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중급 교재의 역할극 제시 방식 연구 - 3급 교재를 중심으로 -

        김현진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4 언어사실과 관점 Vol.62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3급 교재, 4종에 나타난 역할극 제시 방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4종의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극의 기능은 역할극 소재만 기술되고 기능이 표기되지 않는 경우가 있음을 발견했다. 각 역할극의 내용에 맞게 기능도 표기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역할극의 필수 구성 요소인 대화 상황과 대화 참여자의 역할이 지시문이나 삽화로 제공되고 있으나 그것으로 충분히 내용이 전달되지 않았다. 삽화와 별도 지시문에 더 구체적으로 대화 상황과 역할이 자세히 제공될 필요가 있다. 셋째, 역할극의 필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유용한 표현은 대부분 교체 연습하는 방식으로 제공되었다. 실제 각 역할극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유용한 표현이 충분하지 않았다. 동일한 사실을 다양한 표현으로 구현해 보도록 유용한 표현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역할극의 유형은 3종의 교재에서는 ‘교체 연습 형식의 역할극’에서 ‘단서가 제공된 역할극’으로 확장되는 단계적인 연습이 많아 학습자들의 학업 부담을 줄이고자 했다. 나머지 1종에는 ‘단서가 제공된 역할극’과 ‘창의적 역할극’이 있었다.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임을 고려할 때 창의적으로 대화 내용을 구성해 보는 ‘창의적 역할극’을 적극적으로 제공해 유창한 말하기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sentation methods of role plays in four types of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textbooks. We would like to look at sever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functions of these role plays should also be indica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of each role pla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onversation situation and the roles of conversation participants, which are essential components of role plays, were provided through instructions or illustrations, but these were not sufficiently conveyed. In order to perform the role plays in accordance with the target function, the conversation situations and roles needed to be provided in more specific detail. Third, as for the useful expressions,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of role plays, most textbooks provided expressions through replacement practices. Therefore, there was little provision of useful expressions needed to practically perform the functions of each conversation. It seemed that more effort was needed to embody the same facts in various expressions. Fourth, in most textbooks, the type of role plays includes many step-by-step exercises that extend from ‘role plays in the form of replacement practice’ to ‘role plays using clues’, which was intended to reduce the academic burden on learners. However, considering that it is an intermediate level textbook, it was thought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practice internalizing the material into one’s own story as there is a ‘creative role play’ after this role play where you creatively compose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 초등 영어 교사의 역할극에 대한 인식

        이은하(Eun Ha Lee)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敎科敎育硏究 Vol.36 No.1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목표는 어린 학생들이 영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영어권 세계의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며 더 나아가 국제적으로 소통되는 영어로서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 시키는 데 있다. 초등학교 영어교육에 있어서 역할극은 가상적 인 삶의 공간을 통해 실제 일어나는 삶의 환경에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직접 체험하고 사용함으로서 영어를 익히고 배울 수 있는 적합한 교수 학습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역할극을 사용할 때, 일반적인 교수·학습지도에 비해 학생의 참여도와 흥미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단순한 영어의 단어가 아닌 각자의 역할에 어울리는 말과 행동이 함께 어우러짐으로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역할극이 초등영어 목표에 가장 근접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으로서 인식되어지고 그 시행 정도도 갈수록 확장 되어질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G 지역 현직 교사 47명을 임의로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역할극의 전반적인 지도 실태 결과 많은 수의 교사들이 역할극에 대한 사전지식을 가지고 역할극을 직접 지도 해본 경험이 있으나, 실제 지도에 있어서는 이와는 별개로 교사의 인식 및 제반 사항의 부족으로 역할극을 통한 효과적인 영어 지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지도함에 있어서 드러나는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교사들은 역할극 지도가 학생들의 전반적인 영어 능력 및 흥미 유발, 자신감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실제 수업 실시 후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등 언어의 영역별 향상 정도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역할극의 교육적 유용성을 잘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역할극 지도를 위해 사전에 교재 연구를 하는 편이나 교사용 지도서에 역할극 지도 방법의 안내가 충분하지 않아 수업을 위한 더욱 체계적인 지도 요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aiding the formation of guidelines to develop role play and how to use it by researching how it is used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and teachers perception of it.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 Many teachers have insufficient information to lead a role play and lack in teaching materials, which reduce its effect. Post-evaluations and feedback processes lacked and most role plays fell short of proper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eaching aids as guidelines to cultural factors. Most teachers, however, have positive view such as students’ improvement of confidence in English expressions and speech skill, creating their interest, and it is considered as useful at school, as the results have shown positive effects in four linguistic areas. * Teachers commonly preferred to English role play, but felt great difficulty in actual lesson. In fact, many teachers favored to delay role play until the 6th grade. Otherwise, as teachers’ manual lacked enough guidance for it, they had difficulty in its preparation. An effective role play requires preparation for educational and financial measures ASAP. For efficient role play lesson, frequent opportunities to learn how to manage a role play program must be prepared sufficiently, the focus must be on improving all skills in four linguistic areas in role plays, and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on relevant activities must be implemented.

      • KCI등재

        동시대극의 관객역할 연구 –펀치드렁크 극단의 <슬립 노 모어>를 중심으로

        전윤경 한국공연문화학회 2020 공연문화연구 Vol.0 No.40

        동시대극에서 관객과 공연의 직접적인 소통을 유도하는 사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관객은 개인화된 경험을 원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등장한 ‘이머시브 극’은 동시대극을 대표하는 장르라고 보아도 될 정도로 국내외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이머시브 극’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 극단이 영국의 펀치드렁크 극단이다. 그리고 이들을 대표하는 공연 <슬립 노 모어>는 2003년 영국 ‘런던’에서의 초연을 시작으로 미국 ‘뉴욕’과 중국 ‘상하이’에까지 영역을 넓히며 2019년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일반적으로 <슬립 노 모어>에서 관객의 역할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관객의 참여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관객에게 어떤 경험을 줄 것인가가 동시대극에서 강조될 수밖에 없다. 관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동시대극은 점점 어떤 하나의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복잡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고에서 살펴볼 <슬립 노 모어>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이는 관객마다 개인화된 경험을 바라고 있고 관객 또한 자라 온 환경이나 보유한 지식이나 문화수준, 취향에 따라 경험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동시대극을 대표할 수 있는 공연으로 펀치드렁크 극단의 <슬립 노 모어>를 선정하고 이 작품을 중심으로 동시대극에 나타나는 관객역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관객역할에 대한 과거의 논의들을 역사적으로 탐색하여 동시대극에 나타나는 관객역할의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음으로<슬립 노 모어>에서 나타나는 관객 역할에 대해 연구자와 함께 이 공연을 관람한 연구자 ‘그’의 경험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슬립 노 모어>에서 관객의 경험은 다양하고 복잡하게 나타났다. 즉 포스트드라마 극에서 주목하는 참여자로써의 관객뿐만 아니라 프로시니엄 극에서의 전통적인 관객의 역할 또한 공연 내에서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복잡성은 우연히 일어난 것이 아니라 펀치드렁크 극단의 기획 전략이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동시대극에서 나타나는 관객의 역할에 대해 논의할 때 자칫 단순히 관객을 참여자로 바라보는 시각 하나로만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을 통해 동시대 극에 나타나는 복잡한 특성들을 명확히 바라보는 시각을 가진 논의들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In contemporary Theatre, the case of induc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performance is prominent. Especially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audience wants a personalized experience. The emergence of ‘immersive Theatre’ in this trend has attracted great attention both at home and abroad. In particular,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emergence of the concept of ‘immersive Theatre’ is the British punchdrunk Theatre. Their representative performance <Sleep No More> began to premiere in London in the UK in 2003 and has expanded to include New York and China in Shanghai and continues to be extremely popular until 2019. In general, a review of existing studies on the role of the audience in <Sleep No More> shows that the focus is on th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What experience will be given to the audience can not be emphasized in contemporary Theatre. In order to satisfy the diverse needs of the audience, contemporary Theatre are increasingly showing complexity that cannot be explained by any one theory. The same goes for <Sleep No More>. This is because each audience wants a personalized experience,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experience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audience also grew up, knowledge, culture, and taste. This study selected Punch Drunk's <Sleep No More> as a performance that can represent contemporary Theatre, and conducted a study on the role of audience in contemporary Theatre. To this end, we have historically explored past discussions about the role of the audience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le of the audience in contemporary Theatre. Next, I analyzed in detail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He” who watched the performance with the researcher on the role of the audience in <Sleep No More>. In conclusion, the experience of the audience in <Sleep No More> is diverse and complex. In other words, the role of the traditional audience in the proscenium play, as well as the audience as a participant in the post-drama play, was also complex in the performance. And this complexity was not a coincidence, but a planning strategy for the Punchdrunk Theatre. Therefore, when discussing the role of the audience in contemporary Theatre, there should be a discussion that clearly sees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Theatre through the approach from various perspectives, rather than merely one view of the audience as a participant. something to do.

      • KCI등재

        역할극을 활용한 무역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엄나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1

        외국어 학습에 있어 가장 중요시 되는 것이 ‘의사소통 능력’이다. 그러나 국내 학습자에 비해 국외 학습 자의 경우 실제 의사소통 상황을 접하기가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자들에게 실제 의사소통 상 황과 비슷한 유사-의사소통 상황을 접하게 해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역할극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이 스스로 대화를 만들고 만든 대화를 이용하여 실제 역할극을 하면서 대화 상황과 문화적 요소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연구 대상이 된 중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들은 졸업 후에 대부분 한국 기업이나 한국과 관련된 직종에 취직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무역 한국어’ 수업을 통해 한국어학과 학습자들이 한국계 회사에 취업을 했을 경우를 대비해 한국어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한국 문화는 물론 직장 내 문화나 비즈니스 매너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역할극을 활용한 무역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4단계(이해-계획-실행-평가의)를 설정하여 한 학기 동안 실제 수 업을 통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의 다섯 가지 의의가 기대된다. 첫째, 학습자들 이 역할극을 통해 정확한 상황 이해 및 인간관계에 맞는 언어문화를 이 해 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들 이 스스로 한국 문화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매너를 익혀 올바른 한국 언어문화를 습득할 수 있다. 셋째, 향후 학습자가 한국계 회사에 취직을 했을 때 회사 내 적응도를 높일 수 있다. 넷째, 학습자의 능동적 이고 적극적인 참여 태도를 이끌어 내어 교사 중심이 아닌 학습자 주도적 수업을 할 수 있다. 다섯째, 역할극을 통해 학습자들의 실제적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역할극을 활용한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고 실제 한 학기 수업을 통해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교수-학습 방안이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신장 및 한국 문화와 비즈니스 매너를 익히 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 학기 동안 실시한 역할극을 활용한 무역 한국어 수업을 통해 본 연구는 위의 다섯 가지 의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역할극을 활용한 무 역 한국어 수업’이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언어문화 학습 방법의 하나로 그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 었으며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가 어떤 단계의 학습자에게 더 유용할 것인지, 언어문화와 말하기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에는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하지 못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Communication competence' is considered most important in language learning. However, it is less common for foreign learners of Korean than Korean native learners to experience real communication situation. For this reason, it is very important to poster and experience real-like communication situation for language learner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promotes learners to understand conversational situations and cultural elements by learners making their own dialogues and doing role-play with that dialogue. The Korean learners of Chinese participated in the study mostly tend to get a job at Korean companies or companies related to Korea after their graduation. Through 'Business Korean' class, this study aims for learners to raise the knowledge of overall Korean culture including workplace culture and business manners in Korea as well as Korean language. For this study, four steps for 'Business Korean Teaching-Learning Strategy' (understanding - planning - implementing - assessing) are established and used in real classes for one semester. The following five results are expected through this study. Frist, learners are able to understand exact conversational situation and language culture with regard to the human relationship through role-play. Second, learners are able to acquire proper Korean language culture by familiarizing themselves with business manners as well as Korean culture. Third, learners are able to easily accustom themselves in Korean companies afterwards. Forth, by promoting learners active and positive class participation, learner-centered class rather than teacher-centered class can be done. Fifth, through role-play leaners genuine speaking proficiency can be improved. After a semester of the study of Business Korean using role-play based on above-mentioned strategy, these five significant results are drawn. With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Business Korean class using role-play' has a great potential in Korean language learning as one of the way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and helps learners improve their Korean speaking proficiency. However, this study fails to examine which level of students this study is more effective, and other language skills except for speaking and language culture that this study promotes. The further study is to examine these limitations.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실천론 수업에서 활용한 역할극의 경험에 대한 연구

        김경미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2 한국사회복지교육 Vol.20 No.-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the BSW students experience role play used in social work practice class. Students’feedback addressed the experience, the usefulness, and the challenges of this educational intervention by using role play. Before starting the role-play, students were excited about doing that, but they were embarrassed when they started to take role-play. They also started to do self-reflection as social workers. Role playing provided students with mutual learning. The usefulness of role-play were the followings: they had better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social work intervention; they experienced to be a social worker; they could have understand the clients better, specially unexpected clients and situations. The recommendation for challenges were the multiple source of choosing the scenarios of role-play, consideration of proper time and place, role allocation, and constructive and clear feedback to role-player. 이 논문은 대학의 사회복지학부 사회복지실천론 수업에 도입하여 활용한 역할극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의 역할극 경험과 역할극이 사회복지실천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된 점, 향후 개선했으면 하는 점들을 연구하였다. 역할극을 시작하기 전에 학생들은 역할극을 한다는 사실에 대해 흥분과 기대를 가지고 있었고, 역할극을 처음 해보면서 당혹감을 느끼며 사회복지사로서의 ‘나’에 대한 반성을 시작하였다. 또, 역할극의 매 순간은 학생들에게 상호배움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사회복지실천의 교육과 학습에 있어서 역할극이 유익했던 점들은 사회복지실천 개입의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되었다는 것, 사회복지사가 되어 가는 과정을 경험해 보았다는 것, 클라이언트를 더 잘 이해하게 되었고 예측할 수 없는 클라이언트나 상황에 대하여 준비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반면 역할극 수행에 있어 보완되어야 할 점들로는 역할극의 시나리오 선택의 다양화, 시간과 장소에 대한 고려, 적절한 역할 할당, 피드백 제공 방식의 체계화와 명확화 등이 제안되었다.

      • 역할극을 활용한 중학생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 개발 연구

        허미경 ( Mi Kyoung Heo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08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시간과 공간제약이 많은 학교 현실을 고려하여 일회적으로,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이 많은 중학생 대상을 학급 단위로 진행하여, 다양한 입장과 상황을 이해하고 문제해결의 경험을 할 수 있는 역할극을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내용분석 및 전문가 자문을 받았고, 2008년 7월부터 10월까지 U시의 중학교 5개교 1,433명을 대상으로 예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참여자의 학교폭력 예방교육 참여 만족도와 학교폭력 예방교육 서술형 결과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F.R.Shaftel and G.Shaftel(1982)이 제시한 역할극 수업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도입과정으로 ① 프로그램 소개, 준비과정으로 ② 촉진활동과 ③ 역할극 상황설정과 준비단계로 이루어지고, 전개과정으로는 ④ 역할극 참가자 선정 ⑤ 관객의 준비자세 확인 ⑥ 역할극 시연 ⑦ 역할극에 대한 토론 및 평가 ⑧ 수정된 역할극 시연단계가 이루어진다. 끝으로 마무리 과정에서는 경험의 공유와 일반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프로그램은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참여자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역할극 실연과 토론을 통한 참여로 등장인물 뿐만 아니라 관객이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반 전체의 집단응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촉진활동을 준비하도록 하였다. This thesis is to develop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s of offender and victim in school violence through role play in which they can afford to understand various positions and to have an experience of solving the violence problems.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carried out by the classes and one-time performance,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school with a lot of restrictions of time and space. To do so, bibliographical study and analysis of the research materials are carried out, and also the professionals` advice is received. The study object is 1433 middle school students of 5 Middle Schools in U city. For them, the preparatory program is carried out from July 2008 to October 2008. And then, the analysis for the satisfaction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for the descriptive results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is carried out. Under the research above, the program of this study is made out on the basis of role-playing study model presented by F.R.Shaftel and G.Shaftel(1982). The courses of the program are as follows. The Introduction Course includes an introduction of the program. The Preparatory Course includes a facilitative activity, a situation setting of role play and its preparatory step. The Developing Course includes a selection of participants in role play, checking the audience`s readiness for the performance, a performance of the role play, a discussion and evaluation on the role play, and a performance steps of the revised role play. The final Concluding Course includes a step of sharing the experience and its generalization. In this program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s are able to choose the various situations which may happen in their ordinary lives. This program gives a chance for the characters in stage and also the audience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ctively by the performance and discussion between the characters and the audience. And the facilitative activity which is able to heighten the coercive strength of the whole class is prepared.

      • KCI등재후보

        분만 역할극을 활용한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효과

        조은아(Eun-A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4

        본 연구는 분만 역할극을 활용한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 소재 4년제 일대학의 간호학과 4학년 통합간호학실습을 수강하는 학생 78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의사소통능력은 역할극 전 89.87점,역할극 후 92.15점이었으며, 분만 역할극을 활용한 간호교육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지는 못했다(t=1.55, p=.125). 둘째,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은 역할극 전 평균 3.17점에서 역할극 후 3.5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6.07, p<.001). 최근 간호학 전공 학생들의 학습성과 달성과 실습 교육의 극대화를 위한 전략으로 시뮬레이션이나 역할극 활용의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는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특히 본 연구를 바탕으로 임상실습이 힘들어지고 있는 여성건강간호학과 관련된 다양한 역할극의 활용을 제안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ursing education using role play of delivery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A one-group, pre-post design was utilized. The participants were 78 nursing students in G city who took an investigated nursing practice.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with the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first, before the role play, the average score for communication ability was 89.87 points, after the role play was 92.15 points. Nursing education using role pla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bility (t=1.55, p=.125). Second, the mean score for self-directed learning before the role play was 3.17 points, after the role play was 3.54 points. After nursing education of role play,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t=6.07, p<.001). Therefore nursing education using role play in women’s health nursing should be more widely used.

      • KCI등재후보

        이윤택 희곡 <문제적 인간 연산>의 감정 연구 -메타드라마적 장치의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백현미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4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6 No.-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emotional effects of metadrama devices focusing on “Problematic Human Yeoun-San”(below, “Yeoun-San”) written by Lee Yun-Taek. The drama used metadrama devices and expressed strong emotions. Generally theatricality, reflexivity, and artistic meditation can be perceived in drama using metadrama devices. Metadrama devices are recognized leading to the ‘double watching’ of spectators, resulting in reasonal perception of spectators. But the recent cognitive science regards the reason as a by-conduct of physical experience including emotion. In this study, it was hypothesized that metadrama devices lead to not only reasonal perception but also emotional perception. There are two metadrama levels in “Yeoun-San”. The first level is ‘outer play(the frame play)-inner play, role playing, inner ceremony-outer play.’ The play within the play deals with the conflict between the alive and the dead. The role playing within the role deals with the conflict between son and mother. And the ceremony within the play deals with the conflict between the royal authority and the minister authority. The metadrama devices arise certain emotions as they are performed. The play within the play which has deconstructed gives rise to fear. The role playing within the role which has halted creates an air of anxiety. And the ceremony within the play which has destroyed leads to explode with rage. The 2nd level is ‘the play within the ceremony.’ The 2nd level frame forms by surrounding the first level frame with beginning and ending Myoje(묘제, a memorial service held in front of the grave). The Confucian ritual Myoje put emphasis on Confucian emotion view. 연극 안에 연극이 설정되고, 역할놀이가 행해지고, 유사 극이라 할 각종 의례가 재현될 때, 이런 장치들은 연극 안에서 연극의 정체성을 묻는 매개 기능을 한다. 그래서 메타드라마적 장치는 ‘이중으로 보기’를 통해 연극과 현실, 실재와 환영의 본질에 대한 이성적 통찰 기능을 한다고 여겨진다. 인지과학의 최근 성과에 따르면 이성적 통찰은 감정적 경험과 분리되지 않고 함께 일어난다. 관객이 극에서 이화된다고 해서 관객의 감정 경험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본고는 <문제적 인간 연산>에서 메타드라마적 장치가 활용되는 양상을 주목하며, 이것이 강렬한 감정 표출과 연계됨을 밝혔다. <문제적 인간 연산>에는 메타드라마적 장치가 이중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1차 층위에서는 연산이 현재시점에서 겪는 사건을 다룬 외부극 안에 다양한 메타드라마적 장치들(극중극, 역할놀이, 극중의례)이 산재하는 식으로 삽입되어 있다. 2차 층위에서는 묘제가 이 외부극과 그 안의 메타드라마적 장치들로 구성된 극을 둘러싸는 식으로 설정되어 있다. 묘제라는 의례 안에 극이 있고, 그 극 안에 다시 극중극과 역할놀이와 극중의례가 있는 셈이다. 그런데 1차 층위 ‘외부극-극중극, 역할놀이, 극중의례-외부극’에서, 외부극 안의 메타드라마적 장치들은 외부극과 안정되게 구별되지 않는다. 외부극과 극중극의 경계는 해체되어 있고, 연산과 녹수의 역할놀이는 중단되고, 극중의례는 외부극의 인물들에 의해 파괴된다. 이 메타드라마적 장치들은 해체되고 중단되고 파괴되면서, 특정 감정 표출을 강화한다. 극중극인 꿈과 굿이 해체됨에 따라 죽은 자들의 세계가 산 자들의 세계를 압도하고, 이에 따라 공포감이 만연한다. 역할놀이는 자발적인 듯 보이지만 실상은 비자발적으로 수행됨으로써 불안을 야기한다. 극중의례들은 대부분 죽은 자들과 관련된 의례이다. 연산과 대신들은 이 의례의 수행 여부와 수행 방식을 둘러싸고 갈등하고, 이 갈등이 격화되면서 의례들은 제대로 수행되지 못한 채 중단된다. 이 의례의 훼손에 따라 억압되던 분노가 분출한다. 2차 층위 ‘묘제-극-묘제’에서, 묘제는 일종의 제사 의례이다. 극 밖의 이 묘제는 극에서 표출된 강렬한 감정들에게 바치는 제사 역할을 한다. 또한 이 묘제는 극 안의 의례들과 달리 ‘제대로 수행’됨으로써, 평화와 안정감으로 극을 감싼다. <연산>은 메타드라마적 장치의 특별한 활용을 매개로, 분노․불안․공포 등의 감정을 격렬하게 터뜨리는 동시에 격렬한 감정 분출에 대한 긴장된 태도를 드러내는 감정 드라마인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교재 내 역할극 활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진욱 우리말학회 2024 우리말연구 Vol.7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review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role-playing activities us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 theoretical review of role-playing activities, review of the stage of Korean language development, and analysis of role-playing activitie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ole-playing is a highly utilized activity as a speaking activity and is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n most textbooks. However, there are considerations to be made in order to organize the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role-playing. This study examined these areas and suggested the elements of role-playing that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stage of Korean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points to consider when constructing role-playing in the future. 이 연구는 한국어 교재 내에서 활용되고 있는 역할극 활동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역할극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어 발달 단계에 대한 검토와 역할극 활용 가능성, 한국어 교재 내 역할극 활동 양상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한국어교육에서 역할극은 말하기 활동으로 활용도가 높은 활동이며, 대부분의 교재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역할극의 본래 취지와 특성에 맞추어 활동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고려할 점이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부분을 살피고 향후 역할극을 구성할 때 한국어의 발달 단계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역할극의 요소와 고려할 점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중학교 생활 한국어 교육 방안 - 중급 학습자를 위한 역할극 교수․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권화숙 영주어문학회 2018 영주어문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the role play as a way of teaching middle school life Korean for intermediate learners of multicultural background. This study was to foster learners in achieving fluent and correct communicative abilities suitable for the situation by suggesting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role play that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could learn four communicative functions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s a whole when studying subjects at school. This study suggested by composing total of three session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ith the model for suitable the role play in the class of middle schools for intermediate lear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t first, in the first session as a pre-state of the role play, students did the pre-learning on Korean vocabularies, grammar, and expressions related to the learning before the role play to help students understand and apply them. The second session was composed to perform the role play based on the Korean knowledge they learned as a role play stage which was the second stage. The third session was the post-role play stage which was the third stage and it was composed to complete the whol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feedback on the role play and the overall evaluation on. 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 중급 학습자들의 중학교 생활 한국어 교육 방안으로 역할극 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배 경 학습자들이 학교에서 교과 학습을 수행해 나갈 때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언 어의 4가지 의사소통 기능을 총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역할극 교수 학습 모형을 제안해 봄으로써 학습자들이 상황에 맞는 유창하면서도 정확한 의사소통 능력 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배경 중급 학습자 대상의 중학교 생활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역할극 교수․학습 모형을 3단계 수업으로 구성하여 제안해 보았다. 먼저 1단계인 역할극 전 단계에서는 내용 학습의 이해를 돕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역할극을 하기 전에, 학습할 내용과 관련되는 한국어 어휘 및 문법, 표현 등에 대해 사전 학습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2단계인 역할 극 단계에서는 학습한 한국어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역할극을 실연하도록 구성하였 다. 3단계인 역할극 후 단계에서는 역할극에 대한 피드백 및 교수 학습 과정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 활동을 통해 전 교수 학습 과정이 마무리되도록 구성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