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교사관계, 유아-교사관계 및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문제 간의 관련성

        김유환(Kim, Yu-Hwan),김경숙(Kim, Kyung-Soo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 교사관계, 유아-교사관계 및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문제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4, 5세 유아 191명의 어머니와 담임교사 14명이었으며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교사관계는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적이나 의사소통과 가치공유가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는 편이며 유아-교사관계는 전반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고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도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어머니-교사 관계와 유아-교사관계 간, 어머니-교사관계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문제 간에 유의미한 상관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유아-교사관계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문제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관계 간의 친밀감이 낮고 갈등과 의존성이 높을수록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어려움이 나타날 기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셋째,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문제에 대해 어머니-교사관계는 매우 미약한 예측력을 가지는 반면, 유아-교사관계는 상당한 정도의 예측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study aimed to examine how mother-teacher relationship impacts on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child’s adaptation to childcare cent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1 children of four and five years old and their mothers and their 14 teachers in charge and three kinds of questionnaire was used as research t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thers perceived that they trust teachers and have coopertaive relation with them, but mothers feel they don’t have sufficient conversation and sharing their educational values with the teachers. The teacjer-child realtionship tends to be positive and the children have no serious difficulties in childcare center. As for child-teacher relationship depending on mother’s attributes and child’s adjustment in childcare center, i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mother’s age or educational attainment, whereas it was shown that working mother’s child had more conflict relationship with teacher than non-working mother’s child. Second, although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not found between mother-teacher and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between mother-teacher and child’s adjustment in childcare center in general,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child’s adjustment in childcare center in general, the less close relationship and the more conflict or dependence between the child and teacher, the more possibly the child show difficulty in adjustment in the childcare center. Third, mother-teacher relationship and child-teacher relationship have an relative influence on the child’s adjustment in childcare center.

      • 유아의 실행기능, 교사-유아관계와 놀이행동 간의 관계

        변혜원,성지현,양기혜 한국아동학회 2021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1

        연구목적: 놀이는 환경에 적응하고 배움을 위한 유아의 본능적인 수단일 뿐 아니라, 인지 발달, 신체 및 정서적 건강을 돕고, 사회적 관계 형성과 사회적 기술을 연습하도록 돕는다(Golinkoff, Hirsh-Pasek, & Singer, 2006). 유아의 성격이나 행동 특성에 따라 놀이행동의 유형이 다르고, 유아가 자주 보이는 놀이유형에 따라 배움과 발달적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놀이유형의 파악은 유아의 발달 정도와 특성을 알아볼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실행기능, 교사-유아관계, 놀이행동 간 관계를 알아보고, 놀이행동 유형에 미치는 유아의 실행기능과 교사-유아 관계의 영향력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서울, 경기 지역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는 만 4세 유아 107명과 이 유아들을 담당하는 유아교사 72명이 연구에 참여하여 유아의 놀이행동, 실행기능, 교사-유아관계에 대해 보고하였다. 놀이행동은 Coplan과 Rubin(1998)이 개발한 유아 놀이행동 척도(The Preschool Play Behavior Scale; PPBS)로 측정하였고, 사회적 놀이, 혼자놀이(수동적, 적극적), 방관자적 놀이, 거친놀이 5개 놀이 행동 요인, 총 18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5점 척도이다. 실행기능은 Gioia 등(2000)이 개발한 행동평정척도(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BRIEF-T)를 사용하였고, 총 63개 문항이며 정서조절, 작업기억, 억제, 계획조직, 주의전환의 5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3점 척도로 평정하였다. 교사-유아 관계는 Pianta(1992)의 교사와 유아 간의 관계 척도(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STRS)로 총 28개 문항, 친밀감, 갈등, 의존의 3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5점 척도로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Windows용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첫째, 유아의 실행기능, 교사-유아 관계, 놀이행동의 하위요인 간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놀이는 실행기능의 작업기억(r = .42, p < .001), 억제(r = .28, p <.01), 계획조직(r = .43, p < .01)과 정적상관관계가 있었고, 수동적 혼자놀이는 계획조직(r = -.21, p < .05), 주의전환(r = -.21, p < .05)과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방관자적 놀이는 실행기능의 정서조절(r = -.21, p < .05), 작업기억(r = -.44, p < .01), 억제(r = -.32, p < .001), 계획조직(r= -.48, p < .001)과 부적상관관계가 있었고, 거친놀이는 실행기능의 정서조절(r = -.26, p < .01), 작업기억(r = -.20, p < .05), 억제(r = -.44, p < .01)와 부적으로 상관이 있었다. 사회적 놀이는 교사-유아 관계에서 친밀감(r = .47, p < .01)과 방관자적 놀이는 교사-유아 관계에서 친밀감(r= -.21, p < .05)과는 부적상관관계가 있었고, 갈등(r = .33, p < .01)과는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거친놀이는 갈등(r = .41, p < .01)과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실행기능 간 관계에서는 교사-유아 친밀감은 작업기억(r = .34, p < .01), 억제(r = .25, p < .01), 계획조직(r = .37, p < .01)과 정적상관관계가 있었고, 교사-유아 의존성은 주의전환(r = -.26, p < .01)과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교사-유아 갈등은 정서조절(r = -.60, p < .01), 작업기억(r= -.60, p < .01), 억제(r = -.70, p < .01), 계획조직(r = -.62, p < .01), 주의전환(r = -.22, p< .05)과 모두 부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적극적 혼자놀이는 유의미한 관련이 없었다. 둘째, 유아의 실행기능과 교사-유아관계가 각 놀이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사회적 놀이는 교사-유아의 친밀감(β = .34, p < .001)이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방관자적 놀이는 실행기능의 계획조직(β = -.55, p < .05)이 유일한 설명변인으로 계획조직이 낮은 유아들일수록 방관자적 놀이행동을 많이 보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거친놀이는 억제(β = -.74, p < .001), 계획조직(β = .70, p < .01), 교사-유아 갈등(β = .29, p <.05) 순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행동 유형별로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억제조절력, 현재 또는 지향과제를 다루는 계획조직력, 교사와 유아 간 관계의 질이 다르게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또한 유아의 실행기능은 교사와의 관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놀이유형에 미치는 실행기능 하위요인별 영향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놀이행동별로 교사의 유용한 지원이나 교사-유아 관계의 역할에 대한 정보 제공에 기여하였다.

      • KCI등재

        만 5세 하늘반 유아-교사 간의 관계 형성 및 변화 과정에 대한 탐색

        김태영(Kim, Tae-Young),엄정애(Ohm, Jung-Ae)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3

        본 연구는 만 5세 하늘반 유아와 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사 간 관계 형성 및 변화 과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3월부터 10월까지 만 5세 하늘반 유아 26명과 담임교사 1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아-교사 관계 형성 및 변화 과정은 크게 3단계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관계의 시작-초기 관계의 형성 -관계의 변화의 3단계이며, 관계의 변화는 세부 단계로 관계의 조율-관계의 재형성-관계의 안정의 3단계로 나누어졌다. 이러한 관계 형성 및 변화 과정에서 관계의 기저에 위치한 것이 무엇이냐에 따라 각 유아-교사 관계는 개별적이며 다양하고 독특하게 형성되어 갔다. 더불어 유아-교사에 따라 각 단계의 시작과 마무리 시점 및 생략되는 단계와 마지막으로 도달한 단계 등 상이한 점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관계의 구축이 연속되는 하나의 과정으로서 유아-교사 관계가 지속적으로 변화・발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 관계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으며, 바람직한 유아-교사 관계 구축을 위한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uilding and change process of children-teacher relationships with five-year-old children and teachers in haneul class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6 children and one teacher. Participants were observed and interviewed for data collection from March 2019 to October 2019. As a result, the building and change process of children-teacher relationships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with time: the beginning of the relationship, the formation of the initial relationship, and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is divided into three sub-stages: adjustment of the relationship, re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and stability of the relationship.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changing these relationships, each child-teacher relationship has been formed individually, diversely, and uniquely depending on what is located at the base of the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differences in the series of processes are discovered such as the omission of stages, the beginning and ending points of each stage, and the final stages reached. The findings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eacher is constantly in the process of changing and developing. Through the results, this study improve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children-teacher relationship and offers a new perspective while also providing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a desirable children-teacher relationship.

      • KCI등재

        유아교사의 인성과 사회적 관계의 관련성 연구

        최선미(Choi, Seon Mi),부성숙(Pu, Sung S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사의 사회적 관계(교사-유아 관계, 동료교사 관계, 교사-원장 관계) 간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9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 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인성은 교사-유아 간 ‘친밀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갈등’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 인성의 하위영역 중 ‘긍정적 자아개념’이 교사-유아 간 ‘갈등’에는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창의․인성’은 교사-유아 간 ‘갈등’과 ‘의존’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인성은 동료교사 관계와 매우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성의 하위영역 중 ‘긍정적 자아개념’, ‘사회관계’, ‘창의․인성’이 동료교사 관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인성이 동료교사 관계에 대해 약 42%의 높은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인성은 교사-원장 관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성의 하위영역 중‘긍정적 자아개념’, ‘창의․인성’이 교사-원장 관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ies and their social relationships(teacher-child relationship, coworker relationships, and leader-member exchange). Two hundred and ninety on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escriptiv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sonalit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friendly relationships, bu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 Among the sub-factors of personality, positive self-concept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 However, creative personality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 and dependence relation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personalities and co-worker relations. Among the sub-factors of personality, positive self-concept, social relations, and creative personality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coworker relations. Third, teachers’ personalit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der-member exchange. Among the sub-factors of personality, positive self-concept and creative personality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leader-member exchange.

      • KCI등재

        보육교사와 어머니간 신뢰와 협력이 유아-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

        도경은 ( Kyung-eun Do ),이시자(교신저자) ( Si-ja Le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와 어머니간의 신뢰와 협력이 유아-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 4, 5세 유아의 어머니 300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와의 신뢰와 협력 정도를 묻는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또한 보육교사 16명을 대상으로 유아와의 관계에 관해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가운데 우선 기술 통계 결과에 따르면, 보육교사와 어머니간의 신뢰정도는 협력 정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협력의 하위영역에 있어서는 정보공유, 정보추구, 그리고 성인관계의 순으로 그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보육교사와 어머니간의 신뢰와 유아-교사 관계를 조사한 결과, 보육교사와 어머니간의 신뢰와 유아-교사의 갈등 관계와 의존 관계와는 부적 관련성을 보였으며, 반면 친밀 관계와는 정적 관련성을 나타냈다. 다른 한편, 보육교사와 어머니간의 협력과 유아-교사 관계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는 협력의 하위영역인 정보공유와 유아-교사의 의존 관계 간에만 부적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보육교사와 어머니간의 신뢰와 협력이 유아-교사 관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으로는 보육교사와 어머니간의 신뢰가 유아-교사의 갈등관계의 6%, 그리고 친밀 관계의 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신뢰가 유아-교사 관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결과들은 어머니와 보육교사 간의 신뢰 관계가 우선적으로 형성되고 유지될 때 유아와 교사간의 관계가 보다 안정적일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rust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mothers of young children on the child-teacher relations in child care centers.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s, the degree of trust between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nd mothers showed higher level than that of cooperation between them. In the sub-category of cooperation, the degree was high in the order of information sharing, information seeking, and adults relations. In terms of the result of relational analysis between the teacher-mother trust and the child-teacher relations in child care center, there were negative relations between teacher-mother trust and child-teacher conflict relations and dependence relations whereas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 between teacher-mother trust and child-teacher friendly relations.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 mother cooperation and the child-teacher relations revealed negative relations only for the relations between the information sharing sub category of cooperation and child-teacher dependence relations. Finally, the analysis of the relative influence of trust and cooperation between teacher and mother on the child-teacher relations showed that the teacher -mother trust explains 6% of child-teacher conflict relations, and 4% of friendly rel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teacher relations can become stable when teacher-mother trustworthy relations are developed and maintained.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부모와 교사의 관계성 탐색

        권미량 ( Mee Ryang Kweon ),하연희 ( Yeon Hee H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와 교사의 관계성을 부모와 교사가 각각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W시의 유아교육기관 7개소에서 교사8인, 부모10인을 선정하여 면담 및 개인저널을 포함하여 탐색하였다, 그 결과 부모는 교사와의 관계를 다섯 가지 측면에서 인식하고 있었다, 첫째, 부모는 유아교사를 예쁘고 싹싹한 이미지로 기대하고, 이런 기초 인식에 따라 교사와의 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인성을 관계에 있어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세심한 관심과 소통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불안이 관계성을 떨어뜨리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다양한 훈육관으로 교사의 훈육방법을 걱정하며 관계를 힘들어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는 부모와의 관계를 다음의 다섯 가지 접근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첫째, 부모는 시어머니같은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었다, 둘째, 부모의 신뢰가 교사를 웃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의 없는 종속관계라는 느낌을 받을 때 피곤해하며 관계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넷째, 교사는 부모와의 소통이 힘들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로는 함께 돌보는 부모의 참여를 필요로 하고 있었고, 이러한 참여가 있을 때 관계가 발전될 수 있다고 인식함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부모와 유아교사가 모두 소통을 요구하고 있으나 관계성을 힘들게 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부모는 유아교사의 전문성이나 인성적 측면이 관계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인식하는 반면 유아교사는 부모의 교사에 대한 태도나 참여의 보완 등을 통한 관계성의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well known and, most certainly. easy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he early childhood , (EC) teachers of their children is integral to children``s healthy development, but it is also well-known, that positive, productive parent-teacher relationships are difficult to achieve. In an effort to know the reason for this common situation, using interviews and personal journals this research studi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en parents and eight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ve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W city. Our findings reveal that parents understand and categorize five elements of a parent/teacher relationship. 1) Parents have an expectation that EC teachers will be pretty and mild in manner and parents enter the relationship with this assumption. 2) Parents recogniz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human nature. 3) Parents are aware of the need for good communication regarding concerns related to their children` s development. 4) They are cognizant that a sense of uneasiness could de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arent/teacher relationship. 5) Indeed, in cases where parents are concerned with the appropriateness of a teaching method, they find the parent/teacher relationship to be very strained. Teachers also had five elements to their understanding of the parent/teacher relationship. 1) They often likened the parent/teacher conference to a visit with one` s mother-in-law. 2) Not surprisingly then, the confidence of parents could produce a smiling teacher. 3) Conversely, when parents treated teachers as subordinates, teachers felt fatigue and any relationship spirals negatively down. 4) Teachers recognize that the nature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is always difficult. 5) Nonetheless, teachers recognize that the common bond of caring for the children should drive their efforts to build positive parent/teacher relationships. Noting that both parents and teachers recognize the value of parent/teacher relationships, it is hoped that these findings will workshops aimed at building trust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in providing parents and teachers with the tools they need to build trust.

      • KCI등재

        원장-교사 교환관계와 부모-교사 협력관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송이(Han, Song Lee),안현정(Ahn, Hyun Jeo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47

        본 연구에서는 원장-교사 교환관계와 부모-교사 협력관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부분 수도권에 소재한 유치원과 국공립, 법인, 직장, 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3~5세 반의 담임교사를 임의 표집하여 질문지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338명의 자료는 SPSS 26.0의 통계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원장-교사 교환관계와 부모-교사 협력관계는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모두 정적 상관 관계임을 보여주었다. 둘째, 원장-교사 교환관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교사 협력관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원장-교사 교환관계와 부모-교사 협력관계가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력은 부모-교사 협력관계에서 더 긍정적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how director-teacher relationship and parent-teacher partnership impact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s.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re randomly selected to conduct the survey. The data from 338 participants a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6.0. This shows, firstly, both director-teacher relationship and parent-teacher partnership are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s. Secondly, the effect of director-teacher relationship on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s was significant. Lastly, the effect of parent-teacher partnership on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s was significant. To su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gher levels of the director-teacher relationship and parent-teacher partnership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s. In addition,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the effect on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s is positive for parent-teacher partnership.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can provide a basis for research to improve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오함초롬(Hamcholom Oh),정희정(Heejung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육 기관에 종사하는 유아교사들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대인관계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의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에 위치한 공립 및 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30명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 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e 사후 검정,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대인관계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의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에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 간에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원장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주요 영향을 미침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낮추고 원장이 바람직한 리더십을 발휘하여 유아교사가 자신감과 안정감을 갖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원장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r kindergarten teachers. To achieve the research aim,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Methods The subjects were 230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24.0 program, t disposition,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kindergaten teachers. Second,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kindergaten teacher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terpersonal stress of kindergaten teachers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Interpersonal stress of kindergaten teachers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kindergaten teachers. Considering that interpersonal stress that occur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principal has a major influ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personal stress of kindergaten teachers. This suggests that continuous education for the director is necessary so that the kindergaten teacher can perform duties at the kindergaten education institution with confidence and stability by showing the desired leadership.

      • KCI등재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관계, 유아 자아개념 및 리더십의 관계

        박화윤,마지순,안라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6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개념과 리더십이 교사와 유아 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2개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 유아115명이다. 검사도구는 이경화, 고진영(2003)에 의해 개발된 유아용 자아개념 검사 도구, 이은진(2005)에 의해 제작된 유아 리더십 체크리스트도구, Pianta(1991)의 교사-유아 관계 척도를 이진숙(2001)과 박수윤(2004)이 수정 보완한 교사-유아 관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는 부모관계 및 언어, 친구관계에 대한 자아개념이 긍정적이고 일반자아가 긍정적일수록 교사와 친밀한 관계이며, 신체 자아개념에 대한 개념이 긍정적일수록 갈등 관계가 높다. 또한 유아의 자아개념 특히 유아의 언어 및 부모관계에 대한 자아개념이 교사 유아와의 친밀한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유아는 리더십 즉, 친사회적능력, 주도성, 창의성, 인지능력, 의사결정 능력 등이 높을수록 교사와 친밀관계가 높고 갈등 관계가 낮아진다. 또한, 교사-유아간의 친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친사회적능력과 의사결정 능력, 인지능력이며, 갈등 관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친사회적능력과 창의성이다. 셋째, 자아개념과 리더십이 교사와 유아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아개념보다는 리더십의 영향력이 높고 교사-유아의 친밀관계와 갈등관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요인은 친사회적능력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와 유아의 관계를 증진하는 데 유아의 자아개념 및 리더십의 함양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young child's self-concept and leadership on teacher-child relationships. Subjects were 115 five-year-old children in Jeonlabuk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sub variables of self-concept, namely language, parent relationship, friend relationships and general self concept and intimate teacher-child relationship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 variables of leadership and intimate teacher-child relationship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 variables of leadership and conflictive teacher-child relationships. Third,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influenced by leadership more than self concept and was highly related to prosocial leadership.

      • KCI등재

        유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적응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매개효과

        서미화(Mi Hwa Seo),최은실(Eun Sil Choi) 한국발달지원학회 2021 발달지원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적응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세∼5세 유아 215명의 양육자와 교사를 대상으로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질의 행동억제와 의도적 조절은 교사-유아 관계의 갈등과 부적상관, 기질의 긍정적 정서성과 사회적 민감성은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감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기질의 행동억제, 사회적 민감성, 의도적 조절은 어린이집 적응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그리고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감은 어린이집 적응과 정적상관, 교사-유아 관계의 갈등과 의존은 어린이집 적응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기질의 의도적 조절은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감, 갈등, 의존은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질의 행동억제, 의도적 조절은 교사-유아 관계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질의 행동억제, 의도적 조절과 어린이집 적응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갈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어린이집 적응을 위해 유아의 기질적 특질을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함축하며 아울러 어린이집에서 교사와 유아가 맺게 되는 관계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 temperament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temperament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among behavioral inhibition, effortful control of child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conflic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ositive emotionality, social sensitivity of child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intimacy. there were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behavioral inhibition, social sensitivity, effortful control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child intimacy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among teacher-child conflict, teacher-child dependence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Second, variables such as effortful control, intimacy, conflict, and depend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behavioral inhibition and effortful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child relationship. Third, teacher-child conflict was found to be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behavioral inhibition, effortful control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e need to understand the significant of child temperament in explainings a child’s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and also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