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S를 활용한 연기교육 콘텐츠의 구성요소와 발전방안 연구 - 유튜브를 중심으로 -

        이영은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7 No.1

        SNS를 활용한 교육콘텐츠는 시청각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PC뿐 아니라 모바일에서도 궁금한 정보 나 내용이 검색 가능하다는 점에서 학습적 효과가 있다. 본 연구자는 그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유튜브 콘텐츠가시청자와 학습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연기교육 유튜브 콘텐츠를 일반인들도 시청하기에 적절하도록 하며, 학습자에게 학습동기와 흥미 를 유발시키고 더 나은 유비쿼터스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다음의 문제점을 제시한다. 1. 유튜 브에서 제공하는 연기교육콘텐츠의 수용시기와 현황은 어떠한가? 2.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연기교육콘텐 츠의 내용과 구성적 특징은 어떠한가? 3. 교수자와 학습자의 소통 방식은 어떠하며, 교육적 효과가 있는 가? 그에 따른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높은 조회수와 구독자수, 연기교육 내용, 교수자 -학습자의 관 계성을 보여주는 유튜브 3개 채널에 게시된 약 347개 영상이 연구대상이 되어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은 연기교육 영상 콘텐츠의 ‘제작의도', ‘콘텐츠가 다루는 주요 내용’, ‘구성 및 특성', ‘교수자_학습자와의 소 통방식’ 등을 중심으로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교수설계 평가표에 의해 각 콘텐츠의 적절성, 편리성, 상호작용성, 영상의 디자인 및 기술적 효과, 명확성, 창의성, 전문성 등의 평가문항을 제시하였다. 학습자 의 성공적인 자기주도 학습을 이끌어 나가기 위한 적절하고 체계적인 학습과정이 제시되었는지, 교수자 와 학습자간의 신속하고 정확한 피드백이 이루어졌는가 등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유튜브에서의 연 기교육 콘텐츠는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관심도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그것이 과연 연기학습 자료로서 어떠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와 학습자와의 소통 방식, 특징 등을 분석하여 앞으로 지속가능성이 있는지 를 밝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Education contents using SNS have a learning effect in that they can deliver information through audiovisual viewing and search for information or contents that they are curious about not only on PCs but also on mobile devices. This study will study how YouTube content, which is the most popular among acting education content using SNS, affects viewers and learners. This makes acting education YouTube content appropriate for the general public to watch as well, arousing learners with learning motivations and interests and providing a better ubiquitous environment. 1. What is the timing and current status of acting education content provided on YouTube? 2. What are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features of acting education content offered on YouTube? 3. What is the mode of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and has educational effect? Research methods for the thre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About 347 videos posted on three YouTube channels showing the high number of viewers, subscribers, acting education cont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were studied. The analysis criteria are to be focused on ‘production intent’ of the video content of the acting education, ‘main contents handled by the contents’,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and ‘how to communicate with professors_learners’. The professor design assessment table presented assessment questions such as appropriateness, convenience, interactivity, design and technical effects of images, clarity, creativity and expertise of each content. The emphasis was placed on whether appropriate and systematic learning processes were presented to lead to successful self-directed learning by learners, and whether quick and accurate feedback was made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The content of acting education on YouTube is growing, and attention is growing as well. What it covers as acting learning materials,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with learners. It will be a study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sustainability in the future by analyzing expressions and others.

      • KCI등재

        유튜브의 기술문화적 의미에 대한 탐색 : ‘흐름’과 알고리즘 개념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이희은(Hee?Eun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9 언론과 사회 Vol.27 No.2

        이 논문은 오늘날의 네트워크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변화 중 하나인 유튜브와 인터넷 및 스마트폰의 통합 사용 사례를 주목하고,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유튜브가 지닌 기술문화적인 의미를 이론적으로 탐색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미디어 테크놀로지로서 유튜브의 현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유튜브를 오늘날의 ‘테크놀로지이자 문화 형식’으로 파악함으로써 디지털 환경에서 유튜브가 일상과 맺는 관계를 탐색한다. 유튜브는 이용자의 사용 패턴을 알고리즘으로 재구성해, 전통적인 텔레비전이 담당하던 ‘흐름’으로서의 방송 역할을 재구성하고 있다. 유튜브는 미디어 플랫폼이자 디지털 매개자이기도 하지만, 이질적인 요소들의 흐름으로 일상을 압도하는 텔레비전 미디어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텔레비전에 대한 고전적 이론인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흐름’ 개념은 오늘날의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유튜브가 지니는 물질적 조건과 네트워크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이론적인 유용함을 지닌다. 유튜브를 오늘날의 테크놀로지이자 문화적 기술 형식으로 파악하고 유튜브의 알고리즘이 ‘흐름’의 개념을 어떻게 재구성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유튜브가 재편하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In the digitally networked society, broadcasting media are no longer consecutive flows of formatted and programmed visual images. Rather, as shown in YouTube videos, the digital culture of current media experiences can be defined as discovering and contextualizing noise, error, and glitch in our networked information society. This paper focuses on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nges in the media market today, the use of YouTube and the Internet and smart phones, and aims to explore the technologic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YouTube in the network society. To do this, I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YouTube as a media technology and explore YouTube’s relationship with daily life in a digital environment by identifying YouTube as today’s ‘technology and culture form’. I suggest applying the concept of “flow”, a classic theory by Raymond Williams that explains the television age, to today’s YouTube. It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s technology as a platform and digital intermediary, and explains that noise and algorithms are key to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YouTube as a technology culture format. The media landscape has dramatically changed, and yet the concept of flow is still important as a structuring mechanism and branding strategy of today’s media.

      • KCI등재

        관광콘텐츠 특성을 이용한 유튜브 이용자 시장세분화 연구

        이진희,정철,김남조 한국관광연구학회 2020 관광연구저널 Vol.34 No.6

        유튜브는 최근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동영상 플랫폼으로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유튜브 관광콘텐츠는 이용자가 직접 제작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이용자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럼에도 관광학 분야에서 유튜브와 관련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시장세분화의 경우 시장을 세분화하여 타겟별 마케팅을 수행하는데 잘 알려져 있지만, 유튜브를 대상으로 시장세분화를 한 연구는 미비하다. 유튜브는 이용자 제작 콘텐츠라는 점에서 다양한 특성이 반영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시장으로 일관화하여 접근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유튜브 이용자 시장을 세분화하여 세분 집단 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는 최근 6개월 내 유튜브 관광콘텐츠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내국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분석은 341부의 유효 표본으로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유튜브 이용자 시장은 총 3개로 세분화되었으며, ‘오락 및 정보 추구형’, ‘정보 및 평가 추구형’, ‘오락 및 다양함 추구형’으로 분류되었다. 이 3개 시장은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유튜브 이용행태에 따라 분석하였을 때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개인의 니즈를 반영한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튜브 플랫폼 시장의 질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으며 유튜브 이용자 시장의 마케팅 전략수립에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유튜브 관련 선행연구가 행동 관련 변수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는 유튜브의 관광콘텐츠 특성을 세분화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수익 창출 측면에서의 유튜브 역사 분석 -유튜브와 크리에이터 영상미디어 채널의 수익 증진 현황-

        이병호 ( Lee Byoung-ho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6 예술과 미디어 Vol.15 No.3

        현대는 영상 관련 활동가들의 전성시대다. 그러나 현실은 충분한 수익을 보장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1인 제작 환경인 유튜브 채널 활동을 통한 유튜브와의 수익 공유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의의가 있다. 오픈 플랫폼인 유튜브의 수익 창출 구조와 역사에 대해 분석했다. 최초로 회사의 수익을 콘텐츠 제작자와 나누는 시스템을 구축한 것은 유튜브의 큰 업적이다. 광고 수익의 공유는 많은 크리에이터가 탄생한 배경이다. 저작권을 갖고 있는 1인 제작자가 공급하는 콘텐츠는 유튜브의 필수 구성 요소이고, 수익을 나누는 유튜브의 정책은 당연해 보인다. 왜냐하면 유튜브 수익의 대부분이 광고료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오리지널 콘텐츠를 공급하는 크리에이터나 유튜브 모두의 입장에서 최대 수익을 도모하고 있다. 개인들의 자구책과 더불어 MCN과 오프라인 사업을 결합한 채널 JustKiddingFilms를 통해 미국 유튜버들의 수익 증진 현황을 분석했다. 또 수익 다변화를 추구하는 유튜브의 자구 노력에 대해서도 서술했다. 크리에디터가 받는 광고 수익 배분의 정확한 액수는 유튜브만이 알고 있다. 45퍼센트의 구글컷을 제외하고도 상당한 액수가 유튜브의 내규에 따라 공제되고 크리에이터에게 지급된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고가의 장비 구입과 제작비에 더해 채널들은 높은 수익을 추구한다. 그래서 유튜브 내의 지명도를 이용해 오프라인에서 사업을 벌이고 있고 활동 폭을 다른 온라인 사이트로 넓히고 있다. 또 유튜브 자체도 광고 수입에서 벗어나 좀 더 다양한 수입 창출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있다. 유튜브 레드는 그 시도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더 다양한 콘텐츠가 필요하게 됐고, 대규모 저작권 업체들과의 협업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 The present age is ths golden age of media-related activists. The reality is that the situation does not ensure sufficient revenue. What to look for revenue sharing with YouTube is significant through activity of YouTube channel creator as one man production. It was analyzed for the revenue structure and history of the open platform of YouTube. It is the first company to build a system for sharing revenue with content creators on YouTube is a great achievement. Share of advertising revenues is a background of birth of lot of creator. Original contents that one man productions having copyright supply are essential component of YouTube and YouTube``s revenue sharing policy with creators seems to be natural. Because most of company revenue occurs in commercial advertising paying by client. YouTube creator who supply the original contents and YouTube both promote maximum revenue. In addition to individual creators efforts to promote revenue it analyzed current status of US creator’s promotion to increase revenue through the model JustKiddingFilms combined MCN and offline business. Another study was also self-rescue efforts, YouTube seeking to diversify revenue. The exact amount of advertising revenue-sharing creator receives only knows this Youtube. Except for the 45% Google Cut, it is an open fact that revenue sharing with creators is paid to be deducted additionally by the bylaws of YouTube itself. In addition to the purchase of expensive equipment and production costs, channels are pursuing a higher income. So with the popularity engaged in YouTube channels are broaden the range of their activities to offline businesses and online web-sites. And YouTube itself is trying to create a more diverse portfolio of revenue away from ad revenue. YouTube Red is part of the era.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o-work with major original contents distributors like music, movie etc. and these contents supply will be further expanded as a form of channel in YouTube.

      • KCI등재

        유튜브 콘텐츠의 제작·이용 환경 특성과 인기 채널 분석 및 함의점 고찰

        변현진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4

        YouTube is one of the world's largest media platforms as well as social media, where personal creators and MCN (Multi-Channel Network) operators earn revenue based on the value of their contents. Its strengths include the ease of searching based on Google, the ease of self global marketing, relatively low barriers to entry, and ad revenue guarantees for creators. YouTube's strength in viewership is the variety of free content. The reason why YouTube places the highest ranking in Korea is that users can watch videos made in anywhere on earth for free of charge.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IT technology have affected the growth of the platform on YouTube. Photo and image editing applications have became popular, and the importance of video contents, due to mobile technology increased, has resulted in prosumer and influencer. The residential space design trend has also changed. Since the popularization of color TVs in the 20th century, personal living-rooms designed mostly TV centered living-rooms until about 20 years ago. However, nowadays, designing living room without TV or home-cafe style living-room are currently popular. It i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accelerate mobile-friendly environment. Morever, the channel type setting category in the YouTube platform is assigned to 15 categories. After analyzing over 200 popular channels, actual YouTube content creators are subdivided into more diverse categories to run channels differently. The main categories of detail are classified into 43 user-friendly categories by the author. She has classified popular channels and collect cases to derive channel success factors. As a result, YouTube video-content can be successful if creator could apply the success factors. After analyzing the growth rules of YouTube channel, the following four factors were derived. First, creative content planning, second, concise and well-edited content editing, third, continuous operation management, and fourth, to build trust with viewers through communicatio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YouTube platform are creating new occupation areas like YouTube creators, content uploaders or content businesses. 세계 최대의 미디어 플렛폼인 유튜브는 개인 크리에이터들과 MCN(Multi Channel Network) 사업자들이 영상의 가치에 따라 수익을 얻는 미디어 플랫폼 중의 하나이다. 동시에 유튜브는 일종의 소셜미디어(Social-Media)다. 제작자 입장에서 볼 때 유튜 브의 강점은 구글 기반의 검색의 편의성 및 글로벌 진출의 편리성, 비교적 낮은 진입 장벽, 광고 수익 보장 등이 있다. 시청자 입장에서의 유튜브의 강점은 무료 콘텐츠의 다양성이다. 우리나라에서 유튜브 사용량이 최고 순위에 있는 이유도 전 세계 어디 서 제작한 영상을 무료로 시청 가능하고 콘텐츠 내용도 갈수록 폭 넓고 다양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IT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 대중화로 인한 콘텐츠의 제작·이용 환경 변화가 유튜브의 플랫폼의 성장에 영향을 주었다. 사진·영상편집 기술이 대중화되었 고,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 중요도도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프로슈머와 인플루언서가 등장하였다. 주거 공간 디자인 트렌드도 변화하였다. 칼라 TV의 대중적 보급 이후 최근 20여 년 전 까지 개인 가정은 거실 풍경은 한국적 특수성에 기반 한 TV 중심 의 거실 문화였다. 하지만 현재 TV없는 거실, 홈카페형 거실 등의 TV비중이 낮아진 주거 공간과 질 좋은 스마트폰의 보급 등 이 모바일 친화적 환경을 가속화시키는 데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현재 유튜브 채널 유형 설정 카테고리는 15개의 카테 고리로 지정되어 있다. 200여 개의 인기 채널을 분석해 본 결과, 실제 유튜브 콘텐츠 제작자들은 더욱 다양한 카테고리로 세분 화 하여 다채롭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세부 장르를 분류해 보면 43개 인기 카테고리로 분석이 된다. 인기 채널을 분류 하고 사례를 수집하여 함의점인 채널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성공 채널은 고정 시청자와 팬을 확보하게 되며 경제적 수익으로 보상을 받는다. 유튜브 영상은 입체적 시점으로 제작한 것들이 성공을 거두며, 유튜브 콘텐츠는 서로 경쟁이 아닌 협동 관계 환 경에 놓여 있었다. 분석으로 도출된 유튜브 채널 성장 법칙은 첫째, 독창적 콘텐츠 기획, 둘째, 간결하고 잘 전달되는 내용 편 집, 셋째, 지속적인 운영 관리, 넷째, 소통으로 시청자들과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유튜브의 이러한 특성들로 현재 전 세 계적으로 유튜버, 크리에이터, 콘텐츠 업로더 혹은 인플루언서라는 새로운 직업 영역을 창출하고 있다.

      • KCI등재

        유튜브 이용의 정치적 효과 연구 : 이용방식과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창영 한국소통학회 2022 한국소통학보 Vol.21 No.2

        유튜브의 영향력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특히 정치시사채널을 운영하는 유튜브 크 리에이터들은 저마다의 콘텐츠를 통해 수많은 정치정보를 생산·유통한다. 유튜브는 레 거시 미디어와 다르게 공유, 참여 등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하면서 시민들의 정치관심과 정치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 감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이용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견해와 일치하는 정보만 접 하게 하고, 유사한 정치성향을 갖는 다른 이용자들과의 소통만 활성화시킬 것이라는 우 려를 갖게 하였다.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유튜브를 이용하는 방식과 유튜브를 통해 경 험한 정치정서에 따라 유튜브의 정치적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유튜브 검색 키워드를 직접 입력해서 능동적으로 정치정보를 선택하는 이용자들은 좋 아요 클릭, 댓글 작성, 동영상 공유 등 온라인 공간에서의 정치참여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튜브 정치정보를 이용한 뒤 분노 정서를 경험한 이용자들이 적극적인 자기의사표현과 정치참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의 정 치참여 효과를 탐구한 기존 연구들의 결과를 세분화했다는 점과 유튜브의 정치적 효과 에 대한 정교화 모형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YouTube's influence is gradually expanding. In particular, YouTube creators who run political current affairs channels produce and distribute a lot of political information through their own contents. Unlike legacy media, YouTube provided expectations that it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by positively affecting citizens' political interes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while enabl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such as sharing and particip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it raised concerns that it would only allow users to access information that matches their views and activate communication with other users with similar political tendencies.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political effect of YouTube may vary depending on how users use YouTube and the political sentiment experienced through YouTub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users who actively select political information by directly entering YouTube search keywords are active in political participation in online spaces such as clicking like, writing comments, and sharing video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users who experienced anger emotions after using YouTube political information showed active self-express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bdivided the results of existing studies exploring the political participation effect of social media use and provided an elaboration model for the political effect of YouTube.

      • KCI등재

        다문화가정 여성과 자녀의 유튜브에 대한 인식 및 활용 경험에 대한 이해: 생애사 이야기식 접근으로

        나은영,유영림 한국사례관리학회 2023 사례관리연구 Vol.14 No.2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using Schütze's(1983) biographical narrative approach to explore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YouTube among three multicultural women and three children in K County, within the context of their life stori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y discerned the value of watching YouTube videos and perceived YouTube as an active companion and a realm of engagement in their liv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perceived YouTube as a source of solace, joy, and hopeful future. YouTube was a space where individuals could enjoy their native culture and music while on foreign soil, simultaneously facilitating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and shared joy among different cultures and generations. Furthermore, multicultural women with insufficient educational backgrounds envisioned becoming cultural exchange YouTubers on a platform where formal education was not a necessity. In the meantime, the counter productive aspects of YouTube were also mentioned, which make them compare their lives with those of successful multicultural women on YouTube. However, during YouTube viewing, they demonstrated a discerning attitude toward the economic value and commercial aspects, making efforts to distinguish between the fictitious and genuine aspects of videos. Secondly, regarding the utilisation experience of YouTube, multicultural women and children use YouTube in their daily lives, sometimes becoming addicted to it, but prioritising privacy protection and professionalism regarding video creation and sharing. YouTube deeply integrated into their lives, fostering a sense of intimacy and connection with others. While multicultural children possessed video creation skills, women felt a sense of regret due to a lack of opportunities and time for learning. Furthermore, although some participants expressed concerns about privacy exposure in video creation and sharing, some women aimed to help others through video production and shar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by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enhance the YouTube literacy competence of multicultural women and children. These programs should focus on helping them distinguish the commercial and fictitious aspects of YouTube while enabling them to accumulate collective knowledge through video viewing, communication, video creation, and sharing activities, thereby preparing them for the future and utilising YouTube as a platform for economic engag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K군의 다문화가정 여성 3명과 자녀 3명을 대상으로 유튜브에 대한 인식과 활용 경험을 살펴 유튜브 리터러시 역량을 제고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Schütze(1983)의 생애사 이야기식 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이야기를 생애사적 맥락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유튜브 영상 시청의 가치를 분별하며 유튜브를 주체적 삶의 동반자이자 터전으로 인식하였다. 유튜브가 삶의 위로이자 기쁨을 주는 희망적인 미래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유튜브는 이국땅에서 자신의 본국 문화와 음악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서로 다른 문화와 세대를 넘어 모녀가 소통하며 즐거움을 나누게 해주는 공간이었다. 또한 교육경력이 충분하지 않은 다문화가정 여성은 교육경력이 필수가 아닌 공간에서 문화 교류 유튜버를 꿈꾸고 있었다. 하지만 성공한 다문화가정 여성 유튜브의 삶과 자기 삶을 비교하며 불편해하는 연구참여자도 있었다. 더욱이 유튜브 시청 중에 경제적 가치와 상업성에 대한 엄격한 태도를 보이며 영상의 허구성과 진실성을 구별하려고 노력했다. 둘째, 다문화가정 여성과 자녀는 일상에서 중독적으로 유튜브를 활용하고 있지만, 영상 제작과 공유에서는 사생활 보호와 전문성을 우선시했다. 또한 그들의 삶에 깊이 뿌리를 내린 유튜브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친밀감, 유대감을 느끼며 소통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영상 제작 역량을 지녔으나, 여성들은 유튜브를 배울 시간과 기회가 없어 아쉬워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영상 제작과 공유에 있어 사생활 노출에 대해 두려워했지만, 영상 제작과 공유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싶어 하기도 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과 교육기관이 다문화가정 여성과 자녀의 유튜브 리터러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유튜브의 상업성과 허구성을 구별하고 영상 시청, 소통, 영상 제작, 공유 활동을 통해 공동지식을 쌓으며 미래를 준비하고 경제적 활동의 터전으로 유튜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유튜브 네이티브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시청동기와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적합성을 중심으로

        류지영 한국광고PR실학회 2023 광고PR실학연구 Vol.16 No.2

        코로나19의 팬데믹 상황에서 급증한 모바일 미디어 중심의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소비 트렌드는 사실상 엔데믹을 앞둔 현재도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점유율이 가장 높은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의 네이티브 광고 시청동기와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적합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유튜브 동영상 시청 경험이 있는 국내 만 14~29세 MZ세대를 대상으로 유튜브 네이티브 광고 시청동기(정보추구 동기, 오락추구 동기)×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적합성(높음, 낮음) 집단 간 이원적 요인설계 실험연구로 광고효과에 미치는 주효과 와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튜브 네이티브 광고 시청동기 및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적합성이 광고효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효과에 대하여 유튜브 네이티브 광고 시청동기와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적합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튜브 네이티브 광고 시청동기와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적합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시사점 및 실무적 인사이트를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The trend of online video streaming service consumption centered on mobile media, which has surged in the midst of the COVID-19 pandemic, is still continuing even now, ahead of the endemic.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native advertisement viewing motivation of YouTube, the video platform with the highest domestic market share, and influencer's content suitability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Specifically,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n advertising effects were analyzed as a dual factor design experimental study between YouTube native advertisement viewing motivation (information-seeking motivation, entertainment-seeking motivation)×YouTube influencer content suitability(high, low).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YouTube native advertisement viewing motivation and YouTube influencer's content suitability caus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dvertisement effect. In addition, the interactive effect of YouTube native advertisement viewing motivation and YouTube influencer's content suitability was shown for advertis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significance of presenting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ractical insights on the effect of YouTube native advertisement viewing motivation and YouTube influencer's content suitability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 KCI우수등재

        유튜브 정치채널 시청의 결정요인과 표본선택편향

        한정훈(Han, JeongHun) 한국정치학회 2021 한국정치학회보 Vol.55 No.5

        본 연구는 유튜브 정치채널을 시청하는 이유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유튜브 정치채널 시청여부의 결정은 표본선택편향의 문제를 유의하면서 분석할 필요성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이는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에 관한 다양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유튜브를 통한 정치정보 획득에 대한 연구가 빈약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 것이다. 선택프로빗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유튜브 이용 및 유튜브 정치채널 시청 사이에는 밀접한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또한 정치관심도, 기성 미디어의 뉴스 신뢰도, 웹정보를 타인과의 소통에 활용하는 수준 등이 유튜브 정치채널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밝혔다. 반면, 연령은 유튜브 이용과는 무관하였으나 유튜브 정치채널은 나이가 들수록 시청확률이 높았다. 흥미롭게도 학력이 높을수록 유튜브는 물론 유튜브 정치채널을 시청하지 않는 경향이 강했다. 이러한 결과는 실질적인 채널수를 추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정치채널 각각의 성격을 규명하기 어려운 현실 아래서 정치정보의 소비자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와 관련된 기존의 다양한 논의를 유튜브 이용행태로 확대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users of YouTube political news channels. In addition, it claims that the analysis of social media users should avoid the sample selection bias. In so doing, it addresses the lack of research on YouTube users and the problems of biased estimation often produced by existing literatur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a probit model with sample selection show that the choice of YouTube use is closely related to the choice of the use of YouTube political channels. Also, users’ age, political interests and the level of communications with the information acquired by online media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use of YouTube political news channels. Meanwhile, well educated users with strong trust on traditional news media are less likely to choose YouTube political channels. These findings, although they are produced by focusing on consumers’ aspects without considering the providers’ aspects, may extend existing discussion over the behaviour of social media users.

      • KCI등재후보

        유튜브 이용 실태에 따른 얼굴(페이셜) 관리 유튜버 특성과 유튜브 컨텐츠, 구매의도, 만족도의 차이 분석 및 상관관계 연구

        김도영,오수연,최화정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2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2 No.1

        This study was studied to identify effect on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in beauty service of facial care YouTube Videos manufactured by researcher. The URL of manufactured facial care YouTube Videos is https://www.youtube.com/channel/UCFYnzoPn0zlBfwGFc1Tc91g. After watching the YouTube Videos, the survey by 335 subjects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25.0). As the results, single was 232 persons (69.3%) and 30 ages was 124 persons (37.0%). In analysis of actual situation on utilization of YouTube Videos, persons using YouTube Videos per day was 172 (51.3%) and persons using YouTube Videos under 30 minutes-1 hour per day was 115 (34.3%). The persons serving beauty service after watching the manufacturing YouTube Videos was 146 (43.6%). The YouTuber characteristics (professionalism and sticky fil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imes using YouTube Videos per week and time using YouTube Videos per day (p<.05 and p<.001). The YouTube Videos content’s characteristics (information, entertainment and inter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imes using YouTube Videos per week, time using YouTube Videos per day, the copied experience after watching the facial care YouTube Videos (p<.05, p<.01, and p<.001). In analysis of difference of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actual situation on utilization of YouTube Videos, that showed same results with analysis of content difference (p<.05 and p<.001). In analysis of satisfaction difference of facial care YouTube Videos according to actual situation on utilization of YouTube Videos, those showed same results with analysis of difference of purchase intention plus experience served beauty service after watching the YouTube Videos (p<.05, p<.01, and p<.001). Finally, in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related variable factor, the characteristics of facial care YouTuber, contents of facial care YouTube Videos, purcha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본 연구는 연구자에 의해 제작된 얼굴(페이셜) 관리 유튜브 동영상의 미용 서비스 이용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연구하였다. 제작된 얼굴(페이셜) 관리 유뷰트 동영상의 URL은 https://www.youtube.com/channel/UCFYnzoPn0zlBfwGFc1Tc91g이다. 연구대상자가 제작된 유튜브를 시청한 후에 335부의 설문조사가 이루어졌고, 그 설문은 SPSS WIN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로써, 미혼이 232명(69.3%)였으며, 30대가 124명(37.0%)였다. 유튜브 이용실태에 대한 조사에서, 매일 유뷰트를 이용하는 사람은 172명, 하루 30분-1시간(51.3%) 이하로 이용하는 사람은 115명(34.3%)였다. 제작된 유튜브를 시청한 후에 미용 서비스를 은 경험이 있는 사람은 146명(43.6%)였다. 유튜버 특성(전문성, 유대감)은 주당 유튜브를 이용하는 횟수와 하루 유튜브를 이용하는 시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p<.001). 유튜브 컨텐츠 특성들(정보성, 유희성, 상호작용성)은 유튜브 이용 횟수, 하루 유튜브 이용 시간과 얼굴 관리 유튜브 시청 후 모방 경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p<.01, p<.001). 유튜브 이용실태에 따른 구매 의도의 차이 분석에서 그것들은 유튜브 시청 후 미용 서비스를 받은 경험과 구매 의도의 차이 분석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5, p<.01, p<.001). 마지막으로 관련 변이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얼굴 관리 유튜버 특성들과 얼굴 관리 유튜브 컨텐츠, 구매의도 및 만족도들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