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日의 漢文讀法에 나타나는 「乃至」에 대해서

        尹幸舜 구결학회 2005 구결연구 Vol.14 No.-

        韓國의 口訣資料에 있어 「乃至」의 讀法은 여러 發展段階를 보이고 있다. 角筆點吐釋讀口訣資料와 墨書字吐釋讀口訣資料에서 「乃至」의 讀法은 모두 釋讀하고 있으며, 이러한 釋讀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즉----에 이르기까지」의 意味를 나타내는 「乃? ----至?」와「乃??? ----至?」같은 分離形이며, 다른 하나는 角筆點吐釋讀口訣에 나타나는 「乃至?」와 墨書字吐釋讀口訣에 나타나는 「乃???至?」와「乃?至?와 같은 統合形이다. 그러나 후세의 墨書字吐音讀口訣에 있어서 「乃至」의 讀法은 音讀하게 된다. 즉 韓國의 口訣資料에서 「乃至」의 讀法의 발전 段階는 「乃?----至?ㆍ乃至?」에서「乃???----至?」와「乃? ----至?ㆍ乃?至?」를 거쳐서「乃至」의 音讀으로 定着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日本의 訓點資料에 있어「乃至」는 同一資料 안에서도 釋讀과 音讀이 함께 사용되고 있어 韓國의 釋讀口訣資料에 있어서 「乃至」의 讀法과는 다르다. 그 釋讀의 形態는 「乃チ----ニ至ルマデニ(----에 이르기까지)」의 分離形과 「乃至(ナイシ)----マデニ(----까지)」의 音讀과 釋讀이 混合된 分離形과 「----マデ(까지)」가 첨가되지 않은 「乃(スナワチㆍイマシ)----至ル」의 分離形이 사용되고 있다. 「乃チ----ニ至ルマデニ」와 「乃至(ナイシ)----マデニ」의 分離形 중에서 오래된 資料에 있어서는 前者의 釋讀의 分離形이 많이 常用되고 있다. 또한「----マデ」가 나타나지 않는 「乃(スナワチㆍイマシ)----ニ至ル(----에 이르다)」의 形態는 九世紀 資料에는 나타나지 않고, 그 以後의 資料에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의 「乃至(ナイシ)」의 音讀은 九世紀 資料에서도 常用되고 있다는 점에서 일본의 訓點資料에서는 釋讀보다 音讀이 一般的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한국한자어사전>의 음독구결

        하정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6 東洋學 Vol.63 No.-

        This paper is aims to discuss on how to utilize the results of research of the Eumdok-Gugyeol until now. For this purpose, First We analyze the information Gugyeol of the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It said the data problems that authority is concentrated on 地藏菩薩本 願經(Ksitigarbha pranidhana Sutra) of the 15th century and 正俗諺解(Jeongsok-eonhae) of the 16th century. These documents became the authority of gugyeol data in the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Gugyeol information of the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does not show enough with the overall look of the Gugyeol. Therefore, when compiling the enlarged the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Primarily by reviewing the data of the early Joseon, such as 楞嚴經 (Śūraṅgama Sūtra), 南明集(Nammyeongjip), 直指心體要節(Jikjisimcheyojeol) and manuscripts 蒙山法語略錄(Mongsanbeobeoyaknok) and 佛說四十二章經(Bulseolsasibijanggyeong), 詳校正本慈 悲道場懺法(Sanggyojeongbonjabi doryangchambeob), 梵網經菩薩戒(Beommanggyeongbosalgye), 大方廣圓覺略疏注經(Daebanggwangwongakyaksojugyeong), 永嘉證道歌(Yeonggajeungdoga) etc it argued that there is a need to accommodate the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previous proposal it showed a more specific way to the entry of Dictionary of Eumdok-Gugyeol by example of ‘伊’(i) and ‘是’(si). And we argue that to solve this imbalance to the point of entry hierarchy of the description of contents. We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layer structure of entry in Chaja·Idu·Gugyeol(借字·吏讀·口訣) by referring to present the meanings in the 漢韓大辭典(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Lastly, We analyzed the emergence of patterns of Eumdok-gugyeol trailing from the Chinese characters in the Dictionary of Eumdok-Gugyeol. And We examined the actual examples in this reference and associated with which to determine the word of the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본고는 한국한자어사전의 증보편찬에 음독구결 영역에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활용하는 방법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한국한자어사전의 구결 정보를 분석하여, 구결 정보의 근간이 되는전거 자료가 15세기의 地藏菩薩本願經과 16세기의 正俗諺解에 편중되어 있는 문제점을 밝혔다. 이는 한국한자어사전에서 다루고 있는 구결 정보가 구결의 전체적인 양상을 충분히 보여 주지 못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한국한자어사전의 증보편찬 시에는 조선 초기의 楞嚴經 구결 자료와 南明集, 直指心體要節, 필사본 蒙山法語略錄, 佛說四十二章經, 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梵網經菩薩戒, 大方廣圓覺略疏注經, 永嘉證道歌 등의 자료를 우선적으로 검토하여 그 성과를 수용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앞의 제안에 따라 음독구결사전의 표제어를 수록하는 구체적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한국한자어사전의 ‘伊’와 ‘是’ 의 예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파악된 사전 기술의 항목위계의 불균형한 점을 음독구결사전의 내용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漢韓大辭典의 뜻풀이 방식을 참조하여 이두·구결·차자어에 한정하여 사전항목의 위계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즉 구결 용례로 사용된예들을 동일한 용법으로 파악하여 용법별로 묶어서 구결 항목에 모아 기술하는 것이 사용자의 편의에 부합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음독구결에서 한자에 후행하는 음독구결의 출현 양상을 분석하여, 한국한자어사전의 단어 판별 기준과의 관련성이 있는 실제 예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의 일부로 구체적인 예문 자료가 포함된 음독구결사전의 정보를 활용하여 한국한자어사전에 수록될 한자어로 판별될 가능성이 있는 단어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구결자 ‘’의 해독에 대하여

        황선엽(Hwang Seon-yeop) 구결학회 2003 구결연구 Vol.10 No.-

        이 글에서는 석독구결 및 음독구결 자료에 나타나는 구결자 ‘?’의 독법을 새로 추정하여 제시하였다. 종래의 연구에서는 ‘?’을 ‘?’로 읽고 연결어미 ‘-(거)?’을 표기한 것으로 파악하여 왔다. 그러나 필자는 석독구결 자료 중 같은 문맥에 ‘???’과 ‘???’이 같이 쓰인 예가 있음에 주목하여 ‘?’은 그 음대로 ‘근’으로 읽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여기서 ‘?(근)’은 보조사 ‘-ㄱ’에 다시 보조사 ‘-ㄴ’이 통합한 것으로 분석된다. 15세기 국어에서는 이러한 통합이 불가능했으나 석독구결 자료를 통해 고려시대에는 이러한 구성이 가능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음독구결 자료에 나타나는 ‘?’ 역시 보조사 ‘-ㄱ’과 ‘-ㄴ’이 동합한 ‘?’으로 읽을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다만 음독구결에서는 자료에 따라 ‘?’의 기능이 다소 변화한 듯한 모습을 보이는 예도 있다. This paper aims at presenting the new interpretation of a character ‘?(geun)’ that used in Seokdokkugyol(釋讀口訣) and Eumdokkugyol(音讀口訣).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have read ‘?’ as /nΛl/ and interpreted ‘?’ as a conjunctive ending. But In the light of a fact that ‘???’(go-k-eun) replaced ‘???’ in the same construction, I argued that the sound value of ‘?’ is /geun/. ‘?(geun)’ is formed out of the integration of bojosa(補助詞) ‘-ㄱ(k)’ and bojosa(補助詞) ‘-ㄴ(n)’. The integration of bojosa (補助詞) ‘-ㄱ(k)’ and bojosa(補助詞) ‘-ㄴ(n)’ was impossible in 15th century Korean.

      • KCI등재

        韓國의 口訣

        鄭在永(Chung Jae-young) 구결학회 2006 구결연구 Vol.17 No.-

        韓半島에서는 오래 전부터 古代 東아시아의 公用文語인 漢文의 사용은 물론, 漢字를 이용하여 韓國語를 表記하는 노력도 있었다. 韓國의 借字表記法은 固有名詞 表記法서 출발하여, 漢文을 自國語로 解釋하고 나아가 漢字를 이용하여 自國語의 文章을 表現하는 수단으로 발전한 것이다. 이것은 다른 文字를 이용하여 自國語를 표현하거나 다른 나라 말을 자국의 文字를 가지고 표현하려고 한 많은 나라들에서 나타나는 普遍的인 현상이다. 文章 表現의 初期 段階에서는 漢文의 語順과 韓國語의 語順이 다른 점을 인식하고 漢字를 韓國語의 語順으로 바꾸는 것만으로 우리말을 표현하는 방식을 채택하게 되고, 점차 助詞나 語尾까지도 表記에 반영하여 吐를 記入하는 단계로까지 발전하게 된다. 韓國의 口訣은 漢文을 우리말로 飜譯하거나 解釋하면서 읽는 방식으로, 韓國의 漢文 讀法 방법으로 개발된 것이다. 韓國의 口訣은 新羅 義相(625年-702年) 時代부터 발달된 것으로 보인다. 口訣은 符號口訣과 釋讀口訣, 音讀口訣 등 크게 세 가지 정도로 나누어 이해하는 것이 편리하다. 물론 符號口訣은 釋讀口訣이나 音讀口訣과는 그 分類 基準이 같지는 않다. 그러나 口訣文字를 사용한 釋讀口訣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前부터 漢文을 訓讀할 때 사용되는 등, 漢文讀法史에서 중요한 意味를 가지기 때문이다. 또, 點吐나 符號를 사용하는 後代의 符號口訣 중에는 音讀口訣的인 성격을 띠는 자료도 있다. 이 글에서는 韓國에서의 口訣의 發生과 口訣의 種類 등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검토한 다음, 符號口訣과 釋讀口訣, 音讀口訣 등으로 순서로 各各의 性格과 그 특징도 밝혔다. 그리고 口訣文字의 文字論的인 意義와 성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口訣文에 사용되는 口訣文字는 借字表記의 전통에 의거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문자이다. 즉, 漢字의 略體字나 필획이 단순한 草書體 등에 의거하여 만든 우리의 독창적인 음절문자이다. 口訣文字는 우리가 많이 사용해 왔던 漢字에서 특히. 借字表記에서 많이 써 왔던 글자를 바탕으로 하여 만든 문자로, 音節文字의 성격을 띤다. 口訣文字는 기본적으로 모두 다 音假字이거나 訓假字이다. 한국의 借字表記去에서 독창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末音添記法은 다른 漢字文化圈에서 발생한 음절이나 單位音을 표시하는 방법과도 다른 것인데, 釋讀口訣이나 符號口訣에서도 末音添記法을 쓰고 있다. 日本의 假名도 口訣文字와 같은 범주에 속하는 문자이다. 실제로 한국의 口訣文字와 일본의 假名은 여러 면에서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 文字發達史에서 구체적인 관련을 맺고 있다. 口訣文字와 假名은 文語인 漢文을 各自의 言語로 解釋하고 飜譯하는 과정에서 漸進的으로 발생하여 발전한 것이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 兩國은 漢字를 借用하여 自國語를 표기한 借字表記法에서도 공통적인 발전 단계를 보인다. Classical Chinese writing has been read and understood on the Korean peninsula for a long time. Likewise, efforts to write Korean language using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practices of writing in classical Chinese, the common textual medium of East Asia, date to ancient times. Techniques of using Chinese characters to write Korean are known as 'loan character transcription systems' (借字表記法, Chaja pyogibeop). Loan character transcription systems in Korea started with the transcribing of proper names. The next step involved the practice of interpreting or reading Chinese characters in the vernacular; finally, methods were developed for writing sentences in the vernacular using Chinese characters. These practices represent a universal phenomena, found in many nations and periods of history, whereby a foreign writing system is used to transcribe an indigenous language, or an indigenous writing system is used to transcribe a foreign language. In Korea, the initial stage of sentence-unit transcriptions involved simply transposing Chinese character texts from Chinese word order into Korean; this evolved to a stage where grammatical particles and endings, so-called to (吐) in Korean transcription tradition, were inserted into the text Kugyol(口訣) developed as a method of facilitating the translation or interpretation of Chinese texts in Korean as they are read. Kugyol appears to date from the time of the Shilla monk Uisang(義湘, 625-702). Kugyol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basic types: Symbol-kugyol(符號口訣, Buho-kugyol), Seokdok-kugyol(釋讀口訣, translation kugyol), and Eumdok-kugyol(音讀口訣, transliteration kugyol). Of course, the criteria for defining symbol-kugyol are not the same as those used for defining seokdok-kugyol and eumdok-kugyol. But, I classify kugyol into three types because symbol-kugyol had come into general use before seokdok-kugyol was in common use. Early symbol-kugyol materials have the same peculiarities as seokdok-kugyol, but after the 14th century, symbol-kugyol materials mostly have the same peculiarities as eumdok-kugyol, Symbol-kugyol materials can be subclassified depending upon the tool used to record the text. Thus Gakpil(角筆, stylus) symbol-kugyol uses a wooden stylus to make small perforations in the paper as reading marks, so-called Jeomto(點吐) in Korea, while ink symbol kugyol(墨書符號口訣) uses black, vermilion, or white ink to enter the reading marks. Symbol-kugyol visualizes the space demarcated by a Chinese character as a rectangle. The reading marks used in symbol-kugyol are made up of dots and lines or combinations of these basic marks. A single dot is the basic reading mark in symbol-kugyol, In this article I describe the origins of kugyol and its subtypes, and then explain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symbol, seokdok, and eumdok kugyol, I als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kugyol characters from the standpoint of writing system theory. Kugyol characters have been derived from traditional loan character transcription systems in Korea. They are syllabic characters, created from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by omitting certain strokes, or by using cursive forms. Kugyol characters are basically either 'eumgaja'(音假字) or 'hungaja'(訓假字). Japanese kana are the same kind of characters as kugyol characters. Actually, kugyol characters and kana have a lot of cornmon features, and besides kana is closely connected with kugyol from the standpoint of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written characters.

      • KCI등재

        프랑스국립도서관(BnF) 소장 능엄경(楞嚴經) 권9, 10 기입 묵서 연구

        하정수(Ha Jeongsoo)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1 No.-

        이 연구는 프랑스국립도서관(BnF) 소장의 『능엄경』 제5책인 권9, 권10에 기입된 묵서를 구결과 한글, 주석으로 나누어 판독하여 입력한 후, 이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묵서의 기입 양상과 그 기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해당 문헌의 특성을 서지 사항과 내용 구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10권 5책 문헌 전체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기초 자료에서 판독한 제5책의 기입 묵서를 구결, 한글, 주석으로 구별하여 각각의 출현 양상을 살피고 그 기능을 밝혔다. 특히 선행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난외 주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 첫째, 경문의 오른쪽에 기입된 음독구결을 구결자의 형태적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그 기능을 살펴보았다. 음독구결은 『능엄경언해』 목판본의 한글 구결과 거의 동일하였고, 동일 음상을 나타내는 구결자가 상이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구결자 ‘口斤ヿ’’의 ‘斤 ’과 부정 표현에 나타난 ‘毛 ’의 판독에 대해 논의하였다. 전반적으로 구결 구문에 생략 표기가 많이 나타났고, 제5책에 기입된 음독구결자는 단순화된 형태를 지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경전을 우리말로 풀어 읽는 석독을 위하여 기입된 한글은 자음 표기와 모음 표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에서는 이 한글 표기의 기입 시기에 대한 추정 근거로 그 표기 형태에 한정하여 음운 변화와 관련한 특성을 제시하였지만 이 연구에서는 한글 기입자의 방언적 요소 및 개인적 필기 관습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셋째, 묵서로 기입된 주석과 부호를 살펴보았다. 내용 주석 중 『장자(莊子)』,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장수 자선(長水子璿)의 『수능엄의소주경(首楞嚴義疏注經)』과 관련된 것을 『능엄경언해』의 해당 부분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경덕전등록』의 내용은 『월인석보』 권25에 공통된 부분이 있었고, 『수능엄의소주경』 관련 주석은 당시 불교사상사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는 주석 기입자가 이 문헌의 해석을 위하여 불교 경전과 논소뿐만 아니라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저술까지 참조하였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조선 초기 『능엄경』 구결 및 『능엄경언해』와 관련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이 문헌에 기입된 묵서는 당시의 구결 및 한글과 관련한 언어 사실뿐만 아니라 주석 내용 등에 나타나는 사상사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kugyol(口訣) and Hangeul(한글) and annotations(註釋) of “the Materials of Neungeomgyeong(楞嚴經, Śūraṅgama-sutra) vol 9, 10 kept in Biblitheque Nationale de France(BnF)”. It has many informations about Korean linguistic history at early Choseon dynasty. Some materials of Neungeomgyeong(楞嚴經) have a kind of hand writing letters written by character borrow system(借字表記法) of Koryeo dynasty. Translation of Neungeomkyeong(楞嚴經, Śūraṅgama-sutra) was an important work of king Sejo(世祖). This BnF Neungeomgyeong(楞嚴經) documents enables understanding of that work compared Neungeomgyeongeonhae (楞嚴經諺解) as first Eonhae(諺解) translation of Buddhism sutra. In chapter 2, We concentrated on the basic bibliography and the written characteristics in the this documents. And we focused on simple comparison with previous researches. In chapter 3, The Eumdok-kugyol (音讀口訣) characters written in this document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ir form and usage. And we describe the basic work for contrasting this documents with Neungeomgyeongeonhae(楞嚴經諺解) documents printed at 1462. For the Hangeul written in Seokdok-kugyol(釋讀口訣) in this document, the morphological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ngeul were examined. And other signs and annotations were discussed. BnF Neungeomgyeong(楞嚴經, Śūraṅgama-sutra) documents has a great significance in showing the relation of the Joseon Dynasty era eonhae(諺解) as a result of the Goryeo(高麗) Dynasty era Seokdok-kugyol(釋讀口訣) in the continuity of Korean linguistic history. It shows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early translations of Korean by Hangeul(한글), and shows the tradition of the Goryeo(高麗) Era translation of Buddhist Studies in its traditions.

      • KCI등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下 1-1, 1-2에 기입된 구결(口訣)과 내용 연구

        이옥희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5 No.-

        이 논문은 16세기에 복각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下의 1-1, 1-2(대성사 소장본)에 기입된 구결의 종류와 기능을 이해하고, 문헌에 기입된 구결 이외의 묵서의 내용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문헌에 기입된 구결의 유형은 차자 구결, 한글 구결, 그리고 이 둘을 결합한 혼합형 구결 등이다. 이들은 석독 구결과 음독 구결을 표기하고 있다. 특히 한글이 한문 원문에서 한문 어휘의 뜻과 문법 요소를 기입하는 데 구결로 쓰였다는 사실은 한글 창제 이후의 불경 언해에 기입된 구결의 모습을 보여주는 특징적인 요소이다. 구결 이외에도 이 문헌에는 함허의 한시 두 편과 한자 어휘 등이 묵서로 기입되어 있다. 이것은 어려운 『원각경』 원전의 이해를 돕는 데에 보조적 역할을 하는 수단적 기능을 함과 동시에 개인적 메모의 성격을 띄고 있다.

      • KCI등재

        조선 후기의 구결 사용에 대한 고찰 - 『句讀解法』의 분석을 중심으로 -

        윤용선 진단학회 2009 진단학보 Vol.- No.107

        『句讀解法』은 19세기의 유학자 任圭直(1811~1853)의 『錦川集』 권29 「雜著」에 수록된 저술로 구결의 사용법과 사용 구결 형태를 정리하여 제시한 귀중한 자료이다. 본고는 이 자료를 국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한문 독해 과정에 있어 구결이 차지하는 위상, 현토의 원칙과 방법, 현토된 토의 구결문내 역할, 토의 문법 체계, 토 형태의 개별적 기능 등을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句讀解法』에 쓰인 술어들의 개념을 정리하고 구결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당시 한문 독해자들의 구결체계에 대한 인식을 검토했다. 『句讀解法』에서는 독해의 과정을 「句讀 解語」의 순차적 단계로 이해하고 있다. ‘句讀’는 문의 구조, 토를 다는 행위(현토), 문의 구조를 형성하는 단위(구절)를 포괄하는 복합적인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이 개념은 음독구결과 일치한다. ‘解語’는 구절 내부의 어사를 풀어내는 과정으로 석독구결과 유사하다. ‘吐’는 구두를 표시하는 문법 형태를 가리킨다. 『句讀解法』에서 구두를 「전통적인 구두+허자」의 복합체로 이해하고 있다. 문의 구조가 나타내는 정보는 ①구절 사이의 논리적 연결 관계, ②문법적 의미, 구절 내부의 통사구조, 문의 텍스트적 성격 ③해어의 순서이다. 문 층위의 정보 ①은 1차적 정보로, 구절 층위의 정보 ②③은 2차적 정보로 보고 있다. 각 토가 담당하는 층위가 다르기 때문에 토가 통합된 구두도 상위와 하위로 구분된다. 3장에서는 토로 예시된 형태 목록을 제시하고 각 형태의 개별적인 기능과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어말어미는 1차적 정보의 토로, 구절 사이의 논리적 연결 관계를 밝히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지만 연결 관계를 몇 개의 범주로 묶어 인식하고 있다. 동일 범주 안에서의 각 형태의 세밀한 기능 차이는 추가적 정보로 보아 서로 통용할 수 있는 관계로 보고 있다. 선어말어미와 조사는 2차적 정보의 토로, 수의적으로 실현된다. 선어말어미는 시상법, 경어법, 서법 등의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며 하위 구두 유형을 형성하는 주요 기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조사는 해어 순서 지시의 기능이 주된 역할이다. 이 경향은 문법격조사(이, 을, 의)에서 두드러진다. 의미격조사는 한문 허자와 동등한 역할로 인식된다. 문법 형태의 기능에 대한 언어학적 인식은 구결체계 내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비례하는 경향을 보인다. 각 형태의 기능은 구결체계 내에서의 역할에 따라 조정되었기 때문에 구결의 문법 체계는 국어와는 다른 독자적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형태나 체계 양면에 걸쳐 보수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 구결체계가 조선 중기에 고정되어 전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문과 구결도 문자 생활의 한 축을 담당하고 국어의 현상에 간섭하여 왔으므로, 한문이나 구결에 대한 인식과 연구 자료도 국어학사의 연구 대상이 되어야 한다. 『句讀解法』은 국어학사 분야의 자료로서 가치를 지니며, 이에 대한 분석 역시 국어학사의 연구로서 그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KCI등재

        청주고인쇄박물관 所藏 元興社本 『金剛經』에 대한 연구

        鄭在永(Chung Jae-young) 구결학회 2007 구결연구 Vol.19 No.-

        이 글은 寶物 제1408호인 元興社本 『金剛經』(1305년)의 金剛經 六祖口訣後序에 기입되어 있는 口訣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이 자료에 기입되어 있는 口訣은 國語史 분야의 연구에서뿐만 아니라 한문 讀法史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 자료에는 두 가지 종류의 口訣이 기입되어 있다. 하나는 點이나 數字 표시에 의해 한문을 우리말 어순으로 읽은 부호 구결이고 다른 하나는 15세기 후반 정도에 기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音讀口訣이다. 음독구걸은 대체로 한글 언해본의 구결문과 비슷하다. 點이나 數字 등으로 표시된 符號口訣 중에는 어순 표시와 함께 부분적으로 문자토를 사용하여 釋讀의 흔적을 남기고 있다. 이 자료에 기입되어 있는 부호 구결의 특징은 點이나 數字를 사용하여 漢文을 우리말 語順으로 읽고 해 석한 자료다. 逆讀點과 合符 表示 방법도 나름대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합부 표시는 合符線을 사용하는 대신 한 단위의 단어 사이에 語順을 표시하는 정이나 數字를 기입하여 그것이 한 단어나 또는 한 단위로 해석해야 함을 표시하고 있다. 이 자료에서는 먼저 구절 단위로 끊고, 그 다음 각각의 구절 안에서 우리말 어순의 순서를 표시하고 있다. 逆讀符號와 함께 漢文構成素에 數字나 點(또는 짧은 橫線)을 이용하여 한문 원문을 우리말의 語順으로 釋讀(訓讀)하는 口訣文은 주로 9世紀 以前의 寫經들과 朝鮮 時代의 일부 釋讀(訓讀) 資料들에서 그동안 발견된 바 있다. 본고에서 검토한 元興社本 『金剛經』(1305년)에 기입되어 있는 符號口訣도 이들과 脈을 같이 하는 資料다.

      • KCI등재

        프랑스국립도서관(BnF) 소장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大佛頂如來密因脩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권1, 2에 기입된 구결(口訣) 및 한글 연구

        하정수 국어문학회 2020 국어문학 Vol.74 No.-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kugyol(口訣) and Hangeul(한글) of “the Materials of Neungeomgyeong (楞嚴經, Surangama-sutra) vol 1, 2 kept in Biblitheque Nationale de France”(from now on we called this by BnF Neungeomgyeong (楞嚴 經). It has many informations about Korean linguistic history. Translation of Neungeomkyeong (楞嚴經, Surangama-sutra) was the first work and important work of king Sejo(世祖). It was his the Korean own language and character(한글) translation. The ten volumes of the text were originally published in 1461 in a movable-type edition. Then one year after in a woodblock printing were published in 1462. King Sejo(世祖) and prominent scholars and monks of the time examined various books such as Neungeomgyeong (楞嚴經) documents. And they reflected the results of studies and debates in the translation. Therefore, this book shows various perspectives on these translations after this work. Some Materials of Neungeomgyeong (楞嚴經) is written by character borrow system(借 字表記法) of Koryeo dynasty. This BnF Neungeomgyeong (楞嚴經) documents enables understanding of that work compared Neungeomgyeongeonhae (楞嚴經 諺解). In chapter 2, We focused on the basic bibliograph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s documents, and focused on the queen(韓氏) and the monk Hakjo(學祖) who wrote the remarks(跋文). In chapter 3, The Eumdok-kugyol(音讀口訣) characters written in this document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ir form. And we tdescribe the basic work for contrasting this documents with other Neungeomgyeong (楞嚴經) document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In chapter 4, For the Hangeul written in Seokdok-kugyol(釋讀口訣) in this document, the morphological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ngeul were examined, and other annotations were discussed. BnF Neungeomgyeong (楞嚴經, Surangama-sutra) documents has a great significance in showing the relation of the Joseon Dynasty era eonhae(諺解) as a result of the Koryo Dynasty era Seokdok-kugyol(釋讀口訣) in the continuity of Korean linguistic history. It shows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early translations of Korean by Hangeul(한글), and shows the tradition of the Goryeo Era translation of Buddhist Studies in the Royal Family and its traditions.

      • 향찰과 구결의 친연성에서 본 향가 해독의 시각 전환

        박재민 ( Jaemin Park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4 한국어와 문화 Vol.35 No.-

        본고는 향가와 구결자료를 비교하여 그 공통점을 기술하고, 이를 통해 차자표기의 일반적 구조에 대해 고찰한 결과물이다. 향가와 구결은 문법적으로 상당한 친연성을 지니고 있다. 이를 보이기 위해 유사한 조사, 어미, 어휘, 통사구조의 예시를 들었다. 향가와 구결은 시기, 사용계층 및 문화적 범주에서도 상당한 친연성이 있다. 향가 작가인 균여대사가 구결을 사용한 흔적이 있고 향가의 내용이 구결이 구사된 불경의 내용과 유사한 것이 많은데 그중 주목할 만한 것을 예시했다. 이후 이들을 종합하며 향찰의 어절 구조를 ‘漢主借從’으로 파악했다. ‘어절 구성에 있어, 한자가 체언이나 어간 표기를 위해 쓰임으로써 주축이 되고, 차자가 조사나 어미 표기를 위해 뒤따라 쓰이는 표기 현황’을 간략히 나타낸 말이다. ‘漢主借從’은 이전에 통용되던 ‘訓主音從’을 대체하기 위한 제언인데, 향찰의 구조가 ‘훈주음종’일 경우 여러가지 문제가 생기는 현황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 과정에서 그간 향가 연구 현장에서 쓰이던 잘못된 개념을 교정했다. 기존 연구서에서 흔히 훈독과 훈차를 혼동하고, 음독자와 음차자를 혼동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들은 전혀 다른 것이므로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훈독은 의미를 지니고 있는 글자이고, 훈차는 발음기호로 쓰이는 글자이므로 둘은 전혀 다른 것이며, 음독 또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글자이고 음차는 발음기호로만 쓰이는 글자이므로 둘은 엄격히 구분되어야 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향가에 쓰인 글자는 정용자(훈독, 음독)와 차용자(음차, 훈차)로 나누어 연구되어야 한다는 제언을 했다. This paper is a research result that compares and analyzes the Hyangga and Gugyeol materials to elucidate the grammatical and cultural commonalities between the two, and through this, to newly understand the character notation structure of Hyangchal. Here, I will summarize the main concepts and findings. Commonalities between Hyangga and Gugyeol: The research identified grammatical commonalities between Hyangga and Gugyeol through investigations into particles, endings, vocabulary, etc.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two materials were used in similar periods, social strata, and cultural contexts. Notably, examples were given of Gyunyeo Daesa, who composed Hyangga, using Gugyeol,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contents of Hyangga and the scriptures using Gugyeol. Structure of Hyangchal Words: The study newly identified the structure of Hyangchal words as 'Hanju Eumjong (漢主借從)', meaning that Chinese characters come at the beginning of a word and borrowed characters at the end. This replaces the traditional theory of 'Hunju Eumjong (訓主音從)', where explanatory characters come first followed by phonetic characters, in an attempt to solve various problems that arise when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Hyangchal with the traditional approach. Corrected Concepts in the Study: The research corrected commonly confused concepts in previous Hyangga studies. It emphasized the need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Hun readings (訓讀字, meanings) and Hun characters (訓借字, for phonetic symbols), as well as between Eum readings (音讀字, Sino-Korean readings) and Eum characters (音借字, for phonetic symbols), pointing out that these are entirely different concepts and should not be confused. Classification of Characters Used in Hyangga: Ultimately, the study concluded that characters used in Hyangga should be understood as divided into Jeongyongja (正用字, characters for Hun readings[訓讀字] and Eum readings[音讀字]) and Chayongja (借用字, characters for Eum characters[音借字] and Hun characters[訓借字]). This classification provides an important standard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ity of character usage in the study of Hyangga and related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