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색’, 음악적 매개변수로의 자리매김 과정에 대한 연구

        신인선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6 음악이론포럼 Vol.23 No.1

        쇤베르크(A. Schönberg, 1874-1951)의 《다섯 개의 오케스트라 소품》(Op. 16, 1909) 가운데 제3번 <색깔>(Farben )로 시작되어 1960년대 리게티(G. Ligeti, 1923-2006)의 《아트모스페레》(Atmosphères , 1961)를 통해 음악 구성의 매개변수(Parameter)로 등장한 ‘음색’(Klangfarbe)은 19세기까지 음악 이론의 연구 대상이 아니었다. 역사적으로 음높이 그리고 음가와 분리할 수 없는 부수적인 소재였던 ‘음색’에 대한 많은 연구가 1960년대 등장한 ‘음색작곡’(Klangfarbenkomposition)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으로 ‘음색’이 결코 부수적인 음악 요소가 아니었음을 이론적으로 명료하게 설명할 수는 없지만, ‘음색’이라는 관점으로 음악을 관찰하여 18-19세기 작곡가들이 이 매개변수를어떻게 다루었는지, 그 비중의 정도 그리고 음색과 다른 음악 매개변수와의 관계성 변화를 우선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음과 관계된, 선율, 화성 조성과의 관계 속에서 음색 그리고 리듬과 음색의 관계를 관현악법을 통해 확인하는 작업을 포함한 제1장은 20세기 ‘음색’의 주요 매개변수로의 자리매김의 역사적 과정을 설명한다. 제2장에서는 음의 연속을 통해 얻어진 ‘선율’을 대신하는 ‘음색 선율’ 또는 ‘주제’를 대신하는‘음색 주제’를 넘어 ‘음색’ 그 자체가 형식을 이루는 과정을 20세기 전후 창작된 작품분석으로 확인시켜준다. 또한 작품분석은 ‘음색’이 주요 음악적 매개변수로 자리매김 하는 과정이 ‘악기고유 정체성 해체’에 종착점을 두었다는 결론을 이끌 수 있게 하였다. 그 방법에 있어서는‘음고’와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구체화 한 음색작곡과 악기의 특수주법과 연결된 음색작곡이라는 두 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그 분류는 ‘쇤베르크/드뷔시-리게티-배음렬음악 작곡가들’ 그리고 ‘베베른-케이지/펜데레츠키-카겔’에 이른다.

      • KCI등재

        국악기 음색 학습의 현황과 개선 방향

        김민하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1 국악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국악 감상교육에서 국악기 음색 학습이 지니는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고, 국악기 음색 학습 현황에 나타난 문제와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악기 음색 학습의 교육과정 근거를 살펴보 았다. 또한 ‘음악 요소와 개념’과 관련된 학년군별 성취기준을 근거로 음색 학습을 구체화할 때의 방향성을 목표, 내용, 방법, 평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둘째, 선행연구와 설문조사를 토대로 국악기 음색 학습의 의미를 ‘국악의 선율적 특징과 형식의 이해, 소리의 어울림과 조화의 원리 터득, 국악에 관심을 갖게 하는 기초적인 활동, 국악의 선호도를 결정하는 요소, 적극적인 국악 감상자, 향유자를 만드는 토대’가 된다는 측 면에서 고찰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를 분석하여 국악기 음색 학습의 현황과 문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악기 음색 학습의 체계가 미비하고, 국악기 음색 학습을 위한 기초 악곡이 부재함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접근성이 미비하고, 평가 내용이 음색을 구별하는 기능에 편중되어 있는 문제가 드러났다. 넷째,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국악기 음색 학습에 관한 지식과 활동 범주를 설정하 고, 국악기 음색 학습을 위한 초등교육용 악곡을 개발․수록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국악기 음색 학습의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음악교과서가 콘텐츠를 안내해줄 수 있는 플랫 폼으로서의 기능을 해야 하며, 음색 학습과 관련된 ‘지식, 기능, 태도’의 종합적인 평가 방향 을 설정해야 함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educational meaning of learning the tones of Korean musical in Korean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and to present the problems shown in the current state of tone learning and ways to improve i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was analyzed to examine the basis of the curriculum for instrumental tone learning. The direction of specifying tone learning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grade cluster associated with ‘music elements and concepts’ was reviewed in terms of goals, content, methods, and evaluations. Secon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surveys, the meaning of Korean musical instrument tone learning was considered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melodic characteristics and forms of Korean music, learning the principles of harmony and balance of sound, basic activities that make students interested in Korean music, factors that determine one’s preference for Korean music, and the foundation to nurture active appreciators of Korean music and those who enjoy it. Third, the problems shown in the current state of Korean musical instrument ton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pointed out that the system of learning the tones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was insufficient and that there were no basic music pieces for learning the tones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students lacked accessibility to support self-directed learning and that the evaluation contents were biased toward the tone discrimination skill. Fourth,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it was proposed that knowledge of Korean musical instrument tone education and categories of activit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at music pieces appropriate for elementary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included. In addition, it was mentioned that music textbooks should function as a platform to guide content in order to enhance accessibility to learning the tones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set a comprehensive direction for evaluation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related to learning the tones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 KCI등재

        전통 관악기와 서양 관악기 음색에 대한 정서 지각 비교 연구

        주신혜(Shinhye Joo),정현주(Hyunju Chong)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 No.49

        본 연구는 전통 관악기와 서양 관악기 음색에 대한 정서 지각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20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음악 감상 과제가 포함된 온라인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총 64명의 대상자는 전통 관악기인 피리와 대금, 서양 관악기인 오보에와 플루트의 음원을 듣고 각 악기의 음색에 대한 정서 지각의 하위 요인인 이완도, 정서적 역동감, 무게감, 질감, 명료도, 친숙도 총 여섯 가지 항목을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응답 결과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전통악기 및 서양악기와 리드 여부에 따른 네 가지 관악기 음색에 대한 정서 지각의 하위 요인 중 이완도와 질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리드가 없는 관악기인 대금과 플루트, 서양악기인 오보에와 플루트의 음색이 더 부드럽고 이완도가 높은 것으로 지각하였으며, 네 가지 관악기 음색에 대한 이완도와 질감의 상호작용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드 여부에 따른 전통 관악기와 서양 관악기 음색 간의 정서 지각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 리드가 있는 피리의 음색은 오보에의 음색보다 이완도가 낮고 정서적 역동감이 높게 느껴지며, 거친 음색으로 지각하였다. 리드가 없는 대금의 음색은 플루트의 음색보다 무거운 음색으로 지각하며 덜 부드러운 음색으로 지각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네 가지 관악기 음색에서 지각된 정서의 차이를 전통악기 및 서양악기와 리드 여부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직접적인 연관성을 밝힌데 의의가 있다. 이를 근거하여 전통 악기 및 서양 악기와 리드 여부에 따라 관악기 음색에서 지각되는 다양한 정서를 이해하는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ived emotion of instrumental timbre between Korean traditional and Western wind instruments. In the study, 64 participants, adults in their 20s participated via online access. An original music was composed for the experiment that controlled all the musical components such as melodic progression, rhythmic idiom, and musical form, except the instrument that played the main melodic line. The composed music was recorded by Piri, Daegum, Oboe and Flute respectively. The participants listened to four excerpts of music and were asked to record six questionnaires that inquired about factors under perceived emotion, which were degree of at ease, dynamics, thickness, textural quality, clarity and familiarity. The research procedure was reviewed and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before administration.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perceived emotion of timber between Western or Korean wind instruments. and further between reeded or reedless wind instruments.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interaction in the perceived emotion factors among the four instruments. The Korean reeded wind instrument Piri showed less degree of at ease and stronger textural quality than the Western reeded wind instrument Oboe. The Korean wind instrument, reedless Daegum showed thicker and stronger textual quality than Western Flut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timbre of the sound, music, determined by instrumentation induce different perception of emotion during listening. Depending on the musical heritage and how sound is produced by the instrument(reed), the emotional quality of sound timbre is perceived differently. The results provided essential data on the emotion perception following the previous studies that suggested the instrumental timbres significantly affect the listener’s emotional response of the music.

      • KCI등재

        음악의 구성요소로서 음색(音色)의 중요도에 대한 변천과정

        홍요섭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3 음악교육공학 Vol.- No.17

        본 연구는 음악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음색의 중요도가 낭만시대부터 현재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관한 것이다. 서양음악의 역사에서 음고(音高)와 리듬은 오랫동안 음악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로 기능해 왔었다. 낭만시대에 들어오면서 색채적음향이라는 이전의 음악에서는 존재하지 않던 개념을 자신들의 음악에 이입하려는 작곡가들이 나타난다. 이때부터 음색은 다른 음악적인 요소들과 더불어 음악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시작한다. 시간이 흐를수록 음악에서 음색의 중요도는 점차 커지는 양상을 보인다. 70년대에 들어서면 음색이 다른 요소들 보다 더 중요하게 취급되는, 즉 음악의 핵심요소로 작용하는 배음렬음악이 등장하기에 이르게 된다. 논문의 본론에서 다루어지는 연구의 방법은 색채적 음향을 추구한 것으로 인정되는 작곡가들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음향적 차원에서 분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작품들의 연구순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음색의 중요도가 점차 커지는 만큼 그것에 맞추어 정하였다. 본론에서 논의되는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론에 앞서서 ‘음색의 정의’와 ‘음의 물리적인 특성’을 두어 배경지식을 얻는 과정으로 마련하였다. 예술에 있어서 변화란 새로운 아이디어의 도출을 위한 많은 노력과 그것을 실현하려는 강한 의지에서 이루어진다. 이 연구를 통하여 색채적 음향을 만들어내려는 작곡가들의 탐구정신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음에 대한 물리적인 특성과 음악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음색의 의미를 새롭게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time serial change in the degree of importance of timbre as an ingredient for music from the Romantic period to present. In the history of western music, pitch and rhythm have worked as the core elements of music for a long time. Since the advent of Romantic period, some composers appeared to bring colored-sonority in their musics. But the colored-sonority was a strange concept that didn't exist in the previous music. Since then, timbre began to play an important factor with the other elements of music. As times go by, the importance of timbre turns up to get bigger and bigger. With the beginning of 1970s, a spectral music came to emerge, where the timbre as the core element was regarded more importantly than the other elements. The methodology for the body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presentative works of the timbre-oriented composers from the viewpoint of sonority. The order of research in the works is set on the degree of importance of the timbre in accordance with the passage of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discussed in the body, 'the definition of timbre'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are firstly introduced as a process to get the background knowledge. The change in the arts is achieved by a strong will to realize a new idea based on a lot of efforts to create it. Through this research, I can learn a exploration spirit of the composers to develop the colored-sonority, and I can get a chance to newly underst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ound and the meaning of timbre as the element of music.

      • 음색 ; 왜 돼지는 그토록 당차고 비교적 밝고 음악적인 특색을 가진 비명을 지를 수 있는가에 대한 고찰 및 관계되어지는 음향 물리학적 이론

        이동재 공주영상정보대학 1999 논문집 Vol.6 No.-

        우리가 그냥 느끼는 누군가의 목소리 음색들은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또 다른 새로운 소리로 만들어지기 위해서 인간이 진화든 퇴화든 인간과 자연, 기계의 연관작용에 의해 조금씩 변화하고 있음이 사실이다. 천 년 후의 일반적인 목소리와 현재의 목소리는 분명히 차이가 있고, 천 년 후의 사람들이 현재 우리의 목소리를 재생기계를 통해 듣는다면 확연히 차이를 느끼게 되고 우리 자신이 우리 스스로에게 스스로의 목소리를 느끼는 음색 자체가 그네들이 우리의 소리를 들을 때는 확연하던 음색들이 그네들에게는 1000년 전의 목소리라는 것은 식별할 수 있을지 몰라도 우리가 개들의 목소리를 식별할 인지 능력을 훈련받지 않아 멀리서 짖는 개소리가 그냥 개라는 것은 알아도 어떤 종류의 개인지를 모르듯이 그네들 또한 우리 개개의 목소리를 구별하지 못하고 그냥 한 개의 흘러간 목소리로서 전부 일괄하여 인식할 정도일 것이다. 소리의 세계는 우리가 느끼지만 생각이 필요 없는 세계이다. 느끼는 세계가 과연 무엇일까. 우리가 들을 수 있다면 햇빛의 소리는 무엇일까. 죽음의 소리는 무엇일까. 무엇이든 제 목소리를, 자신의 음색을 가지고 있는데 우리가 들을 수 없는 가청주파수 이외의 소리는 어떤 형태일까. 어떤 사람은 23Khz의 음도 들을 수 있다고 하는데 과연 그 소리는 어떤 소리일까 또한 그 이상의 소리도 들을 수는 없는가. 소리의 세계는 결국 느낌의 세계로 들어가야 하는가. 이러한 것이 연구 과제로 남게된다.

      • KCI등재

        18-20세기 관현악곡들의 음색 엔트로피 값 비교 분석 연구

        김진호,이예경,유광목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2 No.-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ncept of information entropy, applied to timbral dimension of music.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musical applicability of the entropy concept, borrowed in the domain of timbral analysis of music. We identify each timbral entropy state of the important eleven orchestral pieces composed during 18th, 19th, and 20th centuries. The entropy state is measurable; in this article the measurement result expressed as a specific bit value describes the amount of timbral information. The result is like this: firstly, we introduce the terminology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heory; secondly, introducing precedent research in the field of musicology which borrows the terminology of information theory, and identifying the peculiarity and the limitations of the precedent research, we support the necessity and originality of our study; thirdly, we analyze the timbral dimension of music through the entropy concept; fourthly, we connect the discussion about the musical entropy concept with the discussion about information theory, and the discussion about thermodynamics. Concerning the analysis of the timbral dimension of music through the entropy concept, we identify the fact that the works composed recently have the bigger bit values than that composed formerly. We identify the same phenomenon in the life-cycle of a composer: the bit value of the latter work is bigger than that of the early work. In the first movement of the Beethoven’s Symphony No. 5, the bit value of development section and coda is bigger than that of exposition and recapitulation section. 본 연구는 음악작품의 음색 차원에 적용된 엔트로피 개념에서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음악적 음색분석 영역에 차용된 정보적 엔트로피 개념의 음악적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18, 19, 20세기에 작곡된 11개의주요 관현악곡들의 음색적 엔트로피 상태를 확인하는작업을 시도한다. 엔트로피 상태는 측정가능하며, 본논문에서의 측정 결과는 비트라는 단위의 특정 값으로 표현되는 음색적 정보량이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엔트로피와관련 용어들을 정의하고, 둘째, 정의된 용어들에 기초한 선행연구를 소개하면서 그 특이성과 제한점을 확인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과 독자성을 옹호하고, 셋째, 그렇게 독특하여 필요한 시도로서 음악의 음색 차원을 엔트로피 개념을 통해 분석하고, 넷째, 음악에까지적용된 엔트로피 개념을 이 용어의 원래 출처인 열역학에서의 논의 및 그로부터 발전된 정보 이론적 논의에 연계시킨다. 엔트로피 개념을 통해 분석한 음색과 관련하여 최근에 작곡된 작품일수록 비트 값이 전반적으로 커져갔음을 확인했다. 한 작곡가의 경우에도 초기 작품보다 후기 작품의 비트 값이 더 컸다. 베토벤의 교향곡5번의 1악장에서는 전개부와 종결구에서 특히 비트값이 컸다.

      • KCI등재

        국립국악원 국악 디지털 음원-국악기 음색을 활용한 <수업 종 만들기> 창작 지도

        정영선 국립국악원 2023 국악원논문집 Vol.48 No.-

        본 연구는 국악 디지털 음원을 가지고 국악기 음색을 활용한 <수업 종 만들기> 창작 활동 지도 방안을 고안하였다. 먼저, 2015 개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국악 창작내용 수록 양상을 검토해 본 결과, 국악기 음색을 활용한 창작 활동은 없었다. 검토한 내용을 토대로 국악기 음색을 활용한 창작 지도 방안을 4단계로 구성하였다. 국악기 탐구 단계, 국악기 음색 구별 단계, 국악기 음색 활용 단계, 창작 작품 제출 단계이다. 4단계의 내용을 토대로 서울특별시 서초구 소재의 I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을 8차시로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국악기 음색을 활용한 <수업 종 만들기> 창작 활동을 통해 첫째, 학생들이 국악기 음색과 소리의 어울림을 경험할 수 있었다. 둘째, 국악을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었다. 셋째,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국악 창작 교육이 활발해질 수 있다. 넷째, 다양한 국악기를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작곡 활동을 통해 창의력을 기를 수 있다. This study devises a method for instructing the creative activity of 'Making Class Bells' using the tone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from the gugak (Korean traditional music) digital sound source provided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First,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aspects of gugak creation content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there were no creative activities utilizing the tones of gugak instruments. Based on the reviewed contents, an instruction plan of the creative activity using the tone of gugak instruments consists of four steps: the step of exploring gugak instruments, the step of distinguishing the tones of gugak instruments, the step of utilizing the tones of gugak instruments, and the step of submitting what they created. Following these steps, the creative activity of 'Making Class Bell', made up of eight classes, was applied to the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cho-gu, Seoul. The first result is that students were able to experience the tone of gugak instruments and further the harmony of sound. Second, they were able to practice gugak in their life. Third, this activity shows that the gugak creative education using digital media can become active. Fourth, they can enjoy various gugak instruments. Fifth, they can develop their creativity through the composition activity.

      • 꽹과리의 배음구조와 주법에 의한 음색변화 연구

        김영민,김준 한국공학안전보건예술학회 2010 한국공학예술학회 논문지 Vol.2 No.-

        사물놀이 악기 중 하나인 꽹과리는 특유의 음색과 주법에 의해 리듬을 주도하는 역할을 한다. 타격의 위치와 세기등 주법에 의해 달라지는 음색의 변화는 꽹과리가 가지는 중요한 특징이다. 본 연구는 꽹과리의 피지컬 모델링 합성을 위한 분석 단계중 기본적인 배음의 구조와 주법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음색을 결정짓는 요소에 대해 연구한다. Kkwaenggwari which is representative of samulnori has unique tone and playing style. So it takes a lead in rhythm. Also it is being modulation of timbre by playing style which are give a blow and good sense. It is main characteristic of kkwaenggwari. This study has been studying fundamental of partial for kkwaenggwari's physical modeling which is phase of analysis and conclusive factor of timbre which is creation by playing style.

      • KCI등재

        해금과 바이올린 음색에 대한언어적 표현 분석

        조원주,김준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3 音樂論壇 Vol.30 No.-

        This study is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Haegum’s verbal expression through the comparison of Haegum and Violin. The expressions of Haegum are reported as rough, clear, and taut. The other hand, that of Violin are described as soft, unclear, and relaxed. These timbral features are consistent with spectral analysis. And it is an important result in objectification. 본 연구는 국악기 해금 음색의 언어적 표현에 관한 연구이다. 12명의 피험자를대상으로 실시한 해금과 바이올린의 비교를 통해 해금의 음색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해금은 거칠고, 명확하며, 긴장된 음색을, 바이올린은 상대적으로부드럽고, 희미하며, 이완된 특징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음색의 특성은 해금 스펙트럼 분석에서도 정확히 나타나고 있어 음색표현 객관화에 중요한결과를 보여준다.

      • KCI등재

        배음 분석을 통한 가상악기의 음색비교 - 소금과 플룻을 중심으로 -

        성기영(Ki-Young Su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7

        1964년부터 국악기의 현대화, 표준화, 과학화 등을 위해 국악기에 대한 연구와 개량사업이 추진되었으나, 국악기가 가지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들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러한 주요 원인중 하나는 국악기에 대한 악기 음향학 연구가 선행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악기 중 협주곡이나 독주곡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금은 맑은 음색과 높은 음역으로 인하여 국악관현악단에서도 서양 오케스트라에서의 플룻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악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비슷한 음색으로 들리는 소금과 플룻의 음색을 악기가 가지고 있는 배음의 분포와 구조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전체적인 음색은 소금에 비하여 플룻이 풍부하고 부드럽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고음으로 갈수록 배음들의 비슷한 구성으로 인하여 두 악기의 음색이 비슷하게 들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후에는 다양한 국악기들에 대한 악기음향학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국악기의 대중화와 세계화에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Since 1964, research and improvement projects on Gugak instruments have been carried out to modernize, standardize, and scientificize them, but their inherent problems of Gugak instruments have failed to produce significant results. It seems that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is is that the study of instrumental acoustics on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was not preceded. In Gugak orchestra, Sogeum used in concertos and solo music is a musical instrument that plays the similar role in Western orchestras due to its clear tone and high sound range. In this paper, the sound colors of Sogeum and flute, which sound similar, were analyzed through the their harmonics distribution and sound structures of the instruments. This showed that the overall tone was richer and softer than Sogeum, and that the tones of the two instruments sounded similar due to the similar composition of harmonic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musical instrument acoustical researches on various Gugak instruments will continue to help popularize and globalize Gugak instr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