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양진희(Yang Ji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일반유치원에서의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통합학급 교사들을 위한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의 통합교육 교사교육에 대한 요구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한 다음 프로그램의 목표, 프로그램의 내용, 프로그램의 활동방법을 구성함으로써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10주간 총 60시간(1주일에 2회씩)에 걸쳐 실험집단에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12명과 특수교사 일반연수에 참여한 통제집단 12명으로, 모두 유아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이다. 연구결과 본 프로그램은 교사의 통합교육 교사효능감, 교수수행능력, 통합교육 직무만족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천을 증진시키는 현직교사교육 및 교사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바람직한 접근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어 가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implemented and evaluated a teacher support program of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childcare teachers' demands on the teachers' efficacy, teaching performance, and teachers' work satisfaction. The demand characteristic of teacher about teacher support program of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the program's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10 weeks(20 times) with 12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sting the effects of the teacher support program of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eacher 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two sub-areas of teacher efficiency-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eaching performance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work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유아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능력과 유아-교사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경옥(Kim Kyoung-Ok),김낙흥(Kim Nak Heung),김성현(Kim Seong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교사의 배경 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른 문제행동 지도능력과 유아 교사 관계의 차이를 분석하고, 동시에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능력과 교사-유아 관계의 질에 대한 상관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S시와 K도에 소재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 교사 210명으로 유아문제행동 지도 검사도구와 유아-교사 관계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F검증과 t검증 및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연령, 경력에 따라서 문제 행동 인식과 문제행동 관리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아-교사 관계 중 갈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제행동 지도능력과 유아 교사 관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문제행동지도능력과 유아 교사 관계의 하위 영역 간에 정적 및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ability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s well as the correlation of them. The subject were 210 teachers working for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in S-si and K-do. Children s problem behavior guidance assess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ssessment were used in the collection of data. The study also used SPSS 18.0 program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eachers awareness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according to teachers ages and caree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rouble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according to teachers careers. Finally, there were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인희(Kim in hee),김진경(kim jin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직무만족도와 교사 효능감이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으며,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94명이다. 교사의 일반적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경력에 따라 정서지능의 하위변인 중 ‘타인정서인식’, 교사효능감이 하위변인인 ‘자기조절 효능감’에서 10년 이상의 교사집단이 유의하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체와 하위변인인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에서 전문대졸업보다 대학교 졸업유아교사가 더 높았으며, 교사-유아교사 정서지능 전체는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교사-유아간 상호작용과도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자기조절 효능감, 정서조절, 사회적인식 및처우, 근무기관규모에 대한 직무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교사의 정서지능,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를 다차원적으로 조망함으로써,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도모하고 방안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on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Subject to the study are 294 teacher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s of teachers over 10 yea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 efficacy. The University-graduated teachers were higher than college graduates in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In addition, 80 people were more higher than 40 to 80 people in job satisfaction and sub-factors. Second,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emotional intelligence had positive relation with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Third, the variables affecting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were self-regulatory efficacy, emotional control, and job satisfaction with the size of the working institution.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finding ways to positively promote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by viewing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as well as teachers personal variables.

      • KCI등재후보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에 대한 이해

        김민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8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3 No.1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y of current physical education and the differenc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between preliminary and current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2 early childhood teachers at 15 preschools and day care centers and 124 preliminary teachers of 5 universities. The study revised by referring to the survey content of Kim Na Yeon(2015)’s Preschool Mathematics PCK Interview, whi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eschool teachers. The categori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were reorganized based on the content of the 2015 revised version of pre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ed. First, the scores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low and the deviation was large among individual teachers. Second, the scores of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were low and the number of subjects related to physical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who did not enroll once and those who enrolled more than once. The preliminary teachers’ score was generally higher than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This result implies that consistent training is critica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physical education. 본 연구는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 122명과, 현재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지식을 알아보기 위해‘유치원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인터뷰(Preschool Mathematics PCK Interview)’를 수정하여 사용한 김나연(2016)의 설문지 형식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하였다. 신체운동에 대한 교과교육학 지식을 측정하는데 사용한 개념 범주는 2015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내용을 기준으로 재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현직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의 점수는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마다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의 점수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변인별 차이에서 관련 과목 수강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신체운동 관련 과목을 수강한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의 비교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예비교사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의 형성에 있어서, 교사교육이 중요하며 지속적인 연수와 관련 교육의 필요성이 수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박혜정,오재연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17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인성,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 하위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 및 전라남도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인성은 기관유형별, 학력, 연령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사효능감은 연령과 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모든 기관유형, 학력, 연령, 경력 모든 변인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그 하위변인인 시작과 독립심, 학습성취, 사회 · 정서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변인은 교사의 인성 하위변인 중 직무수행과 교사효능감 하위변인인 일반적효능감과 개인적효능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로서 직무수행의 중요성과 유아교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ity and teacher efficacy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self‐esteem,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ersonality and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sub‐variables of personality and teacher efficacy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hat affect children’s self‐este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9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sonality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institution type, education level, and age, and teacher efficacy varied according to age and career. On the other hand, the children’s self‐esteem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variables of institution type, education level, age, and career. In the analysis of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elf‐esteem variable of childr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variables influencing children’s self‐esteem and sub‐variables such as beginning, independence, learning achievement, social‐emotion were found to be general efficacy and personal efficacy that are sub‐variables of job performance and teacher efficacy among the sub‐variables of teacher s person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we provided the basic data for the importance of job performance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용 앱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간의인식비교

        이유나,김애자,김길숙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6 교육혁신연구 Vol.2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hat kind of tasks should be carried ou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comparing perception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positive value of educational app. Metho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e use of apps and how to practice practical appli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selected 225 pre-service and 78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survey. The study conducted t verification, the categorical multiple response analysis and crosstab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re more positive than pre-service teachers about the use of app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However, both groups show that they can use the app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pplications positively. Especially, it was perceived that the app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ill help children to learn and develop, and will help to maintain and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and concentration. Second,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app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y preferred art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as activity areas, story-telling and music and rhythm in classroom, and evaluation type and simulation type as class. On the other hand, pre-servic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have common problems in utilizing infant education apps, such as lack of technology of teachers' smart devices or apps, lack of ability of infants, smart devices and ap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five conclusions. First, pre-service teachers will be provided with smart education related courses so that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related to infant education app can be disseminated and for the kindergarten teachers, it is necessary to find various experiences and examples in the area of ​​Nuri course, class activity, and class area to provide practical help. Second, thorough education about negative effects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ill be necessary rather than guiding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about application of infant education app. Third,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carry out validation studies on expanding the five senses or developing infant education apps based on learning analytics. Finally, in order for app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be effectively implemented in educational context, it is necessary to chang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change parents' perceptions through various policy research, teacher training and so on.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용 앱 활용에 대해서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간의 인식비교를 통해 유치원 교육현장과 예비교사들에게 교육용 앱의 긍정적인 가치를 수행하기 위해 어떤 과제가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C지역의 4년제 유아교육과 예비교사 225명과 현장교사 78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육용 앱 사용에 대한 인식과 유아교육용 앱 활용에 대한 실천방법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그 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과 범주형 다중응답 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용 앱 사용에 대해서 예비교사보다 현장교사가 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으나 두 집단 모두, 대체적으로 유아교육용 앱 활용에 있어서 상당히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유아교육용 앱은 유아들의 학습 및 발달에 도움을 주고 자기주도적 하습과 집중도 유지 및 촉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교육용 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활동영역으로는 예술경험, 의사소통을, 수업영역에서는 이야기나누기와 음악 및 음률을, 수업유형으로는 평가형과 시뮬레이션형을 선호하였다. 반면에 유아교육용 앱 활용의 문제점으로는 예비교사와 현장교사가 공통적으로 교사의 스마트 기기나 앱 등의 활용 기술부족과 유아의 수용능력, 스마트기기와 앱을 비롯한 스마트 교육 환경 미흡을 들고 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결론을 제시한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스마트교육과 관련된 교과목이 운영되어, 유아교육용 앱 관련된 이론적 및 실천적인 다양한 지식이 보급될 수 있도록 하며, 현장교사들에게는 누리과정 영역별, 수업활동별, 수업영역별 등에서 다양한 경험과 사례를 발굴하여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교육용 앱 활용에 대해서 효과적인 수업전략만 안내하기보다는 그것에 대한 유아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한 부정적 효과에 대한 철저한 교육도 필요할 것이다. 셋째, 오감을 확장시키거나 학습분석학을 기반으로 한 유아교육용 앱 개발에 관련된 검증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용 앱이 효과적으로 교육적 상황에서 실행되기 위해서는 유아교육 현장의 인식변화와 학부모들의 인식변화도 필요하므로, 다양한 정책적인 연구와 전파연수가 요구된다.

      • KCI등재

        유아교사교육기준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미국 교사교육기준의 분석을 중심으로-

        배소연 ( So Youn Ba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유아교사교육프로그램을 포함하여 모든 교사교육프로그램을 평가할 때 근거로 사용되는 ‘교원평가 및 지원 협력단 연합(InTASC)’의 ‘핵심교수기준 모델’과 ‘전미유아교육협회(NAEYC)’의 ‘초임 유아교사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기준’에 각각 어떤 내용들이 어떤 형식으로 포함되어 있는 지를 분석해 봄으로써 우리나라의 유아교사교육을 위한 기준의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이다. 미국 전역에서 사용되는 있는 모든 교사관련 기준들의 모체라 할 수 있는 ‘핵심교수기준 모델’은 교사가 반드시 갖추고 있어야 할 자질을 10가지의 기준으로 나누고 각각의 기준에 구체적인 지식과 성향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들은 교사교육에 관련된 기존의 이론들 및 새로운 동향, 그리고 미국사회의 교육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고 있었다. ‘초임 유아교사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기준’은 유아교사교육용으로 개발된 기준으로 유아교사에게 필요한 자질을 6가지의 기준으로 제시하고 각 기준에 주요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며, 유아교사교육에 관련된 기존이론 및 사회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었다. 분석의 결과에 의하여 우리나라의 유아교사교육을 위한 기준 구성을 위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to develop professional standard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Korea through in depth analysis of two major professional standards currently used in the US: ‘Model Core Teaching Standards’ developed by the Interstate Teacher Assessment and Support Consortium Standards, and ‘Standards for Initial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Preparation Programs’ developed by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NAEYC). ‘Model Core Teaching Standards’ consists of 10 sub-standards, 56 ‘essential knowledge’, and 43 ‘critical Dispositions.’ This model, which is applicable to teacher education of all levels from early childhood to secondary education, reflects research-based theories of child development and learning, new trends in educational research, and contemporary social needs in the US. In addition, the ‘Model Core Teaching Standards’ has been a foundation of and model for all other professional standards of teacher education in the US. The ‘Standards for Initial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Preparation Programs’ is a part of the ‘NAEYC Standards for Initial and Advanced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Preparation Programs,’ aimed for licensing new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is composed of 6 sub-standards with 24 ‘key elements’; and reflect principle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current societal need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rofessional standard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Korea were draw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also included.

      • KCI등재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실행에 관한 사례연구

        하수진,이순자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spects and the significance of teacher experience revealed through co-teaching between a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an inclusive classroom of public kindergarten. For this, the early childhood teacher, who is the researcher, carried out co-teaching in her own inclusive classroom with 23 young children and 2 disabled children together with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Video data of the classroom scenes, interview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lated articles and books by resear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lso analysed. Followings are found through the research.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 had a vague fear and self-regret in the beginning, felt the limitation as an inclusive class teacher who failed to properly support the disabled children in the process of co-teaching;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got to see the disabled children from the new experience and review the teaching methods. The two teachers experienced in common the positive effect of co- teaching and recognized the difficulties of co-teaching. Second, co-teaching experience was meaningful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 in that it provides insight to see diverse performance abilities and potential abilities of the disabled children, makes to realize the meaning of co-operation and equality between teachers, and gives a chance to newly realize teacher’s role; As for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it was found to provide the chance to recogniz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o-teaching and to recognize the need of improving professionalism as a teacher.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통합학급에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가 협력교수를 실행하고 그 과정을 통해 나타난 교사 경험의 양상과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여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인 유아교사가 유아특수교사와 함께 장애유아 2명이 포함된 자신의 통합학급 25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협력교수를 실행하였고 이 수업장면을 촬영한 자료, 유아특수교사 면담, 연구자 및 유아특수교사가 쓴 저널, 문서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협력교수 실행 경험의 양상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행양상에서 유아교사의 협력교수 실행은 초기엔 막연한 두려움 그리고 자기반성의 과정이었고 실행 과정에서 장애유아를 제대로 지원해 주지 못한 통합학급 교사로서의 한계점을 경험하였고, 유아특수교사는 장애유아를 새롭게 볼 수 있었던 점, 그리고 교수방법적 성찰을 하는 경험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점 외에 두 교사가 한 경험의 공통점은 협력교수의 긍정적인 효과 확인, 협력교수 실행 시 겪는 어려움 요소에 대한 인식이었다. 둘째, 유아교사에게 협력교수 경험의 의미는 장애유아의 다양한 수행능력과 잠재능력을 새롭게 볼 수 있는 안목 갖춤, 교사 간 협력과 동등성의 의미 체득, 교사역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었고, 유아특수교사에게는 협력교수 실행의 중요성 및 필요성 확신, 교사로서의 전문성 향상의 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유아교사 자율성과 유아교육공동체 관계에서 교사헌신의 매개효과

        이상미(Lee, Sang-Mi),문병환(Mun, Byunghwa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 자율성과 유아교육공동체 관계에서 교사헌신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중인 유아교사 282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유아교육공동체 형성 그리고 교사헌신 간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 자율성이 교사헌신과 유아교육공동체 형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헌신도 유아교육공동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 자율성이 유아교육공동체에 영향을 미칠 때 교사헌신은 완전 매개를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화한 교사의 자율성을 실행할 때 유아교육공동체 형성에 큰 도움이 되며 유아교육공동체와 함께 유아의 건강한 발달지원을 위한 교사헌신 노력에 힘을 줄 수 있는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aims to shed light on mediating effect of teacher commitment on the in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The study involved 282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the city of G. For data analysis, SPSS 23.0 was utilized to perform correlation analysis and 3-stage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results exhibit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the forma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and teacher commitment. Second, it has turned ou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has a positive impact on teacher commitment and the crea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additionally revealing a significant effect of teacher’s commitment on the child education commun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hen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impacts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teacher commitment works as a complete mediator effect. These outcomes are thought to be of great importance to the forma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when implementing the reinforced teacher’s autonomy in the 2019 modified version of the Nuri educational program, and which will be used as educational materal that can strength on teacher commitment to support the healthy development of children, together with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and teacher commitment.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연구동향

        이아름,윤정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KCI 등재지에 게재된 유아교사 행복감 관련 연구 148편과 예비유아교사 행복감 관련 연구 62편, 총 210편을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연구는 2014년부터 급증하여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예비유아교사 행복감 관련 연구는 2018년부터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였다. 연구방법은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양적연구의 비중이 높았으며 행복감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주제를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연구주제와 관련된 ‘행복감’, ‘유아교사’ 키워드 외에 ‘직무만족’, ‘교사-유아상호작용’,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예비유아교사 관련 논문에서는 ‘자아탄력성’, ‘인성’, ‘교사효능감’, ‘전공만족도’ 등의 키워드 빈도수가 높았다. 출현빈도 상위 키워드들은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에서도 높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연구동향 및 키워드 네트워크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유아교사 행복감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