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용저수지 침강지 퇴적물에 대한 유역 토양 영향 분석

        박구성 ( Ku-sung Park ),박은숙 ( Eun-suk Park ),황길순 ( Gil-son Hwang ),이규상 ( Gyu-sang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농업용저수지는 상류 유역으로부터 다양한 오염원 유입되고 있으며, 호내 자정작용의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 부양양화가 진행되어 수질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유역의 오염원중 비점오염원에 해당하는 농경지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농업용저수지 5지구(설성, 만수, 개천, 대승, 월천, 덕림)의 유역내 논, 밭, 과수, 시설지역의 토양과 호내 침강지 퇴적물 토양 특성(유기물, 인)을 분석하여 침강지 유기물에 대한 유역 토양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유역의 토양 특성은 흙토람(농촌진흥청, `22년)에서 제공하고 있는 토양화학성 자료를 활용하였고, 침강지 퇴적물은 대표지점(침강지 중앙 1지점)에 대하여 시료를 채취하여 유기물, 총인을 분석하였다. 전국 논 토양은 유기물 20~30 g/kg, 유효인산 80~120 mg/kg, 그 외 토양은 유기물 20~30 g/kg, 유효인산 300~550 mg/kg로 나타났다. 설성, 만수, 개천지구 농경지 유기물 함유량은 전국 평균보다 대체로 같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효인산은 밭 지역이 전국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승지구는 농경지 중 논과 시설물의 유기물 함유량이 전국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유효인산은 모두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월천지구는 논과 시설물의 유기물 함유량이 전국 대비 낮은 경향을 나타냈고, 유효인산 함유량은 밭과 시설물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농업용 저수지 유입부에 설치된 침강지의 퇴적물 분석 결과 유기물 0.5~1.5%, 총인은 146~389 mg/kg을 나타냈다. 월천지구가 유기물, 총인 모두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개천지구가 두 항목 모두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유역의 토양화학성(유기물, 유효인산)과 침강지의 유기물, 총인 농도는 유효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침강지 퇴적물은 비점오염원에 해당하는 밭, 과수 등 농경지로부터의 유입도 있으나, 유역의 발생부하량 비율이 높은 축산, 양만장 등 점오염원의 영향도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침강지 퇴적물은 대부분 강우시 유역의 강우유출수에 의해 오염물질, 토사 등이 유입되어 퇴적되며, 침강지 위치에 따라 퇴적물 퇴적특성(입도 등)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침강지 내 다양한 위치에 대한 정밀 분석을 통하여 유역 토양의 영향 분석 및 부영양 감소를 위한 침강지 유기물 관리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풍영정천 유역 토지이용별 BOD, COD, TOC와의 상관관계 분석

        범진아 ( Jina Beom ),서대훈 ( Daehun Seo ),박민경 ( Minkyeong Park ),윤광식 ( Kwangsik Yoon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환경부는 BOD 중심의 정책으로 인한 문제점,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관리를 위해 새로운 유기물질 관리지표가 필요함에 따라 TOC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TOC 모니터링을 확대하고 있다. TOC는 신속한 분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기물의 수중 오염물질의 생물독성, 난분해성 물질 등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소량의 시료만으로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특히, 비점오염원은 토지이용별 오염원 및 오염물질이 다양하고 난분해성 유기물을 다량 포함하고 있어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하여 난분해성 유기물에 대한 조사 및 관리가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풍영정천 유역을 대상으로 토지이용에 따라 농촌 소유역(WJ), 도시 소유역(JS), 말단(PYJ)으로 구분하여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유량가중평균농도(Event mean concentration, EMC)를 산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BOD, COD, TOC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난분해성 유기물의 고자 한다. 풍영정천 유역에서 BOD, COD, TOC EMC 산정 결과, WJ에서 5.2, 9.2, 6.7mg/L, JS 10.0, 12.4, 9.2mg/L, PYJ 10.2, 11.9, 8.5mg/L으로 나타났으며, WJ는 BOD<TOC<COD 순으로, JS와 PYJ는 TOC< BOD<COD 순으로 나타났다. 농촌 소유역과 도시 소유역에서 대부분 생분해성이고, 일부 난분해성 유기물을 포함하는 COD유기물은 BOD<TOC 순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이와 반대로 난분해성을 많이 포함하고 일부 생분해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TOC유기물은 BOD<COD 순으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유역 말단에서 COD유기물은 TOC<BOD, TOC유기물은 BOD<COD순으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풍영정천 유역은 모든 지점에서 TOC와 COD의 상관성이 높아, 강우시 난분해성 유기물의 유입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농촌 소유역에서도 난분해성 유기물의 유입이 높아 도시지역뿐만 아니라 농촌지역에서도 난분해성 유기물질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중온 혐기성소화에서 유기물부하가 소화효율에 미치는 영향검토

        최우석,김영신,박대식,김혜진,김도완,유문박,배재근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1

        우리나라는 에너지 다소비적인 산업구조로 인해 화석연료의 의존도가 높다. 에너지의 약 97%를 수입에 의존하고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는 국제 어네지가격의 급등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국가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기성폐기물의 에너지화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인 돈분뇨와 음식물류폐기물의 전처리를 통해 액상의 고농도유기물만을 중온혐기성소화조에서 병합처리하여 대체 에너지원인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Pilot Plant의 소화효율을 검토하였다. 혐기성소화조에 투입되는 유기물(VS)농도와 원료배합에 변화를 주어 투입되는 유기물의 용적부하(OLR)를 조절하여 변화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산량 및 메탄농도, 메탄수율을 분석하여 혐기성소화 효율을 검토하였으며, 각 CASE별 TS, VS농도는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투입원료의 유기물(VS)량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CASE1에서 유기물(VS)은 평균 2.69%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량과 메탄농도는 평균 0.45 m³/day, 57%로 나타났다. CASE 2는 유기물(VS) 평균 농도가 1.48%, 바이오가스 발생량과 메탄농도가 평균 0.45 m³/day, 56% 그리고 CASE 3에서는 유기물(VS)농도, 바이오가스발생량, 메탄농도가 각각 6.13%, 0.36 m³/day, 59%로 나타났으며, 이 때 CASE1, 2, 3 각각의 유기물 용적부하는 0.54kg・vs/day・m³, 0.3kg・vs/day・m³, 1.23kg・vs/day・m³으로 나타났다. CASE1과 CASE2에 비해 CASE3에서 투입원료의 VS농도가 6.13%로 높은 농도의 유기물이 투입되어 용적부하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바이오가스 발생량이 다른 실험군에 비해 줄어든 것이 확인되었으며, CASE1, 2, 3 각 실험군의 메탄수율은 0.55 m³/kg・vs, 0.52 m³/kg・vs, 0.4 m³/kg・vs로 CASE1, CASE2의 수율은 CASE3 대비 약 1.4배, 1.3배 높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기물의 용적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바이오가스 발생량과 메탄수율이 줄어든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유기물부하에 따른 소화효율 변화를 검토하여 적절한 유기물부하를 찾아 소화상태 및 조건 등을 고려하여 최적 유기물부하를 결정하고 실험을 진행한다면 좀 더 나은 소화효율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적정한 유기물부하가 혐기성소화 소화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중온 혐기성소화에서 유기물부하가 소화효율에 미치는 영향검토

        최우석,김영신,박대식,김혜진,김도완,유문박,배재근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우리나라는 에너지 다소비적인 산업구조로 인해 화석연료의 의존도가 높다. 에너지의 약 97%를 수입에 의존하고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는 국제 어네지가격의 급등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국가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기성폐기물의 에너지화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인 돈분뇨와 음식물류폐기물의 전처리를 통해 액상의 고농도유기물만을 중온혐기성소화조에서 병합처리하여 대체 에너지원인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Pilot Plant의 소화효율을 검토하였다. 혐기성소화조에 투입되는 유기물(VS)농도와 원료배합에 변화를 주어 투입되는 유기물의 용적부하(OLR)를 조절하여 변화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산량 및 메탄 농도, 메탄수율을 분석하여 혐기성소화 효율을 검토하였으며, 각 CASE별 TS, VS농도는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투입원료의 유기물(VS)량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CASE1에서 유기물(VS)은 평균 2.69%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량과 메탄농도는 평균 0.45 ㎥/day, 57%로 나타났다. CASE 2는 유기물(VS)평균 농도가 1.48%, 바이오가스 발생량과 메탄농도가 평균 0.45 ㎥/day, 56% 그리고 CASE 3에서는 유기물(VS)농도, 바이오가스발생량, 메탄농도가 각각 6.13%, 0.36 ㎥/day, 59%로 나타났으며, 이 때 CASE1, 2, 3 각각의 유기물 용적부하는 0.54kgㆍvs/dayㆍ㎥, 0.3kgㆍvs/dayㆍ㎥, 1.23kgㆍvs/dayㆍ㎥으로 나타났다. CASE1과 CASE2에 비해 CASE3에서 투입원료의 VS농도가 6.13%로 높은 농도의 유기물이 투입되어 용적부하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바이오가스 발생량이 다른 실험군에 비해 줄어든 것이 확인되었으며, CASE1, 2, 3 각 실험군의 메탄수율은 0.55㎥/kgㆍvs, 0.52 ㎥/kgㆍvs, 0.4 ㎥/kgㆍvs로 CASE1, CASE2의 수율은 CASE3 대비 약 1.4배, 1.3배 높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기물의 용적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바이오가스 발생량과 메탄수율이 줄어든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유기물부하에 따른 소화효율 변화를 검토하여 적절한 유기물부하를 찾아 소화상태 및 조건 등을 고려하여 최적 유기물부하를 결정하고 실험을 진행한다면 좀 더 나은 소화효율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적정한 유기물부하가 혐기성소화 소화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사: 본 연구는 환경부의 차세대 EI 사업 KEITI(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입니다.

      • 포항 분지 제3기층 시추코아 유기물의 석유 지화학적 특성

        이영주,곽영훈,윤혜수,정태진,오재호,김학주,강무희,Lee Youngjoo,Kwak Young Hoon,Yun Hye Su,Cheong Tae Jin,Oh Jae Ho,Kim Hagju,Kang Moohee 한국석유지질학회 1997 한국석유지질학회지 Vol.5 No.1

        포항 분지 신제3기 연일층군 퇴적물내 유기물의 석유 지화학적 특성연구를 위하여 시추공 B, E, F, H에서 이암 시추 시료를 채취하여 유기탄소 분석, Rock-Eval 열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시추공의 선별된 시료에 대해서 케로젠을 분리하고 비투멘을 추출하여 광학 현미경 관찰, 적외선 분광 분석, 생물표기화합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추공 시료의 유기탄소 함량은 $0.55{\~}3.74{\%}$로 석유 근원암의 조건을 갖추었고 석유 생성 잠재력을 나타내는 S1+S2 값은 H공을 제외한 거의 모든 시료에서 각각 2mgHC/gRock 이상을 나타내어 시추공 시료의 유기물 함량 및 유기물의 석유 생성 잠재력은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Rock-Eval 열분석, 적외선 분광 분석 및 케로젠의 현미경 관찰을 통해서 살펴본 B, E, F 시추시료의 유기물은 타이프 II에 비교되었고 H공의 시료는 육성 기원 유기물이 우세해서 타이프 III에 비교되었다 H공 시료의 유기물이 다른 시추공 시료의 그것에 비해 석유 생성 잠재력이 상대적으로 낮은데 이는 분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육성 유기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은데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연일층군 유기물의 열 성숙도는 미성숙 단계이고 시추 심도에 따른 뚜렷한 열적 진화 양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석유 지화학적 분석 자료를 종합하면 포항 분지 연일층군은 유기탄소의 함량 및 석유 생성 잠재력은 양호하지만 열적으로 미성숙 상태라서 아직 석유 생성 단계에 이르지 못하였는데 이는 주로 퇴적층의 매몰 심도가 얕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케로젠의 현미경 관찰 결과와 생물표기화합물 분석에 의하면 연일층군 유기물은 주로 해양기원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으나 육상 기원 유기물도 상당히 포함되어 있었으며, 프리스테인/파이테인의 비율을 고려 할 때 환원 환경하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이런 퇴적 환경 및 유기물 특징을 고려했을 때 포항 분지는 육지에서 가까운 바다로 주변 육상 기원 유기물의 유입이 용이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시추공 분석 시료의 최하부 구간에는 육상 기원 유기물이 우세한데 이는 포항 분지 초기의 육성 퇴적 환경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Core samples from the B, E, F, H wells in the Tertiary Pohang Basin were analysed for total organic carbon (TOC) content and subject to Rock-Eval pyrolysis in order to assess petroleum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 Following geochemical screening, we selected samples from each well for the study of bitumen and kerogens such as optical observation, infra-red spectroscopy and biomarker analyses. Sediments of the Tertiary Yonil Group contain total organic carbon ranging from $0.55{\%} to 3.74{\%}$ with S1+S2 values higher than 2mgHC/g Rock in B, E and F wells, which indicates fair hydrocarbon generation potential. Most organic matter in the B, E, F wells is compared to type II based on the Rock-Eval pyrolysis, infra-red spectroscopy and optical observation. However, organic matter in the H well is compared to type III because the well is located at the margin of the basin where the preservation of terrestrial material is dominant. Geochemical analyses show that organic matter in the Yonil Group is thermally immature although thermal maturity slightly increases with depth. Maturity levels of the extracted kerogens are similar to those of bulk samples ($Tmax<435^{\circ}C$. Petroleum geochemical charateristics of the sediments in the Tertairy Yonil Group is fair in terms of the organic richness and hydrocarbon genetic potential, but organic matter is thermally immature due to the shallow burial depth. Optical observation of the kerogens and biomarker analysis show that organic matter in the Yonil Group is both marine and terrestrial origin, although it was deposited in marine environment. Pristane/phytane ratio suggests rather anoxic depositional environment.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 indicate that the marine Yonil Group was deposited near the terrestrial environments. Input of terrestrial organic matter is more prevalent in the samples recovered from the lowermost horizon in the wells due to the terrestrial environment at the time of basin formation.

      • 하계 강화도 갯벌의 혐기성 유기물 분해능 및 황산염 환원력

        현정호,목진숙,조혜연,조병철,최중기 한국습지학회 2004 한국습지학회지 Vol.6 No.1

        갯벌이나 연안습지의 생태구조 및 생지화학적 물질 순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기물 분해기능 평가 및 분해경로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 본 논문에서는 하계 강화도 남단의 갯벌에서 미생물에 의한 혐기성 유기물 분해정도를 파악하고, 황산염 환원을 통한 유기물 분해경로의 정량적 중요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유기물 분해율은 깊이 6 cm 이내에서 41.9~89.4 mmol m-2 d-1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이를 강화도 갯벌의 전체 면적(약 300 km2)으로 환산할 경우, 하루에 216 ton의 유기물이 혐기적 과정을 통해 분해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하구갯벌인 강화도 갯벌의 유기물 분해능이 생산력이 높은 염습지의 유기물 분해능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한편, 인위적으로 유기물(acetate)을 공급하였을 경우 유기물 분해율이 약 2배~5배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가 이용 가능한 유기물의 공급 부족에 의해 제한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깊이 6 cm 이내에서 적분한 황산염 환원율은 20.7~45.1 mmol SO42- m-2 d-1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전체 혐기성 유기물 분해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황산염 환원력의 과도한 증대가 향후 갯벌 주변 생태계의 생물 다양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Despite its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ecological structure and biogeochemical element cycle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microbial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 and mineralization pathway in the intertidal flat of Korea. We measured anaerobic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 and sulfate reduction rate, and evaluated the significance of sulfate reduction in total anaerobic carbon respiration at the southern part of Ganghwa Island. Depth-integrated carbon mineralization rate down to 6 cm depth ranged from 41.9 to 89.4 mmol m-2 d-1, which accounted for approximately 216 tons of organic matter mineralization in entire intertidal flat area of Ganghwa(300 km2). The results indicated that capacity for the organic matter mineralization in the Ganghwa tidal flat is comparable to highly productive salt marsh environments. Mineralization rates in the sediment amended with acetate were 2~5 times higher than in unamended sediment. The results implied that microbial mineralization was limited by the availability of organic substrates, and the organic matter mineralization capacity seems to be higher than estimated at ambient organic substrate level. Depth-integrated sulfate reduction rates within 6 cm depth of the sediment ranged from 20.7 to 45.1 mmol SO4 2- m-2 d-1, and sulfate reduction was mostly responsible for organic matter remineralization. It should be noticed that the increase of H2S in the sulfate reduction dominated tidal flat may result in the decrease of biological diversity.

      • 대륙붕 한일공동광구에 분포하는 제 3기 시추 시료 유기물의 지화학적 특성

        이영주,윤혜수,정태진,곽영훈,오재호,Lee Youngjoo,Yun Hyesu,Cheong Taejin,Kwak Younghoon,Oh Jaeho 한국석유지질학회 1998 한국석유지질학회지 Vol.6 No.1

        동중국해 분지의 북부에 위치한 한일 공동 광구 시추공 (JDZ V-1, V-3, VII-1 그리고 VII-2)제3기 퇴적물 내의 유기물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유기 지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JDZ V-1, JDZ V-3 공 후기 마이오세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은 분석 구간에서 대부분 $0.5\%$ 이하로 매우 낮으나 초기 마이오세 및 올리고세 층에서는 $0.6-0.8\%$로 일정한 함유량을 보인다. JDZ VII-1, JDZ VII-2시추공의 중기-후기 마이오세 퇴적층의 경우에는 유기물이 풍부해서 $20\%$에까지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시추공 퇴적물이 JDZ V-1이나 V-3공의 그것에 비해 일부 구간에서 유기물의 함량이 매우 높은 것은 탄질 셰일이 분석된 것으로 퇴적 환경이 탄층이나 탄질 셰일의 발달에 적합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JDZ시리즈 시추공 제3기 퇴적물에 포함된 케로젠은 주로 육상기원의 목질 및 탄질물이고 원소 분석 결과에서는 주로 타이프 III에 비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 함량에 비하여 석유 생성 잠재력 (S2)및 수소지수 (HI)가 낮은 것은 육상 유기물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생물표기화합물 분석에 의하면, JDZ시추공의 제3기 퇴적물 내의 유기물은 육상 고등 식물에서 유래한 것들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고, 퇴적 당시의 조건은 산화 환경이어서 퇴적된 유기물의 보존에 적합치 않았던 것으로 해석된다. 지화학적 특성을 통해서 유추한 JDZ시추공의 유기물의 특성 및 퇴적환경은 하성 환경이 우세한 가운데 일시적인 호수, 혹은 늪지나 범람원이 형성을 나타내 기존 조구조 운동 연구 및 퇴적학적 연구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유기물의 열 성숙 단계는 JDZ V-1 및 V-3 시추공의 총 심도 부근 (각각 3317 m, 3221 m)에서는 석유 생성 중간 단계에 도달했고, JDZ VII-1 및 VII-2공의 3600 m 하부층은 건성 가스 생성 단계에까지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JDZ VII-1, VII-2 시추공의 3500 m 하위 구간의 올리고세 퇴적층에서 유기물 함량 및 수소 지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은 매몰 심도가 깊어지면서 유기물이 열 분해되어 이미 탄화수소를 생성한 것으로 해석된다. JDZ VII-1 및 VII-2 시추공의 가스징후 및 길소나이트 (gilsonite)는 탄화수소가 생성되어 이동한 흔적을 시사한다. Organic geochem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characterize organic matter (OM) in the sediments recovered from Korea/japan Joint Development Zone (JDZ V-1, V-3, VII-1 and VII-2)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ern end of the East China Sea Shelf Basin. Late Miocene sediments from the JDZ V-1 and V-3 wells generally contain less than $0.5\%$ of total organic carbon (TOC). However, early Miocene and Oligocene sediments show TOC values of $0.6-0.8\%$. Middle to late Miocene sediments are rich in TOC up to $20\%$ from JDZ VII-1 and JDZ VII-2 wells. The reason for this rich TOC might be attributed to the presence of coaly shales. Kerogens in the Tertiary sediments from the JDZ series wells are mainly composed of terrestrially derived woody organic matter. Elemental analyses indicate that OM from these wells can be compared to type III. Low hydrocarbon potential and hydrogen index reflect the type of OM. According to the biomarker analyses, the input of the terrestrial OM is prevalent. Oxidizing condition is also indicated by Pristane/Phytane ratio. Samples from the JDZ V-1 and V-3 wells obtain maturities equivalent to the oil generation zone around total depth, and organic matter below 3600 m from JDZ VII-1 and VII-2 wells reached dry gas generation stage. Oligocene sediments below 3500 m in the JDZ VII-1 and JDZ VII-2 wells may have generated limited amount of hydrocarbons, showing a progressive decrease in hydrogen index with depth, due to thermal degradation with increased burial. Gas shows and finely disseminated gilsonite may indicate the generation and migration of the hydrocarbons.

      • KCI등재

        토양중 유기물함량 차이에 따른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igyne incognita)에 대한 Carbofuran과 Ethoprophos의 효력변동, 수직이동성 및 잔효성조사

        송철,황인택,장경수,조광연,Song, Cheol,Hwang, In-Taek,Jang, Kyoung-Soo,Cho, Kwan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199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8 No.1

        토양중 유기물 함량 차이에 따른 토양내에서 carbofuran과 ethoprophos의 약효 변화, 수직 이동성 및 잔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구마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을 공시하여 실험하였다. 두 약제 모구 토양중 유기물 함량이 많을수록 약효는 감소였다. 약제의 수직이동성은 토양 표면에서 0~2cm층에서는 유기물의 함량에 관계없이 두 약제 모두 80%이상의 높은 방제가를 보였으나, 2~4cm층에서는 유기물의 함량에 관계없이 두 약제 모두 80%이상의 높은 방제가를 보였으나, 2~4cm 층에서는 두 약제의 방제가가 다르게 나타났다. Carbofuran의 경우 유기물 함량에 따라 10~30%의 방제가를 나타냈으나, ethoprophos는 0.4% 유기물 토양에서만 약 30%의 방제가를 나타냈으며, 나머지 유기물 토양에서는 효과가 거의 없었다. 또한 4cm 이하의 토양에서는 carbofuran은 대부분의 토야에서 5~20%의 내외의 약효를 나타냈으나, ethoprophos은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 두 약제 중에서 토양중 이동성은 carbofuran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중 유기물 함량은 두 약제의 잔효지속기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유기물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약효지속기간이 감소하였다. 약효의 반감기는 carbofuran의 경우 유기물 함량이 0.4%인 토양에서는 2~3주로 나타났으나, 0.8%, 1.6% 토양에서는 1주 정도였다. 한편, ethoprophos의 경우 0.4%, 0.8%의 토양에서는 3~4주, 1.6%인 토양에서는 1~2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약제 모두 3.2%의 유기물함량 토양에서 약제의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Effects of organic matter content in soil on activity. vertical migration. and persistence of two nernaticides. carbofuran and ethoprophos. to root-knot nematode, Mrloitlog!~iei ~lcognita.w ere investigated. As the organic matter content increased. activity of the nernaticides tended to be reduced. Both nematicides exhibited control values of more than 80'k' to M. iix.o,yilit~iln 0-2 cm depth soil layer from the surface. regi~rdless of organic matter content in soil. In 2-4 cm depth soil layer. however. the control value of the neniaticides varied with the organic niatter content in soil. The control value of carbofuran in the soil layer was ranged from I0 to 30'2,. depending on the soil organic niatter content. In contrast. ethoprophos had no control value against M. i/ic.o,ytlitcr in the \oil layer, except that the nematicide had a control value of 30% when the organic matter content was 0.4%. Furthermore. ethoprophos had no effect on controlling M. i/ic.o,gtiitrr in soil layer of below 4cm. whereas control values of carbofuran were approximately from 5 to 20% in all test soils having different organic matter cont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arbofuran has more vertical migration effect than ethoprophos. Persistence of the two neniaticides was also decreased with increasing soil organic matter content. Half life of carbofuran was 2-3 weeks in soil containing 0.4% organic matter, whereas it was found to be I week in soils containning 0.8 ant1 1.6% of organic matter. On the other hand. activity of ethoprophos was reduced to half in 3-3 weeks and in 2-3 weeks in soil containing 0.4 and 0.8%, and 1.6%) of organic matter, respectively. However, no activity of the both nernaticides was found in soil containing 3.2% of organic matter.

      • 유기물 사용이 밭토양 화학성 및 옥수수 수량에 미치는 영향

        이윤혜 ( Yun-hae Lee ),김성헌 ( Seong-heon Kim ),심재홍 ( Jae-hong Shim ),박성진 ( Seong-jin Park ),권순익 ( Soon-ik Kwon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유기물을 농경지에 사용하는 주요 목적은 토양 비옥도와 건정성을 향상시켜 지속가능한 농업환경을 보전하는 것이다. 이에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유기물 사용에 따른 토양 화학성 변동과 2020년 옥수수 수량과 토양탄소축적량을 평가하였다. 사용한 유기물은 돈분퇴비, 우분퇴비, 옥수수잔재물이었으며, 무비구, NPK, NPK+돈분퇴비(NPKSC), NPK+돈분퇴비+옥수수잔재물(NPKSCR), NPK+우분퇴비+옥수수잔재물(NPKCCR), NPK+옥수수잔재물(NPKR) 로 6 처리로 수행하였다. 7년간 유기물 투입에 따른 토양 pH와 유효인산은 증가 추세였으며, 유기물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였고, 유기물 종류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2020년의 옥수수 알곡 수량은 NPK 처리 대비 유기물을 사용한 처리에서 많았으며, NPKCCR > NPKR > NPKSCR 순으로 나타났다. 토양 탄소도 유기물원을 투입한 처리에서 투입하지 않은 처리보다 축적량이 많았고, 유기물원 중에서 돈분단용 처리보다 옥수수잔재물을 같이 사용한 처리에서 탄소 축적량이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밭토양에서 유기물을 사용으로 작물생산성과 토양탄소 축적량이 증가하는 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앞으로 농경지에서 유기물 장기간 사용으로 작물과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하고 토양 탄소 축적량을 증가시킬수 있는 농경지 관리 기술에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토양측정망 확대 지점의 토양 유기물 함량 연구

        이소진(Sojin Lee),김진주(Jinjoo Kim),정승우(Seung-Woo Jeong) 대한환경공학회 2016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8 No.12

        토양 유기물은 농작물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중요한 토양 구성분이며 오염물질의 이동을 감소시켜 인체 및 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하는 역활을 한다. 최근 지구온난화를 야기하는 온실기체의 싱크탱크 역활이 부각되면서 토양 유기물에 대한 조사 및 관리방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환경부 토양측정망 495개 지점에서 채취한 토양의 유기물함량을 측정하여 지역별, 토지용도별 토양 유기물함량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둘째, 토양 유기물 함량 측정방법인 Tyurin산화법과 강열감량법(LOI)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Tyurin법과 강열감량법으로 토양 유기물 함량을 조사한 결과 평균은 각 각 1.90%, 2.92%로 나타났다. 토지용도별 유기물 함량 순서는 Tyurin법 및 강열감량법 모두 유사하였다. 여전히 자연환경 요소가 많이 남아있거나 토양으로 유기물 유입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임야, 종교용지, 공원은 비교적 높은 유기물함량을 보이나, 유기물 유입이 상대적으로 적은 대지와 대부분 사질토양으로 구성된 학교용지는 낮은 유기물함량을 보였다. Tyurin법과 강열감량법간 회귀분석결과 y(Tyurin) = 0.6257x(LOI) + 0.0602 (P-value < 0.001)와 같은 회귀식이 얻어졌고 결정계수 R² = 0.749로 나타나 상관성이 높았다. Tyurin법과 강열감량법을 비교한 결과 강열감량법의 결과치가 Tyurin법에 비해 크게 측정되지만 Tyurin법과 상관관계가 성립되는 바 여러 토지용도에서 많은 양의 토양시료를 측정해야 하는 목적에서는 강열감량법 적용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Soil organic matter (SOM) is an important soil component releasing nutrients to the plants and reducing risks of soil contamination to the human and ecosystem. Much attention has been recently paid to SOM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because SOM holds the most of carbon in the earth and sequestrate carbon as a sink tank. The first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SOM of 495 soil samples taken at the Korea Soil Quality Monitoring Network.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6 regions and 8 land use types. The second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Tyurin method and loss-on-ignition (LOI) method for SOM. The means of SOM by Tyurin and LOI methods were 1.90 and 2.92 % (w/w), respectively. Land uses such as forest, religious area and park where organic matters continuously supply to normally showed higher SOMs than residential and school areas having sandy soils. A regression eq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yurin and LOI methods was y(Tyurin) = 0.6257x(LOI) + 0.0602 (P-value < 0.001).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R² = 0.749, relatively linearly related. Although LOI may result in higher SOMs than the Tyurin method, LOI may be a preference for the SOM investigation if various kinds of land uses and many soil samples should be meas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