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들의 동작도전 수업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양태석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6 No.1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 동작도전 수업참여 과정에서 ’어려움이 무엇이고‘, ’어떻게 극복하며 성장하는지‘, ’이 러한 경험을 통해 이야기되고 내면화되는 가치는 무엇인지‘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그들의 경험과 의미를 심층적으 로 탐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교육대학교 체육실기Ⅰ 수업 수강생 중 미술교육과 5명, 영어 교육과 3명 총 8명의 초등예비교사가 참여하였으며, Clandinin & Connelly(2007)가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예비교사 알아가기에서는 ‘초·중등학교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현재의 몸상태’, ‘목표상실’ 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예비교사 동작도전하기에서는 ‘동작도전 수행능력 향상전략(단계별·수준별 학습법, 보조법, 멘토링)’, ‘초등예비교사 동작도전 경험(성취감과 자신감 향상, 두려움 극복, 동료애, 칭찬)‘, ‘적극적인 도전활동(한 계극복, 실패경험)’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동작도전 수업 경험의 의미에서는 ‘초등예비교사의 준비 와 역할’, ‘동작도전의 즐거움’, ‘체육의 필요성 인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예비교사들이 동작도전 경험을 할 때 느끼는 것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plore the ‘difficulties’ in challenge activity class participation process b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ow they overcome and grow’, ‘the value shared and internalized through such experience’, and their experience and meaning in-depth through narrative inquiry. To accomplish this purpose, 8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5 students from Department of Fine Arts Education and 3 students from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taking Sports Practice I course at G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This narrative inquiry utilized the method suggested by Clandinin & Connelly(200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understanding the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showed ‘awareness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resent body condition’ and ‘loss of goal’. Secondly, the challenge activity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olved ‘Strategies for Improving Challenge Active Performance(phased and level-based learning, assisting method, mentoring)’, ‘Experience Challenge Activit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improved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overcoming fear, comradeship, compliment)’, ‘Active Challenges activities(overcoming limitation, failure experience’. Thirdly,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challenge activity class b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olved ‘preparation and role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y of Challenge Activity’, ‘awareness on necessity of physical education’. These results will help in-depth understanding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elings while experiencing the challenge activity.

      • KCI등재후보

        초등예비교사의 음식윤리에 대한 인지도 및 인식 조사

        이경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1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의 음식윤리에 대한 인지도, 중요성 인식, 실천 태도 및 의지, 그리고 초등 식생활교육에서의 음식윤리 교육 필요성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교육대학교 초등예비교사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예비교사의 음식윤리 인지도는 남녀 차이 없이 3.09점 정도로 보통이었으나 식생활 관심도 상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복지와 권리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낮았다. 초등예비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음식윤리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고, 남자보다는 여자 초등예비교사가, 식생활 관심도 하집단보다 상집단이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초등예비교사의 음식윤리 실천 태도 및 의지는 3.39~3.58점으로 높지 않았고, 특히 친환경농산물이나 동물복지 인증제품, Non-GMO 제품 선택과 식물성 식품위 주의 식생활에서 실천 의지가 낮았다. 초등 식생활교육에서의 음식윤리 교육 필요성 인식은 3.93~4.19점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특히 식품 소비와 폐기 관련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편이었다. 음식윤리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실천 태도 및 의지(r=0.511), 그리고 교육 필요 성 인식(r=0.607)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예비교사들은 음식윤리에 대한 인지도는 그리 높지 않았으나 식생활에서 음식윤리는 중요하며 초등 식생활교육에서 음식윤리 교육 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음식윤리를 중요하게 여길수록 실천 태도 및 의지가 높았고, 교육 필요성도 더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식생활 관심도가 높은 집단이 음식윤리 인지도, 중요성 인식, 실천 태토 및 의지가 더 높았다. 따라서 초등예비교사들의 음식윤리에 대한 관심과 실천 의지, 교 육 필요성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식생활 관심도를 높이고 음식윤리 중요성을 더 크게 인식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cognition, perception of importance, attitude and will to practice, and the need fo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ietary life education of food ethic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20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t B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ir food ethics awareness was average at 3.09 points without gender differences, but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pper group than in the lower group of dietary interest. The awareness of welfare and rights was the lowest. They regarded food ethics as important. Female elementary school pre-teachers regarded as more importantly than male, and the upper group regarded as more importantly than the lower group. The attitude and will of elementary pre-teachers to practice food ethics were not as high as 3.39~3.58 points, and in particular, they had low willingness to practice in the selec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imal welfare certified products, Non-GMO products, and diet based plant foods.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food 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ietary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with 3.93~4.19 points, and in particular,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 related to food consumption and disposal was high.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food ethics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attitude and will to practice(r=0.511) a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r=0.607). Therefore, in order to raise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interest in food ethics, the will to practice, a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ietary life interest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ood ethics.

      • KCI등재후보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특수초등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 연구

        황순영,정은영,이미아 국립특수교육원 2006 특수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예비 특수초등교사와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부산, 경남에 있는 교육대학과 특수교육과예 재학중인 3,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예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Thompson과 Shrigley()985)가 개발한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척도(Revised Science Attitude Scale)를 예비 특수초등교사와 예비 초등교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와 t-검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해 보면 첫째, 예비 특수초등교사와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전체 태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비 특수초등교사가 예비 초등교사들보다 과학교육의 필요성을 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관련 과목 수강 여부에 따른 예비교사의 전체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영역 중. 과학교수에 대한 편안함 영역에서는 과학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예비 교사가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필요성 영역에서는 오히려 수강한 경험이 없는 예비 교사가 더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셋째,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특수초등교사의 과학교수 태도에 대한 문항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예비 초등교사는 예비 특수초등교사에 비해 학생들의 질문에 대한 두려움이 크며, 예비 특수초등교사는 다른 교과와 비교해 과학의 중요성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ttitude toward science teaching betwe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and special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in 3 and 4 grade students of university. For this purpose, the Revised Science Attitude Scale developed by Thompson & Shrigley(1986) was used and the method, t-test, two way ANOVA were used to investig science teach ing attitude for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ed : First of all, the reliability if measurement instrument was verified through a pre-study.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as used. And Discriminative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test, there weren't significant difference of science teaching attitude between two groups. But special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igher perceived necessity of science education than general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econd, there weren't also significant difference of science teaching attitude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experiences of taking science related course. Howeve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are taking science course feel so easy toward comfort to science teaching compared to the not taking science course.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 과학교수법 성취도 및 과학수업 평가요소에 대한 연구

        김순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의 남・여 성별에 따 른 과학수업능력과 과학교수법 성취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와 과학교수법 성취도와 과학수업능력사이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초 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라서 과학 수업을 평 가할 때 적용하는 평가요소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 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P교 육대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예비교사 88명에 대 하여 2019년 9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수행되었다. 연 구대상 88명의 학생들은 3개 학과에 재학 중이며, 남 학생 32명, 여학생 56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88명의 학 생들은 ‘초등과학교수법’을 수강한 학생들로 강의 초 기에 학생들에게 배포된 강의계획서에서 예고된 과학 수업실기 평가를 받았다. 과학 수업실기 평가는 동료 들에 의한 다면평가의 형식으로 수행되어 평가점수가 부여되었으며, 과학학업능력은 ‘초등과학교수법’의 정 기고사에서 학생들이 획득한 점수로 부여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을 분석한 결과 여자 초등예비교사들이 남자 초등예비교사들에 비하여 과 학수업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 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초등과 학교수법 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여자 초등예비교사들 이 남자 초등예비교사들에 비해서 ‘초등과학교수법’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과 초등 과학교수법 성취도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남・여 모두 과학수업능력과 과학교수법 성취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이것은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능력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초등과학교수법과 관련된 이론적 인 영역뿐만 아니라 초등예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도 함께 작동한다는 사실을 시사해 주고 있기 때문에 추 후 이러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 다고 생각된다. 넷째,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평가준거로 활용된 요소를 분석한 결과 남・여 초 등예비교사 모두 수업자의 목소리 톤, 말투 등의 언어 적 요소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차지하였다. 이것은 남・여 초등예비교사들의 수업평가에 있어서 수업자의 언어적 요소가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라는 사실을 말 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science class ability,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and class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gender.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and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was examined. Finally, the evaluation factors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science instruction according to male and female gender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examined.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9 to december 2019 for 88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P University of Education in Pusan metropolitan city. Among these 88 students, 32 elementary pre-service students were male, 56 were femal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according to gender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emal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science class ability compared to mal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hievement of elementary science pedagogy according to gender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ema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for elementary science pedagogy than that of mal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and elementary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result can be applied both side of male and female. Fourth, both male and female pre-service teachers had various instructional evaluation factors, among which the linguistic factors of the instruction were used most frequently as criteria for instructional evaluation.

      • KCI등재후보

        초등예비교사의 당류 섭취 실태 및 섭취 저감화에 대한 인식

        이경애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4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gar intake and perceptions towards reducing sugar, and provide a basic information for reduction education of sugar. The addicted level, eating habits, knowledge, sweet acceptance, intake frequency, and perception of reduction of sugar were surveyed. The subjects were 360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Busan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53.8% male and 77% female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diagnosed as doubted or solid sugar addiction. Their eating habit of sugar was not bad significantly. The most worried eating habit of sugar was not checking food label of the processed foods. Their knowledge of sugar was about six points out of 10 in the both of male and female. The frequency of sugar foods intake was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Male drank more frequently soda drinks than female. On the other hand, female ate breads, rice cakes, snacks and cookies, candies and chocolates more frequently than male. Mos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not known the sugar reduction policy well. But they recognized that reduction education of sugar is needed, especiall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60% male and 80% female of them had an intention to reduce sugar intake, and eat food and dishes reduced sugar content. Conclusively, we are worried about their sugar addiction, and should educate them to reduce the sugar intake because of their low knowledge of it. It is needed to focus on the practical way to reduce the sugar intake. And education programs and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의 당류 섭취 실태 및 섭취 저감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초등예비교사들과 초등학생의 당류 섭취 저감화 교육을 위한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해 360명의 초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당류 섭취실태(당류 중독 정도, 당류 섭취 습관, 당류 관련 지식, 단맛 수용도, 당류 식품 섭취빈도) 및 당류 섭취 저감화에 대한 인식(당류 섭취 저감화에 대한 인식 및 당류 섭취 저감화 의향)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조사대상자인 초등예비교사 중 남자는 53,8%, 여자는 77%가 당류 중독 의심이나 당류 중독으로 나타나 초등예비교사들의 당류 중독 현상이 우려되며 여자가 남자보다 특히 우려된다. 그러나 초등예비교사의 직접적인 당류 섭취 습관은 평균적으로 남자는 보통 이하, 여자는 보통 정도로 크게 우려할 정도는 아니며, 당류 섭취 습관에서 가장 문제가 되었던 것은 가공식품을 구입할 때 당류 함량을 확인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초등예비교사들의 당류와 관련한 지식수준은 남녀 차이 없이 10점 만점에 모두 6점 정도로 낮은 수준이었다. 초등예비교사의 당류 식품 섭취빈도는 남녀 간의 차이를 보여 남자는 탄산음료 등 음료류, 여자는 빵과 떡류, 과자류, 사탕과 초콜릿류의 섭취빈도가 높았다. 따라서 당류 저감화 교육에서 남녀 간의 당류 식품 섭취 차이를 고려한 교육이 요구된다. 초등예비교사들은 당류 섭취 저감화 정책에 대해서 대부분 잘 모르고 있었으나 당류 섭취 저감화 교육, 특히 초등학교에서의 당류 섭취 저감화 교육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초등예비교사들 중 여자 3/4 정도, 남자 2/3 이상이 약간이라도 당류 섭취 저감화 의향이 있었고, 남자보다 여자가 당류 섭취 저감화 의향을 더 가지고 있었으며, 당류 저감화 음식을 섭취할 의향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초등예비교사들의 당류 중독 현상이 우려되며 당류와 관련한 지식은 낮은 수준이므로 초등예비교사를 위한 당류 섭취 저감화 교육이 요구되며, 특히 당류 섭취를 줄이고자 하는 동기 부여가 되어 있으므로 당류 섭취를 줄일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학습할 수 있는 교육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초등예비교사 대상의 체계적인 당류 섭취 저감화 교육을 위해 당류 섭취 저감화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자료 개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구과학 예비교사와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독서감상문에 담긴 과학 교과독서의 의미 비교

        임성만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1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4 No.1

        이 연구는 지구과학 예비교사와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교과독서를 통해 과학도서와 독서에 대해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과학 교과독서 과정에서 과학교육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반영되는지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위치한 교 사 양성 대학에 다니는 지구과학교육을 전공하는 3학년 학생 24명과 초등교육을 전공하는 2학년 학생 25명 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구과 학 예비교사들은 교과독서를 과학 내용 지식을 습득하 는데 많이 활용하였으나, 초등 예비교사들은 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과 과학적인 흥미, 궁금증 해결을 위한 것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둘째, 지구과학 예비교 사와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 관련 도서를 과학 교육 에 활용하는 데에서도 생각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지 구과학 예비교사들이 과학도서를 수업에 활용하는 것 에 대해 드물게 서술한 반면,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 수업에 대해 적극적으로 서술하였다. 셋째, 과학 교과 독서 관점에서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에 비해 초등 예비 교사들이 더 적극적으로 교과독서의 의미를 부각시키 고 있었다. 과학에서의 독서활동이 많은 효과가 있다 는 연구결과들을 비춰보면 학교 현장 수업에서 교수전 략으로서 과학 교과독서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hat meanings of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and primary pre-service teachers about science books and reading through science disciplinary reading and how their thoughts on science education are reflected in the science disciplinary reading process. For the study, 24 third-year students majoring in earth science education and 25 second-year students majoring in primary education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at a teacher training college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used disciplinary reading a lot to acquire knowledge of science content, but primary pre-service teachers used it for the purpose of using it in class, scientific interest, and curiosity solution. Second,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and primary pre-service teacher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thinking in using science related books for science education. While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rarely described the use of science books in their classes, primary pre-service teachers actively described science classes.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ce disciplinary reading, primary pre-service teachers were more actively emphasizing the meaning of disciplinary reading compared to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In light of the research results that the reading activity in science has a lot of effect, it is thought that a wide range of research on science disciplinary reading should be conducted as a teaching strategy in school field classes.

      • KCI등재

        특수교육에서 STEAM 교육 적용을 위한 예비 초등특수교사와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박외곤,차국일,심광보,문경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에서의 STEAM 교육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D시의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초등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예비 초등교사 85명과 예비 초등특수교사 88명이며, 설문 결과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요소의 빈도, 백분율,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예비초등교사와 예비 초등특수교사의 인식차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첫째, STEAM 교육에 대한 정보의 인식은 예비 초등교사가 더 높은 인식을 지녔으며, 두 집단 모두 STEA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였으며, 창의적 사고력, 학업성취도, 학습기회에 대해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두 집단 모두 STEAM 교육의 교과 중 Arts, Science를 중요하게 인식하며, 장애영역 중 학습장애 학생에게 제일 긍정적인 교수법으로 인식하였다. 특히 예비 초등특수교사는 특수아동, 예비 초등교사는 일반아동에게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두 집단 모두 STEAM 교육에 대한 전문성은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예비 초등특수교사는 Engineering, Arts, 예비 초등교사는 Science, Engineering을 어려워하고 있었다. 넷째, STEAM 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교수관련 수업 자료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내실 있는 적용을 위해서는 또 다른 업무가 되지 않도록 교육환경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교사와 초등예비교사의 초등실과 AI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이승원(Seung-Won Lee)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실과에서 AI 융합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와 초등예비교사의 중요도 인식,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향후 인공지능 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실과교육과정 개발방향을 제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초등교사는 D광역시 소속 초등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예비교사는 K교육대학교와 J교육대학교 재학중인 대학생 164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0년 12월 1주부터 12월 2주까지 2주간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최근 5년 이내 실과교과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가 69.1%로 약 70% 정도 분포하였는데도 조사대상자인 초등교사 중 90명(81.8%)이 AI 융합교육의 지도 경험이 없었으며, AI 융합교육 연수를 받은 경험도 32명(29.1%)에 불과했다. 둘째, AI 융합교육을 이해하고 있는 정도는 초등교사가 M=2.55(SD=1.06), 예비교사가 M=2.54(SD=0.70)으로 평균점수 3점보다 낮았으며 두 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와 예비교사 두 집단 모두 모든 AI 융합교육 학습요소에 대하여 최소 평균 3.59 이상의 점수를 보여 모두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초등교사와 예비교사 두 집단 모두 AI 융합교육 학습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보다 자신의 지도능력은 낮게 판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AI 융합교육 학습요소 중에서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교육요구가 가장 높은 것은 티처블 머신이나 머신러닝 포 키즈 등의 플랫폼을 활용한 인공지능 체험과 파이썬(Python)등 텍스트형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인공지능 체험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와 연구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일부 지역의 초등교사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전국의 초등교사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과교육과정과 AI 간 융합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AI 소양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절실하다. 셋째, 현재 SW교육이 실과교육과정에 17시간 이상 도입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실과교육과정에 AI 융합교육이 들어오기 위해서는 실과 과목 시수가 확대 편성되어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2022 개정 교육과정과 더불어 AI 융합교육 관련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ggestions on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reas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rveyed 1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 metropolitan city, and preservice teachers surveyed 164 college students attending K and J University of Education from week 1 to 2in December 2020.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although 69.1% of the teachers, which is about 70%,with practical teaching experience within the last 5 years were distributed, 90 people(81.8%) of the survey subjects had no experience in teaching AI convergence education. Only 32 people (29.1%) received training in AI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AI convergence education was M=2.55 (SD=1.06)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M=2.54 (SD=0.70) for preservice teachers, which was lower than the average score of 3 poi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both groups of the elementary and pre-service teachers showed at least an average of 3.59 or higher for all learning element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indicating that all are recognized as important. Fourth, it can be seen that bo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judge their teaching ability lower than their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learning elements. Fifth, among the learning element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elementary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have the highest demand for education in,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iences using platforms such as teachable machines and machine learning for kids, and using textual programming languages such as Python.

      • KCI등재후보

        초등 예비교사의 영화 만들기가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김용익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8 實科敎育硏究 Vol.24 No.3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영화 만들기가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양적 분석 결과에 의하면, 초등 예비교사의 영화 만들기는 교직소양 역량, 상담학급 운영 역량, 학교업무 행정 역량, 교육과정 수업전문성 역량 등의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영화 만들기는 창의력, 협력관계형성, 책임감, 친밀감, 도전정신 등 초등교사의 핵심역량을 크게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분석 결과에서도 초등 예비교사들 대부분은 영화 만들기가 초등교사의 핵심 역량을 증진시킬 것이라고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진술하였다. 영화 만들기는 영상시대를 살아가는 요즘 학생들의 기호에 적합하고, 미래인재에게 요구되는 디자인, 스토리, 조화, 공감, 유희, 의미 등의 조건에도 부합되며,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증진에도 효과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추후 초등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영화 만들기 강좌를 개발, 반영할 필요가 있다. 영화 만들기 강좌에는 시나리오 작성, 촬영, 편집 등의 테크놀로지 영역도 포함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lm making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on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ilm mak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as helpful in promoting teaching literacy competency, counseling class competency, school administration competency, and curriculum competency. In particular, film making has been shown to significantly enhance the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teachers, such as creativity, cooperative relationships, sense of responsibility, intimacy, and challenging spirit. In qualitative analysis, mos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ympathize that film making will enhance the curriculum competency, counseling class competency, school administration competency, and teaching literacy competency. Film making fits the needs of students in today's video era, and is compatible with the design, story, harmony, empathy, amusement, and meaning required by future talents, and is also effective in enhancing the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teachers Considering thi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flect on movie making course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he movie making lecture should include the technology areas such as scenario writing, shooting and editing.

      • KCI등재

        초등학생과 초등예비교사의 생태 인식 비교 연구

        박현진,고현국,권동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목적 본 연구는 기후 위기와 감염병 유행 등 생태적 인식 함양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미래 사회의 주축인 초등학생과 그들을 교육하게 되는 초등예비교사의 생태 인식 정도가 각각 어떠한지를 검증된 도구를 사용해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생 352명, 초등예비교사 92명이다. 초등학생에게는 ‘우리나라 초등학생용 NEP Scale’ 설문지를 인쇄 배부하였고, 예비교사에게는 ‘신 생태 패러다임 척도(New Ecological Paradigm Scale)’를 온라인으로 투입하였다. 그중 초등학생용 설문지 336부, 예비교사용 설문지 92부를 회수하였고, 해당 자료를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과 초등예비교사의 생태 인식 전체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두 개의 하위 요인에서 초등학생의 평균이 예비교사의 평균보다 높았다. 둘째, 초등학생의 배경 변인별 생태 인식을 분석한 결과 학년에 따른 생태 인식 평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생태 인식 하위 요인 중 일부 평균값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초등예비교사의 배경 변인별 생태 인식을 분석한 결과 학년에 따른 생태 인식 평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생태 인식전체 평균과 하위 요인 중 일부 평균값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생태 인식은 연령과 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생태 인식 관련 교육을 설계할 때교수자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둘째, 아동과 성인은 생태적 세계관을 구축하는 과정이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초등예비교사와 교사는 아동의 생태적 세계관 구축 과정을 이해하여야 한다. 셋째, 생태 인식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므로 그 원인을 다양한측면에서 밝히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worldview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the future society’s main pillars, along wit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will educate them.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that has been verified by many people and is widely used was use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9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questionnaire ‘NEP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was printed and distributed. In addition, ‘The New Ecological Paradigm Scale’ was distributed online t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 total 336 questionnair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92 questionnaire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collect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values of the ecological worldview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owever, the average valu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wo sub-factors was higher than the average value of pre-service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cological worldview by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values according to grade level. However, the average values of some of the sub-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cological worldview by background variabl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values according to grade level.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average value of ecological worldview and some of its sub-factors according to gender. Conclu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individual's ecological beliefs may be independent of age. Therefore, instructors should consider these characteristics when designing education related to ecological worldview. Second, children and adults may have different processes for constructing an ecological worldview. Thus,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s must understand children’s ecological worldview. Third, the ecological worldview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teachers differ according to gender.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clarify the cause from various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