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환위기 이후 한국 기업의 성장 요인 분석

        김석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정책자료 Vol.- No.-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성장은 고속성장에서 정체 또는 쇠퇴에 이르기까지 차별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별화의 근저에는 기업의 기술혁신노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이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기술혁신노력이 제반 기업의 조건(연륜과 역량, 규모 등)에 영향을 받고 있어 이러한 조건들이 기술혁신노력에 끼치는 영향도 실증적으로 분석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술혁신노력이 기업의 성장에 끼치는 영향과 그러한 기술혁신노력을 가능하게 하는 기업경영의 조건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내용외환위기 이후 한국은 지식기반경제 또는 혁신주도경제로 이행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결과 경제성장과 자본투자는 외환위기 전에 비해서 둔화했지만 연구개발투자는 급격히 증가했다. 본 연구는 자본투자와 고정자본투자가 기업의 성장에 기여하는 바를 외환위기 전 후로 구분하여 분석 비교한다.분석대상은 거래소와 코스닥의 상장기업들이며 분석기간은 1992년부터 2006년이다. 분석기간은 1992-1997, 1998-2002, 2003-2006의 세 시기이며 각 시기의 기간평균 매출규모증가율과 고용규모증가율, 고정자본투자집약도와 연구개발투자집약도 등이 주요 분석지표이며 각 시기의 횡단면 계량경제분석의 추이를 비교분석한다. 각 시기의 횡단면 분석은 두 단계(Two stage least sqaure=2SLS)로 이루어진다. 먼저 첫째 단계로 연구개발투자를 결정하는 요인들 중 기업크기에 초점을 두는 슘페터가설에 기반하며, 다음 단계로 성장회계를 응용하여 기업의 성장 요인을 분석한다.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첫째, 연구개발투자가 기업규모와 반비례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슘페터 가설에 반대된다.둘째, 정책대상유형변수와 관련해서는 특히 벤처기업 더미에 대한 효과가 주목할 만하다. 이에 반해 총출제 기업 더미(FTgroup)와 상출제 기업 더미는 유의미한 계수값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주목해야 할 것은 연구개발투자집약도에 대한 계수와 고정자본투자집약도에 대한 계수의 크기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이제 연구개발투자가 고정자본투자에 비해 보다 효과가 큼을 의미하며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셋째, 연구개발투자가 매출액 증가에 끼치는 영향도 커지지만 고용 증가에 끼치는 영향력은 그 보다도 더 큰 폭으로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연구개발투자가 고용에 끼치는 영향력이 고무적인 반면 고정자본투자는 그렇지 못하다. 이는 고정자본투자가 고용의 증가와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1)고정자본 투자가 노동절약적인 성격이 있거나, (2)적어도 기업의 성장(고용 지표의 관점에서)에 대한 동인으로서 고정자본 투자가 갖는 영향이 적어졌다고 해석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해석은 연구개발투자가 기업성장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점에서 조심스럽게 성장 동인이 고정자본 투자에서 연구개발 투자로 옮겨가는 것이라는 주장을 제기해본다. 결론외환위기를 계기로 한국은 생산방식에서의 구조적인 변화 또는 패러다임 쉬프트(Paradigm Shift)를 겪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패러다임 쉬프트에는 (1)기술적 요인과, (2)기업생태계의 변화가 자리하고 있으며 양자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먼저 (1)기술적 요인과 관련하여, 외환위기 이전에 기업의 성장동인이 고정자본이었다면 이후에는 연구개발이 자리 잡았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2)기업생태계의 변화와 관련하여, 새로운 유형의 기업들이 탄생했고 성장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도태되어가는 기업들이 있다는 것이다.외환위기 이후 한국이 거시 경제적으로는 양호한 경제지표를 보여주고 있지만 미시 경제적으로는 고용불안, 소득격차 확대와 같은 어두운 면을 모두 노정하고 있다. 이러한 양면성은 한국의 기업 생태계가 외환위기 이후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데서 설명할 수 있다. 총출제 기업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대표기업들은 외환위기 이후 구조조정과 핵심기술 획득을 통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거듭났고 이들은 국내가 아닌 세계시장을 주무대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세계적인 대기업들은 외환위기 이후에 자본투자와 연구개발투자를 통해 급속하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해왔으나, 그만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 인해서 고용에 대한 기여는 낮아졌다. 벤처로 대표되는 중소기업들은 대기업보다는 고용에 보다 많이 기여하였지만 이들 기업이 규모나 수에서 한국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아직 작다. 한편으로 양자 사이에서 양자의 단점을 보완해줄 수 있는 중견 대기업들은 성장동력을 찾지 못하면서 투자, 고용, 연구개발 모두에서 저조한 성적을 보이고 있다. 정책제언본 연구는 정부의 중소기업 육성정책이 부분적인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크게는 그 목표를 달성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직도 중소기업들이 안정적인 궤도로 들어서고 있지는 못하고 많은 정책적 배려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향후에도 지속적인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또한,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한 대기업들은 그러한 경영능력에 기반하여 연구개발투자를 하고 또한 연구성과를 사업화하는데 필요한 고정자본투자를 하고 있으며, 중소기업들은 위험을 감수하면서 모험적인 연구개발투자를 감행하고 있다. 이에 반해, 성장이 정체되는 중견 대기업들은 일정한 규모를 갖추고 있어 모험적인 도전을 하기도 어렵고 또한 세계시장을 상대로 하는 경영능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내재적 상황이 중견 대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를 못하고 관망하게 하는 것으로 설명하는 것이 유력할 수 있음을 본 연구는 시사한다. 요 약 1 제1장 서 론 15 제1절 외환위기 이후 한국경제 담론 15 제2절 외환위기 이후 한국기업의 성장 동인 19 제2장 기존 문헌에서의 기업성장 연구 22 제1절 신고전학파의 기업성장 이론과 실증 연구 22 제2절 슘페터학파의 기술혁신 이론 24 제3절 성장회계 이론과 기술혁신 26 제3장 연구방법론과 데이터 29 제1절 방법론 29 1. 분석 모델 29 2. 분석 시기와 횡단면 분석 32 3. 정책대상 유형의 정의-기업집단과 벤처기업 33 제2절 기초 데이터 35 1. 원천 DB 35 2. 분석대상기업 36 제4장 외환위기 전후 한국기업의 성장 동인 분석 39 제1절 기술적 통계 39 1. 기업성장 통계 39 2. 성장동인 통계: 고정자본투자 대 연구개발투자 45 제2절 기업성장 동인의 계량적 분석 53 1. 기업의 성장과 연구개발투자 53 2. 기업의 크기와 연구개발투자 55 3. 기업의 성장 동인에 대한 계량경제학적 분석 56 제5장 결론과 정책시사점 62 제1절 결론 62 1. 한국경제의 구조적 변화와 새로운 성장동력 62 2. 거시경제와 미시경제의 불일치와 기업의 성장 동학 63 제2절 정책 시사점 64 1. 기술혁신 중소기업 육성정책과 관련한 시사점 64 2. 기업집단 규제 정책과 관련한 시사점 65 참고문헌 68 SUMMARY 71 CONTENTS 73 URL : http://www.stepi.re.kr:8080/app/report/rss.jsp?cmsCd=CM0013

      • KCI우수등재

        외환위기 전후의 부채조달의사결정에 재무유연성과 세금효과가 미치는 영향

        김영철(제1저자) ( Young Chul Kim ),고종권(교신저자) ( Jong Kwon Ko ),이윤경(공동저자) ( Yun Kyeong Lee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학연구 Vol.40 No.6

        부채의 세금효과가 존재함에도 부채를 적게 사용하는 보수적 부채조달현상이 보고된이래로 부채사용에 따른 혜택과 더불어 비용 측면에서 부채를 설명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DeAngelo and DeAngelo(2007)는 부채조달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원인으로 재무유연성을 언급하고 있다. 재무유연성이란 자금수요 발생 시 낮은 자금조달비용으로 적시에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Byoun 2011; Denis 2011). 재무유연성이 낮을수록 투자기회에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없으므로 과소투자에 따른 손실이 커질 수있다. 따라서 재무유연성이 낮은 경우 세금효과가 존재함에도 부채조달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수적으로 부채를 조달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Killi et. al.(2011)는 재무유연성이 부채조달의 기회비용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외환위기 이후 보수적부채조달현상이 보고되고 있지만 부채를 비용 측면에서 설명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외환위기를 중심으로 부채와 한계세율 및 재무유연성의 의미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환위기를 중심으로 부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재무유연성과 세금유인의 의미를 검증하는 것이다. 그리고 외환위기 전후 부채조달의사결정에 대한 재무유연성과 세금유인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환위기 이전 재무유연성과 부채간의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지만 외환위기 이후 재무유연성과 부채간의 양(+)의 관련성이 관찰되었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재무유연성을 고려하여 부채조달의사결정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부채조달능력을 유지하려는 유인이 외환위기 이후 강화됨을 나타낸다. 둘째 외환위기 이후 부채와 한계세율간의 관련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부채를 이용한 절세유인이 감소됨을 의미하며, 외환위기 이후 부채조달능력을 유지하려는 유인이 낮은 경우에 한하여 세금효과를 고려하여 부채조달의사결정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재무유연성은 외환위기 이후 보고되고 있는 보수적 부채조달현상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외환위기라는 경제적 사건을 중심으로 부채의 결정요인으로 재무유연성에 대한 의미를 검증한 것이다. 그리고 재무유연성은 외환위기 이후 보고된 보수적 부채조달현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 것이다.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apital structure is an important topic in modern Finance. Modigliani and Miller(1958) demonstrate that given investment policy and with no taxes or contracting costs, the choice of financing policy does not affect the current market value of the firm. However, Modigliani and Miller(1963) argue that corporate tax allows the deduction of interest payments in calculating taxable income. Thus they contend that firms prefer to use more debt, in extreme case, capital structure may consist of 99.9% debt. In contrast, Miller(1977) shows that the corporate tax advantage of debt is offset by personal income tax, therefore, the tax advantage of debt is not that significant. Based on Modigliani and Miller(1963), Myers and Majiluf(1984) and other researchers explain the corporate financing decisions by analyzing costs and benefits of debt use. Here, the benefit of debt use is tax advantage and the costs of debt are financial distress, bankruptcy costs, personal income tax, and agency costs (Scott 1976; Miller 1977; Myers 1977). Molina(2005) and Ko and Yoon(2011) explain corporate financing policy by analyzing the relations between tax advantage and bankruptcy. van Binsbergen et al.(2010) explains the financing policy by estimating marginal cost function and examining the relations between tax advantage and tax costs. DeAngelo and DeAngelo(2007), one of the research explaining financing policy with respect to the cost of debt, presents the concept of financial flexibility. Financial flexibility refers to as the degree of capacity and speed at which the firm can mobilize its financial resources in order to take reactive, preventive, and exploitive actions to maximize the firm value (Byoun 2011; Denis 2011). According to the trade-off theory, based on the traditional costs and benefits, since debt financing of current year increases cost of debt and decreases debt capacity in the future. In particular, the lower the financial flexibility, additional debt financing tends to decrease debt capacity. Thus the financial flexibility refers to opportunity costs (Killi et al. 2011). In connection with aforementioned studies, DeAngelo and DeAngelo(2007) argues that firms may use relatively small amount of debt in order to maintain debt capacity, even corporate tax advantage of debt exists. Ahn et al.(2011) surveyed chief financial officers of Korean companies and found that eighty percent of financial managers consider the cost and benefit of debt when they make decisions on financing policy. It is suggesting that debt capacity of a firm is limited to a certain boundary and implying that debt use of current year affects debt capacity in the future. In addition, in the late 1990s, numerous Korean companies went bankrupt due to the lack of liquidity, although they possessed enough assets. Therefore companies began to make buffers responding to the uncertain capital requirements (Lee 2010). Taken together, we predict incentives for maintaining debt capacity affect financing policy after the financial crisis of the late 1990s. We also predict the importance of financial flexibility, as a determinant of financing policy, is greater in the post-financial crisis period than in the pre-financial crisis period. Ko and Kim(2012) argues that marginal tax rate does not explain the debt financing policy in the post-financial crisis period. Suggesting that, when a firm makes a decision on financing policy, cost of debt is more significant factor than tax advantage. Thus, in the post-financial crisis period, we predict, in order to maintaindebt capacity, although tax advantage exists, firms experiencing low financial flexibility have propensity to use debt conservatively. Additionally,explanatory power of financial flexibility towards the financing policy will be greater than that of tax effect. The purposes of our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we document financial flexibility is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debt financing policy. Also, we test whether the relevance of financial flexibility to financing policy differs between pre- and post-financial crisis period. Secondly, we tes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financial crisis period, with respect to the relevance of tax advantage to financing policy. Thirdly, we report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financial flexibility and tax effect in financing polic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we find no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financial flexibility and debt in the pre-financial crisis period, however, we find positive relations in the post-financial crisis period. Also, we find no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marginal tax rate and debt in the post-financial crisis period while we find positive relations in the pre-financial crisis period. It is suggesting that, in the pre-financial crisis period, tax effect plays more significant role in debt financing, however, financial flexibility is more important determinant of debt financing in the post-financial crisis period. It also implies that tax effect could be constrained by financial flexibility in the post-financial crisis period. Furthermore, we are suggesting that tax advantage of debt may affect debt financing decision when the incentives for maintaining debt capacity is low.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documenting the significance of financial flexibility in debt financing policy. Moreover, we show that financial flexibility has explanatory power for the debt financing policy in the post-financial crisis period, rather than tax effects. Likewise, in the post-financial crisis period, we suggest that tax advantage of debt explains debt financing policy only when firms have incentives for maintaining debt capacity. Finally, we suggest that one of the culprits in the decreasing relations between tax effects and financing policy in the post-financial crisis period.

      • KCI등재

        한국의 외환위기 - 원인, 해결과정과 결과 : 한국의 외환위기

        이제민(Jaymin Lee) 한국경제발전학회 2007 經濟發展硏究 Vol.13 No.2

        1997년 외환위기 전 한국경제는 심각한 구조적 문제가 있었지만 그것이 외환위기의 원인은 아니었다. 외환위기는 정부의 유동성 부족, 즉 한국 정부가 단기외채에 비해 외화준비금을 너무 적게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IMF와 미국이 요구한 외환위기의 해결책은 유효하지 않았고 매우 불공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朝野는 국내의 구조적 문제를 개혁하는 데 이용한다는 목적으로 IMF와 미국의 요구를 적극 수용하였다. 그 결과 기업과 금융기관의 경영 건전성과 투명성이 향상되는 등 개혁의 성과를 거두었지만, 그 과정에서 외국인이 국내투자에서 거둔 차익이 한국인이 대외투자에서 거둔 차익을 초과하는 액수가 3,000여억달러에 달하였다. 외환위기 후 나타난 투자 및 고용 부진, 소득 분배 악화, 총요소생산성 증가 부진, 재정 건전성 악화 등도 외환위기 후 급속한 구조조정을 하면서 필요한 다른 개혁이 따라주지 못해서 일어난 것으로 외환위기의 처리과정과 관련이 있다. 이처럼 큰 비용을 치른 이유는 외환위기 해결책의 배후에 있는 금융을 통한 헤게모니의 재정립이라는 미국의 의도에 대해 한국이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1997년 한국은 IMF와 미국의 외환위기 해결책을 차라리 거절하는 것이 나았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앞으로도 외세를 이용하여 국내적 개혁을 하려는 시도는 극히 신중하게 해야 할 것이다. Though Korea had serious structural problems before the crisis in 1997, they were not the causes of the crisis. The crisis broke out because Korean government had insufficient foreign exchange reserves in relation to short-term foreign debt of the private sector. The demand by the IMF and the US Treasury in the wake of the crisis was therefore problematic in terms of both effectiveness and fairness. Korea nevertheless actively accommodated the demand to utilize it for the purpose of carrying out domestic reforms. As a result, the management of firms and financial institutions has become more sound and transparent. However, the gains by foreign capital within the Korean soil after the crisis exceeds the overseas gains by Korean capital by more than 300 billion dollars. The crisis and its resolution process are also responsible for the stagnation of investment and employment, deterioration in income distribution, slow growth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deteriorating fiscal situation observed in the last ten years. Korea has paid so much cost after the crisis basically because Korea miscalculated the US intention to reestablish her hegemony utilizing the financial prowess. It may have been better for Korea to have refused the demand by the IMF and the US in 1997. Korea should also be very careful in utilizing the external pressure to facilitate domestic reform.

      • KCI등재

        외환위기 이후 부채비율에 따른 회계정보 주가관련성

        이인수(In-Su Yi),최현돌(Hyun-Dol Choi) 한국산업경영학회 2010 경영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부채비율에 따른 순자산 장부가치와 회계이익의 주가관련성이 외환위기 이전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90년부터 1997년까지를 외환위기 이전, 2000년부터 2008년까지를 외환위기 이후로 나누어 상장 비금융업(8,042개 기업-년)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채비율 200% 축소기간(1998~1999)의 회계정보 설명력(Adj. R²)이 .152로써 매우 낮게 나타났다. 연도별 회계정보의 주가설명력을 보면, 부채비율 축소정책 기간 중인 1999년의 주가설명력이 .136으로 전체 표본기간 중 가장 낮았고, 그 다음 해까지 주가설명력이 낮게 유지된 것으로 보아 외환위기의 영향이 그 기간까지 지속된 것으로 추측된다. 둘째, 부채비율의 크기를 구간별로 나누었을 때, 외환위기 이전에는 부채비율이 400% 이상인 경우 회계정보의 주가설명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낮지 않았으나, 부채비율축소기간 이후에는 크게 낮아졌다. 그 이외 구간에서는 일관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부채비율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 순자산의 주가배수는 외환위기 이후에 더 낮아졌으며, 순이익의 주가배수는 위기 이후에 더 높아졌다. 외환위기를 지나면서 순자산 장부가치보다 순이익의 상대적 주가배수가 더 커져서 주가를 설명함에 있어 순이익이 더욱 중요한 측정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부채비율의 크기를 고려했을 경우,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의 순자산의 상대적 주가배수는 외환위기 이전보다 이후에 커졌으나, 부채비율이 낮은 경우에는 더 낮아졌다. 순이익의 경우는 부채비율이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 모두 외환위기 이전보다 이후 기간의 주가배수가 더 커졌다. 순이익은 부채비율에 관계없이 외환위기 이전보다 이후에 시장가치의 측정치로서 더욱 중요해진 반면에, 순자산의 주가배수는 부채비율에 따라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에 차이가 있다. 즉, 외환위기를 극복하면서 시장참여자들이 순자산을 시장가치 측정치로 평가할 때 부채비율의 역할이 그 이전기간과 다르게 고려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부채비율이 높은 경우에만, 순자산의 영향이 위기 이전보다 이후에 더 커졌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부채비율에 따른 회계정보의 주가관련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표본기간을 확장하여 외환위기 이후 두드러진 현상으로 주목받고 있는 낮은 부채비율이 그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systematically affected by the degree of debt-equity ratio before(1990~1997) and after(2000~2008) the Korean financial crisis. The finding is as following: first, during 200%-debt-equity ratio-reduction period(1998~1999) the accounting information explains only 15.2%(Adj. R²) of the stock price. During that period, the government strongly demanded to lower the ratio from the firms, and under the pressure the firms were known to use every possible methods to reduce the ratio, and the market seemed to be efficient enough not to trust the accounting information during the period. The yearly regression analyses also show that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1999 is the lowest among the sample years, and the phenomenon continues until 2000. Second,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degree of debt-equity ratio, the value relevance of net assets after crisis is lower than that of net assets before crisis, and the value relevance of net earnings remains in the same level before and after the crisis. Third, when the debt-equity ratio is considered, the value relevance of net assets of high ratio firms is higher after the crisis, but that of low ratio firms is lower after the crisis. But the value relevance of net income is higher after the crisis whether the debt-equity ratio is high or low. Going through the crisis, the market participants seem to rely more on the net earnings than the net assets when assessing stock pric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value relevance of net assets is affected by the degree of debt-equity ratio before and after the crisis, but that of net earnings isn't. affected.

      • KCI등재

        장부가치와 순이익의 상대적인 가치관련성 : 1997년 경제위기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정옥,배길수 韓國公認會計士會 2009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0 No.-

        본 연구는 장부가치와 순이익의 상대적 가치관련성이 외환위기 전과, 외환위기 중, 그리고 외환위기 후에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조사한다.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를 겪었고, 이로 인해 수많은 기업이 도산을 하였으며, 도산을 하지 않은 기업에게도 도산이 현실적인 위협으로 존재하였다. 이 같은 경제환경하에서는 기업의 가치평가에 계속기업 가정하에서 의미가 큰 순이익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대신 장부가치는 그 비중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환위기가 기업가치 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는지를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표본기간을 외환위기기간과 비외환위기기간으로 나누어 사용하며, 더 나아가 비외환위기기간은 외환위기 전과 외환위기 후로 기간을 나누어 분석한다. 또한 도산가능성과 토빈의 Q를 사용하여 이들이 본 연구의 가설에 추가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외환위기 기간에는 장부가치의 주가설명력이 외환위기 전과 후에 비해 높아지는 반면 순이익의 주가설명력은 낮아졌다. 이는 도산가능성이 높은 기업에서 더욱 높았다. 또한 외환위기 기간에는 토빈의 Q가 1보다 큰 기업에서 장부가치의 상대적 가치관련성이 순이익에 비해 높았다. 한편 비외환위기 기간을 외환위기전과 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외환위기 기간과 외환위기 후는 모두 외환위기전 기간에 비해 장부가치의 주가관련성이 유사하게 낮았다. 그러나 외환위기후에는 순이익의 가치관련성이 외환위기기간에 갖는 낮은 값에서 외환위기전으로 회귀하는 데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가치관련성이 증가하였다. We investigate whether the financial crisis influence on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figures (between net book value and net income). Specifically, we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figure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To support our hypothesis, additionally we analysis our main hypothesis using the probability of bankruptcy and tobin's Q. Many investors mainly use the income statement(especially net income) to evaluate the potential growth and the future cash flow of firm. However, the book value play a important role to estimate the liquidation value of firm when the firm confront the risk of bankruptcy. If we view in that kind of point, the financial crisis in Korea provide the important chance to evaluate the value relevance change. Because several firms went bankrupt or confronted the risk of bankruptcy during the financial crisis period, we can examine the difference in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figures between the financial crisis period and the non-financial crisis period.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 whether the difference of relative portion in accounting figures will be affected by the economic condition. Our hypothesis are as follow; First, we expect that the value relevance of net book value will be higher than the net income during the financial crisis period relative to non-financial crisis period. The risk of bankruptcy will be higher during crisis rather than non-financial crisis period. Therefore investors focus on the net book value in financial crisis period, whereas in non-financial crisis period investor place the relative importance on the net income. Because the book value indicates the liquidation value of firm, investor focus on the book value during the crisis. Second, the differences in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figures during financial crisis will be affected on the probability of bankruptcy. We use Altman et al.(1995)'s measure as the proxy of the probability of bankruptcy. Third, we posit that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figures will differ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Because the regulations and rules related to accounting information were changed due to financial crisis.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increased after financial crisis. If that is correct, the relative value relevance of net income will be increased. But we cannot expect whether the increased quality of financial information positively relate with the increasing value relevance of net income or book value. Finally, the differences in value releva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will be affected on the probability of bankruptcy. And also, we reexamine the hypothesis including the tobin's Q. We find that the value relevance net book value (net income) increased (decreased) during the financial crisis period. This is more pronounced in the case of the firms that have higher probability of bankruptcy. In addition, value relevance of net book value is higher in firms with tobin's Q greater than 1. When the sample is further divided into before, during, and after the crisis, value relevance of net book value both before and during the financial crisis is higher relative to that after the financial crisis. Net income after the crisis, however, did not simply recover relevance it lost during the crisis, but has greater relevance relative to that before the crisis.

      • KCI등재후보

        외환위기 전,후 경영자의 대리인문제와 효율성의 변화

        신승권 ( Seung Kwon Shin ),이내풍 ( Nae Pung Lee ) 한국세무회계학회 2013 세무회계연구 Vol.0 No.37

        정책당국은 외환위기 이후 회계제도 개선과 기업지배구조 향상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후 많은 후속 연구에서 외환위기 이후 회계이익의 질이 향상되고 기업 가치와의 관련성이 높아졌으며 경영자의 이익조정 성향이 낮아졌음을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외부이해관계자인 투자자 및 재무분석가의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내부이해관계자인 경영자의 관점에서 대리인문제와 경영효율성이 외환위기 이후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았다. 외환위기 때의 국내 기업의 원가행태는 총원가, 매출원가, 판매관리비, 판매비, 관리비. 인건비 항목에서 타 연도에 비해 하방경직성이 크게 나타났지만 외환위기 이후 또 다른 장기 불황인 글로벌 경제위기 때의 경우 매출원가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원가항목에 대해서는 하방경직성이 낮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2002~2003년을 기준으로 각 연도별 원가행태를 분석한 결과 역시 외환위기 연도에는 모든 원가항목이 하방경직적으로 나타났다. 반면 글로벌 경제위기 기간에는 재량적 성향이 강한 판매관리비, 판매비, 관리비, 인건비의 원가행태가 보다 하방탄력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대리인 비용이 완화되고 경영자의 효율성이 증대한 결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환위기 이후 회계환경과 기업환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투자자, 재무분석가 등 외부이해관계자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경영자의 관점에서 대리인 문제 및 경영 효율성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본 연구는 외환위기 기간과 글로벌 경제위기 기간을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기존 선행연구에서 간과한 외적요인을 통제하여 외환위기 이후의 국내 회계환경 변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자본시장을 연구하는 연구자와 정보이용자들에게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olicy administrators have made efforts to improve the accounting system and restructuring of industries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Many post-financial crisis studies show that accounting profits and industry`s synergy effects have gone up, while officer`s tendency to manipulate profit margin has gone down. However, most of the studies have been done by external interested parties such as investors and financial analysts`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how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interested party officer, how agency and efficiency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During the financial crisis, determinants of costs of the domestic industry`s material costthat total cost, revenue cost, sales maintenance, sales cost, maintenance, and labor cost have shown high downward inelasticity compared to other years. Whereas during global financial crisis following the Asian financial crisis, except for revenue cost, other cost items showed low downward in elasticity. The contributing factors of this study is as follows:First, since the Asian financial crisis, most of studies on accounting and business environment reflected investor`s, financial analyst`s and external interested party`s perspective. However, this study surveyed the post- Asian financial crisis agency and efficiency problem from officer`s perspective. Secondly, this study showed by comparing Asian financial crisis and global financial crisis, periods, increased understanding of domestic accounting environment post-Asian financial crisis, where previous studies have neglected to control external factors.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it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those who study domestic capital market and information users.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기업의 외환위기 전ㆍ후 회계이익의 질 변화에 관한 연구

        안상봉(Sang-Bong An),한길석(Kil-Seok Han) 한국국제회계학회 2006 국제회계연구 Vol.0 No.15

        1997년 12월의 외환위기는 우리나라의 회계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민간기구인 한국회계연구원이 설립되어 1998년 말부터 기업회계기준의 대대적인 개정으로 회계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우리나라의 회계수준을 국제회계실무 수준으로 높이며 분식회계를 추방하여 기업이 공시한 회계이익의 질을 높이는 다양한 개선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속성 검증, 적시성 검증, 순자산측정 검증의 세 가지 도구를 사용하여 외환위기 전ㆍ후 회계이익의 질적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회계정보의 질 향상을 위한 우리의 자구노력이 결실을 맺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성 모형 검증결과, 당기순이익과 경상이익을 변동변수로 사용한 모형 모두에서 외환위기 후가 외환위기전보다 이익의 지속성이 높아 이익의 질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적시성 모형 분석 결과, 먼저 외환위기 전과 후 모두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설명력에서 외환위기후가 더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또한, 외환위기 전후의 더미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에서도 외환위기 이후의 적시성이 더 강화되었음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악재기업만을 대상으로 비교했을 때 더욱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셋째, 순자산 측정모형의 실증분석 결과, 표본을 외환위기 전과 후로 나누어 검증한 결과 외환위기 후의 표본에서만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추가적으로 회계처리방법에 따라 보수기업군과 비보수기업군으로 나누어 외환위기 전ㆍ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일관되게 보수주의 기업군에서만 미기록 영업권이 존재함을 입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속성 모형, 적시성 모형, 순자산 측정모혈을 통한 검증에서 외환위기 이후 이익의 질 향상을 위한 우리의 자구노력이 결실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Korea Financial Crisis on December, 1997 has led to a lot of changes in the Korea accounting environment. From the late of 1998, Korea Accounting Standards Board(KASB), a private organization, has amended Korea Accounting Standards in many parts to improve accounting transparency. KASB has also introduced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into Korea Accounting Standards and tried to remove financial statements fraud to improve accounting earnings qualities of listed firms. This study examines the results to improve earnings quality using by three models including persistence, timeliness, net assets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a persistence model shows that when net income and ordinary income are used for this model, both cases has higher earnings persistence in after financial crisis than in before financial crisis. This result represents the improvement of earnings quality. Second, a timeliness model shows that while both cases, before financial crisis and after financial crisis, have equivalent significance levels, after financial crisis has higher explanation level than before financial crisis. Moreover a dummy analysis shows that after financial crisis has higher timeliness degree level that before. These results are more apparent when only bad news firms are applied to the model. Third, a net assets model shows that only the after financial crisis firms have meaning significance level. In addition, when the sample firms are divided into conservative group and non-conservative group based on accounting procedure choices, only conservative group has un-recorded good will. Therefore, we are able to check out the results of our endeavors to improve accounting earnings quality throughout persistence model, timeliness model, net assets model.

      • KCI등재후보

        외환위기 전후 우리나라의 환율동향과 환율정책에 대한 실증적 재고 / 지정토론

        김재영 ( Jae Young Kim ),정재식,정세은 한국금융연구원 2006 韓國經濟의 分析 Vol.12 No.3

        본 논문은 외환위기 전후 우리나라 환율의 동향과 환율정책에 관해 분석하고 있다. 우리나라 및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환율제도는 외환위기 이전 국내통화를 미국 달러화에 비공식적으로 연동하는 환율제도에서 위기 이후 자유변동환율제로 이행하였다. 외환위기의 발생으로 극도의 혼란양상을 보였던 외환시장은 빠른 속도로 안정을 되찾아 갔으며 바닥이 났던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불과 몇 년 만에 2,000억 달러를 넘어서게 되었다. 그러나, 이에 반해 외환위기 이후 얼마간 명암이 엇갈린 모습을 보이던 국내경기는 최근 몇 년간 계속되는 침체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외환위기를 전후한 시기에 외환정책 및 외환동향에 대한 다음의 몇 가지 이슈들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첫째, 외환위기를 전후한 시기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외환정책에 대해 검토해 본다. 특히, 자유변동환율제도로의 채택이 지속성을 갖고 있었는가와 그러한 정책변화 이후에 환율결정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 분석해 본다. 둘째, 실물 및 명목변수들로 이루어진 환율의 동태적 모형을 구축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외환위기를 전후한 시기에 각각 우리나라의 균형환율을 추정하고 변수들의 충격에 대한 동학적 반응을 분석한다. 셋째, 원화의 환위험할증률을 외환위기를 전후한 시기에 구하고 그 크기를 비교 분석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dynamics of exchange rate and exchange rate policy of Korea in the period around the financial crisis. Before the crisis, as in many east Asian countries, Korea adopted a soft pegging policy-informally pegging its currency to the U. S. dollar. After the crisis, however, Korean government switched to free floating rate regime. It is apparent that financial markets were rapidly stabilized after the policy change with quick restoration of foreign reserves.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situation of domestic economy in Korea are still in trouble without visible evidence of solid recover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following issues about the dynamics of exchange rate and exchange rate policy of Korea in the period around the financial crisis. First, we examine exchange rate policy of Korea in the period around the financial crisis. In particular, we examine whether the free floating regime has been sustained and whether there was fear of floating. Second, we build a dynamic model for the exchange rate including real and nominal variables. We apply the model to estimate an equilibrium path of the exchange rate. Also, we use the model to analyze impulse response of some variables to shocks of interest. Third, we get the currency risk premium of Korean won before and after the currency crisis and compare them.

      • KCI등재

        아시아 외환위기 전후 미국주가와 아시아주가간 동조성과 변동성 전이현상분석

        김영재,김성아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전, 외환위기, 외환위기 이후로 표본기간을 구분하여 세계금융시장을 선도하는 미국 주식시장이 외환위기를 겪은 아시아 국가들의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아시아 국가들의 주식수익률에 대한 미국 주식시장의 동조성과 변동성전이 현상을 동시에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모형으로 GARCH(1,1)모형의 분산방정식에 threshold항을 포함하는 TGARCH(1,1)모형을 변동성 추정의 기본모형으로 적용하였으며 실증분석의 주요 결과로 첫째, 한국은 외환위기 이후 기간에 미국 주식시장에 대한 동조성과 변동성 전이현상이 나타났으며, 인도네시아는 전체 표본기간에 걸쳐 동조성이 나타났으나 변동성 전이현상은 외환위기 이후 기간에만 나타났다. 둘째, 말레이시아는 외환위기 기간을 제외한 기간에서 미국 주식시장에 대한 동조성이 나타났으나 변동성 전이현상은 외환위기 이후 기간에만 나타났다. 셋째, 태국은 외환위기 이전 기간과 외환위기 이후 기간 모두 미국 주식 시장에 동조하는 현상을 보였으나, 외환위기 기간에는 동조성이 사라졌다. 그러나 변동성 전이현상은 전체 표본기간동안 나타나지 않았다. 즉, 미국시장과의 동조성 및 변동성전이의 크기는 각국의 정책적 대용과 금융시장의 고유한 특성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agnitude of US-Asia stock price co-movements and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focusing on emerging countries which experienced foreign exchange crisis in 1997. We divide the sample period into three subgroups; pre-crisis, crisis, and post-crisis in order to capture how the behaviors in the financial markets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crisis. Thus, we employ TGARCH(1,1) model to take into account the leverage effect.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ovements and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come up only in the post-crisis period in case of Korea. Second, in Malaysia the co-movements to US stock market exist for the whole period while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appear only in the post-crisis. Third, for Thailand, stock market co-movements with the US exist for both pre-crisis and post-crisis, but it disappears during the crisis, while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does not appear. That is, the magnitude of co-movements and volatility transition effects from the US market depends on specific policies of the corresponding countries.

      • KCI등재

        경제위기와 저출산

        이성용(Sung Yong Lee) 한국인구학회 2006 한국인구학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외환위기를 전후로 하여 각 출산순위별 출산 행위가 어떻게 변화하였고, 또 그러한 출산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기본 가정은 외환위기의 사회경제적 변동은 결혼 및 출산과 같은 개인적인 행위와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에 개인은 다른 방식으로 출산 행위를 행할 것이고 그러한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 또한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에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 가정은 본 연구의 분석에서 입증되었다. 외환위기를 전후로 하여 우리나라의 출산행위는 변하였다. 외환위기 이후에 결혼한 여성은 그 이전에 결혼한 여성에 비해 첫째아 출산을 덜 하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둘째아와 셋째아 출산에서는 첫째아 출산과 달리, 외환위기 이후에 이전 아이를 출산한 여성이 그 이전에 출산한 여성보다 둘째아(혹은 셋째아)를 더 빠른 기간에 출산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즉 출산의 사각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은 다변량 분석에서도 나타난다. 둘째아와 셋째아 출산에서 이른 나이에 혼인한 여성이 만혼의 여성보다 더 빨리 출산을 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출산행위에 유의미한 영호를 미치는 요인들도 외환위기를 전후로 하여 변하였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외환위기 이후 첫출산에서 남편 안정 직업이 긍정적인 영향을 여성의 안정 직업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남편의 긍정적 영향이 부인의 부정적 영항보다 크다는 것이다. 이러한 발견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출산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성 취업 우호적인 출산장려정책의 한계점을 지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o change the fertility behavior at each parity after/before the economic crisis, and to find its significant determinants. The study assumes that because the socioeconomic chang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dividual's fertility behavior, the individual's fertility behaviors and the determinants affecting fertility at each parity may change with economic crisis. Such assumption has been proven in this study. After the economic crisis, Korean fertility behavior at each parity has changed. The proportion of women having no child has increased. However, women who want to have a second child or a third one are more likely to do so within shorter period after marriage. The rectangularization of fertility has appeared after the economic crisis, because women married at later ages tends to finish their child bearing within the short period, especially before age 35. Based on the multiple variable analysis,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 fertility behavior have changed after the economic crisis. Interestingly, the men's safety job have the positive effects on the first childbearing while the women's safety careers have the negative effects on it, after the economic crisis. Before the economic crisis, both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first childbearing. This findings point out the limitation of women career favor policy, which purpose to raise the fertility rates by making good environments for women having children to work comfortably without the anxiety of child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