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교육기관의 남자 유아교사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변화 연구

        조승현,박희숙 한국영유아보육교육학회 2019 영유아보육교육연구 Vol.2 No.2

        본연구는유아교육기관의남자유아교사가담당하는학급의부모들이학기초에남자유 아교사에대하여어떤인식을가지고있는지, 남자유아교사가자녀의학급담임교사를담당 한 후에 어떠한변화가 있는지를비교분석함으로써 남자 유아교사의유아교직 적응도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남자 유아교사의 필요성, 남자 유아교사의 역할 및 자질을 유아교직 적응도에 관한 기초 자료를제공하는데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남자유아교사 가학급담임교사를하는 유아교육기관에자녀를맡기는11개 유아교육기관의학부모312명 이며, 연구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백분율(%)을 구하였고 학부모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2-검증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 남자 유아교사 에대한사회인식, 학부모의인식변화를위해교사교육, 부모교육등의연구를통해인식변 화가 필요하고 남자도 유아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유아교육이 양성교육을 지향하는 곳이 되도록 노력해야함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set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adaptation to the profess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mong 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obtain percentage(%), and X2-test and t-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parents' recognition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parents' recognitions of a need for 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fitness of education and childcare, provision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marital status changed in a positive way after they were in charge of a clas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ents' recognitions of the qualifications and roles of 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y were in charge of a class. Based on those findings, Teacher education and paren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change the recognitions of 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ociety and among parents. It is also required to create an atmosphere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of mal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o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will pursue gender equality.

      •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학교현장실습의 의미 : 지도교사, 유아, 동료 예비유아교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신현정 총신대학교 2022 總神大論叢 Vol.4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학교현장실습의 의미를 지도교사, 유아, 동료 예비 유아교사와의 관계를 통해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 중 2022년 1학기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 57명을 대상으로 실습평가서, 반성적 저널, 실습평가회, 면담자료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학교현장실습에서 관계를 맺는 주요 대상인 지도교사, 유아, 동료 예비유아교사와의 경험을 중심으로 범주화하여 학교현장실습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도교사로부터 일과에 대해 세밀한 배려를 받은 예비유아교사는 원활한 현장 적응이 이루어졌고, 교육적으로 지원을 받은 예비유아교사는 대학에서 배운 것을 실제에서 경험하며 유아교사로 준비될 수 있었다. 또한 지도교사가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며 격려할 때 예비유아교사는 자신감을 가지고 유아교사에 대한 꿈을 키울 수 있 었다. 반면, 지도교사와 적절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고 존중받지 못할 때 예비유아교사는 유아교사로 진출하는 것에 대해 걱정하고 좌절감을 느끼게 되었다. 둘째, 유아는 예비유아교사를 힘들고 어렵게 만들기도 했으나 실습이 지속되면서 예비유아교사에게 위로와 힘이 되는 존재로 다가왔다. 이러한 관계는 예비유아교사가 유아교사로서 적성이 맞는지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현장실습 현장에서 동료로 함께한 예비유아교사는 서로에게 힘이 되어 동반 성장을 할 수 있는 동력이 되기도 했지만 육체적, 정신적으로 부담감을 가지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이 학교현장실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양성기관인 대학에서 현장중심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 내용을 선정하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 인식 및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고영자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4 창의력교육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sis is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infant music education and the efficacy of music pedology. To do it, this thesis conducted a survey of present infant teachers and would-be infant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earch outcome surveyed of 116 present infant teachers and 104 would-be infant teachers, there i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replies by present and would-be infant teachers in the importance, the aim and contents of music education and the capacity of teachers. Mean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replies by the two groups of infant teachers in the precondition of music activities. Finally, the analytic outcome of the efficacy of music pedology among the two groups of infant teachers shows that would-be infant teachers account for a higher rate compared with present infant teachers.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promote and encourage infant music education and learning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present and would-be infant teachers. 본 연구는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해 알아보았다. 현직유아교사 116명, 예비유아교사 1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결과 음악교육에 대한 중요성, 교육목적, 교육활동 내용, 교사역량에 있어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간의 응답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에 반에 음악활동을 위한 전제조건에 대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간의 응답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간의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해 알아본 결과 예비유아교사가 현직유아교사보다 음악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특성을 반영한 체계적인 음악연수 및 장학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교육실습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담론

        유희정(You, Hee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교육실습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보고 이를 분석해 봄으로써 추후 교사생활에 도움이 되는 상호작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주간의 교육실습을 마치고 교사가 되고자 하는 예비유아교사 8명을 대상으로 개인심층면담을 하였으며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분석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4개의 상위범주와 각 2~3개의 하위범주로 추출되었다. 분석결과, 예비유아교사는 상호작용의 의미를 유아의 개별적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통로, 놀이를 확장 시킬 수 있는 기회의 장으로 보았고, 교육실습 하는 동안 실습지도교사의 긍정적 상호작용과 부정적 상호작용을 경험하였다고 하였다. 또한 유아예비교사는 자신의 상호작용의 어려움으로 놀이 확장 및 갈등상황에 대한 반응, 유아의 개별적 특성이해 부족, 실습생이라는 위치의 애매함을 들었으며 어려운 상호작용을 도와줄 수 있는 방안으로는 현장에 대한 봉사활동 및 경험확대 필요, 교육실습 후 상호작용에 대한 토론과 세미나 필요, 상호작용에 대한 부모교육 필요라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는 물론 유아교육기관, 교원교사양성과정에서 효과적인 교사-유아간 상호작용 교수법의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collect and analyze various stories about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 experienced by student teachers during their practicum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interactions that will help their future teacher lives. For thi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subjecting 8 student teachers who have finished 4 week of practicum and are expected to becom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from the interviews were categorized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and were divided into 4 upper categories followed by 2 or 3 sub-categories ea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the meaning of interaction as a channel to respond sensitively to the individual needs of young children and as an opportunity to expand play. The pre-service teachers conveyed that they experienced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s of guidance teachers during the practicum. In addition,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claimed that the difficulties of interactions originates from the clumsy reaction to play, lack of understanding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and ambiguity of identity as student teachers. The difficulties can be improved through offering volunteer activities and expansion of field experience, holding discussions and seminars on interactions after practicum, and providing education about interactions for the parent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finds effective teaching methods of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s for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of universities by examining interactions experienced by student teachers.

      • KCI등재

        어린이집 재원 만 3, 4, 5세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비교

        유세영,조윤경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3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n the child's challenging behavior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s first solution to challenging behaviors. The child's behavioral checklist for parents(K-CBCL, 1.5-5), the child's behavior evaluation scale for the teachers(C-TRF) were used to rate the behavior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60 teachers and 160 parents of children of 3, 4, 5 years old at the public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located in Incheon and Gyeonggi-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and teachers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challenging behaviors. The teachers group rated higher than the parents group at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the children except the physical symptom subcategory. Second, the parents and teachers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t withdrawal subcategory only in the internalized challenging behaviors. The teachers group rated higher than the parents group, too. Third, the parents and teachers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t attention problem and aggressive behavior subcategory in the externalized challenging behaviors. The teachers group also rated higher than the parent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parents and teachers should acknowledg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recognizing the challenging behaviors, for intervening appropriately on preschoolers' challenging behaviors. And needs of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lesse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교사와 부모의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보고,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의 연계를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부모와 교사의 협력적 접근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32개 국공립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의 부모와 담당교사 각 160명, 총 320명을 대상으로, 유아행동평가척도 부모용(K-CBCL. 1.5-5)과 한국판 유아행동 평가척도 교사용(C-TRF) 도구를 포함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일한 유아에 대한 전체 문제행동 인식에서 부모와 교사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내재화의 신체증상을 제외하고 전 하위 영역에서 부모집단에 비해 교사집단이 높게 평정하였다. 둘째, 동일한 유아에 대한 내재화된 문제행동 인식에서는 위축에서 부모와 교사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집단에 비해 교사집단이 높게 평정하였다. 셋째, 동일한 유아에 대한 외현화 문제행동 인식 차이에서 주의 집중 문제와 공격행동에서 부모와 교사 집단은 차이를 보였으며, 부모집단에 비해 교사집단이 높게 평정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적합한 조기 중재를 위해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 간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인지하고, 부모와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행동의 차이를 줄여나가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이 필요함을 논의되었다.

      • KCI등재

        남자 유아교사에 대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비교

        문병환,홍혜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necessity of male teachers that affects professional status as male teacher’s profession and young children’s development by examining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awareness about male teacher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144 in-service teachers in kindergarten and 160 pre-service teachers in the graduating classes of young child education at the college located in G city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t-test. In the results, both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mal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recognized male teacher’s social status better than pre-service teachers did. Also, expectation awareness on male teacher’s performance of his duty between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본 연구는 남자 유아교사에 대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남자유아교사의 전문직으로서의 직업적 위상과 동료교사들의 수용에 대한 이해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전문대학 이상 유아교육과 졸업반의 예비유아교사 160명과 현직유아교사 144명으로 총 304명이었다. 남자 유아교사에 대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질문지를 구성하고 배부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빈도, 백분율, x^2-검증과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남자 유아교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직업으로서의 남자유아교사에는 예비․현직유아교사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남자유아교사 직무 수행에 대한 기대 인식차이는 남자유아교사가 돌발적인 사고 대처 및 현장견학시 유아 통솔에 능숙하고 맡은 업무에 창의력 발휘와 동료교사와 원만한 관계 유지한다는 인식이 현직유아교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남자유아교사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생태유아교사 되어가기: 경력에 따른 생애사적 접근

        김은주,신미정,변지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1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0 No.4

        This study involved the examination of the experiences of teachers, both newly appointed and experienced, in a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using life history research to look at stages from the preliminary teaching stage to life as a teacher in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 and to identify experiences and their mea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newly appointed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the role of eco-early childhood teacher, but they make efforts to adapt themselves to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practic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They develop different views of education and a sense of duty as eco-early childhood teachers. In addition, the experienced teachers lived with autonomy as eco-early childhood teachers, making efforts to develop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ir pride for this type of education. They appear to keep their composure and live satisfactory lives, making different ecological choice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comprehend changes in the views of an eco-early childhood teacher on the teaching profession, children, instruction methods, etc.,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life changes that result from assuming the role of an eco-early childhood teacher.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 중 초임교사와 경력교사가 생태유아교사가 되기까지 경험하는 것들은 무엇이며 그 경험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연구 참여자들의 예비교사 단계에서부터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현재의 삶까지 생애사 연구를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초임교사는 생태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이러한 어려움은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적응과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어져 교육관의 변화와 더불어 생태유아교사로서 사명감을 가지고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는 삶을 살아가고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교사는 생태유아교사로서 자율성과 자부심을 가지고 생태유아교육을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몸과 마음의 여유와 생태유아교사로서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가고 있었으며 생태유아교육을 통해 교사의 개인적인 삶이 생태적인 삶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생태유아교사가 되어감에 따라 교사의 삶에서 드러나는 교직관, 아동관, 교수방법 등의 변화를 파악하고 그 변화가 개인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대한 하나의 사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숲유치원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황해익(Hwang, Hae-Ik),김은주(Kim, Eun-Ju),송주은(Song, Joo-Eun),김미진(Kim, Mi-Jin),유주연(Yu, Ju-Y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숲유치원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숲유치원 관련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숲유치원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200명, 유아교사 200명을 임의표집하여 선정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유치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경우 ‘조금 안다’(43.8%), ‘보통이다’(26.9%)라고 응답한 빈도가 높았던 반면, 유아교사의 경우 ‘조금 안다’(42.9%), ‘잘 안다’(36.5%)라고 응답한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숲유치원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 응답자 전체가 ‘필요하다’(100.0%)라고 응답하여 숲유치원의 필요성을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숲유치원에 대한 요구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숲유치원의 운영방법, 숲 방문 횟수, 일일 운영시간, 보조인력, 활동공간, 활동공간 선정요소, 시작연령, 유아 대 교사 비율, 선결요건 및 문제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숲유치원 교사 및 교사의 자질, 영아 대 교사 비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 집단의 비교를 통해 앞으로 숲유치원이 활성화 되고 정착되는 데 체계적인 대학교육 과정 및 숲유치원 연수과정, 관련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기초정보를 제공하며, 다양한 숲활동 개발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on a forest kindergarten and their needs for that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the forest kindergartens and to facilitat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forest kindergarte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50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ir awareness of a forest kindergarten, man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plied that they were a little aware of it(43.8%) and that they were aware of it to a certain extent(26.9%), whereas a lo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 little aware of it(42.9%) and were well aware of it(36.5%). The intergroup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for the necessity of a forest kindergarten, every respondent of the two groups(100.0%) answered it was necessary, which showed that they felt strong needs for forest kindergarte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needs for a forest kindergarten, there were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in opinions on the operation of a forest kindergarten, the frequency of visiting a forest, daily office hours, assistant personnels, activity spaces, considerations for the selection of activity spaces, preschooler age, the ratio of preschooler to teacher, prerequisites and problem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ir opinions on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their qualifications and the ratio of infants to a teacher. The findings of the study that attempted to compare the two group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college curriculum, forest kindergarten training courses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are required for the successful entrenchment of forest kindergartens, and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of diverse forest activities.

      • KCI등재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교사-유아관계에 미치는 영향

        최태린(Tae Rin Choi),유구종(Ku Jong Yoo),조희정(Hee Jung Ch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만 5세를 연구 대상으로 유아가 지각한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가 지각한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교사가 지각 한 교사-유아관계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유치원 4곳과 어린이집 9곳을 무선표집하여 146명의 유아와 17명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자아존중감 척도와 교사지각용 평가도구인 유아-교사 관계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가 지각한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유아 면담 과정을 통 해 교사가 검사지에 기록하였다. 유아가 지각한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관계 검사지 각각 146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가 지각 한 유아의 자아존중감의 하위 요인인 사회적 자아존중감과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 관계의 하위 요인인 친밀감이 가장 큰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가 지각 한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관계 간의 부분적인 영향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esteem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The study seeks to answe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do teachers perceive children``s self esteem? 2. How do teachers perceive teacher-child relationships? 3. What is the impact of children``s self-esteem o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This study, conducted in Gangwon-do, Hongcheon, involves 160 children and 17 teachers from 4 kindergartens and 13 daycare centers. Used in the analysis are a total of 146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 self-esteem of children, this study modifies Harter and Pike``s (1984) self-perception of the infant self-esteem scale barometer for 5 and 6-year-olds (1997). A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ool developed by Pianta (1991) modified by Lee, Jin Suk (2001). The study result indicates that in certain areas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self-esteem of childre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고슬기,김상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 및 교사-유아상호작용 간 관계를 알아보고, 임파워먼트와 직무 만족도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대해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인 유아교사 550명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통해 각 변인을 측정 후, SPSS 26.0을 활용하여 Pearson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 수준이 증가할수록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수준이 높 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는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 치며, 수준 높은 교사-유아상호작용을 예측함에 있어서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도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n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subjects were 55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for young children aged 3 to 5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outh Korea.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main variable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test research questions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As the results,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th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 In addi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level of teacher-child inte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