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동통신서비스 소비자역량과 규제에 대한 태도 연구 : 휴대폰 구매 성향에 따른 소비자 유형별 분석

        옥경영,서인주,김선우,김시월,권대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3

        이동통신서비스시장에서 실질적인 소비자 주권실현을 위하여 소비자역량 수준 및 규제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 중요하나 이에 대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동통신서비스 소비자역량과 규제에 대한 태도 수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동통신 소비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조금 규제가 2015년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시행과 함께 강화됨에 따라 휴대폰 단말기 구매성향이 규제에 대한 소비자태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므로, 휴대폰 단말기 구매성향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한 후 소비자 유형별로 소비자역량과 규제에 대한 태도 수준을 살펴보고,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동통신서비스 이용 소비자 4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동통신서비스 소비자는 휴대폰 단말기 구매성향에 따라 고관여형, 무관심형, 가격민감형, 스타일중시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유형화되었다. 소비자문제해결을 위한 소비자역량 수준, 이동통신서비스 관련 보조금 규제 및 단말기 유통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시행에 대한 소비자태도는 전 유형에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고관여형, 무관심형은 가계지출 중 통신비 부담 수준이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가격민감형의 경우에만 보조금 규제 인지 및 소비자태도가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타일중시형은 사용단계의 소비자역량이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소비자의 관점에서 보조금 규제 및 단말기 유통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을 통한 규제 강화에 대한 유용성은 그리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소비자지향적인 규제정책을 위하여 정책 입안 시 소비자유형별 정책수용도 검토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동통신서비스 소비자역량 강화를 위하여 소비자 유형별 접근이 필요하다. The Mobile Device Distribution Improvement Act took effect in 2015 October to reduce average household spending on telecommunication services. Whereas there are a lot of reports on the effects of the act, it is hard to find empirical studies on the consumers' evaluation towards mobile device subsidy regulation in the perspective of consumer orientedness. In this background, authors investigated consumer capability i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and consumers' attitudes towards the mobile phone subsidy regulation. For the purpose,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segment groups by their mobile phone purchase tendencies: High involvement group, low interest group, price-sensitive group, and style-obsessed group. Consumer capabilities in the consumer problem resolution stage and consumer attitudes on mobile phone subsidy regulation were lowest level among all 4 group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consumer attitudes on mobile subsidy regulation and higher consumer capability in the consumer problem resolution stage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consumer satisfaction o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only in the price- sensitive group. To enhance positive consumer attitudes towards government regulation and consumer's satisfactions on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it is critical to consider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of the regulation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consumer satisfaction by consumer segment before the regulation proposal.

      • KCI등재

        소비자의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유형별 피해경험과 만족도 연구 -알뜰폰 이용소비자와 비이용소비자의 비교

        김시윌 ( Si Wuel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2

        최근 빠르게 급증하는 알뜰폰(가상 이동 통신망 사업자, 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의 이용 확대와 함께 이용소비자의 피해경험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반적인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소비자의 이용유형을 분석하고, 피해경험을 알아보며, 이용유형과 피해경험에 따른 만족도의 주효과와 상호작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알뜰폰 이용소비자와 비이용소비자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실행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패널회사를 통한 웹서베이(Web Survey)방식으로 조사하였으며, 총 662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유형은 음성통화중심 저이용형, 다양한서비스 고이용형, 데이터중심 고이용형, 데이터중심 저이용형으로 분류되었고, 이동전화요금과 연령, 용돈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또한 알뜰폰 이용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이동통신서비스 피해경험은 약정불이행, 명의도용, 해지제한, 해지비용 등은 알뜰폰 이용소비자가 비이용소비자 보다 더 많았고, 부당요금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이동통신서비스 만족도는 안전 및 가격의 우수성 요인, 정보 및 업무처리의 신속성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유형과 피해경험이 요인별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니, 안전 및 가격의 우수성 만족도 요인은 알뜰폰 이용소비자에서 피해경험 여부가 주효과를 보였고, 비이용소비자는 피해경험 여부와 이동통신서비스 유형이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및 업무처리의 신속성 만족도 요인은 알뜰폰 이용소비자와 비이용소비자 모두 피해경험여부가 주효과를 보이는 이동통신서비스 유형과 상호작용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유형이 다양하며, 구체적으로는 알뜰폰 이용여부에 따라서도 소비자이용유형이 다름을 시사한다. 또한 피해경험여부가 안전 및 가격의 우수성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므로, 소비자의 이동통신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소비자이용유형별 각기 다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또한 소비자이용유형에 따른 상품과 서비스의 다양화도 필요함을 시사한다. In recently, it is increasing using consumer of affordable phones, and also it is increasing problem experience of recent consumer use with expanded use of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has increased rapidly soaring.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ving the main and interaction of experiences and communication services for the use and type of damage of the consumer experience. In addition, this research compared the user and non user of MVN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of consumers used type of voice call center that using type, range of services and using type, was classified as a data center and using type, data center low using type, differed depending on the mobile phone bills and age, pocket money. Also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MVNO available. Second,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experience of consumers is commitments avoid default, impersonation, termination restrictions, cancellation costs are MVNO using consumers were more non using MVNO consumers, unreasonable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ird, consumers satisfa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atisfaction was classified as a cost factor and safety and speed of information and business factors. And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ype and the problem experience, the effects of factors specific satisfaction, safety and price satisfaction factor is main effects in MVNO using consumer. Non using MVNO consumer is related problem experience 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attern by interaction effect. Consumer``s satisfaction on the Information and speed of business process is not interaction effect with MVNO user and non us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nsumers us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by different types, and it means that consumer use different type depending on whether using MVNO. And it suggests that a different approach is required to improve the different mobile service satisfaction effect on whether the damage is price satisfaction safety and experience. And it is need to produce multiple mobile service by consumer``s pattern.

      • KCI등재

        이동통신 시장의 단말기 기반 경쟁 (DBC : Device Based Competition)이 경쟁과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이동통신 서비스-단말기 결합분리(Decoupling) 유인을 통한 경쟁활성화 정책 매커니즘 고찰

        홍진배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4 No.-

        Mobile handset subsidy is one of three major competition tools together with tariff and quality of service. This has revealed ambidextrous aspects to the market competition and consumer surplus. While this provides basis for spread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t the initial stage of the market, it becomes a controversial issue that excessive and discriminative handset subsidy may harm potential of the market growth and consumer surplu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how prohibition of handset subsidy affects consumer surplus and competition. However, this does not reflect complexity of shifting regulations and market situation that tightly couples handset and mobile services entering smart phone era since Nov 2009 in Korea. Thus, this research conducts interviews with various participants including MNOs, MVNOs, manufacturers, handset distributors, consume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 order to attain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on changing dynamics of the mobile service and handset market. Based on empirical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s among penetration rate of smart phone, No of number portability and fixed-mobile bundling services. This presents that changing competition in smart phone era reveals discontinuous change from previous competition in feature phone period acknowledging prominent role of handset subsidy in competition ahead of tariff and QoS. This study attempts to define this type of competition as ‘Device Based Competition (DBC)’ distinguishing from traditional competition concepts of facility based competition and service based competition. In this context, it analyzes DBC’s impact on mobile service and handset competition and consumer surplus. The results confirm that coupling mobile service and handset derived from unclear and discriminatory handset subsidy and its roller coasting may lead to ‘market failure’ in mobile service and handset market.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policy mechanism’ for decoupling mobile service and handset, which result in promoting market price mechanism in each mobile service and handset industry and increasing consumer choice. 서비스 요금, 품질과 더불어 이동전화산업의 3대 경쟁수단중 하나인 단말기 보조금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어서, 서비스와 단말기 시장의 초기시장 형성과 경쟁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기도 하였지만, 포화된 시장에서의 불투명하고 과도한 보조금은 성장 잠재력 훼손과 소비자 후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그간의 연구들은 주로 피쳐폰 시대에 단말기 보조금의 금지여부에 따른 소비자 후생의 변화나 경쟁효과의 분석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2009년 11월부터 한국시장이 스마트폰 시대로 넘어 가면서 단말기 출고가, 이동전화 요금제 수준별로 단말기-서비스 번들링 등 단말기와 통신서비스의 관계가 변화되기 시작하였는데, 본 연구는 종전의 경쟁과는 단절적인 변화(Discontinuous Change)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즉, ‘단말기’가 전통적인 통신서비스 경쟁수단인 ‘요금’과 ‘품질’ 보다 주된 경쟁수단으로 부상하였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통신시장의 새로운 경쟁현상을 ‘단말기 기반 경쟁(Device Based Competition)’ 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경쟁이 MNO와 MVNO와의 경쟁, 단말기 제조시장의 경쟁, 소비자의 서비스와 단말기의 선택권 등 이동전화산업의 서비스-단말기 각 부문의 경쟁과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불투명한 단말기 보조금 지급으로 인한 이동전화 서비스와 단말기의 결합, 보조금 롤러코스터 현상이 소비자의 후생배분과 이동전화 서비스 및 단말기 유통시장에서 ‘시장실패’를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동전화 서비스와 단말기 유통 각각의 시장에서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이동전화 단말기와 서비스가 불투명하게 결합된 구조를 분리하여 단말기와 서비스 각각의 ‘가격’의 작동을 정상화하고, 소비자가 서비스 가입시 단말기 보조금과 서비스 요금할인 중 선택할 수 있는 유인체계의 도입을 위한 ‘정책 매커니즘’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이동통신 시장의 단말기 기반 경쟁 (DBC : Device Based Competition)이 경쟁과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이동통신 서비스-단말기 결합분리(Decoupling) 유인을 통한 경쟁활성화 정책 매커니즘 고찰

        홍진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0 No.1

        Mobile handset subsidy is one of three major competition tools together with tariff and quality of service. This has revealed ambidextrous aspects to the market competition and consumer surplus. While this provides basis for spread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t the initial stage of the market, it becomes a controversial issue that excessive and discriminative handset subsidy may harm potential of the market growth and consumer surplu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how prohibition of handset subsidy affects consumer surplus and competition. However, this does not reflect complexity of shifting regulations and market situation that tightly couples handset and mobile services entering smart phone era since Nov 2009 in Korea. Thus, this research conducts interviews with various participants including MNOs, MVNOs, manufacturers, handset distributors, consume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 order to attain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on changing dynamics of the mobile service and handset market. Based on empirical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s among penetration rate of smart phone, No of number portability and fixed-mobile bundling services. This presents that changing competition in smart phone era reveals discontinuous change from previous competition in feature phone period acknowledging prominent role of handset subsidy in competition ahead of tariff and QoS. This study attempts to define this type of competition as ‘Device Based Competition (DBC)’ distinguishing from traditional competition concepts of facility based competition and service based competition. In this context, it analyzes DBC’s impact on mobile service and handset competition and consumer surplus. The results confirm that coupling mobile service and handset derived from unclear and discriminatory handset subsidy and its roller coasting may lead to ‘market failure’ in mobile service and handset market.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policy mechanism’ for decoupling mobile service and handset, which result in promoting market price mechanism in each mobile service and handset industry and increasing consumer choice. 서비스 요금, 품질과 더불어 이동전화산업의 3대 경쟁수단중 하나인 단말기 보조금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어서, 서비스와 단말기 시장의 초기시장 형성과 경쟁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기도 하였지만, 포화된 시장에서의 불투명하고 과도한 보조금은 성장 잠재력 훼손과 소비자 후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그간의 연구들은 주로 피쳐폰 시대에 단말기 보조금의 금지여부에 따른 소비자 후생의 변화나 경쟁효과의 분석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2009년 11월부터 한국시장이 스마트폰 시대로 넘어 가면서 단말기 출고가, 이동전화 요금제 수준별로 단말기-서비스 번들링 등 단말기와 통신서비스의 관계가 변화되기 시작하였는데, 본 연구는 종전의 경쟁과는 단절적인 변화(Discontinuous Change)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즉, ‘단말기’가 전통적인 통신서비스 경쟁수단인 ‘요금’과 ‘품질’ 보다 주된 경쟁수단으로 부상하였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통신시장의 새로운 경쟁현상을 ‘단말기 기반 경쟁(Device Based Competition)’ 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경쟁이 MNO와 MVNO와의 경쟁, 단말기 제조시장의 경쟁, 소비자의 서비스와 단말기의 선택권 등 이동전화산업의 서비스-단말기 각 부문의 경쟁과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불투명한 단말기 보조금 지급으로 인한 이동전화 서비스와 단말기의 결합, 보조금 롤러코스터 현상이 소비자의 후생배분과 이동전화 서비스 및 단말기 유통시장에서 ‘시장실패’를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동전화 서비스와 단말기 유통 각각의 시장에서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이동전화 단말기와 서비스가 불투명하게 결합된 구조를 분리하여 단말기와 서비스 각각의 ‘가격’의 작동을 정상화하고, 소비자가 서비스 가입시 단말기 보조금과 서비스 요금할인 중 선택할 수 있는 유인체계의 도입을 위한 ‘정책 매커니즘’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이동통신 서비스 품질과 제품(단말기) 품질이 고객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순한 ( Soon Han Bae ),박종근 ( Jong Geun Park ),백승익 ( Seung Ik Baek ) (주)엘지씨엔에스(구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1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0 No.2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는 제품과 서비스가 융합된 가장 대표적인 예일 것이다. 따라서 이동통신의 품질은 제품 자체(통신 단말기)의 품질 수준뿐만 아니라 서비스(통신 서비스)의 품질 수준이 모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이 두 가지 품질수준을 모두 고려하여 이동통신의 품질을 측정하였으며, 단일 차원의 충성도가 아닌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충성도와 같이 다차원의 충성도 개념을 도입하여 이동통신 제품의 품질과 서비스 품질이 각각의 충성도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이동통신 서비스의 품질은 인지적 충성도와 감정적 충성도 형성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으며, 행동적 충성도에도 간접적 영향이 미치고 있는 반면에 이동통신 제품의 품질, 즉 단말기 품질은 행동적 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추가적으로 충성도 형성의 경로는 단말기와 서비스의 사용기간에 따라 다른 경로를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각 이동통신사에 대한 이용자의 충성도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품질뿐만 아니라 제품(단말기) 품질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recent mobile services are characterized as the convergence of service and product. Thus the quality of the mobile services should be measured by both quality of product(device/phone) and service as well.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product quality in building customer loyalty toward mobile service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ractions among three different kinds of loyalty: cognitive loyalty, affective loyalty, and behavioral loyalty, in building the loyalty. As a result, service quality indirectly affects the behavioral loyalty through the cognitive and the affective loyalty, while product quality directly affects on only the behavioral loyalty. This result shows that the quality of the mobile services is affected by both service quality and product quality. This study also finds that the path of building loyalty has been shown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the usage duration of product and service.

      • KCI등재

        이동통신요금 만족도와 이동통신 소비생활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 요금 관련 소비자정보의 충분성과 소비자역량을 중심으로

        김시월,옥경영,서인주,김선우,권대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3

        근간 소비생활에서 이동통신서비스와 스마트폰이 생활의 필수재가 되면서, 소비자들은 이동통신요금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이동통신요금 만족도 및 이동통신 소비생활 만족도 실태를 분석하고, 이동통신요금 관련 소비자정보의 충분성과 소비자역량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이동통신 소비자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소비자들의 월평균 이동통신요금은 약 4만6천원이었으며 요금 만족도는 2.85점으로 리커트 척도 평균 3점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었고, 이동통신 소비생활 만족도는 2.98점이었다. 이동통신요금 만족도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정보 충분성과 소비자역량은 각각 유의수준은 달랐지만, 이동통신요금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동통신요금 만족도는 이동통신 소비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쳤다. 즉, 충분한 소비자정보 제공과 소비자역량은 소비자들의 이동통신요금 만족도에 기여하며,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의 이동통신 소비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이동통신요금 및 이동통신 소비생활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은 투명한 요금구조를 갖추어야 하며 소비자 스스로 상품/서비스 정보 및 사용량을 확인하고 최적요금제를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이동통신서비스 기업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소비자들의 요금 비교 및 선택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3사와 알뜰폰의 요금제 정보를 쉽게 비교할 수 있는 정보제공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소비자들의 요금 관련 역량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적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소비자역량 강화를 위하여 기업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As having access to mobile connectivity became a necessity in the modern digital society, consumers are facing burden on high fe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This research explored evidence of the factors which influence consumer satisfaction of mobile telecom fee in the perspective of the enoughness of consumer information and consumer competency. An online survey of 400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consumers was conducted to identify variables which influence satisfaction o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fee. Consumer's average mobile telecommunication fee was 46 thousand won per month. The satisfaction level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fee was revealed little bit lower, which was influenced by enough provision of fee-related consumer information and consumer competency. To enhance consumer's satisfactions on mobile telecom fee, it is important to provide information for easy comparison. In addition, consum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consumer policy support is necessary to enhance consumer's competency in fee-related information comparison and selection. Private sectors' self-regulatory effort is also required for transparent information provision and consumer competency enhancement.

      • KCI등재

        이동통신서비스의 이용자 판별을 위한 서비스품질, 관계품질, 기술수용성 요인에 관한 연구

        양병화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1 No.1

        From the satisfaction model, research on service marketing has proposed positive effects of the perceived quality on customer loyalty and retentions. Based on the shift from transactional marketing to customer-centered marketing paradigm, recent studies have examined the role of relationship quality constructs to grasp strategies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sag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in Korea using discriminant analytic approach through various constructs of service quality, relationship quality, and technology acceptance. We assume that actual usag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can be strongly predicted by qualities of service and customer relationship as well as by perceptual factors of the technological usage. Using data collected from Korean user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research questions receive support in that our constructs can increase the classification of customers either by service reliability or relationship quality with customers contingent on different user groups of telecommunication firms. Results also suggest that subjective norm is an effective predictor in classifying right customers of Korean telecommunication companies. Implications to the service and customer management are discussed along with practical suggestions to managers that are responsible for customer services. 서비스에 대한 연구들은 만족이론에 기초하여 품질개선과 고객유지(애호도)를 예측하는 모형들을 제안해 왔으며, 최근 고객중심의 패러다임이 확산되면서 서비스품질과 더불어 고객관계의 질적 요소를 중요하게 다루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서비스 및 고객관계의 질적 요소가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에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이동통신은 첨단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서비스되므로 테크놀로지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가정한다. 이에 본 연구는 거래요인으로서의 서비스품질과 인적요인으로서의 관계품질, 그리고 테크놀로지요인으로서의 기술수용성 요인이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자를 얼마나 잘 판별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이용자 예측을 위한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서비스의 신뢰성, 공감성, 확신성은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자를 예측하는 중요한 서비스 요소이고 관계몰입과 관계신뢰는 이용자를 구분하는 중요한 고객관계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관적 규범은 서비스 이용자를 구분하는 중요한 기술수용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이용자의 특성과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차별적 서비스전략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기술혁신패턴과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류희숙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0 산업혁신연구 Vol.26 No.2

        기술혁신연구는 주로 제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1990년대 이후 서비스 산업에서 기술혁신을 통해 새로운 시장이 창출되는 과정과 R&D 투자 행태, 서비스 기업의 신기술 도입과 활용, 그리고 서비스 산업의 혁신이 제조업과 다른 차이점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산업의 기술혁신에 대한 연구가 주로 서비스 업종별 횡단적 분석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산업 발전에 따라 서비스의 유형이 어떻게 변화되는 지에 관한 종단적 분석은 시도되지 않았던 것을 보완하여 한국 이동통신 서비스 산업의 시장규모 성장에 따른 이동통신사업자의 기술개발활동의 발전과정을 사례로 기술혁신패턴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사업자의 기술혁신을 서비스제품혁신과 서비스공정혁신으로 구분하고, 신규 서비스 출시를 기술기반서비스와 시장기반서비스로 구분하여 혁신패턴을 분석하였는데, 여기에는 특허데이터와 서비스 출시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특허데이터는 한국특허정보원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고 서비스 출시 데이터는 각 사업자가 발표한 자료를 토대로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기술혁신과정에서 기술공급자인 단말기 업체의 기술발전과 정부의 통신사업자 추가 도입, 단말기보조금 지급, 번호이동성 보장에 대한 규제에 따라 기술혁신과 서비스 출시가 변화함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선두기업은 기술혁신과 신규 서비스 출시에 있어서 우위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경영성과가 좋은 기업이 기술혁신에 자원을 투입하고 그 결과로 활발한 기술혁신이 일어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이동통신 서비스 기업의 혁신과정에 대해 특허자료를 통해 실증적 분석을 했다는 것과 정부규제가 완화되고 경쟁이 증가하는 정보통신 산업에서 기업의 향후기술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이동통신 서비스 산업만을 대상으로 기술혁신패턴을 분석한 것이므로, 향후 금융, 소매업, 교통 서비스 등 타 서비스 산업에 대한 기술혁신패턴 연구로 확장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전기통신서비스의 도매제공제도

        홍대식 한국법경제학회 2010 법경제학연구 Vol.7 No.1

        This article aims to overview the system of the wholesale provision of telecommunications services which is newly introduced into the wholly amended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 the Act”) of Korea dated March 22, 2010. The wholesale provision of telecommunications services is statutorily defined as an activity that a common carrier provides other telecommunications carriers its telecommunications services or allow them to utilize all or part of the telecommunications facilities necessary for the provision of the telecommunications services by concluding an agreement based on a request of other telecommunications carriers. This system enables other telecommunications carriers to enter into the incumbent common carriers’ market by reselling incumbents’ telecommunications services to users on different trading conditions without establishing equivalent business base with incumbents. This system is expected to promote service-based competition supplementing facilities-based competition in the telecommunications markets, particularly the mobile ones by incentivizing business potentials to enter into the market as a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MVNO). However, whether this system would live up to the expectation remains to be seen because the Act authorizes most of important parts of the system such as the designation of the obligatory services to be provided wholesale by obligatory common carriers, conditions,procedures and methods for the provision of services or facilities, and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charges to the power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 KCC”).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article starts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outline and purpose of the system (I). Following this, the position of the system in the Act is reviewed in terms of the attempt to change of the regulatory framework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network access regulations (Ⅱ). The later parts of the article deal with the issues of the design of the system and the basic structure of the system (Ⅲ) to be followed by the problems of the system and the way of giving concrete form to the system (Ⅳ). The brief conclusion stressing the right design and operation of the system will be followed (Ⅴ). 이 논문은 2010. 3. 22. 전부 개정된「전기통신사업법」에 처음으로 도입된 전기통신서비스의 도매제공제도를 개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기통신서비스의 도매제공은 법규정에 의하여 기간통신사업자가 자신이 제공하는 전기통신서비스를 재판매할 수 있도록 협정을 체결하여 다른 전기통신사업자에게 자신의 전기통신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전기통신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전기통신설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말한다고 정의되어 있다. 이 제도는 다른 전기통신사업자가 기존의 기간통신사업자와 동등한 정도의 사업기반을 구축하지 않더라도 그 기간통신사업자의 전기통신서비스를 그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거래조건 또는 거래내용으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통신시장, 특히 이동통신시장에서 잠재적 사업자들이 가상이동망사업자(MVNO)의 형태로 시장에 진입하도록 유인을 제공함으로써 설비기반 경쟁을 보완하는 서비스기반 경쟁을 촉진하게 될 것이 기대된다. 그러나 법이 도매제공의무사업자의 도매제공의무서비스의 지정, 도매제공의 조건•절차•방법 및 대가의 산정에 관한 기준 등 제도의 중요한 사항의 대부분을 방송통신위원회의 권한에 위임해 두었기 때문에, 이 제도가 기대에 부응해 줄 것인지는 지켜보아야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배경하에 도매제공제도의 개요와 취지를 소개하는 것으로 논의를 시작한다(I). 그 다음에 도매제공제도의 지위를 통신시장 규제체계의 변화 시도와 다른 네트워크 접속규제와의 관계에서 살펴본다(Ⅱ).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도매제공제도 설계의 쟁점과 제도의 기본적 구조(Ⅲ)와 도매제공제도의 문제점과 구체화 방안(Ⅳ)을 다룬다. 끝으로 도매제공제도의 올바른 설계와 운영을 강조하는 것으로 글을 맺는다(Ⅴ).

      • KCI등재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이 이동통신 유통경로에 미치는 영향

        송영욱(Song Young Wook),성민(Min Sung),김상덕(Sang Duck Kim) 한국유통학회 2015 流通硏究 Vol.20 No.3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이하 단통법)은 가입유형에 따라 고객을 차별하는 판매행위를 금지하고, 단말기 보조금에 상한선을 두어서 단말기 유통구조를 보다 투명하게 개선하며, 단말기 출고가와 통신요금 인하를 유도하려는 취지에서 시행되었다. 그런데 그 법이 최종소비자를 포함하여 이동통신 경로구성원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칠지, 부정적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논란은 크게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여, 단통법의 이해, 적용, 전망, 개선과 관련하여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토대로 이동통신 유통경로의 구성원들인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 이동통신서비스 공급업체, 이동통신 유통업체, 최종소비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단통법은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에게 가장 많이 불리하고, 최종소비자에게 다소 불리하지만, 이동통신서비스 공급업체에게는 대응여부에 따라 유리할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의 심층면접 결과를 통해, 단통법과 관련하여 여러 쟁점사항들을 유추할 수 있다. 보조금 규제로 인한 소비자 부담의 증가, 반시장적 경쟁제한, 첨단기술 개발 제한, 제조사의 경쟁력 약화, 영업기밀의 유출, 법안의 목적과 수단의 불일치, 이동통신사 중심의 유통구조 고착화, 이용자 차별방지를 위한 장치 미비 등이 그것들이다. 마지막으로, 단통법으로 인한 이동통신 유통경로의 변화 전망으로써, 본 연구는 이동통신 유통경로의 양극화와 중소유통업체의 구조조정, 타 유통경로의 확대와 대리점 유통경로의 축소, 저가 단말기 전문매장 등장과 이동통신재판매 사업자의 성장, 음성적 장려금/Payback의 성행 가능성, 그리고 이동통신 유통경로 내 파워 구조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