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기도 가구이동과 유입가구 특성에 관한 연구

        이외희,임지현 경기연구원 2019 정책연구 Vol.- No.-

        이동이 가구주와 가구구성원의 특성에 따라 주로 가구 단위로 결정되기 때문에 인구이동을 가구단위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가구나 인구의 이동 총량은 과거보다 감소하고 있으나 경기도는 여전히 순이동 수가 양(+)의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서울에서의 유입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으로, 당분간 이러한 기조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과 경기도 시군의 전출입 가구 특성, 수도권과 경기도 시군의 유입가구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수도권은 비수도권과의 순이동 가구수가 2018년 기준 65,633가구로 이중 서울이 49,575가구, 경기도가 15,320가구, 인천이 738가구를 차지하고 있다. 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전입과 전출이 각각 89.2%, 91.9%로 약 90%대를 이루고 있으며 비수도권과는 약 10%의 전출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경기도는 과거보다 서울에서의 전출입이 감소하고 경기도 내에서의 이동이 보다 활발해지고 있다. 경기도 시군의 전출입 규모는 수원시, 성남시, 용인시, 고양시, 부천시의 대도시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최근 화성시 등 신도시 건설이 이루어진 지역에서 전입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유입가구의 특성은 1인 가구의 이동비율이 높게 나타나 전국 평균은 60.6%, 서울이 64.9%이며, 경기는 이보다 낮은 54.9%를 보이고 있다. 유입가구주의 연령대를 살펴보면 전국의 경우 30대, 40대, 20대, 50대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서울은 20대가 가장 비율이 커 청년층 가구의 이동이, 경기는 30대, 40대, 50대의 순으로 나타나 중장년층 가구의 이동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동사유로는 전국의 경우 주택, 직업, 가족, 교통 순으로, 1인 가구의 경우 주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직업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유입가구주의 연령별 이동사유를 살펴보면 20대의 경우 전국/서울/경기 모두 직업, 주택, 가족 또는 교육(서울) 순으로, 30대 이상은 주택, 직업, 가족, 교육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주택의 비율이 높아지고 직업의 비율이 낮아지고 있다. 관외 유입가구의 경우 1인 가구 비율이 더 높고, 가구주 연령대는 더 낮으며, 이동사유로는 직업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경기도 시군별 유입가구 특성을 관외이동 중심으로 살펴보면 1인 가구의 경우 양적으로는 서울주변(김포시, 고양시, 남양주시, 성남시, 용인시)과 경기남부 서해안권역(안산시, 화성시, 평택시)이 많으나, 비율은 경기도 외곽지역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경기도 관외 유입가구주의 연령대 비율은 30대, 20대, 40대, 50대 순이다. 그러나 이와 달리 20대가 1순위로 나타나는 시군은 수원시, 안산시, 이천시, 안성시, 포천시, 연천군이며, 50대가 1순위로 나타나는 시군은 가평군, 양평군, 여주시가 해당된다. 관외 이동사유로는 주택, 직업, 가족, 교통, 교육 순이나 직업이 1순위로 나타나는 시군은 13개 시군이 해당된다. 이중 연천군이 65.3%로 가장 높고, 이천시, 평택시가 60%를 보이고 있다. 직업의 경우 양적 규모에서는 경기남부의 서해안권역(화성시, 평택시, 오산시, 수원시, 성남시, 용인시) 중심으로 높게 나타나나, 비율은 경기 북부와 남부 외곽(연천군, 포천시, 평택시, 안성시, 이천시) 중심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유입가구의 특성을 바탕으로 도시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지역과 관련지어 제시하였다. 즉, 이동이 많은 1인 가구를 고려한 주택정책, 20대 이동사유를 고려한 젊은 층 유입을 위한 정책, 서울 인접도시의 30~40대 유입 특성을 반영한 주거 및 교육환경 조성, 50~60대 이상의 고령가구비율이 높은 지역의 고령친화사회 조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장기적, 광역적 관점에서는 인구감소에 대비하여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2중적인 전략, 전입과 전출패턴을 고려한 광역생활권 형성에 대해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migration flows of households in Gyeonggido. The number of net migration between the capital and the other area is 65,633 households in 2018 including 49,575 in Seoul, 15,320 in Gyeonggido, and 738 in Incheon. Seoul has greater influences than any other capital region in migration with non-capital areas. The influence of Seoul has decreased in the capital region and the migration within each jurisdiction has increased instead. Migration stock is bigger in large cities such as Suwon, Seongnam, Yongin etc. and the number of in-migration has also increased in new large residential areas such as Hwaseong and Hanam. Characteristics of in-migration households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householder ages, and in-migration reasons. The share of single households in in-migration is higher than that of households with more than 2 people. The national average is 60.6%, Seoul at 64.9%, and Gyeonggi at 54.9%. Ages of in-migration householder showed in the order of 30s, 40s, 20s, and 50s. Reasons for migration showed in order of housing, occupation, family, and transportation nationwide. In-migration household characteristics of Gyeonggido showed high rates of 30-40s, of in-migration reasons related housing, and of households with more than 2 people. The study also investigates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in-migration households by city and county in Gyeonggido.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in-migration households, the implications for urban policy were presented in relation to each region. It is suggested that housing policy should be considered for single households with high mobility and jobs should be created to attract young people based on the reason for moving in 20s. Also decent resident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developed for 30-40’s inflows in neighboring cities in Seoul. It is proposed that an aging-friendly society should be developed in areas such as Gapyeong and Yangpyeong with high in-migrant rates of aged household. Moreover, the study suggests strategies in long-term and regional perspectives.

      • KCI등재

        패널로짓분석을 이용한 가구주 연령별 임차인의 주거이동에 관한 연구

        성주한(Sung, Joo Han),김형근(Kim, Hyung Keun) 한국부동산학회 2017 不動産學報 Vol.69 No.-

        본 연구의 목적은 가구주의 연령에 따라 임차가구의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가구주 의 연령에 따라 인구․사회적 특성과 지역적 특성, 경제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주거이동에 있어 다른 선택을 보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연령별 임차인의 주거이동을 분석하기 위해 패널로짓모형을 이용하였다. 패널로짓모형을 이용 하여 가구주 연령별 임차인의 인구․사회적 특성과 지역적 특성, 경제적 특성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청년의 경우에는 주거이동에 지역적 특성과 경제적 특성이 매우 중요하게 나타나고, 중년과 장년의 경우에는 인구․사회적 특성, 지역적 특성, 경제적 특성의 모든 특성이 중요하며, 노년의 경우에는 지역적 특성은 강하지만 경제적 특성이 주거이동에 영향력이 약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모든 연령대에 지역적 측면과 경제적인 측면이 주거이동에 매우 중요하게 나타난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연령이 들어감에 따라 약화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t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residential mobility according to the head of household age. Because of the different social, region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the head of household ag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election of residential mobility (2) RESEARCH METHOD The preference of Residential Mobility was analyed by using penal logit model. And independent variables are set in 3 groups. Population・society characteristic, regional characterist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 (3) RESEARCH FINDINGS In the case of young peopl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re very important for residential mobility. In the case of middle aged and elderly people, al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social characteristic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In the case of old age,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strong, but economic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weak influence on the residential mobility. It can be judged that the regional aspect and the economic aspect are very important for the residential mobility in all ages, but it is getting weaker with age. 2.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enant were to influence the choice of residential Mobility. Also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residential Mobility in accordance with another head of household age.

      • KCI등재후보

        중소도시의 지역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이민관,이주형 대한지방자치학회 2010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중소도시의 인구이동을 순이동과 전입을 기준으로 유형화했을 때 어떤 인구이동이 나타나고, 각각의 인구이동에 어떤 지역특성이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지역특성은 시기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중소도시의 도시계획 및 인구 유입 정책 수립을 위한 실증적인 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수도권에 속하는지의 여부가 1995년, 2000년, 2005년의 시기에 구분 없이 공통적으로 중소도시의 인구이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전입이 많은 지역에 있어서 특히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995년에는 주택 및 공공재 등의 물리적 시설 공급과 관련된 변수와 취업환경과 관련된 변수들이 중소도시의 인구이동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도기적인 성격의 2000년을 거쳐 2005년에는 물리적 시설 공급과 관련된 변수와 취업환경과 관련된 변수들의 영향은 상당부분 감소한 반면에, 지역의 문화?의료 및 사회복지, 지자체의 재정과 관련된 변수들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환경과 관련된 변수들 역시 취업환경과 관련된 변수와 더불어 전통적으로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중소도시의 도시계획 및 인구 유입 정책 수립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이러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시스템이 요구되며, 지역의 특성과 인구이동의 유형 등에 부합하는 계획 및 정책의 수립과 지역의 문화?의료 및 사회복지 측면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인구 유입과 더불어 중소도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내발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을 형성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수도권 인구이동의 선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수도권으로의 이동 특성과 수도권 내의 이동 특성을 중심으로

        이외희 통계청 2010 통계연구 Vol.15 No.2

        The study investigates the migrant selectivity and migrant characteristics of intra-capital area (Seoul and Gyonggi) and inter-regional area in terms of capital vs. non-capital area. The study used th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analyze 4 types of inter-regional migration and 3 types of intra-regional migration using variables such as ages, gender,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Ages have stronger influence over the migrants in non-capital area than in the capital area. On the other hand education and occupation has stronger influence over the migrants in the capital area. In 2005 compared to 2000, the influence of education status and occupation has increased whereas that of ages does not. 본 연구는 인적 자본의 변화를 보기위해 인구이동 특성을 선별적 관점에서 이동 특성에 따라 수도권과 비수도권, 수도권내의 이동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비수도권에서 비수도권과 수도권으로의 이동, 수도권 내 이동에 대해 연령, 학력, 성별, 결혼 상태, 직업을 변수로 하여 분석하였다. 인구 이동 자료는 2000년과 2005년의 인구주택총조사 2% 표본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선별적 특성과 유사하나, 일부 변수의 경우 지역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연령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의 이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직업과 학력의 경우 유출지에 관계없이 수도권으로의 이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도권 내에서는 경기와 서울로의 이동에서도 선별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동 성향의 방향은 대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연령은 그렇지 않다. 2000년과 2005년의 시계열 비교에서 볼 때 학력의 영향력은 더 커지고 직업 종류의 영향력은 다소 증가하였으며, 연령의 영향은 완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KCI우수등재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과 사용 경험이 이동통신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이재홍(Jaehong Lee),안중호(Joongho Ahn),성기문(Kimoon Sung),정우영(Wooyoung Jeong) 한국전자거래학회 2010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5 No.2

        국내 이동통신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 분야는 많은 연구자들과 경영자들의 관심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이동통신 산업의 새로운 동향들을 중심으로 이동통신 사용자의 특성과 경험이 이동통신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동통신 이용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해 이동전화요금의 지불금액을 종속변수로 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이동통신 사용자의 특성과 서비스 이용경험에 관련한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이동통신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경험은 이동전화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웹 사용시간, 이메일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이동전화 이용요금의 지불금액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연령과 같은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도 이동전화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 연령이 낮을수록, 또한 소득이 높을수록 이동전화를 더 많이 이용하여 이동전화 요금 지불금액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료콘텐츠의 이용횟수는 이동전화 사용요금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유료콘텐츠의 이용횟수에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 is growing every single year in Korea, it has pulled the interest of many researchers as wells as the executives. This research is aimed to find out factors of the mobile market that affect the utiliz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We adopted a survey method with a pinpointed focus on how users’ profile and individual experience relates with the utiliz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For this objective, first, we primarily analyzed the mobile users’ characteristics and service usage patterns. Then, we developed a conceptual model and hypotheses that are empirically examined using a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hich will contribute to investiga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mobile business. Some suggestions constitute the remaining part of this research. First, user characteristic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 amount expended for mobile service. Second, user experience is another critical aspect that is highly linked with mobile payment. In alignment with our research, we propose user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income, and user experience about mobile internet usage and mobile contents usage are of great significance in devising both near- and long-term mobile business strategy.

      • KCI등재

        주택하위시장 여건을 고려한 지역 간 이동 영향요인 분석

        노두승(Noh Du Seung),김리영(Kim Lee Young),양광식(Yang Kwang Sik) 한국부동산학회 2017 不動産學報 Vol.70 No.-

        지역 간 인구이동은 기대소득 또는 절대소득, 취업기회 등과 같은 경제적측면의 이동이 주된 원인으로 설명되지만, 지역내부나 인접지역 간에 이루어지는 이동은 주거이동으로 설명한다. 주거이동은 해당지역이나 인접지역에서 주거조절을 통해 이동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인구이동과 차별적이다. 이 연구는 어느 한 지역 내 주택시장여건이나 지자체가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의 차이가 이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영향 요인은 무엇인지 인구이동과 주거이동과 관련한 이론적 논의 하에서 이동에 영향을 주는 하위시장여건과 지역특성요인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이동의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인구규모가 큰 지역, 인접한 지역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이 가지고 있는 공공시설이나 서비스보다 지역의 주택시장 여건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전세가격의 상승에 따른 주변지역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임차가구의 비자발적 이동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저소득 임차가구의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적 방안 모색이 필요하며 저렴한 주택공급, 공공임대주택 공급이 우선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housing market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migration.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mainly used spatial analysis and OL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migration. For that, this study obtained variou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housing market data. (3) RESEARCH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migration is more clustered in Seoul city that south part in Seoul city and neighbor in Suwon city. 2.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policies were recommended. The policies are needed to reduce the loss of affordable housing and displacement of low income households by increased rent.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ncrease affordable housing supply.

      • KCI등재후보

        인구이동과 도시지역의 공간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서종국 대한지방자치학회 2011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도시에서 전개되는 공간 환경 변화의 특징인 정보화와 고령화 그리고 고밀개발이 도시 인구이동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 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에 이용된 기본 자료는 1995년, 2000년과 2005년의 인구주택센스서와 인구이동통계자료이며 분석의 기본대상은 우리나라 7대광역시와 나머지 76개 지방도시를 포함한 총 83개 도시이다. 연구결과 초기연도의 인구와 고용은 인구유입규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인구는 순인구이동율에서 부(-)의 관계로 나타나 우리나라 대부분의 도시가 더 이상의 규모의 경제가 없거나 집적의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결과이다. 정보화는 유입인구와 순인구이동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고령화와 고밀화는 명쾌하게 일관된 결론을 제시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추정결과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도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여러 정책들과 현상들이 인구이동 요인으로 실질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이주 유형이 자가소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천진홍(Jin Hong Chun),이성우(Seong Woo Lee) 한국지역지리학회 200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3 No.6

        본 연구에서는 이동 유형을 지역 내 이동과 지역 간 이동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원인을 고찰하는 한편 두 가지 유형의 상호 연계성을 이동 후 관찰되는 자가소유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1980년부터 2000년까지의 인구주택총조사(Census)를 활용해 우리나라 인구이동의 일반적 특성을 고찰하고 기존의 이동거리에 관한 가설을 검증하는 한편, 이동형태에 따른 자가소유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 간 이동과 지역 내 이동의 연계를 밝혀주는 Goodman의 세 가지 가설과 Roseman의 조정이동 가설은 우리나라에서 대부분 성립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감소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거리에 따른 이주경력 결정요인을 살펴보면 연령이 낮을수록, 차가 거주자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이동성향이 증가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여성의 반복이동 성향이 증가하며 유배우자의 이동성향은 감소하였다. 단거리 이동의 경우 여성의 이동성향이 남성에 비해 우세했다.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통제된 변인 중 보다 앞선 시기에 실업률이 부(-)인 지역으로 향하던 이주가 조사시점과 가까운 시기에는 정(+)인 지역으로 변화한 점과, 교원수 변인이 동일시기 정(+)인 지역에서 부(-)인 지역으로 변화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주 후 자가를 소유할 확률은 지역 간 이동에서 여성이 더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유형별로 살펴보면 판매직과 기능직의 경우 이동 후 자가를 소유할 확률이 가장 낮았으며 전문직 종사자는 가장 높은 확률을 보였다. 제주지역으로 이주한 가구가 타지역 이주가구에 비해 자가소유확률이 낮았으며 지가가 높은 지역을 목적지로 택한 가구일수록 자가소유 경향은 낮아졌다. 이동성향이 높은 가구는 자가소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studies on residential move, there has been tendency of dichotomy where short distance moves are largely caused by housing to adjust to changes in households while long distance moves are induced by shift in labor market. However, some empirical studies have proven that residential move is so complex process that the simple dichotomy should be elaborated. In this sense, the present study seeks to identify compounded course of residential move in Korea. In determining migration history, families with younger householders, renters, householders with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and smaller households show a higher probability to move. In case of mobility, women were more prone to move compared to man. Women compared to man, older age augmented the probability to own a house after migration. Families with householders following an occupation of sales and technical service showed lowest tendency to own houses while it marked the highest in the group of professionals. Higher land price of a reg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owning houses after migration.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factors in macro level as well as micro level significantly affect the move of individuals with varying effects in accordance with migration history.

      • KCI등재

        지질조건에 따른 사태물질 이동특성 고찰

        채병곤 ( Byung Gon Chae ),김원영 ( Won Young Kim ),이춘오 ( Choon Oh Lee ),김경수 ( Kyeong Su Kim ),조용찬 ( Yong Chan Cho ),송영석 ( Young Suk Song ) 대한지질공학회 2005 지질공학 Vol.15 No.2

        토석류 산사태물질은 암석의 풍화 산물이므로 사태물질의 특성은 그 지역에 분포하는 기반암의 종류에 의존한다. 이 연구에서는 사태물질의 종류에 따른 이동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암석의 풍화 특성과 지형조건이 서로 다른 3개 지역에서 발생한 26개 산사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산사태 발생지점의 정밀야외조사를 통하여 암석의 종류, 풍화 및 지형특성 등을 분석하였고 사태물질의 입도분포와 체적에 따른 이동과 지형특성과의 관계를 추적하였다. 지형 조건 중 사면의 경사변화는 사태물질 이동거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경사 변화가 많을 경우 사태물질의 확산속도와 에너지가 변화하기 때문에 일정한 경사를 따라 사태물질이 흘러내리는 것보다 더 큰 이동거리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사태물질의 이동거리는 사태물질의 체적과 입도에도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사태물질 체적은 지질특성에 확연히 구별되어 반려암 지역의 경우 화강암 지역에 비해 4~5배 크다. 사태물질의 입도측면에서 중립질의 화강암 분포지역보다 대규모 핵석이 발달하고 풍화심도가 불규칙적인 반려암 지역에서 사태물질 규모 및 이동거리가 훨씬 크게 나타난다. Properties of sliding materials are dependent on the lithology because debris is the product of rock weathering processes. In order to characterize transportation behavior of debris dependent of debris types, this study selected 26 debris flows over three areas composed with different rock weathering types and topographic conditions. Analyses of lithology, weathering, and top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performed by detailed field survey. Based on the field survey data, transportation behavior of debris was studied at the aspect of the relationship of grain size and volume of debris as well as topographic condition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change of slope angle is very influential factor on runout distance of debris among the topographic factors. Because the sliding velocity and the energy of debris are frequently changed and more irregular on an undulating slope, the runout distance of debris is larger than that of an uniformly dipping slope. Runout distance of debris is also influenced by volume and grain size of debris. Volume of debris in the gabbro is four or five times larger than that of the granite area because it is controlled by the lithology. Considered with grain size distribution, runout distance of debris is longer in the gabbro area which is composed with irregular grain size bearing large corestones than that in the medium grained granite area.

      • KCI등재

        수도권 은퇴계층의 주거이동시 면적의 다운사이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현수,성주한 한국주거환경학회 2018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6 No.4

        In this study, the retirees of the metropolitan area reduce the residential area in order to secure a minimum living cost for retirement. In particular, we use four characteristics to examine the basis of downsizing in detai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idential mobility characteristics, housing tenure characteristics, and housing types characteristics affect the downsizing of residential area I want to see it.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ffect of downsizing on the area in residential mobility of the metropolitan retirement clas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retirement age group of 50s and 60s, the size of the housing area is downsized. Especially, the downsizing of the area is dec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useholds, university graduates, and health. Even if you retire, you will not downsize if you have a large family with a large number of households. Also, among the retirees in their 50s and 60s, if they are university graduates or more, there are many intellectuals in white color. And the healthier you are, the more likely you are not to downsize. However, the residential mobility, housing tenure and housing typ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mobility are considered to be downsizing because they are retirement class in 50s and 60s.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의 은퇴계층들이 살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생활비를 확보하기 위해 다운사이징을 하게 되는데, 인구통계 특성, 주거이동 특성, 주택점유형태 특성, 주택유형변화 특성이 주거이동시 면적의 다운사이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수도권 은퇴계층의 주거이동시 면적의 다운사이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50대와 60대의 은퇴계층의 경우 주택 면적을 다운사이징하게 되는데, 특히, 가구원수와 대졸이상, 건강에 따라 면적의 다운사이징에 대해 결정되어진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은퇴한다 하더라도 가구원수가 많은 대가족일 경우 다운사이징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현재 50대와 60대의 은퇴계층 중 대졸이상인 경우에는 화이트컬러의 지식인층들이 많기 때문에 면적을 줄이면서 남는 돈으로 생활비로 쓰는 현실적이고 빠른 판단을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주거이동시 주거이동특성과 주거점유형태특성, 주택유형변화특성들은 면적 다운사이징에 관계없이, 단지 50대와 60대의 은퇴계층이기 때문에 면적 다운사이징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은퇴계층의 경우 면적 다운사이징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은 가구원수, 학력(대졸이상), 건강여부 등의 인구통계특성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