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외교문서 공개 및 출판 사례 연구-대륙과 대만의 사례를 포괄하여-

        이동욱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0 사총 Vol.100 No.-

        This study set out to summarize the history of managing diplomatic documents and publishing collections of diplomatic documents in China since late Qing and examine the current practice of opening diplomatic documents to the public and publishing collections of diplomatic documents in current mainland China and Taiwan along with the legal groun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al management. The Chinese dynasties placed importance on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records based on the concept of regarding the records of the past as the mirror for the present and future and the tradition of expansive document administration that began in ancient times. This tradition has impacts on the current Chinese system of managing and preserving archives(Dang'an). China began to publish collections of its diplomatic documents or open its diplomatic archives to the public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when it made full-blown contacts with the West. These practices have changes in the interactions of foreign invasion and political confusion during the Late Qing and Republican Era, the establishment of party-state system by KMT and CCP, domestic political situations including the control of press and information, the vogue of publishing collections of diplomatic documents after World War I, declassified diplomatic documents and their disclosure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global trends such as digitization. In China, the movement of declassifying and publishing diplomatic records according to the global standards led to the achievements of opening the Archive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o the public and publishing diplomatic documents in the early 2000s despite the strong influence of the conservative tradition that has put importance on the block and control of sensitive information for the stabilization of the system or "national interest." This policy is, however, still under the powerful influence of domestic politics. In Taiwan, only limited use of diplomatic archives was allowed under the authoritarian rule of the KMT regime for many years. Since democratization, however, it has been active to declassify the archives, promote their digitization, and open them to the general public online in the social atmosphere of associating information disclosure with "democratization" and "Taiwanization." 이 글에서는 청말부터 현대에 이르는 중국의 외교기록물 공개 및 외교문서집 출판의 역사를 고찰하고, 현대 중국의 외교기록물 공개 제도와관련 규정, 외교문서집 출판 사례를 전반적인 당안 관리 시스템의 변화와 연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근대 이래의 세계에서 외교문서의 공개와 외교문서집의 출판은 국가의 대외관계 업무 수행을 위한 참고자료와학술적 연구자료의 제공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자국의 외교정책을 홍보하고, 그 정당성과 합리성을 주장하여 국내외의 지지를 획득하는 수단이자, 정부행정의 투명성과 민주화의 진전을 가늠하는 척도로 작용하기도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중국의 외교문서의 공개와 외교문서집 발간의 역사는 서세동점의 동아시아 근현대사의 흐름의 일부로서 이해할수 있다. 중국은 기록물의 체계적인 보존과 관리를 중시하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나, 근대 이전까지 외교문서 공개와 외교문서집 간행의전통은 없었다. 서양 열강과의 폭력적인 조우를 계기로 그들과의 교섭문서를 모아서 편찬한 청말의 외교문서집 『籌辦夷務始末』은 서양식의 외교문서집이라기보다는 후세의 통치자들을 위한 참고자료를 남겨둔다는전통적인 성격이 더욱 강했다. 그러나 중화민국 시기에 들어서면, 영국, 독일 등의 열강이 자국의 외교를 정당화하기 위해 외교문서를 출판하던1차 세계대전 이후의 국제적인 흐름에 궤를 맞추어 1919년부터 정치적격동기 속에서도 간간이 파리강화회의나 워싱턴회의 등 당대의 외교문서를 출판하여 자국의 외교를 변호하고, 중일전쟁 발발 전 10년 동안에는열강이 중국을 침탈해오던 시기의 외교문서집을 정리하여 출판하면서 중국측 사료에 기반한 외교사 연구의 발전과 함께 민족주의적 역사인식의고취를 자극하기도 하였다. 20세기 전반부터 중후반까지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사회주의 또는 권위주의적 당국체제가 장기간 지속된역사는 정부행정의 투명성이나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차원의 외교문서 공개나 외교문서집 출판이 중국에서 정착되는데 부정적인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대륙에서 개혁개방이 심화되고 대만의 민주화가진전되면서 21세기 중국의 외교문서 관리제도는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고있다. 대만은 당안의 기밀해제와 공개가 민주화의 척도로 인식되면서 당안의 활발한 공개와 국가 규모의 디지털화 사업을 통해 모범적인 수준의당안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가고 있으며, 당안을 역사기록물로서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정부 행정 기관과 역사연구기관이 협력하여 훌륭한 온라인 문서검색 및 열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우, 중국공산당과 국가 수뇌부에서 생산된 외교문서가 소장된 중앙당안관은 개방되지 않고 있으며, 외교부당안관의 경우, 국가와 대중에 함께 복무한다는 명분으로 2000년대 초반 적극적으로 신중국 성립 이후의외교당안 공개와 외교문서집 출판을 추진하였지만, 2008년 이후 더 이상적극적인 정보공개의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급진적인 개방의반작용으로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수준의 정보 공개 제도를 실시하여세계적인 추세를 따르려는 움직임과 당과 국가의 이익을 우선시하여 민감한 정보의 차단과 통제를 중시하는 보수적인 당안 행정 사이의 과도기에 놓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논문(論文) : 당고정전협정(塘沽停戰協定) 이후 국제정세와 직업외교관(職業外交官)의 항전 입장

        석미자 중국사학회 2013 中國史硏究 Vol.83 No.-

        本論文討論了塘沽停戰協定以後職業外交官的活動與作用. 以『獨立評論』, 『東方雜誌』爲中心對國際情勢看到了. 職業外交官以國際聯盟和西歐列强的消極態度和日軍的武力政策爲依據,滿洲事變以後在各個時期講求不同的對應方案,逐步走向軍事支持和領土防衛的抗戰方向. 塘沽停戰協定以後特別是他們在國際聯盟內部的活動 -揭露日本關東軍侵略行爲及對日宣戰制止日軍對中國的侵略起到了一定的作用,爲實現國際社會不承認僞滿洲國揭露日軍對華侵略的外交成果做出了貢獻. 這也提升了中國的國際地位、警醒世人關注日本對中國和世界的侵略野心,可以說爲中日戰爭爆發以後廢除過去與列强簽訂的不平等條約及走向“抗日外交”奠定了基礎.

      • 당 무후ㆍ중종대 사신 파견과 그 외교적 역할

        염경이(Yeom kyung-i)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江原人文論叢 Vol.18 No.-

        본 논문은 당 무후와 중종년간에 외교의 실질적 수행자로서 외국에 파견된‘사신’에 대해 조사ㆍ분석한 것이다. 무후는 통치 20년 동안 8차례의 사신을 국외로 파견하였고 중종은 6년 동안 6차례 사신을 파견하였다. 무후기 사신파견 중 5건은 책봉사의 파견이었고 이중 3건은 돌궐에 파견된 것이다. 돌궐로 파견된 당의 사신은 모두 정3품의 중요 고위 관직자였다. 돌궐에 비교적 집중적으로 사신이 파견된 것은 당이 돌궐 가한 책봉을 통해 북방의 질서를 다시 장악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돌궐은 거란 거병이라는 국제적 상황을 이용하여 당과의 관계를 역전시켰다. 나아가 당실에 혼인을 요구하여 당과의 책봉관계를 군신이 아닌 혈연관계로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신라와의 관계 역시 소원하여 2차례의 책봉사 파견도 당 중심의 책봉질서에 큰 의미를 가지지 못하였다. 무후가 서돌궐에 안무사를 파견한 것은 기미질서의 유지를 위한 것이었다. 이 지역에 파견된 사신은 시어사, 어사중승, 어사대부 등의 어사대 관원이었다. 태종과 고종대에 어사대 관원이 사신으로 파견된 예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여기에서 어사대가 감찰기구로서 국가 관료기구를 그 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상기해보면, 이는 당이 실제 정치력과는 상관없이 의도적으로 이 지역에 대해 관할권을 주장하고자 한 것으로 여겨진다. 토번에는 한차례의 사신이 파견되었는데 이는 토번의 요구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때 정8품하의 사신을 파견한 당의 태도는 토번에 대해 자국의 의사를 관철시키려는 적극적 의지가 없었음을 알 수 있다. 당의 역사과정에서 무후와 중종대는 같은 시기로 논의되고 있다. 또 중종 치세가 짧은 탓에 한 논문에서 다루게 되었지만, 사신파견을 통해 살펴본 무후와 중종의 대외 정책과 태도는 확연히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책봉으로 당의 국제적 지위를 유지하려는 무후와 달리 중종은 새롭게 탄생한 발해와 우호관계를 형성하고 서돌궐 지역의 새로운 실력자와 군사를 협의하고 책봉하며 돌궐에 대항한 연합전선을 구축하였다. 나아가 더 이상 어찌할 수 없는 돌궐에 대해서는 혼인을 파기하였고 토번에 대해서는 화번공주를 보내 난국을 타개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종은 6년 동안 6차례 사신을 파견하며 복잡한 국제관계를 다방면으로 해결하고 돌파하고자 하는 적극적 의지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중종은 고종과 비슷한 평가를 받는 인물로 그의 정치적 역량이 확실치 않다. 또 이미 널리 알려졌듯이 이시기 당은 내부적으로 도호제를 지탱할 부병제가 붕괴되고 있었다. 때문에 실력 행사가 불가능한 외교만으로 국제관계를 역전시키기는 불가능하였다. 그렇기에 제도적 변환이 요구되었고 예종 즉위년에 절도사가 설치되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dispatch and the diplomatic role of envoys during emperor Muhu and Jungjong's reign in the Tang dynasty. Muhu dispatched envoys to the surrounding countries eight times during his reign of 20 years, while Jungjong did six times during his reign of 6 years. Generally speaking, the times of Muhu and Jungjong had something in common with each other in the Tang dynasty. But the analysis of the dispatched envoys revealed the difference of two emperors' foreign policy or attitude. Muhu dispatched high officials of the third rank as the envoys (chaekbongsa) to give investiture to kings of T'u-chueh 3 times, and tried to maintain the international standing. His endeavor, however, failed in the face of T'u-chueh's resistance, who rather asked the marriage to the royal house of the Tang, so attempted to the reversal from the investiture. On the other hand, Jungjong established friendly relation with newly born Parhae, and formed a joint front against T'u-chueh through the military discussion with a strong man of western T'u-chueh. He further cancelled the marriage with T'u-chueh, and sent one of its princesses to ancient Tibet. He showed the indomitable will to get over the international crisis. But his political ability was uncertain. The diplomacy is not enough. The day called for a change of the establishment.

      • KCI등재

        7세기 중엽 국제정세 변동과 고구려 대외관계의 추이

        여호규 대구사학회 2018 대구사학 Vol.133 No.-

        In the mid-7th century, Goguryeo’s foreign strategies were centered around its relationship with Tang(唐). In 645, Goguryeo managed to repel Tang’s invasion, and presented itself as a formidable military presence in Northeast Asia. But right after that victory, Tang was able to crush the Seol Yeon-ta(薛延陀) force which had been steadily rising in the region of Mongolia. Tang also created a Gimi(羈縻) system in that region, so Goguryeo’s victory over Tang failed to generate lasting repercussions. After Tang Emperor Taizong’s death, the Changsun Wuji(長孫無忌) regime (of Tang) decided to proceed with a more moderate foreign policy, inadvertently giving room for the Western Turqs[西突闕] to gain power and momentum. Goguryeo wanted to exploit the situation by befriending some Inner Asian states through the Western Turq, while also launching aggressive military campaigns against Khitan and Silla. In other words, while Tang was maintaining a rather passive position, Goguryeo attempted to make both military and diplomatic headways to be able to counteract what Tang would have in mind for the future. Then, the Xu Jing-zong(許敬宗) regime of Tang -which was established in 655- decided to once again employ a more aggressive foreign policy, and made that policy more than evident when it destroyed the Western Turq in 658. Tang then allied itself with Silla and conquered Baekje in 660. It was at this point when Tang was ready to take on Goguryeo, but it was not successful in the beginning because the Khitan and Cheol’reuk(鐵勒) factions suddenly uprose in the Northwest side of Goguryeo. It is confirmed through certain tomb epitaphs that (in order to face Tang) Goguryeo allied itself with the Khitans, so it is also possible that Goguryeo reached a similar agreement with the Cheol’reuk as well. As we can see, Goguryeo was able to stop Tang and repel its attacks through military means as well as diplomatic methods. Tang had to pause its advances only after crushing the Baekje refugees trying to reclaim their homeland and putting down Cheol’reuk. And since July 664, the Tang government engaged in preparations for the TaiShan(泰山) mountain’s Bongseon(封禪) ceremony. Figuring that Tang was essentially putting the Goguryeo campaign on hold, Goguryeo decided to use the situation to enhance its relationship with Tang, and had its own Crown prince Boknam(福男) attend the ceremony himself. So, apparently Goguryeo was dealing with international conditions surrounding itself in a timely manner and even effectively. But in the end, it was not able to keep itself from being internally divided, or prevent its own ultimate fall. There must have been something that Goguryeo overlooked while trying to keep up with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dynamics. It also seems Goguryeo lacked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o set a plan that would better ready itself to cope with them. 7세기 중엽 고구려의 대외관계는 對唐政策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고구려는 645년에 당의 침공을 격퇴함으로써 대내외에 자국의 군사력을 과시하고, 국제적 위상을 크게 높일 수 있었다. 다만 당이 곧바로 몽골초원에서 흥기하던 薛延陀를 격파하고, 羈縻體制를 확립함에 따라 고구려의 당군 격퇴 여파는 크게 확산되지 못했다. 태종 사망 이후 唐의 長孫無忌 정권이 온건한 대외정책을 펴자, 西突闕이 크게 흥기했다. 이에 고구려는 서돌궐을 통해 내륙아시아 방면의 세력과 연계를 도모하는 한편, 契丹과 신라에 대해 공세적인 군사작전을 전개했다. 고구려가 당의 온건책을 틈타 공세적인 외교정책과 군사작전을 전개하며 당을 견제할 기반을 확충한 것이다. 655년에 성립한 唐의 許敬宗 정권은 강경한 대외정책으로 선회하여 658년 서돌궐을 괴멸시켰다. 그런 다음 신라와 연합해 660년에 백제를 멸망시킨 다음, 곧바로 고구려 원정에 나섰다. 다만 당은 별다른 전과를 올리지 못했는데, 고구려 서북방에서 契丹과 鐵勒이 크게 흥기했기 때문이었다. 이때 고구려가 거란과 연계한 사실은 묘지명을 통해 확인되는데, 鐵勒과도 연계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고구려는 다양한 군사전략과 외교정책을 통해 당의 공격을 저지했다. 이에 당은 백제 부흥군과 鐵勒을 평정한 데 만족하며 664년 7월부터 泰山 封禪을 추진했다. 당이 고구려 원정을 보류한 것이다. 이에 고구려는 당과의 관계를 개선할 기회가 마련되었다고 판단하고, 태자 福男을 파견해 봉선의식에 참여했다. 현상적인 추이만 놓고 본다면, 고구려는 멸망 직전까지도 급변하는 국제정세에 비교적 효과적으로 대응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평가로는 고구려가 내분의 와중에 갑자기 멸망한 원인을 찾기 어렵다. 당시 고구려가 급변하는 국제정세를 얼마나 정확하게 인식했는지, 또 새로운 국제질서에 대응하기 위한 보다 근본적인 대외정책을 수립하려고 고민했는지 등을 더욱 다각도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唐朝의 外國 使節 管理 - 地方에서의 管理를 중심으로 -

        이완석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7 동국사학 Vol.62 No.-

        本稿는 唐代 外國使節의 접수와 관리 체계를 살펴봄으로써 唐代 外交 禮制와 대외관계의 실제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唐이 외국과 우호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던 원인은 唐의 경제적 지원이었다. 唐과 외국 간에 이뤄진 물자 지급의 常例的이고 정기적인 통로와 수단이 바로 朝貢使를 대표로 하는 외국사절의 왕래였다. 외국사절 왕래의 활성화를 위해 唐은 각종 施惠性 제도를 제정하여 운용하였다. 국제적으로 우호적인 세력을 건설하기 위해 唐은 외국사절의 使行에 대한 관리 제도를 수립하여 시행하였다. 唐은 入國한 외국사절이 지참한 서류를 심사하고 아울러 인원·물품에 대해서도 검사를 시행하여 입국 심사를 진행하였다. 심사가 완료되면 다시 입경의 심사가 중앙에서 진행되었다. 중앙에서 입경 사절단의 규모가 정해진 후 외국사절은 唐이 발급한 銅魚符와 邊牒·貢物 목록을 지참하여 京師로 출발하였다. 외국사절은 州縣의 보호와 인도를 받으며 입경하였고 지방에 남아있는 사절단에 대해서도 唐의 관리와 우대가 시행되었다. 사절은 이동 및 체류 기간 동안 규정에 따라 식량인 稟食을 제공받았으며 使命을 마친 후 귀국을 위한 양식인 程糧을 지급받았다. 아울러 외국사절의 입국 이후 館驛은 사절을 위한 교통운송과 숙박의 책임을 담당하였다

      • KCI등재

        7세기 동아시아의 국제 관계

        김은숙(Kim Eun-Sook) 한일관계사학회 2007 한일관계사연구 Vol.26 No.-

        본고는 고대 동아시아의 외교 교섭 과정을 수의 등장에서 백제의 멸망까지의 시기에 한정하여 당시의 해상 항로의 문제와 수, 당이 주변에 강요하였던 국제질서를 고려하면서 일본, 중국, 한국의 사료를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우선 지금까지 학계에서 널리 알려졌던 것과는 달리 백제와 고구려, 왜국의 비밀 군사 동맹 관계가 595년경에는 이미 성립하여 백제 멸망 이후까지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동맹체제는 고구려가 수, 당을 의식한 군사 협력을 생각했다면 백제와 왜국은 신라를 상대로 하는 군사협력을 생각하여 만들어진 것이었다. 비밀로 한 이유는 백제를 통해 수, 당의 고구려 침공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였고, 또한 한반도에서 왜로 가는 해상 항로를 장악하고 있었던 신라를 의식하였기 때문이었다. 신라는 승려의 통행만을 허락하였으므로 고구려와 백제는 왜국에 승려를 보내든가, 왜국의 견수사와 견당사 파견을 주선한다든가 하면서 동맹 관계를 강화해 나갔던 것이었다. 그러나 고구려를 치려는 당의 방침이 확고하여 침공이 이어지자, 고구려와 백제는 말갈과 함께 655년경부터 신라에 대한 공동 군사행동을 통해 군사동맹체제의 존재를 공개하였고, 그 후 왜국의 군사 훈련과 지도를 통해 군사 동맹 체제의 구성원의 군사력을 강화하는 데 힘썼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es of diplomatic negotiations among the states of East Asia during the 7th Century, by focusing on the marine route and the international order of East Asia. At the end of the 6th century, the three kingdoms of Korea were invested by Sui(隋). But Sui considered Koguryo as a competing power in the North-eastern Asia and oppressed Koguryo. In response, Koguryo(高句麗) was seeking to ally with Baekje(百濟) and Wa(倭), of which both in turn had to ally with Koguryo to fight against Silla. As Silla(新羅) which controlled the marine route from Korean Peninsula to Japan Islands permitted only the passage of Buddhistic monks, Koguryo(高句麗) and Baekje(百濟) could dispatch only monks to Wa(倭). But they wanted more : by letting Wa have a diplomatic relation with Sui, they thought that they could reinforce th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Wa, because Silla would not prevent Wa’s passage to China, which would bring them more opportunities to get in touch with Wa. Knowing that the government of Wa(倭) wanted to learn more of developed civilization, Baekje and Koguryo introduced Wa to Sui. Because they did not want Wa to be under the political control of Sui, however, they recommended to Wa to have a relationship without an investiture(冊封). The government of Sui considered Wa as a tributary country, but by dispatching the envoys and Buddhistic students, Wa wanted not only to learn the developed civilization of China but also to have more contact with Baekje(百濟) and Koguryo(高句麗). Tang(唐) Empire, which followed Sui, also invested three kingdoms of Korea, but the government of Tang presumed Koguryo to be a potential enemy. Wa dispatched envoys to make a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ang, but knowing that Tang wanted Wa to enter into alliance with Silla against Koguryo, Wa stopped dispatch of envoys. As Yongesomun(淵蓋蘇文) who got the political power by a coup d’etat took an unyielding policy to Tang and Silla asked for a military aid, the Emperor Taijong(太宗) of Tang invaded Koguryo from 645. In reaction, the government of Yongesomun(淵蓋蘇文) strengthened the alliance with Baekje, Wa, and Malgal(靺鞨). Because Tang supported Silla to press Koguryo, Baekje conflicting with Silla in Southern area of Korean Peninsula attacked Silla and occupied a strategically important place to contact with Wa in 642. As the news of Tang’s invasion to Koguryo was delivered to Wa, there was a movement to reshape the foreign policy among a governing group of Wa who were influenced by the intellectuals returned from China after their studies. The new government of King Kodok(孝德), established by a coup d’etat, took the policy of neutral diplomacy. But the new diplomacy meant to put Wa under more intervention by Tang, and so it was weakened even during the lifetime of the King Kodok, whose supporters were only a minority group. After his death, the foreign policy shifted back to cherish the relationship with Baekje and Koguryo. During the Tang’s invasion to Koguryo, the allied army of Koguryo, Baekje and Malgal attacked Silla in 655. After that Koguryo and Baekje dispatched over hundred of envoys to train the army of Wa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military powers of the alliance. By the support of envoys from Koguryo and Baekje, the government of Queen Saimei could reinforce the military forces and conquer the tribe Emisi(蝦夷) of eastern frontier.

      • KCI등재

        애장왕・헌강왕대의 대일외교와 그 활용

        채미하 신라사학회 2018 新羅史學報 Vol.0 No.44

        These thesis is studying the records on envoys between Silla and Japan during king Aejang and king Heongang and their making use of it in the domestic politics. Japan during king Aejang dispatched envoys just after breaking nations’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In the third year of king Aejang, the reason Japan sent envoy to Silla is that they wanted to have assurance of safety in the sea and get help at their arrival in relation to Kyondangsa dispatch. King Aejang in his 2ndreigning year, tried to install a fake prince and send him to Japan as the envoy and in his fourth year, traded with Japan. King Aejang was active in relation with Japan because it was related to his opposition about China’s centered world order internationally. Domestically king Aejang made use of the diplomatic relation with Japan as one way to establish his direct ruling from Kim Unseong’s rule as regent. After beginning direct ruling, King Aejang held in check Tang and kept close relation with Japan. That is, when Tang’s Goaesa concurrent positioned Chekbongsa visited Silla in King Aejang ‘s 4thyear, they were treated poorly, but Japan’s envoy was greeted in Jowon-Jeon and treated hospitably in King Aejang’s 7thyear and 9thyear. And King Aejang tried to establish order internally and extenally through Binrye which was royal authority ceremony, and other various revolutionary politics helped King Aejang to have power centered around himself. In King Heongang’s period, the envoys between Silla and Japan visited each country. Japan’s envoy was sent in King Heongang 4thyear because pirates from Silla invaded Japan and there were worries of Silla’s invading Japan so Japan wanted to know the circumstances. At those days, Silla got through Hwangso’s uprising so they could not send envoys to Tang and also the politics were insecure internally and externally. King Heongang did ingyon the envoys at Jowon-jeon and tried to rid their worries and also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ternally and externally at those days through effects of the ceremony. And at King Heongang’s 8th and 9th year, Japan’s envoy visited again to know news from Tang which caused King Heongang sent envoys to Tang in those years and sent envoys to Japan in his 10th and 11thyear. The reason why around King Heongang’s 10thyear, the king sent envoys to those two countries was related to the king’s feeling of insecurity about the successor to the throne at his late ruling years. Therefore King Heongang colluded with Hyo’s mother in his 10thyear and Hyo became King Hyogong later, and also through his diplomatic relation with Tang and Japan around his 10thyear, he tried to achive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as well as stability of royal family. 본 논문은 애장왕대와 헌강왕대 신라와 일본의 사신 왕래 기사를 검토하고 애장왕과 헌강왕이 이것을 대내 정치에 활용한 측면을 생각해 본 것이다. 신라와 일본의 국교가 단절된 직후인 애장왕대 일본은 신라에 사신을 보낸다. 애장왕 3년 일본이 신라에 사신을 보낸 이유는 遣唐使 파견과 관련하여 신라로부터 해로의 안전을 보장받고 견당사가 漂着할 때 도움을 받고자 한 것이었다. 애장왕은 왕 2년에 假王子를 책봉하여 일본에 사신을 보내려고 하였고 왕 4년에는 일본과 ‘交聘’하였다. 애장왕이 대일본 외교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대외적으로는 당 중심의 세계 질서에 대한 반발과 관련있었다. 대내적으로는 김언승의 섭정을 받았던 애장왕이 攝政期에 親政 구축을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대일본 외교를 활용하였다. 친정 이후에도 애장왕은 당을 견제하고 일본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즉 왕 6년 신라에 온 당의 告哀使 겸 冊封使를 홀대하였지만, 왕 7년과 9년에 신라에 온 일본 사신은 朝元殿에서 引見하고 후대하였다. 그리고 애장왕은 왕권의례인 賓禮를 통해 대내외의 질서를 확립하려 하였고, 이와 연동되어 행해진 다양한 개혁정치는 애장왕에게 권력을 집중시켰다. 헌강왕대 역시 신라와 일본 사신은 왕래하였다. 헌강왕 4년 일본이 신라에 사신을 보낸 이유는 신라 해적의 침입과 신라가 침공한다는 우려가 팽배했기 때문에 그 사정을 알기 위해 온 것이라고 하였다. 당시 신라는 황소의 난으로 당에 사신을 보내지 못하였고 대내적으로는 정국이 불안정하였다. 헌강왕은 때마침 신라에 온 일본 사신을 조원전에서 인견함으로써 우선 일본의 우려를 불식시키려고 하였고, 의례가 지닌 기능을 통해 당시의 대내외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헌강왕 8년 일본 사신은 당의 소식을 알기 위해 신라에 왔는데, 헌강왕은 이를 계기로 왕 8년과 9년에 당에 사신을 보냈고 왕 10년과 11년에는 일본에도 사신을 파견하였다. 헌강왕 10년을 전후하여 헌강왕이 양국에 사신을 보낸 것은 헌강왕 후반기 왕위계승권자에 대한 불안감과 관련있다고 하였다. 이에 헌강왕은 왕 10년 觀獵에서 후일 효공왕이 되는 堯의 생모와 野合하였고, 왕 10년 전후 당과 일본과의 외교관계를 통해서는 왕권 강화와 왕실의 안정을 꾀하였다고 보았다.

      • KCI등재

        7세기 전반 삼국의 역관계와 백제의 대당외교

        박윤선(Park Younsu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7 역사문화연구 Vol.27 No.-

        이 글에서는 당이 건국한 이후 7세기 전반동안 백제와 고구려·신라의 관계, 그리고 이 삼국관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움직이고 있는 백제와 당의 외교 내용을 다루었다. 두 편으로 나뉘어 대항하던 삼국의 관계는 6세기 후반을 거치는 동안 삼국 각축기로 들어섰다. 그리고 때마침 중국은 통일이 되었다. 수·당의 삼국관계에 대한 개입은 수·당의 의도가 존재하기도 했지만, 삼국의 적극적인 의지가 더 분명하였다. 백제는 이제 피할 수 없는 신라와의 대적에 전념하기 위하여, 수대에 이어 당과도 우호외교를 통해 고구려를 견제하는 정책을 지속시켜 나갔다. 백제와 당의 외교가 백제가 의도한 바대로 유지되었고, 백제의 신라 공격은 거침없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이 시기동안 백제와 고구려는 관계를 변화시킬만한 특별한 계기가 마련되지 못한 채 소강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양국 간의 관계 변화는 아직 시간이 더 필요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This thesis is about Baekje, Shilla, and Gogureyo’s relationship, and Baekje and Tang’s relationship which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three countries’ relationship in the early 7th century. The three countries’ relationship which had been confronted in two parts changed into the time when the three countries opposed individually. Sui and Tang’s nosing into the three countries’ relationship had a purpose for each country, but apparently, the three countries’ desire was stronger. Getting ready for the battle with Shilla which is inevitable, Baekje continued favorable relationship with Tang. Baekje constrained Gogureyo through the diplomatic relation with Tang. In the early Tang’s founding, Gogureyo had also made favorable diplomatic relations abroad, and Baekje and Tang’s relationship went well as Baekje intended and Baekje’s assault on Shilla was fluently progressed. Baekje and Gogureyo didn’t have a case that could change their relationships and still remained a lull in fighting, and it is assumed that to change the two countries’ relationships, they needed more time.

      • KCI등재

        장행급(張行?)의 사행기사(使行記事)로 본 발해(渤海)의 대당(對唐) 및 돌궐관계(突厥關係)

        김진한 ( Kim Jin-ha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7 No.-

        이 글에서는 장행급의 사행기사를 통해 발해의 대당 및 돌궐관계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먼저 돌궐관계 및 주변 나라의 대당 사행기사를 활용하여 장행급의 사행시기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장행급의 사행은 707년 초반에 이루어졌다고 판단 하였다. 그리고 기존연구에서는 당의 대발해사 파견배경으로 당 내부문제와 동북방정책을 들고 있다. 다만, 외교대상인 발해의 성장과 위상에 대해서는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발해의 초기 성장과정을 검토해 본 결과, 내부역량을 기반으로 세력을 확장해가는 발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발해의 성장이 장행급 사행의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발해는 당의 사신파견에 대한 대응으로 왕자인 대문예를 보내었다. 발해의 왕자가 숙위하며 당에 머물고 있었지만 710년 당 중종의 북벌에 발해는 참여하지 않았다. 이는 발해가 당과 돌궐 사이에서 중립외교를 취하였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one aspect of Balhae(渤海)-Tang(唐) and Balhae-Turk(突厥) relations through the document that Tang sent through Jang Hang gup(張行?) to Balhae. First, I checked when Tang had sent Jang hanggup to Balhae and made use of the documents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Tang-Turk relations. Therefore, I determined that Tang sent Jang Hang gup to Balhae in early 707. Previous studies regarded Tang`s internal problems and Tang`s northeast policy as the background of the dispatch of the Tang envoy to Balhae. However,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Balhae`s internal growth and phase. As a result of my examination, Balhae was expanding based on interior capacity and growth. This must be one of the background reasons for the dispatch of the Tang envoy to Balhae. Balhae sent prince to Tang in response to the dispatch of the Tang envoy. Although prince was staying in Tang, Balhae didn`t participate in Tang Chungchong(中宗)`s northern expedition to conquer the Turks. This fact shows that Balhae was on the neutral ground between Tang and the Turks.

      • KCI등재

        武王代 渤海의 對日本外交 開始에 對한 再檢討 -大門藝의 對唐亡命 時期와 渤海·新羅 國境問題를 중심으로-

        김진한(K im, Jin-Han)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3

        발해 무왕은 727년 일본에 사신을 파견했다. 학계에서는 발해의 대일본외교 배경이나 목적과 관련해 흑수말갈문제로 촉발된 당과의 갈등이 대문예의 대당망명으로 심화되었으며, 신라와의 대치로 발생한 국제적 고립상황에서 발해는 이를 타개하고 당과 신라의 위협에 대항하기 위해 일본에 사신을 파견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주장에 의문을 가지며 근거가 되었던 대문예의 대당망명 시기와 발해·신라의 국경문제를 중심으로 다시 살펴보았다. 먼저, 대문예의 망명시기를 언제로 보느냐에 따라 발해와 당관계는 물론 당시 국제정세에 대한 인식도 달라진다. 이에 일부 자료를 추가 분석하여 망명시기를 재검토한 결과, 대문예는 729년에 망명한 것으로 추정했다. 다음으로 무왕대 발해는 압록강 하류유역으로부터 두만강 하류유역까지를 그 영역으로하였다. 신라는 대략 예성강을 중심으로 한 황해도 남부일대를 서북 경계로 하였으며 강원도 원산시와 문천시 일대를 동북 경계로 삼았음을 확인했다. 경계선으로 볼 때, 발해와 신라의 군사적 대립은 확인하기 어려웠다. 신라가 이 일대를 중심으로 축성을 벌였지만 발해 견제가 주목적이라기보다는 통상적인 국경에 대한 방비와 지방통치체제의 정비였던 것으로 파악했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발해는 727년 당시 대당외교에 진력하였으며, 국제적으로 고립되지도 않았다. 발해가 대일본외교를 개시한 목적은 국서 내용 그대로 선린관계를 맺는 데 있었다고 생각한다. King Mu sent an envoy to Japan in 727. In academia it is thought that, the conflict with the Tang triggered by the Heuksumalgal(黑水靺鞨) problem deepened into the exile of TaeMunye to the Tang and in the international isolation situation caused by the confrontation with Silla, Balhae overcame it by sending envoys to Japan to counter the threat of Tang and Silla. This is seen a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Balhae’s diplomacy with Japan. First,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t the time as well as the relations between Balhae and the Tang varies depending on when Taemunye fled to the Tang. As a result of further analysis of some data and reexamination of the time of asylum, the exile of Taemunye to the Tang was presumed to be after 729, not 726. Next, Balhae’s territory during King Mu’s time was from the lower reaches of the Yalu River to the lower reaches of the Duman River. Silla’s northwestern border was the southern part of Hwanghae province, centering on the Yeseong River, and the northeastern border was Wonsan City and Muncheon City in Gangwon Province. Given the borderline at the time, military confrontation between Balhae and Silla was difficult to confirm. Through the above review, we can see that around 727 Balhae was committed to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Tang and was not isolated internationally. It can be seen that the purpose of Balhae’s initi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was to build a good relationship as it is recorded in the diplomatic documents of th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