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에서 STEAM 교육 적용을 위한 예비 초등특수교사와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박외곤,차국일,심광보,문경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에서의 STEAM 교육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D시의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초등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예비 초등교사 85명과 예비 초등특수교사 88명이며, 설문 결과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요소의 빈도, 백분율,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예비초등교사와 예비 초등특수교사의 인식차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첫째, STEAM 교육에 대한 정보의 인식은 예비 초등교사가 더 높은 인식을 지녔으며, 두 집단 모두 STEA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였으며, 창의적 사고력, 학업성취도, 학습기회에 대해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두 집단 모두 STEAM 교육의 교과 중 Arts, Science를 중요하게 인식하며, 장애영역 중 학습장애 학생에게 제일 긍정적인 교수법으로 인식하였다. 특히 예비 초등특수교사는 특수아동, 예비 초등교사는 일반아동에게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두 집단 모두 STEAM 교육에 대한 전문성은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예비 초등특수교사는 Engineering, Arts, 예비 초등교사는 Science, Engineering을 어려워하고 있었다. 넷째, STEAM 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교수관련 수업 자료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내실 있는 적용을 위해서는 또 다른 업무가 되지 않도록 교육환경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통합교육환경에서 학습장애 학생과 또래의 교육적 상호작용

        박외곤,변찬석 한국학습장애학회 2013 학습장애연구 Vol.10 No.3

        This study executed research with subject of how educational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s carried out under inclusive education setting.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elected and consisted of 5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y from 5th and 6th grade of primary school in D district. Data collections were mainly put on performed work of the students, interview and observation of class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Data was analyzed with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educational interaction with th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 Sentences with a special meaning was extracted from the data analysis and the themes of educational interaction with peers come into the categorization by general meaning and subject association. Most of all, participatory structure of meaning of inclus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educational interaction was shaped in educational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fulness of inclusion to th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as to make peer relation put into normal with higher accepta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using improvement of negative conception to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lead to study development and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by self esteem. Second, participatory structure appearing in educational interaction by th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as to study in the atmosphere of group activities, dynamic class, active involvement and assistance from friends. At this time, educational interaction with peers occurred actively. Lots of precedent studies on education activitie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y focused on overcome of learning disabilities by intervention, but this study has meaningfulness to broaden understanding about how class activitie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happen by participation and observation of researcher. 이 연구는 통합교육환경에서 학습장애 학생과 또래와의 교육적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 문제를 통합교육환경에서 학습장애 학생이 또래와 상호작용에서 겪는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가? 통합교육환경에서 학습장애 학생은 또래들과 상호작용은 어떠한 수업의 구조에서 활발하게 일어나는가? 로 하고, 질적 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의도적 표본 추출 전략을 사용하여 D시의 초등학교 학습장애 학생 5명과 학습장애 통합학급 담임교사 9명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과 분석을 통하여 <어울리고 싶은 마음>, <함께 한 걸음씩 나아가기>로 범주화하였으며, 이 주제 범주를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 <학습장애 학생에게서 통합의 의미>, <교육적 상호작용에 나타난 참여적 구조>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학습장애 학생에게서 통합의 의미는 학습장애 학생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함으로써 장애 학생에 대한 수용 도를 높여 또래 관계를 정상화하는 것이며, 학습장애 학생과 또래와의 관계 맺기는 서로에게 이익이었다. 둘째, 학습장애 학생의 교육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참여적 구조는 활동적인 수업과 소집단 활동 수업에서 적극적이었으며, 이때 또래의 도움으로 교육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후속 연구를 위해 첫째, 본 연구는 수업관찰과 교사 면담으로 이루어졌지만, 장애 학생과 또래학생을 직접 면담하여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와 둘째, 장애 낙인과 부정적 인식 개선을 위해 통합학급에서 장애이해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학년성에 맞는 학년별 교재 개발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학습장애에 대한 초, 중등학교 일반교사의 인식

        최정미,박외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3

        본 연구는 학습장애아 통합교육을 담당하고 있거나 담당하게 될 초, 중등학교 일반교사들의 학습장애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학습장애아 통합교육의 실행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학습장애에 대한 개념, 학습장애아 통합교육을 위한 학급 경영, 학습장애아 통합 교육을 위한 협력 교수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설문 문항을 작성하여 초, 중등교사 240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 첫째, 학습장애아의 지능 및 선별기준에 대해 초등, 중등교사 다수가 잘못된 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둘째, 학습 장애아 통합학급 경영에 있어서는 초등, 중등교사 다수가 학습장애아의 사회적 기술 및 기초 학습기능 지도와 산만해질 학습 분위기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셋째, 협력 수업에 대한 요구에 있어서 초등, 중등교사 다수가 국어, 수학 등의 일부 교과시간에 대한 협력 수업을 희망하고 있었으며 협력 수업의 협력자는 초등은 특수보조원을 더 선호하고 중등은 특수교사를 더 선호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심층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더 많은 질적 양적 연구들이 후속되기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teachers in general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oward learning disabilities, who are in charge of or will be in charge of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is might be helpful to executing efficient inclusive edu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24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which includes teacher’s recognition on a concept of learning disabilities, class management for inclusive education, and collaborative teaching. As a result, man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first, have a wrong concept on intelligence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they have anxiety of guiding social skill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of guiding the poor basic learning function, and of being distractible in class learning atmosphere for inclusive education. Third, they prefer the collaborative partner’s supplementary supports during the curricular hours like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as for collaborative instruction. As for a collaborative partne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efer more special assistant but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prefer more special teacher.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es should be continued, which can verify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thoroughly.

      • KCI등재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을 지닌 학생에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변찬석,박외곤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3 시각장애연구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lementary teachers perceive towar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y or underachiever.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6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s ever manage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classroom in D Metropolitan City.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was us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into 4 subjects including characteristics, diagnosis and identification, educational support,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teachers, or administrators. First, teachers perceive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y to be more negative than underachiever. Second, they felt the difficulty in the diagnosis and identificat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us having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assessment. Third, they showed less concerns with learning support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an that of underachiever, but more concerns was in the support for former's daily living than academic support. Fourth, student's daily living was a focus of their communication with the parents, and they perceived the necessity of collaboration with teachers and expected the administrative support of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장애 학생과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있었다. 연구참여자는 D광역시 초등학교에서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학습장애 학생을 지도해본 경력이 있는 교사 6명을 선정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크게 4가지로, 특성, 진단 및 판별, 교육적 지원, 그리고 부모, 교사 및 학교행정가와의 의사소통에 대한 교사의 인식으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학습부진 학생에 비해 학습장애 학생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다소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나, 진단평가에 어려움을 보였으며 전문적인 평가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학습지원에 많은 신경을 쓰지 못하고 학습면 보다는 생활면에 더 관심을 보였으며, 부모와의 의사소통에서도 역시 생활면에 대해 더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사와의 협력교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행정적으로는 물적 인적 자원의 지원을 기대하였다.

      • KCI등재

        학습장애 학생 교육에 대한 통합학급교사의 인식

        변찬석,박외곤,최정미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을 지도하는 통합학급교사의 학습장애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D광역시의 학습장애 통합학급교사 가운데 4명을 선정하였으며,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학급교사는 학습장애 개념에 대해서는 경험을 토대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진단 방법으로 의뢰 전중재전략을 통한 조기 선별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습장애 학생에 대한 통합학급교사의 교육적 지원에 대해서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중요영역으로 인식하였으며,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와의 상호작용으로서의 협력교수는 개별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서는 학교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의뢰 전 중재전략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inclusive-class teachers recognize educat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t elementary schools.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4 teachers of inclusive clas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D Metropolitan City.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inclusive-class teachers’ recognition on the concepts of learning disabilities was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A method of selection and diagnosis was preferred RTI(Response To Intervention). In the educational support of inclusive-class teacher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is being recognized as an important sphere. As for interaction between inclusive-class teacher and special-class teacher, the cooperative teaching is recognized positively in a sense of being available for individual learning. Accordingly, as a result of this study, a model is thought to be necessarily developed, to which RTI can be easily applied at school, for a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변찬석,박외곤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3 시각장애연구 Vol.29 No.1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of elementary students’ social support from their peer, family, and teachers according to their sex, disability, and school grade.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2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gu. Data obtained by questionnaire survey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hown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was shown in their perceived social support.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normal students and LD students.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higher in normal students than students with LD. Family support was highest in both groups, while peer support was lowest in LD group. Third, total social support was highest in 6th grade, but lowest in 5th grad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eacher support which 4th grade was higher than 5th grade. Family support was highest regardless of students’ variables, however some difference was shown in peer support and teacher support according to students’ variables.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성별, 장애 유무, 및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대구광역시에서 220명의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이 응답한 사회적지지 관련 설문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로 남녀학생간에는 사회적지지의 지각수준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장애학생과 일반학생간에는 사회적지지의 지각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학생이 전반적으로 높은 지지를 지각하고 있었으며, 두집단 모두 가족지지가 가장 높았으나 학습장애학생은 또래지지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학년에 따른 사회적지지 수준은 전체적으로 볼 때 6학년이 가장 높았으나 5학년은 전반적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한편 교사지지에서 4학년이 5학년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가족지지는 초등학생의 변인과 관계없이 가장 높았으나, 또래지지 및 교사지지의 경우 대상아동의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이 기술되었다.

      • KCI등재

        특수교육에서 STEAM 교육 적용을 위한 초등교사와 특수교사의 요구 분석

        차국일(Cha Kug Il),박외곤(Park Wae Kone),심광보(Sim Kwang B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 업무계획’ 보고를 통해 창의적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초중등 STEAM 교육 계획에 의거하여 특수교육에서 STEAM 교육 적용을 위 한 초등교사와 특수교사의 요구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D시의 초등교사와 특수교 사를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초등교사 191명과 특 수교사 78명이며, 설문 결과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교차분석을 실 시하여 각 배경변인별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논의와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교육의 환경적 요구(학교, 학급)’에 있어서는 STEAM 교육이 학교 현장에 정착되기 위해선 STEA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전환과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을 위한 STEAM 교육 관련 수업 자료의 보급이 우선적 으로 이루어져야 된다고 파악되었다. 둘째, ‘STEAM 교육의 교육적 적합성’ 따른 미 적용의 원인은 STEAM 교육의 이해 및 자료 부족으로 파악되었으며, 특수교육대상 자의 수업 흥미도 및 참여도의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평가와 교사에게 STEAM 교육은 수업과 업무에 부담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부정적인 평가의 결과도 파악되었다. 이에 제언으로는 STEAM 교육과 연계된 학교 외의 교육환경 조성, 특 수교육에 적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STEAM 교육의 목 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특수교사와 학부모에게 연수 기회 제공 등이 조속히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ant to apply the STEAM method to special education.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STEAM Education Planning 2011 business report by MEST(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whose goal was to develop creative and competent learners: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through this STEAM project. This research team surveyed cit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rveyed via mobile phone. The participants in this survey were 191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78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results were produced by doing cross-tabulation analysis using the SPSS 21.0 statistics program. As a result, we took two categories into consideration and discovered the following: There is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 The positive feedback indicates this project can attribute to special education learners’ interests and needs. However, negative feedback indicates that this project can create more work for teachers. The first issue is getting teachers to understand the benefits of STEAM. The other issue is providing resources that teachers need to get measurable results. Second teachers use the STEAM project less than expected because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is project as well as a lack of teaching materials. Therefore, to use the STEAM project successfully the following is strongly suggested; building the environment for this project inside and outside of the school, development of the STEAM for specia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for teachers and parents to achieve the cultivation of creative and competent learners: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 KCI등재

        학습장애 학생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비교

        권미영 ( Mi Young Kwon ),박외곤 ( Wae Kone Park ),차국일 ( Kug Il Cha ),심광보 ( Kwang Bo Sim ),변찬석 ( Chan Suk By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통합 환경인 초등학교에서 융합인재(STEAM)교육을 효과적으로 확대 실시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시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일반교사 191명과 특수교사 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과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onway Anova)을 실시하여 두 그룹간의 인식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모두 높은 필요성과 필요근거를 가지고 있어 유의미한 인식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융합인재교육의 정보나 실제 수업에 적용경험은 두 그룹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일반교사의 정보나 경험이 많았다. 둘째,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요구내용은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모두 새로운 방향의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학업능력과 학습흥미를 높일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어 유의미한 인식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융합인재교육의 연수기회와 연구학교 근무 경력에서는 차이가 많았다. 이에 따라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적 경험을 조사 연구하여 융합인재교육을 통합학급에서 적용할 방안을 강구하고 융합인재교육의 연수를 강화하여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perceptions toward STEAM education as basic research for the effective expansion of the STEAM education in an inclusive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191 general teachers and 78 special teachers working at the elementary schools in D city an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frequency analysis, the cross-analysis of the ratio, T-test, and one-way ANOVA (onway Anova) were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agreed to the need of STEAM education, and th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ut there were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bout the information of STEAM education and in the experience of actual application to class of STEAM education, and general teachers had more information and experience than special teachers. Second, both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thought the STEAM education provide a new way of learning opportunities, and increase learning skills and learning interest, and th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perception on requirements of the STEAM education. But the training opportunities in STEAM education and the career working at research school were many differences. As a result, we propose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STEAM education to the inclusive class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training in STEAM education through th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special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