it is necessary. I believe this is the right path of studying history.

      • KCI등재

        태조 이성계의 어궁과 궁술에 대한 소고

        박제광(Park Je Gwang) 국립고궁박물관 2015 古宮文化 Vol.- No.8

        조선의 활쏘기는 널리 유행하였고, 그 솜씨는 중국이나 일본보다 훨씬 뛰어났기 때문에 이웃나라에서는 어떻게든 조선의 활쏘기를 배우려고 하였다. 조선의 궁술이 발전함에 있어서 태조 이성계의 궁술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본다. 먼저 이성계는 신기에 가까운 궁술 실력을 토대로 고려의 명장으로 성장할 수 있었으며, 이성계의 궁술은 이후 고려시대를 마감하고 조선을 창업할 수 있었던 정치력의 근간이었으며, 려말선초의 사회·문화적 변혁을 선도할 수 있는 강력한 버팀목이 되었다. 조선을 개국한 이성계는 활쏘기를 즐겨했고 장려했기 때문에 조선 전기의 활쏘기는 유비무환적인 군사훈련으로써 궁시의 효용적 가치가 커졌고, 활쏘기를 단순히 사냥과 전쟁을 위한 무예로만 보지 않고 사람의 덕을 관찰하는 기준이자 인재를 선발하는 근거, 통치를 하는 수단으로서 적극 활용됨에 따라 사대부가 반드시 익혀야 하는 무예의 하나로 인식되기에 이른다. 이러한 성리학적 사고에 의한 유가적 사풍은 조선전기의 정치적 안정과 왕도정치를 위한 사회·문화적풍토 조성에 일조하였다고 할 수 있다. 국사편찬위원회에는 함흥본궁에 있던 이성계의 어각궁과 어장전, 어통개, 어궁대 등을 찍은 사진 4장이 있다. 이 사진에 나타난 각궁은 조선 초기의 전투용 각궁의 형태를 보이는 유물이다. 현존하는 각궁의 실전에 사용되었던 무기였다는 점에서 조선 중기 이전의 유물은 드물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헌에 나타난 조선의 활과 화살, 사진에 나타난 각궁과 유사 유물을 비교 분석을 통해서 조선 초기의 각궁의 특성을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어각궁은 일반 각궁에 비해 매우 넓은 활 체간을 지니고 있으며, 이에 반해 줌통은 매우 작은 형태라 할 수 있다. 또 정탈목은 골신이 형성된 듯 두툼하게 보이고 예각으로 많이 꺾여 있으며, 고자는 마치 칼끝을 연상시키듯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어 조선 초기의 전투용 활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어장전은 세 마디의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작되었고, 수리과에 속하는 말똥가리의 깃을 넓게 사용하였는데, 이는 비행속도는 느리지만 견고하고 안정적인 화살이었기에 이성계가 즐겨 사용하였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어궁대·어통개는 세종실록 과 국조오례의서례 병기도설의 실려 있는 형상과 매우 유사하다는 점에서 조선 전기의 형태를 잘 보여준다. 이 글은 실제 유물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진을 통해서 분석한 글로서 겉으로 드러난 형태를 위주로 분석하다보니 많이 미흡한 상태라 생각된다. 이 글을 통해서 향후 여러 문헌 자료를 보완하고 궁시 유물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조선시대의 궁시의 변화양상을 정리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Archery was popular in Joseon, and so outstandingly advanced that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endeavored to learn its secrets. In developing the art of Joseon archery, Yi Seonggye, the founder of the dynasty, played an important role. First, his extraordinary archery skills provided a strong ground for him to become a renowned commander of Goryeo kingdom, and for his subsequent rise to political power to change dynasties and bring about the sociocultural revolution of the late fourteenth century. Since Yi enjoyed and encouraged practice of archery, it became an essential military training and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compulsory martial arts for elites.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houses four photographic images of Yi Seonggye’s horn bow (gakgung), long arrows, quiver, and bow case which were housed in Hamheung Palace. The set in the photograph apparently conform to early Joseon-period sets of combat bow kits. Since surviving pieces of actually used combat kits are rare, this paper trace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Joseon horn bows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based on old documents, and study of similar surviving objects to the set in the photograph. Although this study is confined to a rather superficial study of Yi Seonggye’s bow kit by photographs - due to the current inaccessibility of real objects - they are significant clues for grasping features of combat bows kits in of the period. Despite such shortcomings, it is hoped this comparative research will contribute to organizing the history of Joseon archery weapons and culture.

      • KCI등재

        이제현의 「김공행군기」 와 『태조실록』「총서」의 고려말 이성계의 전투 기록과의 비교 분석

        윤훈표(Yoon, Hoon-Pyo) 역사실학회 2017 역사와실학 Vol.63 No.-

        본고는 고종 3년(1216) 고려를 침공했던 거란 유민을 격파하는데 공을 세운 김취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작성했던 이제현의 「김공행군기」 와 『태조실록』「총서」에 수록된 고려말 이성계의 전투 기록을 비교 분석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는 것과 더불어 중세 전쟁사 기술에서 원형에 속하는 것이 시대 상황에 따라 응용돼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는 과정과 그 역사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행군기」와 「총서」의 전투 기록을 단순히 외형이나 서술 목표, 주제 등의 측면에서 비교했을 때 차이가 크게 나는 것처럼 비춰지기도 한다. 하지만 내면적으로 서로 통하는 바가 많았다. 궁극적으로 전쟁터에서의 공적이 외세를 물리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민생 안정의 바탕이 되는 평화로운 대외 관계를 수립했다는 것으로 귀결된다는 점에서는 유사하다. 전자가 비록 훌륭한 재상으로, 후자는 창업 군주로서의 면모를 부각시킴으로써 정반대의 이미지를 지녔으나, 원형과 응용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위대한 전쟁 지도자가 결국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여정을 기술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총서」의 전투 기록은 「행군기」와 달리 한 번에 완결된 것이 아니었다. 이성계 개인의 위업뿐만 아니라 왕조 개창의 정당성까지 천명해야 했기 때문이다. 『태조실록』의 증보편수 과정에서 여러 차례 보강 작업이 이루어졌는데, 고려말 전투 활동에 대한 정리 및 그 의미와 관련하여 「행군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김취려와 이성계의 처한 상황이 달랐지만 그 지향하는 바는 매우 유사했다. 최씨 정권하에서 거란 유민을 격퇴하려는 순간에 갑작스런 몽골군의 등장 등 안팎의 위기에서 김취려가 보여주었던 굳건하고 사려깊은 자세가 「총서」에서는 위화도 회군에 임하는 이성계의 그것으로 한 단계 더 향상돼 새롭게 태어났다. 각자의 문무에 걸친 탁월한 능력과 원만한 인품, 그리고 자기 희생과 끝없는 헌신이 있었기 때문에 위대한 공적을 세울 수 있었다고 기술했던 것은 공통된다. 뿐만 아니라 개인의 노력이나 주변의 도움만으로는 불가능했으며 거기에는 신령의 비호로 말미암아 이루어졌다는 점도 역시 동일했다. 이때 신령의 은밀한 도움을 「행군기」에서 이제현은 그 실체를 구체적으로 표현하지는 않았다. 강조했지만 분명하게 무엇이라고 규정하지 않았다. 반면에 「총서」에서는 위화도에서 회군하는 순간에 군민과 노소의 구분 없이 ‘木子得國’이라는 가사가 들어 있는 동요를 불렀다는 것으로 현실화시켰다. 즉 모든 백성들이 이미 이성계가 즉위할 것을 은연중에 희망하였으며 자발적으로 동참할 것을 암시했다. 결국 외형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내적인 흐름, 특히 상황의 대처 방식과 논리, 구조라든가 표현 기법 등에서는 매우 유사함을 인식할 수 있다. 그것은 「행군기」를 원형으로 간주하고, 거기서 필요한 요소들을 선별적으로 취해 최대한으로 응용하여 「총서」의 전투 기록을 체계화했기 때문으로 가능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In this thesis, it finds its meaning in comparatively analyzing the record of Yi seong-gye(李成桂)’s battle activity in late Goryoe in the "Taejosillok(太祖實錄)" preface and Yi Je-hyun (李齊賢)’s "Kimgong Haengkungi(金公行軍記)" which praises the peformance of Kim Chwi-ryeo(金就礪) who crushed the Kitan’s invasion into the north-western region at King Gojong in Goryeo dynasty 3rd(A.D. 1216). Through such thesis, it looked into the prototype of the medieval war history narrative as well as how it was applied and modified thereafter. The "Kimgong Haengkungi" and the record of Yi seong-gye(李成桂)’s battle activity in late Goryoe in the "Taejosillok(太祖實錄)" preface have greatest status in the history of medieval war. However the former is a summary of diaries of Kim Chwi-ryeo who led the army that crushed the Kitan army that invaded Gangdong castle(江東城). That is, focusing on the individual of Kim Chwi-ryeo himself has shown how the war depends upon the personality of the commander rather than objective status of its war. Through such, Yi Je-hyun expressed his status of a war general who tries to save its country at war.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stated the war performance of Yi seong-gye at the battle activity in late Goryoe. That was described by the historical servants rather than the individuals. They went beyond of saving the country to establishing a new nation and tried to state the vision of a hero who saved the people from hardships. These two records differs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heme but in terms of structure or the narrative of its content and the purpose of its making etc. are similar. That is, although it seems they are looking towards different directions on the outside, within themselves, they have lots of things in common. Especially, the latter took the former as its prototype and enhanced its status and tried to promote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accomplishments of Yi seong-gye.

      • KCI등재

        예술과 행위자성(Agency) ― 이성계(李成桂)(1335~1408) 관련 회화, 유물과 사적을 중심으로

        徐胤晶 ( Seo Yoon-j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4 No.-

        본 논고는 예술을 둘러 싼 다양한 존재의 활동을 주체와 ‘행위자성(agency)’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그 유효성과 유용성을 물질문화까지 확장시켜, 예술의 주체가 물질적 매개체(material agency)를 통해 어떻게 발현되며, 그 결과물이 관람자에게 어떠한 시각적 경험과 심리적 영향을 끼치는지, 특정한 예술품과 대상이 예술적 행위자를 어떠한 방식으로 상기시키는지를 李成桂(1335~1408)라고 하는 조선의 창업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성계와 관련된 회화, 유물과 사적 등을 이성계의 ‘행위자성(agency)’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즉, 이러한 수많은 예술품과 유적에서 이성계의 행위자성이 어떻게 발현되는지, 관람자들은 이러한 작품들을 대면할 때 얼마나 이성계의 존재를 의식하게 되는지, 이성계의 명성과 역사적 평가가 이러한 작품에 대한 가치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이성계 사후 이성계와 관련된 유품들과 사적지들은 어떤 주체에 의해 이용되며 변화되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s how various agents including a person, creature, or object play complex roles in a given work of art by adopting the notion of "agency" suggested by Alfred Gell, a British social anthropologist. Encompassing the king's portrait, commemorative stele and landscape, and royal relics of the dynastic founder King Taejo, this paper suggests material agency, through which the artifacts function as "agents" and thus produce effects in the causal milieu. The procedures of production, copying, and enshrinement of King Taejo's portraiture involve performative and ritual aspects, in which the object (work of art) was treated as a human being and acts as an agent mediating social relations. Historic sites and relics of Hamheung related to Yi Seonggye's life and accomplishments were restored and commemorated by 18th-century monarchs such as Kings Sukjong, Yeongjo, and Joengjo to enhance royal authority.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 specific sites, memorials, ritual protocols, anthologies of local history were produced under the royal auspice. In addition, pine trees, a hat, arrows, cases, a leather belt, articles left by Yi Seonggye, served as material agents that gave rise to the sacred symbols and local legend about King Taejo.

      • KCI등재

        우왕 6년(1380) 전주 오목대 연회와 이성계의 ‘고향’ 덮어씌우기

        허인욱 한국사학회 2022 史學硏究 Vol.- No.145

        梧木臺는 李成桂의 御眞이 안치되어 있는 慶基殿으로부터 대략 400m 정도 떨어져 있는 나지막하게 솟은 언덕바지이다. 이곳은 고려 말에 이성계가 남원 雲峯에서 왜구를 물리치고 개선할 때에 그 위에서 宗族을 모아 축하연을 베풀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이성계는 1356년(공민왕 5) 이후 고려인으로서의 삶을 살아갔으나, 동북면 출신이라는 사실은 그에게 큰 장애로 다가왔다. 고려인일 수도 또는 야인일 수도 있는 그의 혼종적 정체성으로 중앙 정계에서 소외되었기 때문이다. 이성계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혼인 등을 통한 인맥을 형성하거나, 자신의 집안이 고려의 사대부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점을 부단히 강조했다. 그럼에도 동북면 출신이라는 점은 극복하기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이성계가 중앙 정계에 기반을 다지기 위해서 고려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분명히 해 줄 근거가 필요했다. 그것은 선조가 살았던 전주를 그의 본향 또는 고향으로 덮어씌우는 방안이었다. 1380년의 운봉 전투 이후에 전주 방문 과정에서 자신과 갈래가 다른 전주이씨들과의 만남이 있었는데, 이성계는 이를 활용해 동북면 출신임을 희석시키고자 했던 것이다. 이성계는 중앙 정계에서 정치적 위상이 높은 이색의 도움을 받아 아버지 이자춘의 신도비명을 작성하였다. 신도비명에는 전주이씨가 전주의 대성이라는 사실과 이자춘과 서형 이원계 그리고 자신이 완산부원군 또는 완산군의 봉군호를 받았음을 명시하였다. 이는 자신의 집안이 오랜 기간 전주에 뿌리를 둔 집안이자, 권문세가에 손색없는 집안임을 강조한 것으로, 이성계가 자신의 정치 행보에서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흠을 미리 지워내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었다. 이후 이성계는 전주인으로 인식되었으며, 그 인식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 KCI등재

        이성계 관련 활자본 역사전기류의 양상과 특징

        이기대(Lee Gi-dae)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3

        일제강점기에는 이성계 관련 활자본 역사전기류로 3종류가 출판되었다. 출판된 작품은 〈태조대왕실기〉(회동서관), 〈조선태조대왕전〉(덕흥서림), 〈조선태조실기〉(대동성문사)이다. 조선시대에는 이성계와 관련하여 그의 생애를 전체적으로 다루기보다는 단편적 서술을 통한 일화 중심으로 기록하거나 편년사의 체재에 포함시켜 다루어 왔다. 따라서 활자본 역사전기류의 출판을 통해 이성계의 생애를 전체적으로 조감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개국 군주로서의 영웅성에 대한 이야기들이 보다 쉽게 확산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이들 작품이 모두 같은 내용으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태조대왕실기〉에서는 하늘에서 정해진 이성계의 운명을 부각시키면서 초월적 존재에 의한 중화적 질서로의 재편을 기대하고 있다. 〈조선태조대왕전>에서는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영토문제를 제기하면서 조선시대에 대한 민족적 자부심을 부각시키고 있다. 〈조선태조실기〉는 기존의 문헌 기록을 수록하고 재편하는 과정을 통해, 잊혀져가는 조선 왕실의 정통성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높이려 하였다. Three printed books were published about the historical biography of Lee Sung-gye during Japanese occupation: “Joseon Taejodaehangjeon” published by Deokheungseorim, Taejodaewangsilgi by Hoidongseogwan, and Joseon Taejosilgi by Daedongseongmunsa. No works dealt with Lee Sung-gye’s life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publication of these books of historical biography consequently made it easier for people in general to understand Lee Sung-gye’s life and heroic qualities as a monarch who founded this dynasty. Specifically, the books on the historical biography of Lee Sung-gye served to heighten contemporary people’s national pride during Japanese occupation, and there was a yearning for a new heroic figure in the books as well. The books are not the same in terms of content. In the book “Taejodaewangjeon,” Lee Sung-gye’s destiny as a king was highlighted in a hope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order by a transcendental person. In another book “Taejodaewangsilgi,” historical facts were described to heighten national pride in the Joseon era. In the third book “Joseon Taejosilgi,” existing records of literature were reorganized to boost the effect of education on the history of the Joseon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