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월호 사고 뉴스 프레임의 비대칭적 편향성

        이완수(Wan-Soo, Lee),배재영(Jae-Young Ba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1 No.3

        이 연구는 프레임 개념과 편향성 개념을 통합적으로 연결해 재난 사고 뉴스의 정치사회적 의미를 해석했다. 국내 언론이 세월호 침몰 사고라는 특수한 재난 사고의 문제 정의, 원인 해석, 도덕적 평가, 그리고 사후 처방을 제시하는 과정에 어떤 프레임을 더 편향되게 배치했는지를 이론적으로 검정해 보았다. 또한 프레임의 편향성이 정치적 이념을 달리하는 보수 신문과 진보 신문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해 보았다. 내용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월호 사고 진단 프레임에서는 전체적으로 파편화>개인화>권위무질서>극화의 순으로 편향되어 있었다. <조선일보>는 파편화 편향성이, 한겨레는 권위무질서 편향성이 상대적으로 컸다. 둘째, 사고 평가에서는 책임 프레임>도덕적 프레임>문제 해결 프레임>사고 원인 프레임의 순으로 편향되어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책임 프레임, 도덕적 프레임 편향적으로 사고를 평가했다. <한겨레>는 책임 프레임, 문제 해결 프레임 편향성이 두드러졌다. 셋째, 책임 소재 프레임에서는 정부>개인>조직의 순으로 편향되어 제시됐다. <조선일보>는 정부와 개인의 책임 편향성을 드러낸 반면에, <한겨레>는 상대적으로 정부에 책임을 더 강조하면서 조직에 대한 책임 편향성도 보였다. 넷째, 문제 해결 프레임에서는 전체적으로 주제적 프레임과 일화적 프레임 편향성이 엇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일화적 프레임으로, <한겨레>는 주제적 프레임으로 더 편향화하는 차이를 보였다. 세월호 사고의 평가와 해석에 대한 언론의 프레임 편향성과 함께 이념적 차이에 따른 언론 간의 편향성 차이를 사회적 맥락 차원에서 토론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olitic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the disaster accident news with the frame and bias concept. In particular, this study confirmed theoretically how domestic media biased frame when it presents problem definition, causing interpretation, moral evaluation, and post-prescription on the ferry Sewol accident, In addition, the bias of the frame was analyzed comparing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servative newspapers and liberal newspaper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diagnosis of ferry Sewol accident, news slanted fragmentation frame>personalization frame>authority-disorder frame. The Chosun Ilbo focus on fragmentation bias, meanwhile Hankyoreh focus on the authority disorder relatively. Second, in accident evaluation, responsibility frame> moral frame> problem-solution frame. The Chosun Ilbo focus on responsibility frame and moral frame. But Hankyoreh focus on responsibility frame and problem-solution frame. Third, in the matter of responsibility, government frame>personal frame>organizational frame. Chosun Ilbo biased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and individuals, while the Hankyoreh is relatively more emphasis on government responsibility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organization also showed. Fourth, in problem solving, thematic frame and episodic frame bias appeared as rough and level. Chosun Ilbo showed episodic frame, Hankyoreh showed thematic frame. News frame and bias as well as ideological differences of media on ferry Sewol accident wa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social dimension.

      • KCI우수등재

        서베이 기반 정치 엘리트 이념 측정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구본상(Bon Sang Koo) 한국정치학회 2016 한국정치학회보 Vol.50 No.4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 정치학에서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어 온 서베이에 기반한 정치 엘리트의 이념 측정이 지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제19대 국회 개회 전 서로 다른 두 매체(SBS와 중앙일보)에 의해 시행된 서베이 결과를 활용하여 입증하였다. 첫째, 대중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의 정치지식을 가진 의원들 역시 확고한 이념에 근거하여 정책 태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의원들은 여러 외적 충격, 특히 선거 결과 등을 고려하기 때문에 언제든지 자가평가 이념이나 정책 관련 응답을 바꿀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전반적 응답 불안정성에도 불구하고 정책 관련 선호를 통해 측정한 이념지수가 자가평가 이념지수에 비해서는 훨씬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측치(응답거부) 문제 역시 서베이 시행 매체별 편향성을 가진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보다 엄격한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본회의 표결데이터 분석으로부터 개별 의원들의 최적점을 추정하는 방식인 W-NOMINATE 결과를 활용하였다. 이처럼 서로 다른 측정 방식 결과 간 교차검증(cross-validation)은 단순하게 서베이 기반 측정 방식의 한계를 지적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렇게 얻어진 이념값을 어느 정도까지 신뢰할 수 있는가를 가늠해 볼 수 있게 할뿐만 아니라, 최적점 추정방식으로 얻은 정책 공간상의 여러 추상적 차원이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지 규명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his paper demonstrates the limitations of the survey-based measure of political elites’ ideology which has been most frequently used in Korean politics by using the two similar surveys conducted by different media (SBS and Joongang Ilbo) right before and right after the 19th legislative election. First, even legislators who are politically more sophisticated than the public may not respond to the questionnaires on the basis of latent ideology. Furthermore, many legislators who seriously consider election outcomes can change their responses to the same questionnaires regarding ideologically divided policies as well as self-placed ideology. Despite the overall response instability, ideology scores based on their attitudes toward policies are more stable than those placed by themselves. Second, this paper confirms that missing values (nonresponse) are not randomly generated in surveys, but are biased by media conducting a survey. For more rigorous tests, we test the validity of the survey-based measure by employing the W-NOMINATE, one of the most popular roll-call-based ideal point estimators. This cross-validation not only allows researchers to assess how reliable the survey-based estimates are, but it also helps to specify the multi-dimensional policy spaces reduced by roll-call-based ideal point estimation.

      • KCI등재

        남남갈등에서의 정치적 양극화와 중도정치

        채진원(Chae, Jin Wo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통일인문학 Vol.69 No.-

        우리 사회의 이념무드가 중도로 수렴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진보진영과 보수진영간의 남남갈등이 심화되는 현상을 어떻게 봐야 할까? 본 논문의 목적은 ‘정치적 양극화’에 대한 논의를 통해 남남갈등의 원인을 진단하고, 바람직한 해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즉, 논문은 첫째, 정치엘리트들이 이념적인 편향성을 동원(mobilization of bias)하여 국민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그것에 영향을 받은 국민이 보수와 진보로 편을 갈라서 이념적 · 정파적으로 싸우게 됨으로써 남남갈등이 초래된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경험적으로 논의한다. 둘째, 그러한 원인진단에 따라 바람직한 남남갈등의 해법을 탐색한다. 이러한 접근은 그동안 남남갈등의 원인이 진영간의 적대적인 불인정과 소통부족이고, ‘진영간의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대안으로 제시했던 것에 대한 반성이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남남갈등의 실체는 결국 국민수준과 무관하게 정파적 · 이념적 편향성을 동원하는 정치엘리트 수준의 정치적 양극화에 따른 갈등이다. 남남갈등의 원인이 정치엘리트 차원의 ‘집단 극단화’에 따른 이념적 편향성의 동원이라는 ‘정치적 양극화’때문이라면, 그 해법은 ‘집단 극단화’와 ‘정치적 양극화’에 따른 극단정치에 대한 경계이며, 평균적인 국민수준의 정서와 이념적인 성향에 초점을 맞추면서 극단을 견제하고 균형을 추구하는 중간지대가 활성화되는 ‘중도정치’가 바람직하다. Though the trend that we have ideological mood of society converge to Moderate, decide how the phenomenon of intensifying South-South conflict between liberals and conservatives loo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agnose the cause of South-South conflict through discussion of "political polarization" and navigate to the desired solution. in other words, paper, first, the political elite ideological mobilized bias affects the national level by the National influenced it divided into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ideological, partisan to the fight being strangers in theory empirically that the conflict has caused It will be described in. the second, paper searches for the solution of the preferred according to the South-South conflict cause such diagnosis. these approaches, which have been the cause of South-South and disregarded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hostile sides of the conflict, therefore, is a reflection of what was presented the "Reaso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camp" as an alternativ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the reality of South-South conflict is a conflict of the political polarization of the political elite,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 end mobilize the national level, partisan, ideological bias. If, because the cause of South-South conflict political elite dimensional "political polarization" of the mobilization of bias based on ideological excess, the solution is the refrain of the extreme politics of the political polarization, the average national level of the emotion and focus on the ideological inclinations aligning it would be desirable that "Moderate politics to counterbalance the extremist and seek balance.

      • KCI등재

        테러와의 전쟁에 관한 미국 내 신문의 이념적 편향 연구: 2006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을 중심으로

        박준혁 ( Jun Hyuk Park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1 국방연구 Vol.54 No.1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미국이 직접적으로 개입되지 않은 테러와의 전쟁과 관련한 사례들 중 테러 및 이에 대한 피해 당사국의 대응에 대해 미국 내 주요 신문들이 어떠한 형태의 이념적 편향 틀을 가지고 보도하였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가령, 테러단체를 비이성적, 비합리적 조직으로 묘사하면서 군사력을 사용해서라도 반드시 일망타 진해야 함을 시사하는 언론이 있을 수 있는가 하면, 테러리즘의 근본적인 발생원인과 테러와의 전쟁으로 인해 참상을 겪는 무고한 시민들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이들 테러 단체에 대한 무력응징이 바람직하지 않음을 시사하는 언론이 있을 수도 있다. 본 논문은 2006년에 발생한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간 전쟁을 테러와의 전쟁사례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신문으로는 자유주의적 성향의 뉴욕타임즈와 워싱턴포스트, 보수주의적 성향의 워싱턴타임즈와 시카고트리뷴을 선정하여 이들 신문들이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을 어떠한 형태의 이념적 편향 틀을 가지고 보도하였는가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The research focus of this paper is to analyze what kinds of frames of ideological bias major American newspapers have, in order to report the response of a victim nation to terrorist actions against it, particularly in cases of the War on Terror that do not directly involve the United States. For example, there would be some press that suggests a terrorist organization should be destroyed by the use of military force depicting that it is unreasonable and irrational, while there would be other press that implies a military retaliation is not desirable by focusing on the causes of a terrorism and innocent people who have gone through the disastrous scenes triggered by the war on this terror. This paper selects the 2006 Israel-Hezbollah War as a research case of the War on Terror. Liberal-leaning newspapers such as the New York Times and the Washington Post and conservative-leaning newspapers like the Washington Times and the Chicago Tribune are chosen for this investigation.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what kinds of frames of ideological bias these newspapers have in reporting the Israel-Hezbollah War.

      • KCI등재

        SNS 정치 정보의 질적 수준에 대한 소고

        이소영(So Young Lee),한정택(Jung-Taek Han)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3 동서연구 Vol.25 No.2

        〈국문요약〉 이 연구는 한국의 SNS 공간에서 소통되는 정치 정보가 유권자들의 정치적 지식과 관심도 및 이념적 편향성, 그리고 우리 사회의 분극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그 질적인 수준을 논의하고 있다. 18대 대선 유권자조사 자료 분석 결과, SNS는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는 바와는 달리 유권자들의 선거과정에 대한 인지도및 관심도 제고를 위한 중요한 기제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 SNS는 강한 이념적 성향을 견지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여론과는 일정 정도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SNS 공간의 이러한 이념적 편향성이 적어도 편파적이거나 질적으로 낮은 정보 때문에 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정치적 지식과 관심의 제고를 위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SNS가 현재 우리 사회에서 보이고 있는 이념적 편향성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하겠다. This study discusses the quality of the political information circulated and communicated through SNS by examining how political information on SNS affect the users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interest, and ideological bias, and the polarization of Korean society.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using the 18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data display that, differently from what many have concerned, SNS is an important tool to raise the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and interest. 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offline public opinion, opinion on SNS appears to lean toward the progressive s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is ideological bias on SNS is not related to the quality of information on ..SNS but probably to the communication structure and environment in Korea. We suggest an objective and in-depth study to investigate why SNS shows a strong ideological bias particularly in Korea, while it provides significant and useful information helping citizens know political process and have interest in politics.

      • KCI등재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실체와 변화

        윤성이 세종연구소 2006 국가전략 Vol.12 No.4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내용과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조선일보와 한국갤럽이 실시한 2002년, 2004년, 2006년 한국사회의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안보, 경제, 사회가치 세 분야 9개 이슈에 대한 집단간 태도의 차이와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사회의 보수-진보갈등과 세대갈등 모두 일반적 인식만큼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9개 이슈 가운데 국가보안법에 대한 태도에서만 보수와 진보집단간 인식의 차이가 있었고 변화의방향도 반대로 이동하였다. 세대집단의 경우 9개 이슈 전체에 대해 세대갈등이라 할 만한 인식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사회의 이념갈등이 실체적 내용에 비해 과장되어 부풀러져 있으며, 이러한 이념갈등의 원인은 정치권의 ‘편향성의 동원(mobilization of bias)'에 기인한 측면이 크다고 본다. In order to explain substance of ideological conflicts and its changes, this study compares attitudes of ideological and generational groups toward major political social issues. According to the findings, both ideological and generational conflicts are not so keen as generally understood. Two confronting ideological groups, the Progressives and the Conservatives, do not show sharp differences in their attitude toward major political and social issues except the National Security Law. On 8 issues, their differences remain at the level of being gapped and compromised. In the case of generational groups, on all 9 issues their conceptional differences are not so acute as being called as generational conflict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ideological conflicts in Korean society is exaggerated comparing to its reality and a large part of this happening is due to ‘mobilization of bias' by the politics.

      • KCI우수등재

        유권자의 정치 관심은 언제나 바람직한가?: 정부 신뢰의 이념 편향을 중심으로

        하상응,길정아 한국정치학회 2020 한국정치학회보 Vol.54 No.2

        Politically interested voters are more likely to be actively engaged in politics, which contributes to enhancing governmental accountability and responsiveness. Previous studies have proposed a variety of civic education programs that intend to increase political interest of ordinary citizens, assuming that political interest can make voters rational and political system stable. This study argues that, in an ideologically polarized era, political interest can be detrimental to democratic governance. Analysis reveals that trust in government—a key element for the health of democracy—tends to be influenced by voters’ ideology: conservative voters demonstrate higher levels of trust in government under the conservative regime, while liberal voters show higher levels of trust in government under the liberal regime. Such an ideological bias turns out to be larger among politically interested voters than their counterpar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litically interested voters are not necessarily rational voters; rather, they are likely to exacerbate ideological polarization. 정치에 관심을 갖는 유권자들은 정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정부의 책임성과 반응성을 제고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많은 연구들은 유권자의 정치 관심을 증진시키는 방안으로 시민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기존 연구들은 정치 관심이 가지는 규범적으로 바람직하며 긍정적인 속성에 초점을 맞추어 왔던 것이다. 기존 연구와 달리 이 연구는 정치 관심이 갖는 부작용을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정치 관심이 높은 유권자들에게서 더욱 강한 이념 편향성이 나타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 있다. 설문 자료 분석 결과, 보수 정당이 집권한 2014년에는 보수적인 유권자가 정부를 보다 신뢰하는 반면, 진보 정당이 집권한 2018년에는 진보적인 유권자가 정부에 대해 높은 신뢰를 보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 경향성이 정치 관심이 높은 유권자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는 결과가 본 연구의 핵심적인 발견이다. 이 연구는 이념적으로 양극화된 정치적 환경 하에서 바람직한 대의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해서는 정치 관심의 고취에 그치는 것이 아닌, 합리적 유권자의 육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지역 정치엘리트의 형성과 변화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사례-

        임경희 ( Kyung Hee Lim ) 대한정치학회 2016 大韓政治學會報 Vol.24 No.2

        이 연구는 지역 정치엘리트의 형성과 변화과정을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사례를 통해 고찰한 것이다. 지역의 정치엘리트는 제3공화국 시기 민주공화당과 정부의 핵심인물로 꼽혔던 김성곤, 박준규와 구자춘(具滋春), 그리고 그들과 연관된 인물들을 중심으로 충 원되는 양상을 보여 준다. 선거라는 민주적 절차를 거치기는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특 정 정당 출신의 특정 인물과 연계된 공천(公薦)이 지역정치엘리트로의 성장에 결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지연을 강조하는 지역의 배타성, 과도한 이념 적 편향, 가신집단으로 불리는 전근대적 정치세력의 존재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한국 정치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기도 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process of local political elite through the case of Dalseong-gun, Daegu. Local political elite supplement was highly depended on the key figures of the Democratic Republican Party and of the government, such as Kim Sung-gon, Park Joon-gyu, Gu Ja-chun, and other related persons. Though elections are held, nominations related to a specific personnel from a specific party practically give a decisive influenc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political elite. These phenomenon is an important element in Korean politic and is resulted from regionalism, excessive ideological bias and outmoded political group called retainer group.

      • KCI우수등재

        언론 보도에 대한 편향적 인식이 공정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종혁(Jong Hyuk Lee) 한국언론학회 2015 한국언론학보 Vol.5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ews audience’s evaluation of media’s fairness in terms of biased media perception. In detail, this study examined how the attitude toward news media, political orientation, and the strength of political orientation influenced biased media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the media’s fairness. Methodologicall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Korean news audience’s perception and evaluation on media’s coverage of 2012 presidential election. As results, this study found assimilation bias with congenial media and contrast bias with hostile media. However, neutral media was rated fairer than congenial media and hostile media. Furthermore,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the more unfavorably congenial media covered the election, the fairer the media were, and that the more favorably hostile media covered the election, the fairer the media were. This indicates that news audience conduct objective judgement seeking accuracy rather than subjective evaluation when they evaluate the fairness of news media.

      • KCI등재

        청소년의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가 정파적 가짜뉴스에 대한 판단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송미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4 시민교육연구 Vol.56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adolescent’s civic media literacy o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1,34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earch wa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the impact o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by civic media literacy sub-competencies was examined, and second, after confirming the type of civic media literacy of adolescents, the difference i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by types was confi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competencies of civic media literacy, the ability to exclude harmful medi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udgment behavior regarding partisan fake news, while public participation had a negative effect. Second, the types of civic media literacy of adolescent are ‘average type(group 1)’, ‘active participation type(group 2)’, ‘risk coping type(group 3)’, ‘risk-vulnerable type(group 4)’, and ‘critically excluding participation type(group 5)’ and ‘self-centered participation type(group 6)’.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s i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by types of civic media literacy of adolescent, the critically excluding participation type(group 5) was better than the average type(group 1), the active participation type(group 2), the risk-vulnerable type(group 4), and the self-centered participation type(group 6). These research findings lead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 specific educational discussion should be held to address the issue of partisan fake news, focusing on building competencies to exclude harmful media.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ublic participation’, a competency recommended in civic education, when using media. Third, customiz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civic media lite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